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595B1 -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595B1
KR102510595B1 KR1020220128229A KR20220128229A KR102510595B1 KR 102510595 B1 KR102510595 B1 KR 102510595B1 KR 1020220128229 A KR1020220128229 A KR 1020220128229A KR 20220128229 A KR20220128229 A KR 20220128229A KR 102510595 B1 KR102510595 B1 KR 10251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ipant
host
channel
participant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링크
Priority to KR1020220128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595B1/ko
Priority to US18/377,347 priority patent/US2024012127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9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media; by removing media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04L65/4038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with flo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를 통해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만 입장가능한 호스트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참가자 중 각각의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복수의 참가자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 호스트에 의해 제1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호스트와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활성화되는 단계, 및 호스트에 의해 제2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2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비활성화되고, 제2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제2 참가자와의 제2 음성 대화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CHANNEL FOR EACH OF A PLURALITY OF PARTICIPANTS OF ONLINE MEETING ROOM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미팅 룸(online meeting room)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미팅 룸 내부의 호스트와 복수의 참가자들과 개인별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개설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통신 기술의 발달과 비대면 문화의 확산으로 다수의 사용자 단말이 참여하는 영상 통화, 화상 회의, 온라인 회의, 전자 회의, 협업 시스템 등과 같은 원격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점차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온라인 화상 통신 시스템은 같은 미팅룸에 접속한 참가자들은 같은 영상 음성 채널을 공유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즉, 미팅룸 내 한 발화자가 영상과 음성을 발신하였을 때 미팅룸 내부의 모든 참가자들은 동일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은 우리의 일상 속 사무실, 학교 등에서 이루어지는 중앙 집중형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면밀히 온라인으로 전환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중앙 집중형 커뮤니케이션은 예컨대 한 명의 팀장인 호스트(host)와 다수의 팀원인 참가자들간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으로 팀장과 팀원의 1:1 커뮤니케이션이 다중화된 형태를 가진다. 즉, 호스트 역할을 하는 팀장은 모든 팀원들과 1:1 로 소통하지만 팀원들간은 서로 소통하지는 않는 특징이 있다. 비슷한 형태로 지역 내 공부방도 호스트 역할을 하는 강사는 모든 학생들과 1:1 로 소통을 하지만 학생들간은 학년도, 진도도 모두 다르기에 서로 소통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본인이 아닌 팀원과 팀장의 커뮤니케이션이 모두에게 공개되는 것은 소음으로서 여겨질 수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본인 역시 팀장과 커뮤니케이션이 다른 모든 팀원에게 공개된다는 점에서 부담감을 느낄 수 있다. 실제 물리적 공간인 사무실에서는 팀장이 개별적인 오피스 공간을 소유하고 팀원들이 팀장의 오피스 공간에 왔다갔다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현재 이러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이 온라인 화상 통신 시스템으로 옮겨간다면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장 혹은 강사가 각 참가자들과 1:1 로 미팅룸을 여러 개 개설하여 프로그램 창을 옮겨가면서 소통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올바르게 마이크 권한과 스피커 권한을 조정하지 않으면 커뮤니케이션이 중첩되거나, 소음을 발생시킬 여지가 늘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호스트와 복수의 참가자별 1:1로 개인별 통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개설하고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및 이를 위한 맞춤형 UX(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UI(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55383호
본 발명은 온라인 미팅 룸 내부의 호스트와 복수의 참가자들과의 1:1 개인별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개설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미팅 룸에서 호스트와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복수의 탭 브라우저 형태로 제공가능한 UX/UI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명의 호스트(host)와 다수의 참가자들간 이루어지는 중앙 집중형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1:1 커뮤니케이션이 다중화된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호스트는 모든 참가자들과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통신을 진행하면서 참가자들 간에는 독립적이고 비공개 통신을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참가자들의 호스트와의 커뮤니케이션 호출을 관리하고, 호스트는 호스트 공간인 호스트 채널에서 모든 참가자들의 영상, 화이트보드, 메시지 등을 확인 가능함으로써 다수의 참가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를 통해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만 입장가능한 호스트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참가자 중 각각의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복수의 참가자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에 의해 제1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활성화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에 의해 제2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2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2 참가자와의 제2 음성 대화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트 채널 및 상기 복수의 참가자 채널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선택가능한 탭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트에 의해 상기 호스트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는 상기 복수의 참가자 중 각각의 참가자를 선택하여 각각의 참가자에게 메시지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참가자에 의해 상기 호스트가 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참가자의 호출 이후에 상기 호스트에 의해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를 비활성화하여 표시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참가자 및 상기 제2 참가자에 의해 상기 호스트가 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 및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에 호출 우선 순위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에 의해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가 비활성화하여 표시 해제하고,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의 우선 순위를 변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를 제외한 다른 참가자들과의 음성 대화는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참가자들의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다른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트에 의해 상기 호스트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참가자의 현재 상태의 화이트보드 화면을 모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로 미팅 룸 생성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호스트 장치;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미팅 룸 입장 관련 접속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참가자 장치; 및 호스트만 입장가능한 호스트 채널을 표시하고, 복수의 참가자 중 각각의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복수의 참가자 채널을 표시하고, 상기 호스트에 의해 제1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호스트에 의해 제2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2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2 참가자와의 제2 음성 대화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미팅 룸 내부의 호스트와 복수의 참가자들과의 1:1 개인별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개설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미팅 룸에서 호스트와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복수의 탭 브라우저 형태로 제공가능한 UX/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명의 호스트(host)와 다수의 참가자들간 이루어지는 중앙 집중형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1:1 커뮤니케이션이 다중화된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호스트는 모든 참가자들과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통신을 진행하면서 참가자들 간에는 독립적이고 비공개 통신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참가자들의 호스트와의 커뮤니케이션 호출을 관리하고, 호스트는 호스트 공간인 호스트 채널에서 모든 참가자들의 영상, 화이트보드, 메시지 등을 확인 가능함으로써 다수의 참가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참가자 채널의 호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호출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참가자의 호출에 의해 선생님이 입장하는 참가자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표시하는 참가자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참가자들의 영상 화면을 모니터링하는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든 참가자들의 화이트보드 내용을 확인하는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화상 교육 솔루션, 화상 회의 솔루션 등 원격 온라인 미팅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앱)의 형태로 사용자(호스트 및 참가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 장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든 커뮤니케이션이 집중되고 복수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가능한 호스트와 각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할당되는 복수의 참가자들을 포함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웹에 접속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200) 중 호스트 장치(210)는 중앙 집중형 커뮤니케이션이 집중되고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는 예컨대 선생님, 팀장, 방장 등의 역할을 갖는 호스트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하나의 온라인 미팅 룸에서 호스트 장치(210)의 사용자인 호스트는 한 명만 존재하고, 참가자 장치(220)는 예컨대 학생들, 팀원들, 방원들의 역할을 갖고 호스트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들이 사용하는 장치로서, 참가자 장치(220)는 복수의 참가자들이 사용하는 복수의 장치들로 존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호스트 장치(210)와 참가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네트워크(300)는 서비스 서버(100)와 복수의 사용자 장치(2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네트워크가 무선 통신망일 경우, 셀룰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셀룰러 통신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5G(5th Gener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후 개발되는 무선 통신의 기술도 포함될 것이다.
호스트 장치(210) 및 복수의 참가자 장치(2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200)는 호스트 또는 참가자인 사용자가 사용하여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컴퓨터,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랩탑(laptop) 컴퓨터, 노트북,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텔레비전(televis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AI(인공지능)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장치(200)는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호스트만 입장가능한 호스트 채널을 표시하고, 복수의 참가자 중 각각의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복수의 참가자 채널을 표시하고, 호스트에 의해 제1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활성화시키고, 호스트에 의해 제2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2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를 비활성화하고, 제2 참가자 채널을 통해 호스트와 제2 참가자와의 제2 음성 대화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채널 처리부(110), 영상 처리부(120), 호출 순위 처리부(130) 및 메시지 처리부(140)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요소로 한정되지 않는다.
채널 처리부(110), 영상 처리부(120), 호출 순위 처리부(130) 및 메시지 처리부(140)는 각각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 상에 물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 이상의 루틴(routine), 서브루틴(subroutine), 프로그램(program), 오브젝트(object), 콤포넌트(component), 명령(instructions),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 및 특정 작업(task)을 수행하거나 특정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채널 처리부(110)는 호스트 장치(210)를 통해 호스트만 입장 가능한 호스트 채널 및 호스트와 각각의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복수의 참가자 채널을 각각 생성하고 사용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1명의 호스트와 10명의 참가자들이 온라인 미팅 룸에 있는 경우 호스트 채널 1개와 각 참가자들을 위한 10개의 참가자 채널을 포함하여 총 11개의 채널이 생성되어 각 채널이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채널 처리부(110)는 호스트 채널 및 복수의 참가자 채널을 웹 브라우저 상에서 선택가능한 탭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처리부는 호스트 장치(210)에는 호스트 채널 및 복수의 참가자 채널을 모두 표시하고 이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접속가능도록 구성되고, 각 참가자 채널에는 자신에게 할당된 참가자 채널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스트 채널은 호스트만 접속 가능한 채널이며 복수의 참가자들의 상태를 확인하고 복수의 참가자들과 통신가능한 중앙 관리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각 참가자들의 접속과 동시에 해당 참가자들에게 할당된 채널 상에서 이루어지는 본인과 호스트 사이의 비디오 및 음성 정보만 공유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각 참가자들에게 다른 참가자 채널의 비디오, 음성 정보가 서류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각 참가자들은 다른 참가자들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없게 된다. 영상 처리부(130)는 호스트가 특정 참가자의 채널에 접속한 순간부터 해당 참가자와 비디오, 음성이 서로 공유되며 호스트가 해당 채널을 떠나는 순간 호스트와의 비디오, 음성 연결이 끊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120)는 호스트에 의해 제1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호스트와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 또는 제1 영상 대화를 활성화시키고, 호스트에 의해 제2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2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어 호스트가 채널을 이동하는 경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 또는 제1 영상 대화가 비활성화되고, 제2 참가자 채널을 통해 호스트와 제2 참가자와의 제2 음성 대화 또는 제2 영상 대화가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에는 특정 참가자 채널에 접속 중일 때에도 해당 참가자 외에 다른 참가자들의 모니터링을 위해 다른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영상 처리부(120)는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호스트와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1 참가자를 제외한 다른 참가자들과의 음성 대화는 비활성화시키고, 다른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 화면만을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에 표시하여 다른 참가자들의 상태를 눈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출 순위 처리부(130)는 제1 참가자에 의해 호스트가 호출되는 경우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 상에서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제1 참가자 채널 탭 상에 호출 여부 및 호출 우선 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참가자의 호출 이후에 호스트에 의해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어 호스트가 제1 참가자 채널에 접속하는 경우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 상에서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를 비활성화하여 표시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참가자, 제1 참가자 및 제2 참가자에 의해 호스트가 호출되는 경우 호출 순위 처리부(130)는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 상에서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 및 제2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에 호출 우선 순위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호스트에 의해 제1 참가자 채널의 선택되는 경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가 비활성화하여 표시 해제되고, 제2 참가자 채널의 우선 순위를 변동시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2명의 참가자에 대한 채널 상태 표시에서 호스트를 먼저 호출한 순서대로 호출 우선 순위를 1, 2와 같은 숫자를 호출 여부 표시와 함께 표시하고, 호스트가 우선 순위 1순위인 제1 참가자 채널에 접속하는 경우 제1 참가자 채널에 대응하는 호출 상태 및 호출 우선 순위 표시는 비활성화되어 표시 해제되고, 우선 순위 2순위인 제2 참가자 채널에 대응하는 호출 우선 순위는 2에서 1로 바뀌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호출 상태 및 호출 우선 순위의 표시 및 업데이트에 따라 호스트는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 상에서 접속해야할 참가자 채널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140)는 호스트에 의해 호스트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호스트 장치(210)는 복수의 참가자 중 각각의 참가자를 선택하여 각각의 참가자 장치(220)에게 메시지를 송수신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140)는 참가자 장치(220)의 화면에 나타나는 메시지 입력부 창을 통해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의 구성과 같이, 호스트 장치(210)는 호스트 채널에 접속할 수 있으며 복수의 참가자들의 모든 비디오 데이터 모니터링, 참가자들의 개별 화이트보드의 내용 확인, 참가자들에게 단체 또는 개별로 채팅 메시지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호스트 장치(210)는 복수의 참가자 채널의 네비게이션이 가능하며, 현재 접속하고 있는 참가자들의 이름이나 숫자를 확인하고, 각 참가자 채널별로 호스트 호출 여부 및 호출의 우선 순위 번호를 확인가능하며, 호출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참가자에게 호스트가 호출을 확인했다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하고, 참가자 채널 이름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참가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210)는 개별 참가자의 참가자 채널 입장 후에도 현재 소속된 채널의 참가자 이외 다른 모든 참가자들의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가능하며, 채널에 소속된 참가자와 채팅 메시지 전송 및 수신, 채널에 소속된 참가자와 공유하는 메모 작성, 채널에 소속된 참가자와 비디오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 채널에 소속된 참가자와 공유하는 화이트보드 조작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각 참가자 장치(220)는 호스트 장치(210)와 채팅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고, 호스트와 공유하는 화이트보드를 조작하고, 호출 버튼을 통하여 다른 채널에 있는 호스트에게 알림을 송신가능하고, 현재 호스트의 접속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호스트가 호스트 채널에 있을 때는 호스트 상태를 '대기중'으로 표시하고, 호스트가 다른 참가자 채널에 있을 때는 '다른 채널에 참여중'이라고 표시하고, 호스트가 접속 중이지 않을 때는 '오프라인' 상태임을 표시하여 참가자가 호스트의 현재 접속 정보를 확인가능하도록 각 참가자 장치(220)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호스트가 선생님이고 복수의 참가자들이 학생 1, 학생 2인 예시를 나타내고, 호스트 채널(310) 및 복수의 참가자 채널로서 제1 참가자 채널(321) 또는 제2 참가자 채널(322)를 호스트가 선택가능한 브라우저 탭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호스트 채널(310)은 호스트 장치(210)에만 표시되고 호스트만 입장 가능하며, 우측에는 호스트 자신의 영상과 복수의 참가자들의 영상이 나타나는 영상 표시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면 아래에는 메시지를 보내는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현재 참가하고 있는 첨가자들 중 원하는 참가자를 선택가능한 참가자 선택부(341)와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창인 메시지 입력부(340)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트는 호스트 채널에 입장하여 참가자들에게 단체 또는 개별로 채팅 메시지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참가자 채널의 호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호출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호스트(선생님)이 호스트 채널에 접속한 상태의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을 나타내며, 학생 1과 학생 2의 호스트 호출이 수행되어 제1 참가자 채널(321) 또는 제2 참가자 채널(322) 표시 상에 예컨대 호출 여부로서 손바닥 표시와 호출 우선 순위로서 호출 순위 표시부(351, 352)에 호출 순서대로 숫자 1 또는 2의 표시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트는 호스트 채널(310)에서 각 참가자 채널별로 호스트 호출 여부 및 호출의 우선 순위 번호를 확인가능하고, 원하는 참가자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참가자 채널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에 복수의 참가자들의 영상이 나타나는 영상 표시부(330)의 각 참가자의 영상 상에 호출 순위가 함께 표시되어 참가자(학생) 영상 속에서도 호출 여부 및 우선 순위를 확인 가능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호스트가 제1 참가자 채널(321)에 접속하는 경우 제1 참가자 채널(321)의 호출 여부 및 호출 우선 순위 표시가 모두 해제되어 비활성되고, 제2 참가자 채널(322)의 호출 우선 순위가 1만큼 차감되어 변경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참가자 채널(321)에서는 호스트와 참가자 1의 영상 화면만이 영상 표시부(330)에 표시되고 호스트와 참가자 1 사이의 메시지만이 메시지 표시부(35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스트가 특정 참가자 채널 접속 후에는 각 참가자 채널의 호출 여부 및 호출 우선 순위 표시가 업데이트되어 호스트는 접속이 필요한 참가자 채널의 업데이트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호스트가 제1 참가자 채널(321)에서 나와 제2 참가자 채널(322)에 접속하는 경우 제2 참가자 채널(322)의 호출 여부 및 호출 우선 순위 표시가 모두 해제되어 비활성됨으로써 현재 추가로 호출 중인 다른 참가자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참가자 채널(322)에서는 호스트와 참가자 2의 영상 화면만이 영상 표시부(330)에 표시되고 호스트와 참가자 2 사이의 메시지만이 메시지 표시부(35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참가자의 호출에 의해 선생님이 입장하는 참가자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는 참가자가 호출을 하였을 때 호스트가 호스트 채널에 대기 중일 경우 참가자 장치(220)에 보이는 화면을 나타낸다. 호스트가 참가자의 호출 후에 해당 참가자 채널에 접속 이전인 경우 호스트 상태 표시부(431)를 통해 호스트의 상태를 '대기중'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호스트가 다른 참가자 채널에 있을 때는 '다른 채널에 참여중'이라고 표시하고, 호스트가 접속 중이지 않을 때는 '오프라인'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참가자의 호출에 호스트가 해당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반응한 경우에 참가자 장치(220)에 호스트의 호출 확인 여부를 나타내는 참가자 알림 메시지(460)가 예컨대 “선생님이 손들기에 반응 하였습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호스트가 해당 참가자의 참가자 채널에 접속하여 입장하는 경우, 참가자 알림 메시지(460)가 예컨대 “선생님이 채널에 입장하였습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되면서 알림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참가자 장치(220)의 영상 표시부(430)에 자신과 호스트의 영상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표시하는 참가자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참가자는 참가자 장치(220)를 통해 본인에게 할당된 참가자 채널 화면 상에서 메시지 표시부(450)를 통해 호스트와 채팅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호스트가 해당 참가자 채널에 입장 전이여도 메시지 전송 및 수신은 가능하다.
도 6b를 참고하면, 호스트는 호스트 장치(210)를 통해 호스트 채널(310)에 접속하였을 때 모든 참가자 각각과 메시지를 송수신가능하며, 호스트 채널 메시지 표시부(360)를 통해 모든 참가자와의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부(330)를 통해 모든 참가자들의 현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c를 참고하면, 호스트는 호스트 장치(210)를 통해 호스트 채널(310)에 접속하였을 때 모든 참가자에게 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예컨대 참가자 선택부(341)에서 수신인을 '모두에게' 로 선택함으로써 참가자 전원에게 공지 메시지(342)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모든 참가자들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d를 참고하면, 호스트의 공지 메시지 전송에 대해 각 참가자 장치(220)의 화면에는 호스트가 모든 참가자들에게 전송한 공지 메시지(342)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참가자들의 영상 화면을 모니터링하는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310)의 화면에서 제1 참가자 채널(321)에 접속한 경우, 영상 처리부(130)는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호스트와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1 참가자를 제외한 다른 참가자들과의 음성 대화는 비활성화시키면서, 제2 참가자 등 다른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 화면만을 호스트 장치(210)의 영상 모니터링 표시부(370)에 표시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다른 참가자 채널의 참가자들의 현재 상태를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다른 참가자들의 음성은 들리지 않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영상 모니터링 표시부(370)는 참가자 장치(220)의 화면에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다른 참가자들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없다.
또한, 화면 상에 공유 자료 표시부(380)를 통해 호스트와 제1 참가자 사이에 공유되는 자료를 표시하고 함께 메모나 필기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든 참가자들의 화이트보드 내용을 확인하는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호스트는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에서 호스트 채널에 접속하는 경우 영상 표시부(330)에 나타나는 각 참가자 채널의 영상 표시 옆에 나타나는 화이트보드 표시부(390)를 통해 복수의 참가자들 각각의 참가자들의 화이트보드 내용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와 각 참가자들은 각각 독립적인 화이트보드를 소유하고, 해당 기록 내용은 호스트와 각 참가자들 사이에만 공유되나, 호스트 채널에서는 호스트에게 모든 참가자들의 화이트보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적절한 시점에 커뮤니케이션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21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이트보드 표시부(390)의 일부 영역에 해당 참가자가 참가자 채널에 머무르고 있는 채널 참가 시간(391)을 표시하여, 호스트 입장에서 각 참가자의 채널에 참가하고 있는 전체 시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를 통해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호스트는 호스트 장치(210)를 통해 미팅 룸을 생성하고 및 호스트 채널을 표시할 수 있다.(S910)
생성된 미팅 룸에 복수의 참가자가 접속하고, 참가자 채널을 표시할 수 있다.(S920) 호스트 장치(210)에는 호스트 채널 및 각 참가자 채널이 모두 표시되고, 참가자 장치(220)에는 해당 참가자 채널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가 제1 참가자 채널에 접속함으로써,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호스트와 상기 제1 참가자와의 대화가 활성화될 수 있다.(S930)
호스트가 제1 참가자 채널을 접속 종료하고, 제2 참가자 채널의 접속을 통해 제1 참가자와의 대화를 비활성화시키고 제2 참가자와의 대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940)
호스트의 각 참가자 채널의 접속에 따라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 및 제2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에 호출 우선 순위가 변경 표시될 수 있다. (S950) 예컨대, 2명의 참가자에 대한 채널 상태 표시에서 호스트를 먼저 호출한 순서대로 호출 우선 순위를 1, 2와 같은 숫자를 호출 여부 표시와 함께 표시하고, 호스트가 우선 순위 1순위인 제1 참가자 채널에 접속하는 경우 제1 참가자 채널에 대응하는 호출 상태 및 호출 우선 순위 표시는 비활성화되어 표시 해제되고, 우선 순위 2순위인 제2 참가자 채널에 대응하는 호출 우선 순위는 2에서 1로 바뀌어 표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을 구체적인 다양한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서비스 서버
200: 사용자 장치
210: 호스트 장치
220: 참가자 장치
300: 네트워크

Claims (8)

  1. 서비스 서버에 의해, 호스트만 입장가능한 호스트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복수의 참가자 중 각각의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복수의 참가자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에 의해 제1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호스트에 의해 제2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2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비활성화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2 참가자와의 제2 음성 대화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참가자 및 상기 제2 참가자에 의해 상기 호스트가 호출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스트가 사용하는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 및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에 호출 우선 순위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를 표시 해제하고,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의 상기 호출 우선 순위를 변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참가자는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것인,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스트 채널 및 상기 복수의 참가자 채널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탭 형태로 표시되는 것인,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에 의해 상기 호스트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복수의 참가자 중 각각의 참가자를 선택하여 각각의 참가자에게 메시지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가자에 의해 상기 호스트가 호출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참가자의 호출 이후에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를 표시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참가자를 제외한 다른 참가자들과의 음성 대화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상기 다른 참가자들의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다른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에 의해 상기 호스트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상기 복수의 참가자의 현재 상태의 화이트보드 화면을 모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방법.
  8. 서비스 서버로 미팅 룸 생성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호스트 장치;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미팅 룸 입장 관련 접속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참가자 장치; 및
    호스트만 입장가능한 호스트 채널을 표시하고, 복수의 참가자 중 각각의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복수의 참가자 채널을 표시하고, 상기 호스트에 의해 제1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호스트에 의해 제2 참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제2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참가자와의 제1 음성 대화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와 상기 제2 참가자와의 제2 음성 대화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참가자 및 상기 제2 참가자에 의해 상기 호스트가 호출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 및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에 호출 우선 순위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상기 제1 참가자 채널의 호출 상태를 표시 해제하고, 상기 제2 참가자 채널의 상기 호출 우선 순위를 변동시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시스템.

KR1020220128229A 2022-10-07 2022-10-07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1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29A KR102510595B1 (ko) 2022-10-07 2022-10-07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18/377,347 US20240121279A1 (en) 2022-10-07 2023-10-06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channel for each of a plurality of participants of online meeting room and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29A KR102510595B1 (ko) 2022-10-07 2022-10-07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595B1 true KR102510595B1 (ko) 2023-03-16

Family

ID=8598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229A KR102510595B1 (ko) 2022-10-07 2022-10-07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21279A1 (ko)
KR (1) KR1025105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4640A (ja) * 1998-02-17 1999-08-27 Sony Corp 通信制御システム
KR101255383B1 (ko) 2005-04-07 2013-04-1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탭형 브라우저 내에서 탭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1141A (ko) * 2013-01-08 2014-07-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 엔진 기반의 삼차원 캐릭터를 이용한 화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50117797A (ko) * 2014-04-11 2015-10-21 하수호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
KR20220046773A (ko) *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살린 가상 현실에서의 모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4640A (ja) * 1998-02-17 1999-08-27 Sony Corp 通信制御システム
KR101255383B1 (ko) 2005-04-07 2013-04-1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탭형 브라우저 내에서 탭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1141A (ko) * 2013-01-08 2014-07-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 엔진 기반의 삼차원 캐릭터를 이용한 화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50117797A (ko) * 2014-04-11 2015-10-21 하수호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
KR20220046773A (ko) *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살린 가상 현실에서의 모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21279A1 (en)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2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4802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rallel conversation thread during a remote collaboration
EP2962423B1 (en) Controlling an electronic conference based on detection of intended versus unintended sound
EP1872617B1 (en) Management of missing conference invitees
US9661146B2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communication devices assigned individual and group unique identifiers
US81446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dio 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84771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uggesting or inviting a party to join a multimedia communications session
US933840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equivalence classes to identify and manage participants and resources in a conference room
US20140282095A1 (en)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d administering a user group,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WO2016149294A1 (en) Proximate resource pooling in video/audio telecommunications
US1008293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placing a contact entry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contact entry corresponding to a user group
EP3816883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hanging the collaboration state for omni-workspaces
EP16966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e class of users of an application a view of what another class of users of the same application is visually experiencing
US9294523B2 (en) Automatic future meeting scheduler based upon locations of meeting participants
US20140085316A1 (en) Follow me notification and widgets
CA3146260A1 (en) Multi-device teleconferences
US9137029B1 (en) State and availability monitoring for customer support services for multimedia conferences
KR102510595B1 (ko)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60086626A (ko) 채팅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hristensen et al. Too Much Information: Two applications reveal the key challenges in making context-aware computing a reality.
CN117280367A (zh) 用于自动召集到会议的智能代理
US20230262168A1 (en) Meeting management apparatus, meeting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3008778A (ja) インターネットマルチ通話システム
WO2023223585A1 (ja) 会議管理装置、会議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726537B (zh) 一种互动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