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431B1 -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431B1
KR102510431B1 KR1020200103611A KR20200103611A KR102510431B1 KR 102510431 B1 KR102510431 B1 KR 102510431B1 KR 1020200103611 A KR1020200103611 A KR 1020200103611A KR 20200103611 A KR20200103611 A KR 20200103611A KR 102510431 B1 KR102510431 B1 KR 10251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demand
information
unit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544A (ko
Inventor
임현진
Original Assignee
이니그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니그마(주) filed Critical 이니그마(주)
Priority to KR102020010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조정 시스템은 서버 및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품의 명칭 및 상품의 기본 가격을 포함하는 기초 정보를 획득하고,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가격을 변동시키되, 소비자의 수요가 기준치 이하인 조건 하에서 기 설정된 금액이 할인된 2차 가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2차 가격을 소비자에게 공지하여 고객의 소비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Price adjustment system based on customer demand}
본 발명은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품에 대한 고객의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상품의 가격을 할인하고, 이를 고객에게 공지하여 판매를 촉진하고 고객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격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전체 인구수는 정체 및 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소상공인, 자영업자는 증가하고 있어, 경쟁 환경이 매우 치열한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있다. 이러한 치열한 환경 속에서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들이 살아남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객 확보 및 구매 활성화를 유도하는 플랫폼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9925호
본 발명은 고객의 분석을 통해 고객 수요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조건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 수요가 감소할 시 가격을 차등화하여 고객을 유도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조정 시스템은 서버 및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품의 명칭 및 상품의 기본 가격을 포함하는 기초 정보를 획득하고,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가격을 변동시키되, 소비자의 수요가 기준치 이하인 조건 하에서 기 설정된 금액이 할인된 2차 가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2차 가격을 소비자에게 공지하여 고객의 소비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격 차등화 및 고객 분석을 통해 자영업자들로 하여금 고객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객이 선호하는 소비 조건을 분석할 수 있고, 특히 소비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선호 소비 조건을 분석하고 그에 대응하여 판매 가격을 유동화할 수 있어 소비자 및 판매자 모두 만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조정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요 판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산출식 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조정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조정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조정 시스템은 서버 100와 다수의 사용자 기기 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 200는 예컨대, 판매자 기기 201와 소비자 기기 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100는 일 판매자로부터 판매할 상품에 대한 정보(상품명, 상품 기본 가격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판매자로부터 판매 매장의 위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앱 또는 웹을 통해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에 대한 판매 가격(변동되지 않은 기본가격 및 수요 조건에 대응하여 변동된 2차 가격)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서버 100에서 지원하는 앱 또는 웹에 접속한 고객은 소비자 기기 202를 통해 판매자가 등록한 매장 정보 및 상품 정보(예, 상품 항목명, 상품의 가격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 100는 판매자 측으로부터 매장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100는 레스토랑, 영화관 등과 같이 고객의 좌석의 점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업종의 경우, 고객의 좌석 점유 상태를 실시간 수신하고 이로부터 고객의 좌석 사용률이 기준치 이상인 시간 조건(예, 시간대, 요일, 계절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 100는 판매자 측에서 구비한 포스(POS) 기기와 연동되어, 실시간 좌석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매장 상황 정보는 고객의 수요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매장에서의 좌석 점유율뿐 아니라, 다양한 요소가 고객의 수요 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 100는 상기 매장 상황 정보(고객 좌석 점유율) 뿐 아니라, 단위 시간당 실제 구매가 이루어지는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간 조건(예, 시간대, 요일, 계절 등), 판매액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간 조건(예, 시간대, 요일, 계절 등) 등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고객의 수요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언급한 요소들 외에도 상기 서버 100는 고객의 수요 조건(고객의 수요가 기준치이상 증가 또는 감소하는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고객의 수요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판매자 기기 201 외에도 소비자 기기 202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100는 소비자가 소비자 기기 202를 통해 주문용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시간 조건(시간대, 요일, 계절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의 수요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격 조정 시스템의 서버는 고객이 앱 또는 웹을 통해 미리 상품에 대한 가격을 확인하고,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에 들러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 100는 예약 제도를 통해 매장에서 판매중인 일 상품에 대하여 고객이 미리 앱 상에서 결제하고 추후 수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서버 100는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앱 또는 웹에 접속하여 온라인상에서 직접 구매하고, 배송을 통해 수령할 수 있도록 온라인 판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 100는 마트, 레스토랑 등의 매장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들에 대한 기본 가격 및 고객 수요 조건에 따라 변경된 2차 가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레스토랑에서는 종이 메뉴판 대신, 태블릿 등의 전자 기기 형태의 메뉴판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로 메뉴판이 제공되는 매장의 경우, 고객 수요 조건에 따라 변경된 2차 가격이 즉시 반영되어 전자 기기 메뉴판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태블릿형 메뉴판과 같이 일일이 고객에게 변동된 가격 정보를 실시간 안내할 수 있는 전자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매장의 경우, 판매자가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예, POS 기기 화면, 판매자 기기 201 등)를 통해 변동된 2차 가격 정보가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판매자는 소비자에게 구두 혹은 별도의 팻말 등을 통해 변동된 상품의 가격을 안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에서 산출한 변동된 2차 가격 정보는 소비자가 직접 확인하지 못하고 판매자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판매 가격은 할인된 가격이나, 할인한 가격으로 판매되는 사실을 매장 내 고객들만 확인하고, 매장 밖 고객이 확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변동된 2차 가격(할인된 가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 202측으로 SMS, 어플리케이션 푸시 알림 등을 통해 제공하여 할인 사실을 홍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장 밖에 있는 고객들을 매장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상기 서버 100에서 실시간 산정한 2차 가격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는 제품들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구제척인 상기 서버 100의 구성 및 그 역할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100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제어부 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30는 수요 판단부 131, 가격 산출식 생성부 132, 가격 조정부 133, 판매 진행부 134, 패널티 부여부 135 및 통계 산출부 1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 200(판매자 기기 201)로부터 고객의 수요에 관한 정보 및 기본 가격 정보 등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110는 상품 항목별로 산출된 2차 가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 200(소비자 기기 202)측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20는 일 상품에 대하여 고객의 수요 변동을 야기하는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투입하여 소정의 금액이 할인된 2차 가격을 산출할 수 있는 2차 가격 산출식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요 판단부 131는 사용자 기기 200(예, 판매자 기기 201)로부터 고객 수요 예측에 요구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를 야기하는 조건(예,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수요 판단부 131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요 판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요 판단부 131는 혼잡도 기반 판단부 131a, 판매량 기반 판단부 131b, 개인별 판단부 131c, 집단별 판단부 13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혼잡도 기반 판단부 131a는 매장 상황의 혼잡 정도를 기반으로 고객의 수요 조건(고객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혼잡도 기반 판단부 131a는 매장 상황의 혼잡 정도에 관한 정보로써, 매장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매장 상황 정보는 예컨대, 좌석 사용률에 관한 정보, 매장 내 CCTV 화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스토랑, 영화관 등과 같이 고객의 좌석의 점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업종에 대하여, 상기 혼잡도 기반 판단부 131a는 고객의 좌석 점유 상태를 실시간 수신하고 이로부터 고객의 좌석 사용률이 기준치 이상인 시간 조건(예, 시간대, 요일, 계절 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혼잡도 기반 판단부 131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판매자 측에서 구비한 포스(POS) 기기와 연동되어, 실시간 좌석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혼잡도 기반 판단부 131a는 매장 내 CCTV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매장 면적당 인원 비율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면적당 인원 비율에 따라 혼잡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혼잡도 기반 판단부 131a는 좌석 사용률, 매장 면적당 인원 비율 정보를 기반으로 혼잡도 수치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혼잡도 수치가 기준치 이상이 되는 조건(예, 시간대, 요일, 주(week), 월(month), 계절, 온도, 기념일 등)을 산출함을 통해, 고객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매량 기반 판단부 131b는 고객의 수요 판단을 판매량을 기준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판매량의 증가 정도에 대응하여 고객의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매량을 통해 확인되는 고객의 수요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매량 기반 판단부 131b는 단위 시간당 실제 구매가 이루어지는 횟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간 조건(예, 시간대, 요일, 계절 등), 판매액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간 조건(예, 시간대, 요일, 계절 등) 등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고객의 수요가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별 판단부 131c는 소비자 개인별 주요 소비 시간대를 조합하여, 전체 고객의 수요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인별 판단부 131c는 소비자 기기 202를 통해 주문용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시간 조건(시간대, 요일, 계절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의 수요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개인별 판단부 131c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카드 결제에 따라 발생되는 알림 문자의 수신을 통해 사용자 개개인의 방문 및 구매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개인별 판단부 131c는 획득된 개인의 주문용 웹 페이지 접속 비율, 개인의 방문기록 및 결제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 소비자의 소비 패턴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개인별 판단부 131c가 판단하는 소비 패턴은 예컨대, 전체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간대, 물품별 주요 소비 시간대, 동네별 주요 소비 시간대(예, 오전에 A 지역에서 주로 소비하고 오후에 B지역에서 소비하는 패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집단별 판단부 131d는 소비자들의 집단별 소비 특징에 따라 수요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단별 판단부 131d는 지역별, 연령별, 성별 소비자들의 수요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지역 정보는 단순 행정 구역(예, OO동, OO구)를 기준으로 분류될 수도 있으나, '주거지로 분류되는 지역', '상업지로 분류되는 지역', '주거 및 상업 혼합 지역'과 같이 속성을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집단별 판단부 131d는 예컨대, 특정 지역에서의 소비자 집단의 주요 소비 시간대 또는 여성 소비자들의 주요 소비 시간대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집단별 판단부 131d는 'A지역'의 '30대' '남성'과 같이 소정의 기준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소비자 집단에 대한 주요 소비 시간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집단별 수요 증가 또는 감소 조건(시간대)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집단별 판단부 131d에서 판단한 소비자 집단별 수요 조건은 판매 상품의 종류에 따라 소비자 정보를 선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대 남성이 주요 고객인 미용실이 고객의 소비 패턴에 기반하여 상품 가격을 변동하고자 할 때, 상기 집단별 판단부 131d에서 산출한 30대 남성의 주요 소비 조건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의 수요 판단부 131에 이어서, 상기 제어부 130는 가격 산출식 생성부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격 산출식 생성부 132는 판매 상품의 항목별로 소비자의 수요 조건을 반영하여 변동된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격 산출식 생성부 132는 일 상품의 기본 가격으로부터 일정 금액이 변동된 2차 가격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격 산출식 생성부 132는 고객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시간대, 요일, 주, 월, 계절, 날씨, 기온, 기념일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조건 정보(예, 시간대, 요일, 계절 등)가 변경됨에 따라 상품의 가격이 기 설정된 금액만큼 감소 또는 증가 설정되도록 산출식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격 산출식 생성부 132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산출식 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산출식 생성부 132는 할인 상수 결정부 132a 와 통계 반영부 13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할인 상수 결정부 132a는 고객 수요에 영향을 주는 조건에 대응하여 이루어지는 가격 변동 비율에 해당하는 할인 상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할인 상수를 포함하는 2차 가격 산출식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인 상수 결정부 132a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고객 수요에 영향을 주는 조건(시간대, 요일, 계절, 날씨 등)을 기반으로 각기 상이한 할인 상수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2차 가격 산출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 할인 상수와, 계절별 할인상수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할인 상수 결정부 132a는 고객 수요에 영향을 주는 정도에 대응하여 할인 상수의 값을 결정할 수 있는데, 특정 조건 하에서의 고객 수요에 대한 영향이 클수록(예, 시간대에 따른 고객의 편중도가 클수록) 할인 상수의 값을 그에 비례하여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2차 가격 산출식은 '기본가격-{할인 상수*(조건 정보 대응값)}' 또는 '기본가격+{할인 상수*(조건 정보 대응값)}'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조건 정보 대응값은 추후 대입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0부터 10까지의 값 중 하나로 설정되어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건 정보 대응값은 고객 수요가 가장 높은 조건(예, 시간대)에서 0에 가까운 값으로 산출될 수 있고, 고객 수요가 가장 낮은 조건(예, 시간대)일수록 10에 가까운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2차 가격 산출식의 구성 내지 투입값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정되지 않으며, 고객 수요가 높은(기준치 이상인) 조건에 비해 고객 수요가 낮은(기준치 미만인) 조건일수록 2차 가격이 적은 금액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할인 상수 결정부 132a는 상품의 공급 조건에 대응하여 이루어지는 가격 변동 비율에 해당하는 할인 상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할인 상수를 포함하는 2차 가격 산출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할인 상수 결정부 132a는 2차 가격 산출식 생성 시, 고객의 수요 조건 뿐 아니라, 상품의 공급 조건도 고려하여 할인 상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품의 공금 조건이 변경됨에 따라 가격 변동이 예상되는 경우는 예컨대, 기후 등의 이유로 수확되는 농산물의 수량이 감소하는 등의 이유로 상품(예, 농산물)의 공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산지 또는 도매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 조건의 변화로 인해 가격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할인 상수 결정부 132a가 산출하는 할인 상수는 예컨대 음(-)의 값을 갖도록 산출되어, 최종 결정되는 2차 가격이 기본 가격보다 인상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조건의 변경으로 인해 가격 변동이 예상되는 경우는, 농산물의 산지 출하량이 기준치 이상이거나, 소매업장에서 매입한 농산물의 수량이 기준치 이상이고 매입된 상품의 기준 시간 이내에 판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품의 공급 증가에 의한 가격 하락이 예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할인 상수 결정부 132a는 통상적으로 생산되는 상품의 수량 또는 매입되는 평균 수량 수치로부터 기준치 이상 공급(매입)된 경우, 초과 공급된 수량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할인 상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 반영부 132b는 통계 결과에 대응하여 할인 상수 또는 2차 가격 산출식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통계 반영부 132b는 통계 산출부 136에서 산출한 소비자 개인별 선호 소비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2차 가격 산출식을 조정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통계 반영부 132b는 상기 통계 산출부 136에서 소비자 각각에 의해 산출된 선호 소비 특성 정보를 취합하여, 특정 소비자 집단(예, 대학가에 거주하는 소비자)에 대응하는 선호 소비 특성(예, 선호 소비 시간대, 계절별 선호 구매 상품 종류 등)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2차 가격 산출식 조정 설정에 반영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계 반영부 132b는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 집단(예, 관악구에 거주하는 소비자)에 대응하는 선호 소비 특성 정보를 취합하여, 해당 지역의 판매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2차 가격 산출식을 조정할 시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계 반영부 132b는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의 선호 소비 조건의 단계가 1단계(예, 수요도 상, 할인율 하), 3단계(예, 수요도 하, 할인율 상), 2단계(예, 수요도 중, 할인율 중) 순서로 나타났다고 할 때, 1단계에서 2단계로 소비 조건이 변동될 때 적용하는 할인율을 종래 대비 축소 설정하고, 2단계에서 3단계로 소비 조건이 변동될 때 적용하는 할인율을 종래 대비 증가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통계 반영부 132b는 특정 집단 소비자의 선호 소비 조건의 단계 순서에 대응하여, 적용할 할인율을 조정하여 2차 가격 산출식을 재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격 조정부 133는 상기 가격 산출식 생성부 132에서 생성한 2차 가격 산출식에 고객의 수요 조건에 해당하는 값을 투입하여 조정된 가격인 2차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격 조정부 133는 예를 들어, 2차 산출식이 '기본가격-{할인 상수*(조건 정보 대응값)}'와 같이 설정된 경우, '조건 정보 대응값'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하여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정보 대응값은 예를 들어 0부터 10까지의 값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조건 정보 대응값은 고객 수요가 가장 높은 조건(예, 시간대)에서 0에 가까운 값으로 산출될 수 있고, 고객 수요가 가장 낮은 조건(예, 시간대)일수록 10에 가까운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앱 또는 웹 화면을 통해 판매 상품의 실시간 변동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앱 또는 웹 상에서 수행되는 상품의 판매 및 구매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그와 관련된 판매 관련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기본 설정된 가격(기본 가격)과 소비 조건에 따라 재산출된 2차 가격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상품이 기본 가격으로 판매 가격이 책정되어 제시된 경우, 고객 수요가 가장 높게 평가되는 소비 조건에 대한 정보 또는 반대로 고객 수요가 가장 낮게 평가되어 할인율이 크게 작용하는 소비 조건 내지 그에 따른 할인율(예, 오후 2시~오후 4시까지 할인 50%)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이와 같은 일 상품의 할인 시점을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할인된 금액으로 상품 구매를 할 수 있음에 대하여 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상품의 판매자 정보, 판매 매장 위치, 매장 혼잡도 등과 같은 정보를 함께 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는 상기 서버 100에서 지원하는 앱 또는 웹에 접속하여 매장의 혼잡도 정보를 확인하고 판매 매장으로의 방문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소비자가 자신이 방문 가능한 시간대에, 고객 수요가 낮아 할인 판매를 하고 있는 매장을 검색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소비자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소비자가 선택한 특정 매장으로의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일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선택하고 온라인 구매 요청함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고, 해당 상품의 판매자 측에 상품이 판매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로써 판매자(판매 매장)측은 상품의 배송을 준비하고, 재고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소비자의 현재 위치(소비자 기기 202에서 확인된 소비자 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 반경 내(또는 선택된 행정구역 내)에 존재하는 판매 매장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되, 일 소비자가 선택한 특정 상품에 대하여 예약 구매를 요청함에 따라, 선택된 상품의 판매자 측에 예약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유형의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매장에 방문해야 하는 경우(예, 미용실, 네일아트, 마사지샵, 퍼스널 트레이닝 등), 방문 예약을 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진행부 134는 고객 수요가 기준치 이하인 조건(예, 시간대, 요일)에 대하여 금액이 조정된 가격을 제시할 수 있고, 소비자는 이를 확인하여 조정된 금액의 조건(시간대, 요일 등)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예약할 수 있다. 이로써 소비자는 자신이 방문할 수 있는 상황인 경우 할인된 금액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고, 판매자는 고객의 수요를 골고루 분배하여 보다 많은 고객들을 유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널티 부여부 135는 앱을 통해 매장 방문을 예약하였으나, 예약 사항을 이행하지 않아, 실제 수요 조사에 혼란을 야기한 소비자에게 소정의 패널티(예, 할인정보 n회 미제공 등)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통계 산출부 136는 일 소비자가 선택 및 구매한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소비자 계정 별 주요 구매 상품의 할인 적용 여부 및 구매 만족도를 통계하여 소비자 개인별 선호 소비 조건의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계 산출부 136는 소비자 개인별 선호 소비 조건(예, 선호 소비 시간대)의 특성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일 상품에 대하여 할인율 및 소비자가 구매한 소비 조건(시간대 등)과의 관련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계 산출부 136는 선호 소비 조건의 단계에 대하여 3단계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으며, 1단계(예, 수요도 상, 할인율 하), 2단계(예, 수요도 중, 할인율 중), 3단계(예, 수요도 하, 할인율 상)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소비 조건의 단계의 순서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 산출부 136는 소비자가 서버 100에서 지원한 앱 또는 웹을 통해 실 구매 또는 예약 구매를 수행한 이력을 산출하여 소비자의 주요 구매 상품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통계 산출부 136는 사용자(소비자)의 구매 이력뿐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 정보까지 함께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계하여 사용자의 선호 상품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조정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조정 시스템의 서버 100는 먼저 소비자 수요 조사를 수행하는 510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2차 가격 산출식을 생성하는 515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 결과를 산출하는 520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520단계 이후 상기 서버 100는 산출된 통계 결과에 대응하여 2차 가격 산출식을 조정하는 525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격 조정 시스템은 서버 및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품의 명칭 및 상품의 기본 가격을 포함하는 기초 정보를 획득하고,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가격을 변동시키되, 소비자의 수요가 기준치 이하인 조건 하에서 기 설정된 금액이 할인된 2차 가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2차 가격을 소비자에게 공지하여 고객의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산출된 2차 가격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예컨대, 소비자 기기 측으로 SMS 발송, 앱 푸시 알림 메시지 제공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2차 가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대상은 특정 조건에 따라 한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해당 판매자를 관심 판매자로 등록한 소비자 또는 판매 매장과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거나 거주중인 소비자, 판매 매장과 동일 행정구역에 위치해 있거나, 거주중인 소비자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특정 물품 내지 서비스에 대한 항목을 관심사로 등록한 소비자에게, 관련 물품 내지 서비스에 대응하는 2차 가격이 생성된 경우, 해당 소비자에게 관련 물품 내지 서비스에 대한 2차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고객 수요 예측에 요구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를 야기하는 조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수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요 판단부는 매장 상황의 혼잡 정도를 기반으로 고객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판단하는 혼잡도 기반 판단부, 판매량의 증감 정도에 대응하여 고객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산출하는 판매량 기반 판단부, 소비자 개인별 주요 소비 시간대를 조합하여, 전체 고객의 수요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조건을 판단하는 개인별 판단부 및 소비자 집단별 소비 특징에 따른 수요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판단하되, 지역별, 연령별 및 성별에 따른 소비자 집단의 수요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판단하는 집단별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고객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조건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상품의 가격이 기 설정된 금액만큼 감소 또는 증가 설정되도록 산출식을 생성하며, 상기 조건 정보는 시간대, 요일, 주, 월, 계절, 날씨, 기온 및 기념일 여부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가격 산출식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격 산출식 생성부는 고객 수요에 영향을 주는 조건에 대응하여 이루어지는 가격 변동 비율에 해당하는 값인 할인 상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할인 상수를 포함하는 2차 가격 산출식을 생성하는 할인 상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가격 산출식 생성부에서 생성한 2차 가격 산출식에 고객의 수요 조건에 해당하는 값을 투입하여 조정된 가격인 2차 가격을 산출하는 가격 조정부, 앱 또는 웹 화면을 통해 판매 상품의 실시간 변동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앱 또는 웹 상에서 수행되는 상품의 판매 및 구매를 지원하는 판매 진행부, 소비 조건을 단계별로 분류하여 특정 개인 소비자가 선호하는 소비 조건의 단계를 산출하되, 소비자들의 수요도와 할인율에 따라 상기 소비 조건의 각 단계를 결정하는 통계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서버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31 : 수요 판단부
131a : 혼잡도 기반 판단부
131b : 판매량 기반 판단부
131c : 개인별 판단부
131d : 집단별 판단부
132 : 가격 산출식 생성부
132a : 할인 상수 결정부
132b : 통계 반영부
133 : 가격 조정부
134 : 판매 진행부
135 : 패널티 부여부
136 : 통계 산출부

Claims (8)

  1. 서버 및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품의 명칭 및 상품의 기본 가격을 포함하는 기초 정보를 획득하고,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가격을 변동시키되, 소비자의 수요가 기준치 이하인 조건 하에서 기 설정된 금액이 할인된 2차 가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2차 가격을 소비자에게 공지하여 고객의 소비를 유도하되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할인 관련 소비조건 및 할인율 정보를 제시하고 판매 지원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판매 진행부;
    소비자들의 수요도와 할인율에 따라 소비 조건을 단계별로 분류하고, 특정 개인 소비자가 선호하는 소비 조건의 단계를 산출하는 통계 산출부; 및
    거주 지역에 따른 소비자 집단별 선호 소비 조건의 단계를 반영하여 해당 지역의 2차 가격 산출식을 재산출하는 통계 반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계 산출부는
    일 소비자가 선택 및 구매한 상품의 할인율 및 소비조건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소비 조건의 단계 및 구매 만족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 상품의 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고객 수요 예측에 요구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를 야기하는 조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수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 판단부는
    매장 상황의 혼잡 정도를 기반으로 고객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판단하는 혼잡도 기반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도 기반 판단부는
    좌석 사용률 또는 매장 면적당 인원 비율 정보를 기반으로 혼잡도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혼잡도 수치가 기준치 이상이 되는 조건을 산출하여 고객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서버는
    고객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조건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상품의 가격이 기 설정된 금액만큼 감소 또는 증가 설정되도록 산출식을 생성하며, 상기 조건 정보에 시간대가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가격 산출식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격 산출식 생성부는
    고객 수요에 영향을 주는 조건에 대응하여 이루어지는 가격 변동 비율에 해당하는 값인 할인 상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할인 상수를 포함하는 하기의 2차 가격 산출식을 생성하는 할인 상수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가격 산출식 생성부에서 생성한 하기의 2차 가격 산출식에 고객의 수요 조건에 해당하는 값인 조건 정보 대응값을 투입하여 조정된 가격인 2차 가격을 산출하는 가격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 조정 시스템.
    <2차 가격 산출식>
    기본 가격 - {할인 상수*(조건 정보 대응값)} 또는 기본 가격 + {할인 상수*(조건 정보 대응값)}
    여기서, 할인 상수는 해당 조건이 고객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정도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상수이고, 조건 정보 대응값은 해당 조건에 대한 고객 수요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값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판단부는
    판매량의 증감 정도에 대응하여 고객 수요의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산출하는 판매량 기반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 조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판단부는
    소비자 개인별 주요 소비 시간대를 조합하여, 전체 고객의 수요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조건을 판단하는 개인별 판단부;
    소비자 집단별 소비 특징에 따른 수요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판단하되, 지역별, 연령별 및 성별에 따른 소비자 집단의 수요 증가 또는 감소 조건을 판단하는 집단별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 조정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진행부는
    앱 또는 웹 화면을 통해 판매 상품의 실시간 변동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앱 또는 웹 상에서 수행되는 상품의 판매 및 구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 조정 시스템.
  8. 삭제
KR1020200103611A 2020-08-19 2020-08-19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 KR10251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11A KR102510431B1 (ko) 2020-08-19 2020-08-19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11A KR102510431B1 (ko) 2020-08-19 2020-08-19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44A KR20220022544A (ko) 2022-02-28
KR102510431B1 true KR102510431B1 (ko) 2023-03-15

Family

ID=8049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611A KR102510431B1 (ko) 2020-08-19 2020-08-19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532B1 (ko) * 2023-06-30 2023-10-10 (주)에이치케이소아 가격 변동성의 예측 기반 농수산 식품 온라인 판매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855B1 (ko) * 2019-03-25 2020-01-08 강태기 수요 예측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979A (ko) * 2008-12-15 2010-06-24 (주)아토미디어 전자 상거래에서 동적 가격 조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9925A (ko) 2012-10-17 2014-04-28 이진호 실시간 매장상황을 반영한 할인쿠폰 발행 및 예약시스템
KR101601945B1 (ko) * 2013-12-20 2016-03-10 주식회사 인터파크 다이나믹 가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서버
KR20150143249A (ko) * 2014-06-11 2015-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855B1 (ko) * 2019-03-25 2020-01-08 강태기 수요 예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44A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5181A1 (en) Service provider analytics
US201600987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dynamic purchase incentive
RU264414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маркетинг с указанием точного местонахождения товара в магазине
US201401725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 allocating location-based advertising
US20100324972A1 (en) Real-time, demand-based dynamic pricing system and method
US201102313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determined promotional offers
US201100406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edictions of price and availability of event tickets on secondary markets
US20180033049A1 (en) Distributed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6789260B2 (ja) 店舗支援システム、店舗支援方法、および店舗支援プログラム
WO20151229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ating locations and preferences
US20170323328A1 (en) System for outputting linked advertisement on basis of smartphone
US20180174217A1 (en) Intermediate support system, intermediate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84719B1 (ko)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80114242A1 (en) Deal recommendation based on triggering event
US202203664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ed market analysis testing
JP6881952B2 (ja) 予測装置、予測方法、及び予測プログラム
KR102510431B1 (ko)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
KR20170040116A (ko)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JP6971290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US20150186920A1 (en) Optimizing and Distributing Discounts
US20160048860A1 (en) Optimizing and Distributing Discounts
KR101337945B1 (ko) 가상머니를 사용하여 가격할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0706A (ko) 수요 및 조건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격을 조정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US20140289012A1 (en) Aggregated sensory profile generation, analytics, and insights
KR20110024505A (ko) 실시간 변동 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