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651B1 - 전선 삽입용 툴 - Google Patents

전선 삽입용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651B1
KR102510651B1 KR1020210024963A KR20210024963A KR102510651B1 KR 102510651 B1 KR102510651 B1 KR 102510651B1 KR 1020210024963 A KR1020210024963 A KR 1020210024963A KR 20210024963 A KR20210024963 A KR 20210024963A KR 102510651 B1 KR102510651 B1 KR 102510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ire
wire insertion
coupl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046A (ko
Inventor
강호근
Original Assignee
강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근 filed Critical 강호근
Priority to KR1020210024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6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전기패널이나 전선을 보호하는 보호판 등과 같은 대상체에 마련된 전선 삽입홈에 전선을 삽입시키기 위한 전선 삽입용 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방측에 구비된 삽입롤러를 진행방향으로 밀면 상기 삽입롤러가 전선 삽입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전선을 전선 삽입홈 방향으로 가압하여 전선 삽입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단순히 삽입롤러를 밀고 나가는 단순 작업만으로도 전선을 전선 삽입홈에 안정적으로 삽입시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선 삽입 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선 삽입용 툴{TOOL FOR INSERTING ELECTRIC WIRE}
본 발명은 각종 전기패널이나 전선을 보호하는 보호판 등과 같은 대상체에 마련된 전선 삽입홈에 전선을 삽입시키기 위한 전선 삽입용 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방측에 구비된 삽입롤러를 진행방향으로 밀면 상기 삽입롤러가 전선 삽입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전선을 전선 삽입홈 방향으로 가압하여 전선 삽입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단순히 삽입롤러를 밀고 나가는 단순 작업만으로도 전선을 전선 삽입홈에 안정적으로 삽입시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선 삽입 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화석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순순히 전기만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디젤 엔진과 가솔린 엔진 등의 내연기관을 장착한 자동차나 전동기와 내연기관을 함께 장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는 다르게 오직 전기만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기존 내연기관이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다르게 동력원으로 전기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 내연기관이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비해 전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전장품들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전장품들로 전기를 공급하거나,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배선의 종류와 양도 함께 증가하게 되었다.
증가되는 배선의 종류와 양으로 인해 전기 자동차에서 배선처리작업은 숙련된 작업자에게도 쉽지 않은 작업이다. 즉, 각종 패널이나 전선을 보호하는 보호판 등과 같은 하드 타입 또는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마련된 전선 삽입홈에 원하는 굵기나 길이만큼 전선을 삽입시키는 작업은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선을 전선 삽입홈에 삽입시키기 위한 보조 도구로서, 전선 삽입 툴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 삽입 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선 삽입 툴을 이용하여 하드 타입의 패널에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 삽입 툴(1)은 일선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삽입 툴로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본체의 종단부에 전선을 패널(P)에 마련된 전선 삽입홈(틈새)(g)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삽입하는 삽입 팁(1a)이 설치된다.
통상, 패널(P)(또는, 전선을 보호하는 보호판)에 삽입되는 전선(2)의 직경은 대략 0.8~1.5mm 정도로 비교적 얇고, 전선 삽입홈(g)이 형성된 홈부는 비교적 단단한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비교적 얇은 두께로 제작되는 삽입 팁(1a)을 이용하여 전선(2)을 전선 삽입홈(g)이 삽입할 경우 마모나 파손될 수 있다.
또한, 패널(P)에 마련된 전선 삽입홈(g) 내부에 전선(2) 전체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전선 삽입 툴(1)을 이용하여 전선 삽입홈(g)의 길이방향으로 전선(2)을 가압하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함에 따라 상당한 노동력이 요구되었다.
특히, 패널(P)과 같이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드 타입과 달리 스펀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소프트 타입의 보호판의 경우에는 신축성 등으로 인해 하드 타입의 패널에 비해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17-0040496 A, 2017. 04. 13. KR 10-2012-0045358 A, 2012. 05. 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목적들을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패널이나 보호판 등과 같은 대상체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에 전선을 삽입할 때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선 삽입용 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전선이 삽입되는 대상체의 재질(하드 또는 소프트 타입)과 무관하게 간편하게 전선을 삽입할 수 있는 전선 삽입용 툴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봉체 또는 관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롤러 결합부에 결합된 제1 삽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롤러는 상기 제1 롤러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체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을 따라 전방측으로 진행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삽입홈의 내부로 가압하여 삽입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용 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롤러는 상기 롤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롤러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전선이 상기 전선 삽입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전선이 상기 롤러의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 결합부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부위가 'U'자형 또는 'Y'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샤프트가 결합되는 제1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제1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전선을 상기 전선 삽입홈에 가압하여 삽입시키는 삽입 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2 롤러 결합부에 결합되고, 'Y'자형 이루어진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삽입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롤러는 각각 상기 제1 삽입롤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삽입롤러들 사이에는 상기 대상체에 전선 삽입홈이 서로 나란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여러 가닥의 전선을 복수 개로 형성된 전선 삽입홈에 동시에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전선 삽입홈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롤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링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롤러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할 때, 상기 롤러에 선행하여 상기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의 내측면을 양쪽으로 벌려 폭을 넓혀주는 선행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행 가이드는 상기 롤러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가 갈고리 형태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에 따르면, 진행방향으로 손잡이의 전방측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롤러(제1 및 제2 삽입롤러)를 구비하여 진행방향으로 밀면 삽입롤러가 전선 삽입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전선을 전선 삽입홈 방향으로 가압하여 전선 삽입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삽입롤러를 밀고 나가는 단순 작업만으로도 전선을 전선 삽입홈에 안정적으로 삽입시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에 따르면, 대상체의 전선 삽입홈 내부를 확장시키는 선행 가이드를 롤러의 전방측에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하드 타입의 대상체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도 전선을 안정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 삽입 툴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선 삽입용 툴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의 전선 삽입용 툴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선 삽입용 툴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와 한 쌍의 이탈 방지판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행 가이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하드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면.
도 11은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3가닥의 전선을 동시에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2 및 도 3은 조립 사시도이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전선 삽입용 툴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10)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봉 또는 관형으로 이루어진 손잡이(11)를 포함한다.
손잡이(11)는 전체적인 형상이, 가령 필기구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일자형 봉 형상 또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11)는 일단부에 제1 삽입롤러(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 결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롤러 결합부(111)는 제1 샤프트(S1)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h1)이 형성된 'U'자형(또는 'Y'자형)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1 삽입롤러(12)는 롤러(12a)와, 롤러(12a)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전선을 대상체에 마련된 전선 삽입홈에 삽입할 때, 전선이 롤러(12a)의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 방지판(12b, 12c)을 포함한다.
롤러(12a)와 한 쌍의 이탈 방지판(12b, 12c)은 각 중앙홀(h2~h4)에 제1 베어링(B1)이 결합되고, 제1 베어링(B1)의 중앙에는 양단부가 제1 롤러 결합부(111)에 결합된 제1 샤프트(S1)가 관통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베어링(B1)은 전선 삽입용 툴(10)의 진행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1 샤프트(S1)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베어링(B1)은 제1 샤프트(S1)이 관통 결합되는 관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샤프트(S1)는 도 5와 같이, 양단부가 제1 롤러 결합부(11a)의 결합홀(h1)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b1)에 의해 제1 롤러 결합부(11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와 한 쌍의 이탈 방지판을 설명하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롤러와 한 쌍의 이탈방지판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6과 같이, 한 쌍의 이탈 방지판(12b, 12c)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롤러(12a)의 양측면에 긴밀하게 밀착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샌드위치 형태를 이룬다.
한 쌍의 이탈 방지판(12b, 12c)은 서로 동일 지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롤러(12a)보다는 큰 지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롤러(12a)와 한 쌍의 이탈 방지판(12b, 12c) 사이의 지름 차이(d)는 전선의 굵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선을 전선 삽입홈(1a)에 삽입할 때, 전선을 한 쌍의 이탈 방지판(12b, 12c)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롤러(12a)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나는 과정에서 전선이 롤러(12a)의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롤러(12a)의 두께(t)는 삽입하고자 하는 전선의 굵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제1 삽입롤러(12)는 스펀지나 고무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할 때, 롤러(12a)에 선행하여 전선 삽입홈의 내측면을 양쪽으로 벌려 폭을 넓혀주는 선행 가이드(12d)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행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선행 가이드(12d)는 단부가 대략 갈고리 형태('ㄷ'자형)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이탈 방지판(12b, 12c) 중 어느 하나의 이탈 방지판의 측부에 제1 샤프트(S1)를 매개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행 가이드(12d)는 단단한 재질인 하드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할 때에는 상부로 회전 배치시켜 전선 삽입에 관여하지 않도록 하고, 부드러운 재질의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할 때에는 롤러(12a)의 전방측 하부로 회전 배치시켜 전선 삽입용 툴(10)을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때 함께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전선 삽입홈의 내측을 확장시킴으로써 전선을 원활하게 전선 삽입홈에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손잡이(11)의 타단부에는 제2 롤러 결합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롤러 결합부(11b)는 제1 롤러 결합부(11a)와 유사하게, 'U'자형(또는 'Y'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양측 개방부가 제1 롤러 결합부(11a)의 양측 개방부와 대략 180°정도 각도차를 갖도록 손잡이(11)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러 결합부(11b)에는 대략 'Y'자 형상을 갖는 연결구(13)가 고정핀(b2)과 너트(n1)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연결구(13)에는 복수 개의 제2 삽입롤러(14)가 제2 샤프트(S2)와 제2 베어링(B2)을 통해 제2 샤프트(S2)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 샤프트(S2)는 고정볼트(b3)를 통해 연결구(13)에 고정된다.
제2 삽입롤러(14)는 도 4 및 도 5에 3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 2개 또는 4개 이상이 제2 샤프트(S2)를 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구(13)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구(13)의 'ㄷ'자형 결합부 간에 간격은 제2 삽입롤러(14)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제2 삽입롤러(14)의 개수에 따라 연결구(13)의 'ㄷ'자형 결합부 간에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대상체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의 개수에 대응하여 확장이 가능하다.
제2 삽입롤러(14) 각각은 제1 삽입롤러(1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롤러(14a)와 한 쌍의 이탈 방지판(14b, 14c), 그리고 선행 가이드(14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삽입롤러(14)를 복수 개로 설치하는 이유는 대상체에 전선 삽입홈이 복수 개로 나란하게 형성된 경우 여러 가닥의 전선을 동시에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3개의 제2 삽입롤러(14)가 한 세트로 설치된 경우에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3개의 전선 삽입홈에 3가닥의 전선을 동시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체에 복수 개의 전선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선 삽입홈 간의 간격은 대상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전선 삽입홈들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제2 삽입롤러(14)를 구성하는 롤러(14a)를 각 전선 삽입홈에 정렬시키기 위해 제2 삽입롤러들 사이에는 간격 조정링(1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간격 조정링(15)의 폭은 전선 삽입홈들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의 사용예를 도시한 측단면도들로서, 도 8은 하드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드 타입 대상체(21)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21a) 내부에 전선(2)을 삽입하고자 할 때에는 선행 가이드(12d)를 제1 샤프트(S1)를 축으로 상부로 회전시켜 배치시킨다. 이후, 전선 삽입용 툴(10)을 진행방향으로 밀고 나가면, 롤러(12a)가 진행하면서 전선(2)을 가압하여 전선 삽입홈(21a)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를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소프트 타입 대상체(22)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22a) 내부에 전선(2)을 삽입하고자 할 때에는 선행 가이드(12d)를 하부로 회전시켜 갈고리 형태의 단부가 전선 삽입홈(22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선행 가이드(12d)를 배치시킨다. 이후, 전선 삽입용 툴(10)을 진행방향으로 밀고 나가면, 진행방향으로 롤러(12a)의 전방에 배치된 선행 가이드(12d)의 단부가 전선 삽입홈(22a)의 내부를 벌려주고 롤러(12a)가 진행하면서 전선(2)을 가압하여 전선 삽입홈(21a)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로서, 3개의 세트로 이루어진 제2 삽입롤러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과 같이, 3개의 세트로 이루어진 제2 삽입롤러(14)를 이용하여 소프트 타입 대상체(22)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22a) 내부에 3가닥의 전선(2)을 동시에 삽입할 수 있다. 그 이외의 동작은 도 9에 도시된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의 사용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30)은 도 2에 도시된 전선 삽입용 툴(10)과 마찬가지로 손잡이(31)와 제1 삽입롤러(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손잡이(31)의 타단부에는 제2 삽입롤러 대신에 삽입 팁(33)이 설치된다.
손잡이(31)와 제1 삽입롤러(32)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10)의 손잡이(11)와 제1 삽입롤러(3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삽입 팁(33)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손잡이(31)의 타단부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비교적 단단한 합성수지재질, 예컨대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30)에서는 제1 삽입롤러(32)를 이용하여 전선을 삽입하기 전에 전선 삽입홈의 굴곡부나 좁은부분을 삽입 팁(33)을 이용하여 확장시킨 후 제1 삽입롤러(32)를 이용하여 전선을 삽입하거나, 혹은 제1 삽입롤러(32)를 이용하여 전선을 삽입한 후 전선 삽입홈의 굴곡부와 좁은부분에서 삽입되지 않은 전선을 삽입 팁(33)을 이용하여 눌러 삽입시켜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은 진행방향으로 손잡이의 전방측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롤러(제1 및 제2 삽입롤러)를 구비하여 진행방향으로 밀면 삽입롤러가 전선 삽입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전선을 전선 삽입홈 방향으로 가압하여 전선 삽입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단순히 삽입롤러를 밀고 나가는 단순 작업만으로도 전선을 전선 삽입홈에 안정적으로 삽입시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선 삽입용 툴은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할 때 대상체의 전선 삽입홈 내부를 확장시키는 선행 가이드를 롤러의 전방측에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하드 타입의 대상체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도 전선을 안정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10, 30 : 전선 삽입용 툴
1a : 삽입 툴
P : 패널(하드 타입)
g : 전선 삽입홈
2 : 전선
11, 31 : 손잡이
11a : 제1 롤러 결합부
12, 32 : 제1 삽입롤러
12a, 14a : 롤러
12b, 12c, 14b, 14c : 한 쌍의 이탈방지판
12d, 14d : 선행 가이드
13 : 연결구
14 : 제2 삽입롤러
15 : 간격 조정링
S1 : 제1 샤프트
S2 : 제2 샤프트
B1 : 제1 베어링
B2 : 제2 베어링
b1, b3 : 고정볼트
b2 : 고정핀
n1 : 너트
h2~h4 : 중앙홀
21, 23 : 하드 타입 대상체
21a, 22a: 전선 삽입홈
22 : 소프트 타입 대상체
33 : 삽입 팁

Claims (7)

  1. 봉체 또는 관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롤러 결합부에 결합된 제1 삽입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롤러는,
    상기 제1 롤러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체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을 따라 전방측으로 진행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삽입홈의 내부로 가압하여 삽입시키는 롤러; 를 포함하고,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전선을 상기 전선 삽입홈에 가압하여 삽입시키는 삽입 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용 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롤러는 상기 롤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롤러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전선이 상기 전선 삽입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전선이 상기 롤러의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용 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결합부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부위가 'U'자형 또는 'Y'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제1 샤프트가 결합되는 제1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제1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용 툴.
  4. 삭제
  5. 봉체 또는 관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롤러 결합부에 결합된 제1 삽입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롤러는,
    상기 제1 롤러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체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을 따라 전방측으로 진행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삽입홈의 내부로 가압하여 삽입시키는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2 롤러 결합부에 결합되고, 'Y'자형으로 이루어진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삽입롤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롤러는 각각 상기 제1 삽입롤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용 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롤러들 사이에는 상기 대상체에 전선 삽입홈이 서로 나란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여러 가닥의 전선을 복수 개로 형성된 전선 삽입홈에 동시에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전선 삽입홈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롤러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링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용 툴.
  7. 봉체 또는 관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롤러 결합부에 결합된 제1 삽입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롤러는,
    상기 제1 롤러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대상체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을 따라 전방측으로 진행하면서 전선을 상기 전선 삽입홈의 내부로 가압하여 삽입시키는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롤러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전선을 삽입할 때, 상기 롤러에 선행하여 상기 소프트 타입의 대상체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의 내측면을 양쪽으로 벌려 폭을 넓혀주는 선행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행 가이드는 상기 롤러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가 갈고리 형태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삽입용 툴.
KR1020210024963A 2021-02-24 2021-02-24 전선 삽입용 툴 KR10251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963A KR102510651B1 (ko) 2021-02-24 2021-02-24 전선 삽입용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963A KR102510651B1 (ko) 2021-02-24 2021-02-24 전선 삽입용 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046A KR20220121046A (ko) 2022-08-31
KR102510651B1 true KR102510651B1 (ko) 2023-03-16

Family

ID=8306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963A KR102510651B1 (ko) 2021-02-24 2021-02-24 전선 삽입용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6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472B1 (ko) 2010-05-10 2011-02-23 윤상운 보조선을 이용한 리본형 연접전선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637B1 (ko) * 1995-12-22 1998-06-01 김태구 차량의 플로어매트 용착용 가이드롤러
KR100564032B1 (ko) * 2004-03-16 2006-03-29 박대흠 휴대형 코팅기
KR20120045358A (ko) 2010-10-29 2012-05-09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삽입 장치
KR20150114137A (ko) * 2014-03-31 2015-10-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 이탈 방지 풀리
KR20170040496A (ko) 2015-10-05 2017-04-13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삽입 공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472B1 (ko) 2010-05-10 2011-02-23 윤상운 보조선을 이용한 리본형 연접전선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046A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206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CN104364112B (zh) 抗拉的控制装置
CN101248281B (zh) 用于将物体安装于车辆壁上的装置及方法
CN100560420C (zh) 车辆用树脂制镶板部件的安装构造及其安装方法
KR102510651B1 (ko) 전선 삽입용 툴
DE102008004576A1 (de) Schutz- und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 Kabel oder dergleichen
CN109834543A (zh) 一种玻璃加工用砂轮棒及cnc加工方法
CN101616817A (zh) 车窗调节器及夹具
CN104723874A (zh) 用于减小离合器踏板力的装置
US20160368107A1 (en) Automatic steel-bar coupling head making machine
CN214464214U (zh) 盾构隧道衬砌管片用快速连接件
CN201597526U (zh) 车窗装饰条
DE19825727A1 (de) Drosselklappenstutzen
CN204817024U (zh) 车身涂装用螺孔防护堵塞
CN201841428U (zh) 一种车床上用的拨叉装置
CN202498989U (zh) 遮阳板固定结构、遮阳板以及汽车
CN103447840B (zh) 线性单元和用于将导轨安装在线性单元的壳体处的方法
CN208787689U (zh) 一种手摇式攻丝机
CN204656873U (zh) 汽车门锁拉索注油点胶卡壳一体机的夹具
CN106144942A (zh) 顶升机构
CN216355810U (zh) 一种引线组件及应用该引线组件的光伏支架
CN220320217U (zh) 一种链节及拖链
KR101582237B1 (ko) 웨더스트립 장착 툴
CN212287441U (zh) 一种发动机排气涡后弯管装配工装
CN216676960U (zh) 用于机翼舵机的金属预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