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797A -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797A
KR20150117797A KR1020140043318A KR20140043318A KR20150117797A KR 20150117797 A KR20150117797 A KR 20150117797A KR 1020140043318 A KR1020140043318 A KR 1020140043318A KR 20140043318 A KR20140043318 A KR 20140043318A KR 20150117797 A KR20150117797 A KR 20150117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virtual speaker
objects
interface scre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수호
Original Assignee
하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수호 filed Critical 하수호
Priority to KR102014004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797A/ko
Publication of KR2015011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다채널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되, 대응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시킴으로써 3D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입체감 있고 현장감 있는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 Stereophonic Sound}
본 실시예는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그래머폰(gramophone)이라고 불리는 최초의 음향 재생기인 축음기가 발명된 후, 음향기기 시스템은 아날로그 자기 테이프 레코더 방식의 LP(long play) 레코드판의 소리를 재생하는 레코드 플레이어 방식을 거쳐 디지털 레코더 방식의 CD의 소리를 재생하는 디지털 레코드 플레이어 방식으로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 음향기기의 시스템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음향기기 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마치 현장에서 듣는 듯한 느낌으로 구현시켜 제공하는 입체음향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더불어 3DTV 출시와 함께 3차원 영화와 같이 실제 현장감과 몰입감을 제공하는 3차원 입체 영상이 활성화됨에 따라 이에 부합되는 3차원 입체음향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음향기기 시스템의 경우, 3D 사운드(3D Sound)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많은 스피커가 필요하며, 머리 전달함수(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를 이용하는 바이노럴 3차원 오디오가 구비되지 않는 이상 음의 고저감, 거리감, 공간감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음향기기 시스템에서 3D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3D 사운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다채널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되, 대응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시킴으로써 3D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입체감 있고 현장감 있는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동되며, 상기 대응 객체와 관련된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 기기에, 다채널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과정; 상기 대응 객체와 관련된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정보 수신과정; 및 상기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상기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과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다채널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되, 대응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시킴으로써 3D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입체감 있고 현장감 있는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정보 제공 버튼의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모니터에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는 사용자가 컴퓨터 등의 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할 때, 그래픽을 통해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정의하는 것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디스플레이부 등에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3D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입체감 있고 현장감 있는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장치로써,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 및 PDA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의 블럭 구성도는 단말기(100)가 휴대용 전자장치로 구현된 경우의 한 예이고, 단말기(100)가 다른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메모리(110), 메모리 조절부(122), 제어부(124), 주변 인터페이스(126), 3D 랜더러(130), 입체음향 조절기(140), 디스플레이부(150), 입력부(160), 통신회로(170), 외부포트(180), 오디오 회로(190) 및 스피커(19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버스 또는 신호선을 통하여 통신한다.
메모리(110)는 임의의 데이터,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하는 장치로써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4) 및 주변 인터페이스(126)와 같은 단말기(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110)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조절부(1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1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체제(112), 통신모듈(114), GUI 모듈(116)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18)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모리(110)는 다양한 모듈, 소프트웨어, 콘텐츠와 같은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운영체제(112)는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메모리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을 촉진시킨다.
통신모듈(114)은 하나 이상의 외부포트(180)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촉진시키고, 통신회로(170)와 외부포트(180)가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외부포트(180)는 다른 장치로의 직접 연결이나 네트워크를 통한 간접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GUI 모듈(116)은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애니메이션, 디지털 이미지,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예컨대,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 비디오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GUI 모듈(116)는 3D 랜더러(130)로부터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받아 저장한다. 이후, GUI 모듈(116)은 제어부(124)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한다. 또한, GUI 모듈(116)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이 발생한 경우 3D 랜더러(130)로부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받으며, 마찬가지로, 이를 저장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18)은 브라우저,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위젯(Widget), 부호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음성 인식,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GPS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과 같은 위치정보), 음악 플레이어(MP3 또는 AAC 파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에 저장되어 기록된 음악을 재생하는) 등을 포함하며, 예컨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임의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4)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단말기(1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러한, 제어부(124)는 바람직하게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조절부(122), 제어부(124) 및 주변 인터페이스(126)는 하나의 단일칩(120) 상에서 구현되거나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4)는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24)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입체음향 조절기(140)로 전송하며, 이를 통해, 입체음향 조절기(140)가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구현되는 대응 객체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및 청취자 객체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124)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 예컨대,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4)는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에 따라 청취자 객체와 기존 대비 더 가까워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더 멀어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발생 시, 이에 기반하여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한 배치 형태 또한 추가로 변동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24)는 청취자 객체에 대한 배치 변동 정보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한 배치 형태 변동정보까지 추가로 고려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24)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된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배치 형태 변동정보에 근거하여 변동이 발생한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즉, 제어부(124)는 배치 형태 변동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방향 예컨대, 각도의 변동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변동이 발생한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진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24)는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가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24)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변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3D 랜더러(130)로 전송하며, 이를 통해, 3D 랜더러(130)가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재구성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24)는 3D 랜더러(130)로부터 생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앞서 명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구현되는 대응 객체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및 청취자 객체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124)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 예컨대,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3D 랜더러(130)가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가상 공간 내 청취자 객체의 배치가 재구성된 재구성 입체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4)는 청취자 객체에 대한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3D 랜더러(130)가 변동이 발생한 청취자 객체와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사이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여 가상 공간 내 청취자 객체의 배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방향이 추가로 변경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24)는 3D 랜더러(207)가 청취자 객체에 대한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청취자 객체의 배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가 정면에서 이동된 청취자 객체가 존재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각도를 추가로 변동시킨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구현된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3D 랜더러(207)가 배치형태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변동이 발생한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가 재구성된 재구성 입체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는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24)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구현된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3D 랜더러(207)가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변동이 발생한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가 재구성된 재구성 입체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주변 인터페이스(126)는 단말기(100)의 입출력 주변장치를 제어부(124) 및 메모리(110)와 연결시킨다.
3D 랜더러(130)는 전송 서버 및 메모리(110)로부터 하나 이상의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 구현된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객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한편, 객체 데이터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되는 객체들에 대한 정보 및 이에 2차원 내지 3차원 바이너리 형식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즉, 3D 랜더러(130)는 객체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객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3차원 대응 객체를 3차원 가상 공간의 (X, Y, Z) 좌표 내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이후, 3D 랜더러(130)를 이용하여 생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어부(124)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되며, 디스플레이부(150)는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신호 및 마우스 신호에 따라 움직임이 조절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며, 이를 통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UI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3D 랜더러(130)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되는 대응 객체는 청취자 객체 및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를 포함한다. 이때, 청취자 객체는 사람의 머리와 귀의 구조로 모델링된 더미 헤드로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갯수는 음원에 포함된 다채널 음향 신호의 채널 갯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갯수는 다채널 음향 신호의 채널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되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갯수에 대해 특정 갯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3D 랜더러(13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로부터 변동 정보를 포함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변동 정보가 반영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즉, 3D 랜더러(130)는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가상 공간의 넓이와 크기, 대응 객체의 배치, 배치 형태 및 크기 등을 재구성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3D 랜더러(130)는 보다 현실감이 있는 3D 공간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D 랜더러(13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예컨대,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로부터 배치 변동 정보를 포함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 내 청취자 객체의 배치가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한편, 3D 랜더러(130)는 청취자 객체에 대한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가 추가로 변경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3D 랜더러(130)는 청취자 객체에 대한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청취자 객체의 배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가 정면에서 이동된 청취자 객체가 존재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각도가 추가로 변동된 재구성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3D 랜더러(13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50)로부터 배치형태 변동 정보를 포함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 내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가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3D 랜더러(130)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50)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변동이 발생한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가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한편, 3D 랜더러(130)를 이용하여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되며, 디스플레이부(150)는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보다 현실감이 있는 3D 공간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3D 랜더러(13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볼륨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개별 볼륨 조절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볼륨을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전체 볼륨 조절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EQ 조절기, 대응 객체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버튼, 출력되는 다채널 음향 신호를 녹음하기 위한 녹음 버튼 및 음원 관련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제공 버튼 등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단말기(100) 사용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구현된 대응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뿐만 아니라, 조절기 및 버튼 등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한편, 다양한 부가 기능 또한 추가로 실행시킬 수 있다. 예컨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구현된 정보 제공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24)는 단말기(100)에 저장된 모든 음원에 대한 음원 관련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추가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및 기 녹음된 음원 관련정보에 대한 음성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음원 관련정보는 연주자 정보, 연주 악기 정보, 음원 제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음원 관련정보에 대해 특정 정보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제공 버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가 음원 관련정보인 것으로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 사용법 등 다양한 정보일 수도 있다.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기반으로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한편,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제어부(150)로부터 변동 정보를 포함한 음향 신호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통해,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이때, 입체음향 조절기(140)를 이용하여 조절되는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은 음향 신호의 진폭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메모리(110)로부터 재생되고 있는 음원에 포함된 다채널 음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된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 예컨대,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50)로부터 배치 변동 정보를 포함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즉,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에 따라 청취자 객체와 기존 대비 더 가까워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증가시키고, 더 멀어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감소시켜 출력한다. 한편, 앞서 명시한 바와 같이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한 배치 형태 또한 추가로 변동될 수 있으며, 이때,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청취자 객체에 대한 배치 변동 정보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한 배치 형태 변동정보까지 추가로 고려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또한,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의 변동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로부터 배치 형태 변동정보를 포함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변동이 발생한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즉,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배치 형태 변동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각도의 변동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치 각도 변동정보에 근거하여 변동이 발생한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진폭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변동이 발생한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진폭을 조절함으로써 정방향으로 재생되던 음향 신호가 변동된 배치 각도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재생되는 듯한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음향 조절기(14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구현된 대응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3D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입체감 있고 현장감 있는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와 단말기(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0)는 3D 랜더러(130)와 연동되며, 3D 랜더러(130)로부터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받아 출력한다.
입력부(160)는 사용자와 단말기(100) 사이의 또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입력정보와 같은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정보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연동되며, 대응 객체와 관련된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24)로 전송한다. 한편, 터치스크린과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0) 및 입력부(160)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 회로(170)는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통신 회로(170)는 전기 신호를 전자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통신 회로(170)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으로 불리는 인터넷, 인트라넷과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에 의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190)는 주변 인터페이스(126)로부터 데이터 예컨대, 다채널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92)로 전송한다.
스피커(192)는 수신한 전기신호를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92)는 멀티 채널을 사용한 서라운드 방식과 바이노럴(Binaural) 타입의 2채널 스테레오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된 다채널 음향 신호를 출력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92)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구현된 대응 객체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입체음향 조절기(140)로부터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이 조절된 다채널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출력시킨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3D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입체감 있고 현장감 있는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한편, 단말기(100)는 오디오 회로(190)와 연결된 마이크로폰(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다채널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02). 한편, 단말기(100)는 재생되는 음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객체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객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3차원 대응 객체를 3차원 가상 공간의 (X, Y, Z) 좌표 내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 및 출력시킨다. 이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UI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되는 대응 객체는 청취자 객체 및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대응 객체에 관련된 입력정보를 수신하고(S204), 수신한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된 대응 객체에 변동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6).
단말기(100)는 단계 S204 및 단계 S206를 통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된 경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변동 정보가 반영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208). 단계 S208에서 단말기(100)는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가상 공간의 넓이와 크기, 대응 객체의 배치, 배치 형태 및 크기 등을 재구성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한편, 단말기(100)가 대응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말기(100)는 단계 S204 및 단계 S206를 통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된 경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한다(S210). 한편, 단말기(100)가 대응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단말기(10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 예컨대,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배치 형태 변동정보에 근거하여 변동이 발생한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기재된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3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의 (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기 구현된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로 구현된다. 즉,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3차원 대응 객체가 3차원 가상 공간의 (X, Y, Z) 좌표 내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되는 대응 객체는 청취자 객체 및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를 포함한다. 이때, 청취자 객체는 사람의 머리와 귀의 구조로 모델링된 더미 헤드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갯수는 음원에 포함된 다채널 음향 신호의 채널 갯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UI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단말기(100) 사용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예컨대, 청취자 객체 또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변동시킴으로써 각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객체 변동에 따라 청취자 객체와 기존 대비 더 가까워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증가시켜 출력하고, 더 멀어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감소시켜 출력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3D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입체감 있고 현장감 있는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에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개별 볼륨 조절기, 전체 볼륨 조절기, EQ 조절기 및 다채널 음향 신호를 녹음하기 위한 녹음 버튼, 음원 관련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제공 버튼 등을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단말기(100) 사용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구현된 대응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뿐만 아니라, 조절기 및 버튼 등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근거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한편, 다양한 부가 기능 또한 추가로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4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4의 (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하듯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예컨대,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재생성되는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가상 공간 내 청취자 객체의 배치가 재구성된다.
도 4의 (b)에 도시하듯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예컨대,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에 재생성되는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배치 변동정보에 근거하여 가상 공간 내 청취자 객체의 배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각도 또한 추가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정보 제공 버튼의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에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개별 볼륨 조절기, 전체 볼륨 조절기, EQ 조절기 및 다채널 음향 신호를 녹음하기 위한 녹음 버튼, 음원 관련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제공 버튼 등이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정보 제공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에 저장된 모든 음원에 대한 음원 관련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추가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및 기 녹음된 음원 관련정보에 대한 음성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출력된다. 이때, 음원 관련정보는 연주자 정보, 연주 악기 정보, 음원 제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제공 버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가 음원 관련정보인 것으로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말기 사용법 등 다양한 정보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모니터에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모니터 상의 일부 또는 전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형태에 대해서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 6에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내 가상 공간에 청취자 객체만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질적으로는 가상 공간에 청취자 객체뿐만 아니라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또한 배치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110: 메모리
122: 메모리 조절부 124: 제어부
126: 주변 인터페이스 130: 3D 랜더러
140: 입체음향 조절기 150: 디스플레이부
160: 입력부 170: 통신 회로
180: 외부 포트 190: 오디오 회로
192: 스피커

Claims (17)

  1.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동되며, 상기 대응 객체와 관련된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객체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및 청취자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갯수는 상기 다채널 음향 신호의 채널 갯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공간 내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 및 제공하는 3D 랜더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3D 랜더러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변동 정보가 포함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재구성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객체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및 청취자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상기 3D 랜더러가 상기 청취자 객체와 상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사이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방향이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을 선택하기 위한 음원 선택 버튼;
    상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볼륨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개별 볼륨 조절기;
    상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볼륨을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전체 볼륨 조절기;
    상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EQ 조절기
    상기 대응 객체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버튼; 및
    상기 다채널 음향 신호를 녹음하기 위한 녹음 버튼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추가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음원 관련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제공 버튼이 추가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제공 버튼에 대한 입력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음원 관련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추가적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및 기 녹음된 상기 음원 관련정보에 대한 음성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객체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및 청취자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치 변동에 따라 상기 청취자 객체와 더 가까워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더 멀어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객체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및 청취자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배치 형태 변동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입체음향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체음향 조절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변동 정보가 포함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는 단말기.
  12. 데이터 처리 기기에,
    다채널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가상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가 배치된 형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과정;
    상기 대응 객체와 관련된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정보 수신과정; 및
    상기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대응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에 대한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출력되는 상기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과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객체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및 청취자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변동 정보가 인지되는 경우, 상기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재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출력 과정은,
    상기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상기 청취자 객체와 상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사이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 객체의 배치 방향이 재구성된 재구성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객체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및 청취자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청취자 객체의 배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배치 변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채널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각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배치 변동에 따라 상기 청취자 객체와 더 가까워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더 멀어진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은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객체는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및 청취자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복수의 가상 스피커 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의 배치 형태의 변동이 인지되는 경우, 배치 형태 변동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스피커 객체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43318A 2014-04-11 2014-04-11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50117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18A KR20150117797A (ko) 2014-04-11 2014-04-11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18A KR20150117797A (ko) 2014-04-11 2014-04-11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797A true KR20150117797A (ko) 2015-10-21

Family

ID=5440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318A KR20150117797A (ko) 2014-04-11 2014-04-11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79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206A1 (ko) *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에스큐그리고 음원 분리 장치 및 음향기기
WO2019132516A1 (ko) * 2017-12-28 2019-07-04 박승민 입체 음향 컨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32892B1 (ko) * 2019-09-26 2020-07-13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평면파 합성 기법을 이용하는 수평 어레이형 음향 재생 장치의 음향 제어 인터페이스
WO2022059858A1 (en) * 2020-09-16 2022-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to generate 3d audio from audio-visual multimedia content
KR20220046773A (ko) *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살린 가상 현실에서의 모임 시스템
KR102510595B1 (ko) * 2022-10-07 2023-03-16 주식회사 플링크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206A1 (ko) *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에스큐그리고 음원 분리 장치 및 음향기기
KR20190027398A (ko) * 2017-09-06 2019-03-15 주식회사 에스큐그리고 실시간 음원 분리 장치 및 음향기기
WO2019132516A1 (ko) * 2017-12-28 2019-07-04 박승민 입체 음향 컨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32892B1 (ko) * 2019-09-26 2020-07-13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평면파 합성 기법을 이용하는 수평 어레이형 음향 재생 장치의 음향 제어 인터페이스
WO2022059858A1 (en) * 2020-09-16 2022-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to generate 3d audio from audio-visual multimedia content
KR20220046773A (ko) *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살린 가상 현실에서의 모임 시스템
KR102510595B1 (ko) * 2022-10-07 2023-03-16 주식회사 플링크 온라인 미팅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참가자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993B2 (en) Grouping and transport of audio objects
KR20150117797A (ko) 입체음향 제공방법 및 장치
US11516616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an audio image
US20140328505A1 (en) Sound field adaptation based upon user tracking
US1075752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imulating spatially-varying acoustics of an extended reality world
RU2015109613A (ru) Система и инструментальные средства для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авторской разработки и представления трехмерных аудиоданных
JP2007274061A (ja) 音像定位装置およびavシステム
EP3422744B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EP3343348A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WO2020062922A1 (zh) 音效处理方法及相关产品
US9843883B1 (en) Source independent sound field rotation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N107707742B (zh) 一种音频文件播放方法及移动终端
KR101462021B1 (ko) 음원 재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11512648A (zh) 启用空间音频内容的渲染以用于由用户消费
US10667074B2 (en) Game streaming with spatial audio
CN108924705B (zh) 3d音效处理方法及相关产品
GB2589603A (en) Audio scene change signaling
CA3044260A1 (en) Augmented reality platform for navigable, immersive audio experience
CN114173275A (zh) 声音通信装置
CN109683845B (zh) 声音播放装置、方法及非暂态存储媒体
KR20190081163A (ko) 입체 음향 컨텐츠 저작 툴을 이용한 선택적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KR102032803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위한 입체 음향 효과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102058228B1 (ko) 입체 음향 컨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KR101111734B1 (ko) 복수 개의 음원을 구분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991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hieving multi-dimensional audio fide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