KR102510748B1 -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및 구동 모듈 - Google Patents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및 구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748B1
KR102510748B1 KR1020180043974A KR20180043974A KR102510748B1 KR 102510748 B1 KR102510748 B1 KR 102510748B1 KR 1020180043974 A KR1020180043974 A KR 1020180043974A KR 20180043974 A KR20180043974 A KR 20180043974A KR 102510748 B1 KR102510748 B1 KR 102510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bearing
covering
layer
slid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547A (ko
Inventor
아키히로 이이노
다쓰미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50165A external-priority patent/JP7109915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1Composition of the p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6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3Multilayer structures, e.g. sleeves comprising a plastic lining
    • F16C33/205Multilayer structures, e.g. sleeves comprising a plastic lining with two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16C33/208Methods of manufacture, e.g. shaping, applying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10Elastomers; 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10Elastomers; Rubbers
    • F16C2208/12Polyurethan [P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16C2220/04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어링면을 가지는 미끄럼 베어링과, 상기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제1 피복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및 구동 모듈{SLIDING BEARING HAVING A COATING LAYER AND DRIVE MODULE}
본 발명은,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및 구동 모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구름 베어링의 용도로서, 구름 베어링의 외륜으로 지폐나 티켓 등의 반송물을 반송하는 것이나, 구름 베어링을 이동체의 차륜으로 하여 접촉물을 따라 구르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외륜의 외주면에는 반송물이나 접촉물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거나, 외륜이 구름 접촉하면서 동작할 때의 소리(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외륜에 우레탄고무를 피복하는 경우가 있다.
우레탄고무는,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외륜에 더 강고하게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외륜에 우레탄고무를 장착하는 제조 공정은 이하와 같다.
우선, 구름 베어링의 외륜의 외주면을 샌드블래스트 처리에 의해 러프하게 가공하고, 러프하게 가공한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다음에, 구름 베어링을 금형 내에 세트하고, 우레탄 원료(액체)를 외주면과 금형 사이에 흘려 넣어, 금형에 압력을 가해 성형한다. 다음에, 금형 내에 있어서 고온에서 소정의 시간(경도에 따라 다르지만 반나절부터 1일 정도) 유지한다. 우레탄고무를 고온에서 경화시킴과 함께, 접착제에 고온을 가해 우레탄고무를 외주면에 가황 접착한다. 가황 접착 후에, 우레탄의 외주면을 연마에 의해 소정의 치수, 정밀도로 마무리한다. 이것에 의해, 구름 베어링의 외륜의 외주면에 우레탄고무가 피복된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6-87717호 참조).
그러나, 종래의 구름 베어링에서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즉, 금형 내에서 우레탄고무를 장시간에 걸쳐 경화시킬 필요가 있어, 외륜의 외주면에 대한 접착제의 도포에 시간이 걸려, 우레탄고무의 경화 후에 우레탄의 외주면을 연마에 의해 소정의 치수, 정밀도로 마무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레탄고무가 외주면에 피복된 구름 베어링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에는, 우레탄고무를 외주면에 피복하기 위한 설비를 다수 구비할 필요가 있어, 설비비가 커진다. 또, 외륜의 외주면을 샌드블래스트로 러프하게 가공하는 공정이나, 러프하게 가공한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우레탄고무가 피복된 미끄럼 베어링을 염가로 대량으로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에 관련된 양태는,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대량의 제품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및 구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채용했다.
(1)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어링면을 가지는 미끄럼 베어링과, 상기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사출 성형된 제1 피복층을 구비한다.
상기 (1)의 양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미끄럼 베어링이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1 피복층이 사출 성형에 의해 인서트 성형된다. 따라서,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제1 피복층이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용착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이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제1 피복층이 사출 성형 시에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필요로 했었던, 샌드블래스트 가공 공정이나, 접착제에 의한 도포 공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을 염가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복층이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에서 지폐나 티켓 등의 반송물을 반송하는 경우나, 미끄럼 베어링을 이동체의 차륜으로 하여 접촉물을 따라 구르게 하는 경우에, 제1 피복층에서 소리(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2) 상기 (1)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베어링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의 합금재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2)의 양태에 의하면, 미끄럼 베어링을 플라스틱으로 형성했다. 따라서, 미끄럼 베어링의 플라스틱을 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 할 수 있다. 비정질성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대해 열융착성이 우수한 성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1 피복층을 사출 성형할 때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1 피복층을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양호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제1 피복층을 한층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3) 상기 (1)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과 제1 피복층 사이에 개재된 제2 피복층을 준비도 된다.
상기 (3)의 양태에 의하면,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과 제1 피복층 사이에 제2 피복층을 개재함으로써, 제1 피복층을 제2 피복층을 통하여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2 피복층으로서, 미끄럼 베어링과 제1 피복층의 양부재에 대해 열융착성이 우수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제2 피복층을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제2 피복층의 외주면에 제1 피복층을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을 제2 피복층을 통하여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4) 상기 (3)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복층은, 상기 미끄럼 베어링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복층은, 상기 제2 피복층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4)의 양태에 의하면, 미끄럼 베어링과 제1 피복층 사이에 제2 피복층이 개재되어 있다.
또, 제2 피복층을 미끄럼 베어링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했다. 또한, 제1 피복층을 제2 피복층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했다. 제1 피복층을 제2 피복층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제1 피복층의 내마모성,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 피복층을, 미끄럼 베어링이나 제1 피복층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구동할 때에, 제2 피복층에서 소리(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소리(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5) 상기 (3) 또는 (4)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복층이 형성되는 상기 미끄럼 베어링 및 상기 제2 피복층의 한쪽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의 중앙에서, 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하는 볼록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5)의 양태에 의하면, 제2 피복층의 외주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볼록부에 제1 피복층이 열융착된다. 따라서, 제1 피복층이 볼록부에 걸어맞춰져, 제1 피복층이 제2 피복층의 외주면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볼록부에서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이 제2 피복층의 외주면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6) 상기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복층은, 게이트로부터 충전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제1 피복층의 두께 치수보다 큰 개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복층과 상기 제2 피복층의 양쪽에 축선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6)의 양태에 의하면, 제1 피복층의 두께 치수보다 게이트를 크게 개구시켰다. 또한, 게이트를 제2 피복층과 제1 피복층의 양쪽에 축선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시켰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한 경우에도, 제1 피복층을 양호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제2 피복층의 피복 외주부에 큰 압력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충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피복층과 제1 피복층의 양층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7)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구동 모듈은,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구비한다.
상기 (7)의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구동 모듈에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저비용의 구동 모듈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미끄럼 베어링에 제1 피복층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염가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1 피복층에 티탄산칼륨 섬유를 함유시킨 상태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베어링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구비한 이동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은, 미끄럼 베어링(12)과, 제1 피복층(14)을 구비한다.
미끄럼 베어링(12)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어링면(16)과, 외주면(17)을 가진다. 베어링면(16)은, 미끄럼 베어링(12)의 내주면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지지축(19)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12)은, 지지축(19)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주면(17)은, 베어링면(16)에 대해, 미끄럼 베어링(12)의 경 방향 외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면(16) 및 외주면(17)은, 미끄럼 베어링(12)의 축선(O)에 대해 동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12)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서, 경질 플라스틱(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의 합금재 등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베어링(12)을, 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지축(19)에 대한 베어링면(16)의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질 플라스틱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4불화, PTFE) 등의 고체 윤활재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제1 피복층(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복층(14)은, 사출 성형에 의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열융착되어 있다.
제1 피복층(14)은, 일정한 두께 치수(T1)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피복층(14)은, 폭 치수가 미끄럼 베어링(12)의 폭 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1 피복층(14)은,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미끄럼 베어링(12)의 재료가 되는 비정질성 플라스틱과의 열융착성이 우수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TPS), 올레핀계(TPO), 염화비닐계(PPVC), 우레탄계(TPU), 폴리에스테르계(TPEE)가 적용 가능하다.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의 관점에서 우레탄계(TPU), 폴리에스테르계(TPEE), 스티렌계(TPS)가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폴리에스테르계(TPEE)를 들 수 있다.
우레탄계(TPU)는, 내마모성이 가장 우수하지만 성형성에 문제가 있어, 흡습성이 높아 충분한 건조가 필요하다. 또한, 어닐링 처리도 필요하여, 제조에 시간이 걸림과 함께 성형 정밀도에도 문제가 있다. 또, 우레탄계는, 기계적 강도나 내마모성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에서 가장 우수하다. 이 때문에, 우레탄계는, 피복층(18)에 기계적 강도나 내마모성의 특성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계(TPEE)는, 우레탄을 제외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에서는 내마모성, 기계적 강도가 가장 우수함과 함께, 경질 플라스틱과의 열융착성에도 우수하다. 또, 폴리에스테르계(TPEE)는, 흡습성도 낮고, 성형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피복층(18)의 재료로서 최적이다.
여기서, 제1 피복층(14)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TPEE)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는, 내마모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함과 함께, 경질 플라스틱(즉, 미끄럼 베어링(12))과 열융착성이 우수하다.
열융착이란, 예를 들면, 제1 피복층(14)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가열에 의해 용융되어 경질 플라스틱(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부착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2색 성형 시에 효과를 발휘한다. 또, 폴리에스테르계(TPEE)는, 흡습성도 낮고, 성형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제1 피복층(14)의 재료로서 최적이다.
여기서, 미끄럼 베어링(12)이 경질 플라스틱(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정질성 플라스틱은, 제1 피복층(14)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대해 열융착성이 우수한 성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1 피복층(14)을 사출 성형할 때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1 피복층(14)을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양호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제1 피복층(14)을 한층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소리(노이즈)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제1 피복층(14)의 듀로 경도 A는 75~95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듀로 경도 A를 92로 함으로써, 소리(노이즈)를 양호하게 억제하고, 또한, 제1 피복층(14)의 기계적 강도나 내마모성을 양호하게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듀로 경도 A가 75 미만이면, 제1 피복층(14)의 기계적 강도나 내마모성이 문제가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에 의하면, 미끄럼 베어링(12)은, 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1 피복층(14)이 사출 성형에 의해 인서트 성형된다.
따라서,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제1 피복층(14)이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용착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14)이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는, 제1 피복층(14)이 사출 성형 시에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필요로 했었던, 샌드블래스트 가공 공정이나, 접착제에 의한 도포 공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을 염가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제1 피복층(14)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피복층(14)은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사출 성형에 의해 인서트 성형된다. 제1 피복층(14)을 사출 성형하기 위해 금형이 이용되고, 금형의 게이트(G1)는, 제1 피복층(14)의 피복 측면(14a)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용융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게이트(G1)로부터 금형의 내부(캐비티)에 충전됨으로써,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제1 피복층(14)이 인서트 성형된다.
금형의 게이트(G1)를 제1 피복층(14)의 피복 측면(14a)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충전 개소를 제1 피복층(14)의 피복 외주면(18)으로부터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또, 금형의 파팅 라인(PL)은, 예를 들면 미끄럼 베어링(12)의 축선(O) 방향에 있어서 제1 피복층(14)의 피복 측면(14a)에 위치시킨다. 피복 측면(14a)은, 피복 외주면(18)에 대해 피복 외주면(18)의 일단(18a)에 있어서 오목부에 형성되어 있다. 파팅 라인(PL)은, 피복 외주면(18)으로부터 어긋나게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게이트(G1)나 파팅 라인(PL)을 피복 외주면(18)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으로 했다. 따라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게이트(G1)로부터 금형 내에 충전시킬 때에 생기는 버(burr)나, 파팅 라인(PL)에 의해 생기는 버 등이 피복 외주면(18)에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복 외주면(18)으로부터 버를 제거하는 후가공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은, 제1 피복층(14)을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용착함으로써, 제1 피복층(14)을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접착제로 접착할 필요가 없다. 제1 피복층(14)과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키지 않음으로써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소형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의 경우, 예를 들면, 제1 피복층을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접착제로 접착하면 접착제의 도포 편차에 의해, 접착제를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균일한 두께 치수로 도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소형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의 경우, 제1 피복층의 두께 치수가 1.0mm보다 작아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착제가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균일한 두께 치수로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피복층의 경도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피복층이 피복된 소형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으로 반송물을 반송하는 경우나, 제1 피복층을 접촉물을 따라 구름 동작시키는 경우에, 소리(노이즈)가 발생하거나, 토크 편차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제1 피복층(14)을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용착함으로써, 접착제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이 소형이며 제1 피복층(14)의 두께 치수가 1.0mm보다 작아진 경우에도, 제1 피복층(14)의 경도를 전체 둘레에 있어서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을 소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반송물을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으로 반송하는 경우나, 접촉물을 따라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을 구름 동작시킬 때에, 소리(노이즈)의 발생이나, 토크 편차의 원인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피복층(14)을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용착 만으로 설치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예로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용도나 그 재질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용착에 접착제를 병용시켜 제1 피복층(14)을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미끄럼 베어링(12)을, 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예로서, 미끄럼 베어링(12)을, 예를 들면 금속재를 소결시켜 형성한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금속재의 소결로 형성된 미끄럼 베어링의 베어링면(표면)은 러프하게 형성된다. 이 베어링면의 오목부에 용융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녹아들어, 엥커 효과에 의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베어링면에 강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1 피복층(14)의 마모량을 확보하기 위해, 표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티탄산칼륨 섬유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 1는, 본 발명의 제1 피복층(14)에 티탄산칼륨 섬유를 함유시킨 상태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제1 피복층(14)에 티탄산칼륨 섬유를 함유시킨 상태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표 1, 도 2에 있어서, 티탄산칼륨 섬유를 함유하지 않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폴리에스테르계(TPEE))를 엘라스토머(단체)로서 나타낸다. 티탄산칼륨 섬유를 10wt% 함유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엘라스토머(10wt%)로서 나타낸다.
또, 티탄산칼륨 섬유를 20wt% 함유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엘라스토머(20wt%)로서 나타낸다. 티탄산칼륨 섬유를 30wt% 함유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엘라스토머(30wt%)로서 나타낸다.
Figure 112018037615173-pat00001
표 1, 도 2에 있어서, 엘라스토머(단체), 엘라스토머(10wt%), 엘라스토머(20wt%), 엘라스토머(30wt%)의 특성을 나타낸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티탄산칼륨 섬유를 10wt%, 20wt%, 30wt% 함유함으로써, 인장 강도를 12MPa에서 13MPa, 18MPa, 23MPa로 높게 할 수 있다.
또, 굽힘 강도를 4MPa에서 7MPa, 9MPa, 16MPa로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굽힘 탄성율을 0.05GPa에서 0.13GPa, 0.21GPa, 0.44GPa로 높게 할 수 있다.
또, 도 2의 그래프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단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티탄산칼륨 섬유를 10wt%, 20wt%, 30wt% 함유한 상태의 마모량이나 듀로 경도 A를 나타낸다. 도 2,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티탄산칼륨 섬유를 10wt%, 20wt%, 30wt%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듀로 경도 A를 94에서 96, 97, 98로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티탄산칼륨 섬유를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마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티탄산칼륨 섬유를 10wt%, 20wt%, 30wt%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마모량을 12.5×10- 3cm3에서 10.1×10-3cm3, 7.0×10-3cm3, 3.8×10-3cm3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마모량은, 왕복 슬라이딩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왕복 슬라이딩 시험 조건은, 상대재로서 유리 플레이트를 선택하고, 하중 0.7kg, 속도 0.16m/s로 시간 20min 왕복 슬라이딩 시험을 실시한다.
또한, 티탄산칼륨 섬유의 함유량은,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용도에 대응시켜 적절히 선택한다.
(제1 변형예)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로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20)을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20)은, 미끄럼 베어링(21)의 양측부(21a, 21b)에 그리스(24)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베어링(12)은, 양측부(21a, 21b)에 제1 오목부(22)와, 제2 오목부(23)가 동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제1 오목부(22)의 외경은, 제2 오목부(2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22)에 그리스(24)가 충전되고, 제2 오목부(23)에 슬라이딩 와셔(25)가 수납되어 있다. 제2 오목부(23)에 슬라이딩 와셔(25)가 수납됨으로써, 제1 오목부(22)의 개구부가 슬라이딩 와셔(25)로 폐색된다. 따라서, 제1 오목부(22)에 그리스(24)를 저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와셔(25)의 외측에는 통형의 규제부(26)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26)는, 지지축(19)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와셔(25)가 규제부(26)에 의해 제2 오목부(23)에 유지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규제부(26)가 금속인 경우, 슬라이딩 와셔(25)를 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오목부(22)에 그리스(24)를 저장함으로써, 지지축(19)에 대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20)을 한층 양호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변형예)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의 베어링(10)의 제2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베어링(10)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베어링(10)으로서, 제1 피복층(14)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외의 예로서, 제1 피복층(14)의 피복 외주면에, 톱니바퀴용의 복수의 톱니(28)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10)을 톱니바퀴(27)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톱니바퀴(27)는, 예를 들면, 유성 톱니바퀴 기구의 내부의 작은 플레네터리 기어(유성 톱니바퀴)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톱니바퀴(27)는, 복수의 톱니(28)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톱니바퀴(27)가 맞물릴 때에 발생하는 구동음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복수의 톱니(28)를 형성하는 제1 피복층(14)은, 톱니바퀴(27)의 내마모성,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하여 듀로 경도 A가 95를 넘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사용도 가능하다.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용도의 예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을 구비한 이동체(1)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은 이동체(구동 모듈)(1)에 부착하여 차륜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동체(1)는, 본체부(2)와, 본체부(2)의 양측에 부착된 복수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은, 미끄럼 베어링(12)이 지지축(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3)은 본체부(2)에 부착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12)이 지지축(3)에 고정됨으로써,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이 지지축(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복수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은 차륜으로서 이용된다.
이동체(1)는, 복수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제1 피복층(14)(구체적으로는, 피복 외주면(18))이 접촉물(5)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이 접촉물(5) 상을 구름으로써, 이동체(1)를 접촉물(5)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에 제1 피복층(14)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이 접촉물(5)을 구르면서 이동할 때에, 제1 피복층(14)에 의해 소리(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제1 피복층(14)이 강고하게 걸어맞춰져 있으므로,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으로부터 제1 피복층(14)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체(1)에 복수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을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저비용의 이동체(1)를 얻을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제1 피복층(14)을 접촉물(5)에 접촉시킨 상태로 회전시켜, 이동체(1)를 접촉물(5)을 따라 이동시키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예로서, 이동체(1)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고, 제1 피복층(14)을 접촉물(5)에 접촉시켜 제1 피복층(14)의 회전에 의해 접촉물(5)을 이동시켜도 된다. 이 경우, 책상에 있어서 서랍을 접촉물(5)로 하는 경우가 이것에 상당한다.
또, 그 외의 예로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을 주행 방향이 선회하는 캐스터에 적용해도 된다.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을 캐스터에 적용함으로써, 이동체(1)의 주행 방향에 대응시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을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용도의 예로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은 지폐나 티켓 등의 반송 장치(구동 모듈)에 이용된다. 즉, 반송 장치는, 한 쌍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미끄럼 베어링(12)이 지지축(3)에 부착되고, 미끄럼 베어링(12) 및 제1 피복층(14)이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제1 피복층(14)은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이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제1 피복층(14) 사이에 지폐나 티켓 등이 끼워넣어져 반송된다.
미끄럼 베어링(12)에 제1 피복층(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제1 피복층(14) 사이에 지폐나 티켓 등을 끼워넣으면서 반송할 때에, 제1 피복층(14)에 의해 소리(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미끄럼 베어링(12)에 제1 피복층(14)이 강고하게 걸어맞춰져 있으므로,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으로부터 제1 피복층(14)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송 장치에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을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저비용의 반송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제5 실시 형태의 미끄럼 베어링을 도 6~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제4 실시 형태의 미끄럼 베어링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과 동일, 유사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은, 미끄럼 베어링(32)과, 제2 피복층(36)과, 제1 피복층(34)을 구비한다. 미끄럼 베어링(32), 제2 피복층(36), 및 제1 피복층(34)은, 미끄럼 베어링(32)의 축선(O)과 동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미끄럼 베어링(32)과 제1 피복층(34) 사이에 제2 피복층(36)이 개재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32)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어링면(41)과, 외주부(42)를 가진다. 베어링면(41)은, 미끄럼 베어링(32)의 내주면에서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지지축(19)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32)은, 지지축(19)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32)의 외주부(42)는, 베어링 볼록부(43)와, 제1 베어링 외주면(44)과, 제2 베어링 외주면(45)을 가진다. 베어링 볼록부(43)는, 외주부(42)의 축선(O) 방향 중앙으로부터, 미끄럼 베어링(32)의 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팽출)되어 있다. 베어링 볼록부(43)는, 베어링 외주면(43a)과, 제1 베어링 측면(43b)과, 제2 베어링 측면(43c)을 가진다.
베어링 외주면(43a)은, 베어링 볼록부(43) 중, 미끄럼 베어링(32)의 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외주면(43a)은, 베어링 볼록부(43)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베어링 측면(43c)은, 베어링 볼록부(43)의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32)은, 제1 실시 형태의 미끄럼 베어링(12)과 동일하게,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서, 경질 플라스틱(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의 합금재 등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베어링(32)을, 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지축(19)에 대한 베어링면(41)의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질 플라스틱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4불화, PTFE) 등의 고체 윤활재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베어링(32)의 외주부(42)에 제2 피복층(36)이 사출 성형에 의해 인서트 성형(2색 성형)되어 있다.
제2 피복층(36)은, 미끄럼 베어링(32)의 외주부(42)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사출 성형(2색 성형)되어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미끄럼 베어링(32)의 재료가 되는 비정질성 플라스틱과의 열융착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제2 피복층(36)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TPEE)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는, 내마모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함과 함께, 경질 플라스틱(즉, 미끄럼 베어링(32))과 열융착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2색 성형 시에 효과를 발휘한다. 또, 또, 폴리에스테르계(TPEE)는, 흡습성도 낮고, 성형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의 제2 피복층(36)의 재료로서 최적이다.
여기서, 제2 피복층(36)은, 미끄럼 베어링(32)과 제1 피복층(3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피복층(36)은, 미끄럼 베어링(32)과 제1 피복층(34)의 양 부재에 대해 열융착성이 우수한 재료가 선택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34)은, 미끄럼 베어링(32)의 외주부(42)에 제2 피복층(36)을 통하여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미끄럼 베어링(32)은, 외주부(42)에 베어링 볼록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피복층(36)의 내주면(47)과 미끄럼 베어링(32)의 외주부(42)가 요철형상으로 걸어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피복층(36)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제2 피복층(36)의 내주면(47)과 미끄럼 베어링(32)의 외주부(42)의 요철로 제2 피복층(36)이 미끄럼 베어링(32)의 외주부(42)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피복층(36)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피복 외주부(51)를 가진다. 피복 외주부(51)는, 피복 볼록부(52)와, 제1 피복 외주면(53)과, 제2 피복 외주면(54)을 가진다. 피복 볼록부(52)는, 피복 외주부(51)의 축선(O) 방향 중앙으로부터, 미끄럼 베어링(32)의 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복 볼록부(52)는, 피복 외주면(52a)과, 제1 피복 측면(52b)과, 제2 피복 측면(52c)을 가진다.
피복 외주면(52a)은, 피복 볼록부(52) 중, 미끄럼 베어링(32)의 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복 측면(52b)은, 피복 볼록부(52)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피복 측면(52c)은, 피복 볼록부(52)의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에 제1 피복층(34)이 열융착되어 있다. 제1 피복층(34)은,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복층(34)은,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사출 성형(2색 성형)되어 있다.
제1 피복층(34)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제2 피복층(36)과 동일하게, 폴리에스테르계(TPEE)가 바람직하다.
제1 피복층(34)이 제2 피복층(36)과 동일하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됨으로써, 제1 피복층(34)과 제2 피복층(36)의 열융착성이 높아져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피복층(36)은, 제1 피복층(34)에 대해 열융착성이 우수한 재료가 선택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에 제1 피복층(34)이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에 피복 볼록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피복층(34)의 내주면(56)과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가 요철형상으로 걸어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34)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제1 피복층(34)의 내주면(56)과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의 요철로 제1 피복층(34)이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34)이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피복층(36)은, 미끄럼 베어링(32)과 제1 피복층(34)의 양부재에 대해 열융착성이 우수한 재료가 선택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34)은, 제2 피복층(36)을 통하여 미끄럼 베어링(32)의 외주부(42)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2 피복층(36)은, 미끄럼 베어링(32)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피복층(34)은, 제2 피복층(36)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부드러운 재료란, 굽힘 탄성율, 경도(예를 들면, 듀로 경도 A(듀로 미터 경도 A))가 작은 재료를 말한다.
단단한 재료란, 굽힘 탄성율, 경도(예를 들면, 듀로 경도 A(듀로 미터 경도 A))가 큰 재료를 말한다.
이와 같이, 제2 피복층(36)은 미끄럼 베어링(32)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피복층(34)은 제2 피복층(36)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복층(34)을 제2 피복층(36)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제1 피복층(34)의 내마모성,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 피복층(36)을, 미끄럼 베어링(32)이나 제1 피복층(34)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을 구동할 때에, 제2 피복층(36)에서 소리(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소리(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미끄럼 베어링(32)을, 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예로서, 미끄럼 베어링(32)을, 예를 들면 금속재를 소결시켜 형성한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금속재의 소결로 형성된 미끄럼 베어링의 베어링면(표면)은 러프하게 형성된다. 이 베어링면의 오목부에 용융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녹아들어, 엥커 효과에 의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베어링면에 강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또, 미끄럼 베어링(32)을 보다 슬라이딩 특성이 우수한 재료,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 폴리아미드(PA) 등의 결정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자기 윤활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의 열융착성이 좋지는 않다. 그러나, 제2 피복층(36)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의 열융착성이 우수한 비정질성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제1 피복층(34)과 제2 피복층(36)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미끄럼 베어링(32)과 제2 피복층(36)은 모두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상호 용착은 일반적으로 양호하다. 그런데, 미끄럼 베어링(32)과 제2 피복층(36)의 용착이 잘 안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미끄럼 베어링(32)과 제2 피복층(36)은 모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비해 경질이며, 성형 후에 제2 피복층(36)이 경 방향 내측으로 수축되어 미끄럼 베어링(32)에 밀착한다. 이것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32)과 제2 피복층(36)의 상호 마찰력에 의해, 제2 피복층(36)이 미끄럼 베어링(32)에 고정된다.
제2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에 의하면, 제1 피복층(34)이 제2 피복층(36)을 통하여 미끄럼 베어링(32)의 외주부(42)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필요로 했었던, 샌드블래스트 가공 공정이나, 접착제에 의한 도포 공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을 염가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60)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60)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과 동일, 유사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60)은, 제2 실시 형태의 미끄럼 베어링(32) 및 제2 피복층(36)을 미끄럼 베어링(62) 및 제2 피복층(66)으로 바꾼 것이며, 그 외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과 동일하다. 미끄럼 베어링(62)은, 제2 실시 형태의 베어링 볼록부(43)를 베어링 볼록부(63)로 바꾼 것이다.
베어링 볼록부(63)는, 베어링 외주면(63a)과, 제1 베어링 측면(63b)과, 제2 베어링 측면(63c)을 가진다. 제1 베어링 측면(63b)은, 제1 베어링 외주면(44)의 일단(44a)으로부터 베어링 외주면(63a)의 일단(63d)까지, 미끄럼 베어링(62)의 축선(O) 방향의 중앙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경사각(θ1)의 경사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베어링 측면(63c)은, 제2 베어링 외주면(45)의 일단(45a)으로부터 베어링 외주면(63a)의 타단(63e)까지, 미끄럼 베어링(62)의 축선(O) 방향의 중앙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경사각(θ1)의 경사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베어링 측면(63b) 및 제2 베어링 측면(63c)의 경사각(θ1)은, 90도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베어링 볼록부(63)는, 미끄럼 베어링(62)으로부터 경 방향 외측을 향해 폭 치수(W1)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피복층(66)은, 제1 측면층(66a) 및 제2 측면층(66b)을 가진다. 제1 측면층(66a)은, 제1 베어링 측면(63b)에 접촉하도록 경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면층(66b)은, 제2 베어링 측면(63c)에 접촉하도록 경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피복층(66)이 냉각에 의해 수축할 때에, 제1 측면층(66a)을 제1 베어링 측면(63b)에 적절히 물리게 할 수 있다. 또, 제2 측면층(66b)을 제2 베어링 측면(63c)에 적절히 물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피복층(66)은, 베어링 볼록부(63)(즉, 미끄럼 베어링(62))에 한층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제2 피복층(66)은, 베어링 볼록부(63)와 동일하게, 피복 볼록부(65)의 제1 피복 측면(65b), 제2 피복 측면(65c)이 경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피복층(64)이 냉각에 의해 수축할 때에, 제1 측면층(64a)을 제1 피복 측면(65b)에 적절히 물리게 할 수 있다. 또, 제2 측면층(64b)을 제2 피복 측면(65c)에 적절히 물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64)은, 피복 볼록부(65)(즉, 제2 피복층(66))에 한층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피복층(64)에 축선(O) 방향의 힘이나, 제2 피복층(66)으로부터 젖혀지는 방향의 힘이 걸린 경우에도, 제1 피복층(64)이 제2 피복층(66)으로부터 벗겨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60)에 있어서는, 베어링 볼록부(63)의 제1 베어링 측면(63b), 제2 베어링 측면(63c)을 경사형상으로 형성하고, 피복 볼록부(65)의 제1 피복 측면(65b), 제2 피복 측면(65c)을 경사형상으로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예로서, 베어링 볼록부(63), 피복 볼록부(65) 중 어느 한쪽 만을 경사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특히, 피복 볼록부(65) 만을 경사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피복층(64)을 제2 피복층(66)으로부터 벗겨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4 실시 형태)
도 8은,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70)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70)은, 미끄럼 베어링(72)과, 제2 피복층(76)과, 제1 피복층(74)을 구비한다. 미끄럼 베어링(72), 제2 피복층(76), 및 제1 피복층(74)은, 미끄럼 베어링(72)의 축선(O)과 동축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미끄럼 베어링(72)과 제1 피복층(74) 사이에 제2 피복층(76)이 개재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72)은, 제1 실시 형태의 미끄럼 베어링(12)과 동일하게,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서, 경질 플라스틱(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의 합금재 등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베어링(72)을, 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지축(19)에 대한 베어링면(81)의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질 플라스틱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4불화, PTFE) 등의 고체 윤활재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베어링(72)의 외주면(82), 제1 측면(83), 및 제2 측면(84)에 제2 피복층(7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피복층(76)은, 사출 성형에 의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72)의 외주면(82), 제1 측면(83), 및 제2 측면(84)에 열융착되어 있다.
제2 피복층(76)은, 제2 피복층(36)과 동일하게, 미끄럼 베어링(72)의 외주면(82), 제1 측면(83), 및 제2 측면(84)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사출 성형(2색 성형)되어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미끄럼 베어링(72)의 재료가 되는 비정질성 플라스틱과의 열융착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제2 피복층(36)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TPEE)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는, 내마모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함과 함께, 경질 플라스틱(즉, 미끄럼 베어링(32))과 열융착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2색 성형 시에 효과를 발휘한다. 또, 또, 폴리에스테르계(TPEE)는, 흡습성도 낮고, 성형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70)의 제2 피복층(76)의 재료로서 최적이다.
여기서, 제2 피복층(76)은, 미끄럼 베어링(72)과 제1 피복층(7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피복층(76)은, 미끄럼 베어링(72)과 제1 피복층(74)의 양부재에 대해 열융착성이 우수한 재료가 선택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74)은, 미끄럼 베어링(72)의 외주면(82), 제1 측면(83), 및 제2 측면(84)에 제2 피복층(36)을 통하여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2 피복층(76)은, 제1 벽부(86), 제2 벽부(87)를 가진다. 제1 벽부(86)는 미끄럼 베어링(72) 중 제1 측면(83)의 일부에 열융착되어 있다. 제2 벽부(87)는 미끄럼 베어링(72) 중 제2 측면(84)의 일부에 열융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피복층(76)과 미끄럼 베어링(72)이 요철형상으로 걸어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피복층(76)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제2 피복층(76)과 미끄럼 베어링(72)의 요철로 제2 피복층(76)이 미끄럼 베어링(72)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피복층(76)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피복 외주부(91)를 가진다. 피복 외주부(91)는, 제2 실시 형태의 피복 외주부(51)와 동일하게, 피복 볼록부(92)와, 제1 피복 외주면(93)과, 제2 피복 외주면(94)을 가진다. 피복 볼록부(92)는, 피복 외주부(91)의 축선(O) 방향 중앙으로부터, 미끄럼 베어링(72)의 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팽출)되어 있다. 피복 볼록부(92)는, 피복 외주면(92a)과, 제1 피복 측면(92b)과, 제2 피복 측면(92c)을 가진다.
제2 피복층(76)의 피복 외주부(91)에 제1 피복층(74)이 열융착되어 있다. 제1 피복층(74)은, 제2 피복층(76)의 피복 외주부(91)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복층(74)은, 제2 피복층(76)의 피복 외주부(91)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사출 성형(2색 성형)되어 있다.
제1 피복층(34)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제2 피복층(76)과 동일하게, 폴리에스테르계(TPEE)가 바람직하다.
제1 피복층(74)이 제2 피복층(36)과 동일하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됨으로써, 제1 피복층(74)과 제2 피복층(76)의 열융착성이 높아져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피복층(76)은, 제1 피복층(74)에 대해 열융착성이 우수한 재료가 선택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피복층(76)의 피복 외주부(91)에 제1 피복층(74)이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제2 피복층(76)의 피복 외주부(91)에 피복 볼록부(9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피복층(74)의 내주면(96)과 제2 피복층(76)의 피복 외주부(91)가 요철형상으로 걸어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74)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제1 피복층(74)의 내주면(96)과 제2 피복층(76)의 피복 외주부(91)의 요철로 제1 피복층(74)이 제2 피복층(76)의 피복 외주부(91)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74)이 제2 피복층(76)의 피복 외주부(9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피복층(76)은, 미끄럼 베어링(72)과 제1 피복층(74)의 양부재에 대해 열융착성이 우수한 재료가 선택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피복층(74)은, 제2 피복층(76)을 통하여 미끄럼 베어링(72)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2 피복층(76)은, 미끄럼 베어링(72)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피복층(74)은, 제2 피복층(76)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부드러운 재료란, 굽힘 탄성율, 경도(예를 들면, 듀로 경도 A(듀로 미터 경도 A))가 작은 재료를 말한다.
단단한 재료란, 굽힘 탄성율, 경도(예를 들면, 듀로 경도 A(듀로 미터 경도 A))가 큰 재료를 말한다.
이와 같이, 제2 피복층(76)은 미끄럼 베어링(72)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피복층(74)은 제2 피복층(76)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복층(74)을 제2 피복층(76)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제1 피복층(74)의 내마모성,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 피복층(76)을, 미끄럼 베어링(72)이나 제1 피복층(74)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70)을 구동할 때에, 제2 피복층(76)에서 소리(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소리(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미끄럼 베어링(72)을, 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비정질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예로서, 미끄럼 베어링(72)을, 예를 들면 금속재를 소결시켜 형성한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금속재의 소결로 형성된 미끄럼 베어링의 베어링면(표면)은 러프하게 형성된다. 이 베어링면의 오목부에 용융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녹아들어, 엥커 효과에 의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베어링면에 강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또, 미끄럼 베어링(72)을 보다 슬라이딩 특성이 우수한 재료,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 폴리아미드(PA) 등의 결정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자기 윤활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의 열융착성이 좋지는 않다. 그러나, 제2 피복층(76)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의 열융착성이 우수한 비정질성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제1 피복층(74)과 제2 피복층(76)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미끄럼 베어링(72)과 제2 피복층(76)은 모두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상호 용착은 일반적으로 양호하다. 그런데, 미끄럼 베어링(72)과 제2 피복층(76)의 용착이 잘 안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미끄럼 베어링(72)과 제2 피복층(76)은 모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비해 경질이며, 성형 후에 제2 피복층(76)이 경 방향 내측으로 수축되어 미끄럼 베어링(72)에 밀착한다. 이것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72)과 제2 피복층(76)의 상호 마찰력에 의해, 제2 피복층(76)이 미끄럼 베어링(72)에 고정된다.
제4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70)에 의하면, 제1 피복층(74)이 제2 피복층(76)을 통하여 미끄럼 베어링(72)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필요로 했었던, 샌드블래스트 가공 공정이나, 접착제에 의한 도포 공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70)을 염가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9는,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0)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0)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피복층(14)을 제1 피복층(104)으로 바꾼 것이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과 동일하다. 제1 피복층(104)은, 제1 실시 형태의 피복 외주면(18)을 피복 외주면(106)으로 바꾼 것이다.
피복 외주면(106)은, 제1 단부(106a)와, 제2 단부(106b)를 가진다. 제1 단부(106a)는, 제1 피복 측면(104a)과 피복 외주면(106)이 교차하는 단부이다. 제2 단부(106b)는, 제2 피복 측면(104b)과 피복 외주면(106)이 교차하는 단부이다. 피복 외주면(106)은, 제1 단부(106a)로부터 제2 단부(106b)까지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 외주면(106)은,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직선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제1 단부(106a)에 금형의 파팅 라인(PL)이 위치한다. 즉, 피복 외주면(106)은, 파팅 라인(PL)으로부터 제2 단부(106b)까지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피복층(104)을 인서트 성형한 후, 금형의 가동 형을 화살표 방향으로 개방함으로써, 피복 외주면(106)에 버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끄럼 베어링(12)의 외주면(17)에 제1 피복층(104)을 인서트 성형한 후, 피복 외주면(106)으로부터 버를 제거하는 후가공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피복 외주면(106)의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복 외주면(106)에서 지폐나 티켓 등을 반송하거나, 피복 외주면(106)이 접촉물(5)(도 5 참조)을 구르면서 이동할 때에, 지폐, 티켓이나 접촉물(5) 등에 대한 접촉 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복 외주면(106)에서 지폐나 티켓 등을 반송하거나, 피복 외주면(106)이 접촉물(5)을 구르면서 이동할 때에, 소리(노이즈)의 저감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0)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과 동일하게, 제1 피복층(104)이 미끄럼 베어링(12)에 열융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필요로 했었던, 샌드블래스트 가공 공정이나, 접착제에 의한 도포 공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00)을 염가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변형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변형예의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 직경(D1)이 큰 게이트(G2)로부터 충전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의 제1 피복층(34)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G2)는,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의 경 방향에 있어서, 제1 피복층(34)의 두께 치수(T2)보다 게이트 직경(D1)이 크게 개구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G2)는, 제2 피복층(36)과 제1 피복층(34)의 양쪽에 축선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G2)로부터 금형의 내부(캐비티)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충전됨으로써,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에 제1 피복층(34)이 인서트 성형된다.
게이트(G2)의 게이트 직경(D1)이 크게 형성되고, 게이트(G2)가, 제2 피복층(36)과 제1 피복층(34)의 양쪽에 겹쳐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피복층(34)의 두께 치수(T2)를 작게 한 경우에도, 제1 피복층(34)을 양호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제2 피복층(36)의 피복 외주부(51)에 큰 압력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충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피복층(36)과 제1 피복층(34)의 양층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게이트 직경(D1)이 큰 게이트(G2)에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30)의 제1 피복층(34)을 성형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예로서, 게이트 직경(D1)이 큰 게이트(G2)에서, 예를 들면,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60, 70)의 제1 피복층(64, 74)을 성형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피복층(14, 34, 36, 66, 64, 76, 74, 104)의 폭 치수를 미끄럼 베어링(12)의 폭 치수와 동일하게 설정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예로서, 예를 들면, 피복층(14, 34, 36, 66, 64, 76, 74, 104)의 폭 치수를 미끄럼 베어링(12)보다 작게 설정해도 된다. 이하, 피복층(14, 34, 36, 66, 64, 76, 74, 104)을 「피복층(14…)」으로 약기한다.
피복층(14…)의 폭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피복층(14…)을 성형하는 재료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어, 피복층(14…)의 외주면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소리(노이즈)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끄럼 베어링(12, 72)의 외주면(17, 87), 미끄럼 베어링(32, 62)의 외주부(42), 제2 피복층(36, 66, 76)의 피복 외주부(51, 91)에 홈부 또는 주름부를 형성해도 된다. 홈부는, 예를 들면, 미끄럼 베어링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주면(17, 87), 외주부(42), 피복 외주부(51, 91)에 홈부나 주름부를 형성함으로써, 외주면(17, 87), 외주부(42), 피복 외주부(51, 91)에 대한 피복층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동일하게, 미끄럼 베어링(32, 62, 72)의 양측부에 제1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1 오목부에 그리스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이동체(구동 모듈)
10, 30, 60, 70, 100: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12, 32, 62, 72: 미끄럼 베어링 14, 34, 64, 74, 104: 제1 피복층
16, 41, 81: 베어링면 17, 82: 외주면
36, 66, 76: 제2 피복층 42: 외주부(외주면)
43: 베어링 볼록부(볼록부) 91: 피복 외주부(외주면)
92: 피복 볼록부(볼록부)

Claims (8)

  1.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어링면을 가지는 미끄럼 베어링과,
    상기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제1 피복층과,
    상기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과 상기 제1 피복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2 피복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피복층은,
    상기 미끄럼 베어링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복층은,
    상기 제2 피복층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베어링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의 합금재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복층이 형성되는 상기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피복층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에는, 축방향의 중앙에서, 경방향 외측으로 팽출하는 볼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듈.
  5. 청구항 3에 기재된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듈.
  6. 원통형으로 형성된 베어링면을 가지는 미끄럼 베어링의 외주면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출 성형하여 제2 피복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피복층의 외주면에, 게이트로부터 충전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출 성형하여 제1 피복층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제1 피복층의 두께 치수보다 큰 개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복층과 상기 제2 피복층의 양쪽에 축선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피복층은,
    상기 미끄럼 베어링보다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복층은,
    상기 제2 피복층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80043974A 2017-04-19 2018-04-16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및 구동 모듈 KR102510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2859 2017-04-19
JP2017082859 2017-04-19
JPJP-P-2017-250165 2017-12-26
JP2017250165A JP7109915B2 (ja) 2017-04-19 2017-12-26 被覆層付き滑り軸受および駆動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547A KR20180117547A (ko) 2018-10-29
KR102510748B1 true KR102510748B1 (ko) 2023-03-16

Family

ID=6385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974A KR102510748B1 (ko) 2017-04-19 2018-04-16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및 구동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690187B2 (ko)
KR (1) KR102510748B1 (ko)
CN (1) CN1087303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16842A (ja) * 2020-01-24 2021-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3100A (en) * 1927-12-12 1930-01-14 Blackburn Jasper Lineman's chair
US3400988A (en) * 1967-02-06 1968-09-10 Mather Co Unitized plastic wheel and bearing
US4602875A (en) 1985-11-18 1986-07-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bined bearing, rotatable member and shield assembly
US4893946A (en) 1989-05-15 1990-01-16 Amkor Industries, Inc. Roller for spinning frame
JPH0324196A (ja) * 1989-06-20 1991-02-01 Daido Metal Co Ltd 複合樹脂摺動部材
JP2506013B2 (ja) 1991-07-23 1996-06-12 行男 風間 害虫の忌避方法
EP0635106B1 (de) 1992-04-09 1996-03-13 neo-plastic Dr. Doetsch Diespec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ülsenförmigen gleitlagers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s gleitlager
JPH05321927A (ja) * 1992-05-21 1993-12-07 Bando Chem Ind Ltd ローラー類
US5417499A (en) * 1993-03-31 1995-05-23 Eagle-Picher Industries, Inc. Fabric lined bushing
JPH0687717U (ja) * 1993-05-31 1994-12-22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ラバーモールド軸受
JPH07208462A (ja) 1994-01-24 1995-08-11 Ntn Corp 絶縁転がり軸受
JPH1151063A (ja) * 1997-07-30 1999-02-23 Ntn Corp 樹脂巻き軸受
US6482140B1 (en) 1999-12-08 2002-11-19 Tashico Corporation Roll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540068B1 (en) * 2000-11-10 2003-04-01 Otis Elevator Company Rim assembly for a roller assembly for use with cargo mover systems
CN200961633Y (zh) 2006-10-11 2007-10-17 中机洛阳轴承科技有限公司 移门滑轮轴承
US20090087126A1 (en) * 2007-10-01 2009-04-0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Bearings
JP6087717B2 (ja) 2013-05-01 2017-03-01 菱熱工業株式会社 冷水製造装置
DE102013012732A1 (de) 2013-07-31 2015-02-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Stell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US9890298B2 (en) 2013-12-31 2018-02-13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omposite bearings having a polyimide matrix
DE102014224310A1 (de) 2014-11-27 2016-06-02 Aktiebolaget Skf Bauteil umfassend eine Gleitstruktu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CN105114460B (zh) 2015-08-13 2018-06-26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轴承及具有该轴承的深井泵传动轴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30335B (zh) 2021-04-02
CN108730335A (zh) 2018-11-02
KR20180117547A (ko) 2018-10-29
US20180306240A1 (en) 2018-10-25
US20190264742A1 (en) 2019-08-29
US10598223B2 (en) 2020-03-24
US10690187B2 (en)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480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피복층이 부착된 구조체, 베어링 및 구동 모듈
US10550893B2 (en) Rolling bearing
KR102510748B1 (ko) 피복층이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 및 구동 모듈
US11458788B2 (en) Lightweight suspension assembly for a vehicl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7265431B2 (ja) 構造体
JP7109915B2 (ja) 被覆層付き滑り軸受および駆動モジュール
EP0644345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l for roller bearing, seal for a roller bearing and a roller bearing provided with such a seal
KR20130053547A (ko) 엘리베이터용 이중사출롤러
WO2018021194A1 (ja) ギヤ、及びギヤの製造方法
JP2015083868A (ja) 環状シール部材
JP7309320B2 (ja) 軸受、移動体および搬送装置
JP4149449B2 (ja) 金属線材にウレタン被覆材を被覆接合する方法
JP719797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被覆層付き構造体、移動体および搬送装置
JP7076206B2 (ja) 軸受、移動体および搬送装置
JP2023001187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被覆層付き構造体、移動体および搬送装置
CN110939650B (zh) 结构体
JP7018357B2 (ja) 軸受及び駆動モジュール
JP7018358B2 (ja) 軸受及び駆動モジュール
JP5081475B2 (ja) ソリッドタイヤの製造方法
JP2018192767A (ja) ゴムローラの製造方法および金型
JP2723862B2 (ja) 摺動用シャフトの製造法
KR20200060618A (ko) 웜휠 제조 방법
JP2004291531A (ja) ポリアミド成形体とポリウレタン層との積層方法及びその積層体
JP2001295850A (ja) 転がり軸受用シール
JP200528716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