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116A -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116A
KR20170040116A KR1020160173853A KR20160173853A KR20170040116A KR 20170040116 A KR20170040116 A KR 20170040116A KR 1020160173853 A KR1020160173853 A KR 1020160173853A KR 20160173853 A KR20160173853 A KR 20160173853A KR 20170040116 A KR20170040116 A KR 20170040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duct
server
experie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팔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팔리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팔리터
Priority to KR102016017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0116A/ko
Publication of KR2017004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서버가 유저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맞춤조건정보를 포함한 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200);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상품리스트 내에 포함된 특정 상품에 대한 맞춤체험 지원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00); 및 서버가 상기 유저의 기 진행된 맞춤체험에 대한 리뷰 개수, 타인이 리뷰를 읽은 횟수, 리뷰에 대한 타인의 평가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특정기준에 따라 반영하여 맞춤체험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공급 업체들은 샘플 제공 등의 간단한 맞춤체험 이벤트를 통해 홍보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샘플 제공을 통한 유저들의 리뷰 게재로 연속적으로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COMMERCE SERVICE BASED ON EXPERIENCE}
본 발명은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유저의 맞춤조건을 반영하여 상품체험을 제공하고 이를 기반하여 상품의 홍보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소 업체들은 제품을 개발해내어도 홍보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중소 업체들은 오프라인 매장을 만들어 판매를 진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형매장에 입점하는데도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사람들마다 조건이 상이하여 사용 또는 체험을 원하는 상품이 다르다. 즉, 사람들은 성별, 거주지역, 연령, 직업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생활패턴 등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사람들마다 필요하거나 원하는 상품이 다르다. 예를 들어, 사람들마다 피부상태가 상이하다. 사람들의 피부상태를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것을 피부타입이라고 한다. 피부관리를 위해서는 피부 타입에 부합하는 화장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오프라인에서 화장품을 구입시에는 실제로 테스트 해보는 등에 의해 본인의 피부타입에 부합하는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지만, 온라인을 통해 구입하는 경우에는 오프라인에 비해 어려움이 있다.
유저에게 유저의 다양한 맞춤조건에 부합하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며, 유저에게 적합한 상품에 대한 맞춤체험 참여 유도와 맞춤체험에 대한 리뷰 전파를 통해 상품에 대한 연속적인 홍보를 수행하는,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유저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맞춤조건정보를 포함한 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상품리스트 내에 포함된 특정 상품에 대한 맞춤체험 지원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의 기 진행된 맞춤체험에 대한 리뷰 개수, 타인이 상기 리뷰를 읽은 횟수, 상기 리뷰에 대한 타인의 평가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특정기준에 따라 반영하여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품리스트 제공단계는, 상기 서버가 접속한 상기 유저를 인식하고,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와 상기 상품별 맞춤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에 부적합한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적합한 상품을 상기 상품리스트에서 제외, 화면 일측에 부적합정보를 포함, 또는 상기 상품의 선택시 경고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상품리스트 화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 또는 타인이 기재한 리뷰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공유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횟수 또는 공유에 대한 타인의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하여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의 상품평가정보를 종합하여 상품별 또는 업체별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화면 내 순위별 광고 위치에 자동으로 상기 순위에 상응하는 업체 또는 상품의 광고를 입력하여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상기 화면 내 순위별 광고위치는 광고노출수준을 분석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상기 리뷰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상품의 판매사이트 또는 홍보페이지의 링크를 포함한 상기 리뷰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가 지정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이 화장품인 경우,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는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유저피부특성정보에 해당하고, 상기 상품의 맞춤조건정보는 상기 화장품의 사용피부타입정보에 해당하며, 상기 맞춤조건정보 수신단계는,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유저피부특성정보를 수신하여 유저피부타입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화장품특성정보를 수신하여, 사용피부타입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상품 공급 업체들은 샘플 또는 본상품 제공 등의 간단한 맞춤체험 이벤트를 통해 홍보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샘플 또는 본상품 제공을 통한 유저들의 리뷰 게재로 연속적으로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상품 제공 업체들은 서비스 내 리뷰 누적에 의해 실제 상품을 사용해본 유저들의 평가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업체는 상기 리뷰를 통해 상기 상품의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상품의 잠재적소비자에게 실제 유저들의 리뷰를 제공함에 따라 신뢰도를 상승시키고, 상품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넷째, 업체는 유저들이 유저의 맞춤조건에 맞지 않는 상품을 사용함에 따라 이미지가 실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유저들이 SNS를 통해 리뷰를 공유하도록 유도하여, 상품의 홍보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SNS의 특성에 따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도 쉽게 홍보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품에 대한 유저의 평가를 광고 위치 부여에 반영함에 따라, 업체들이 효능이 뛰어난 샘플 또는 성능이 우수한 상품을 제공하는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들은 뛰어난 제품 자체 또는 상기 제품의 샘플을 경험해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상품이 화장품인 경우, 유저들은 서버가 유저피부타입정보와 화장품의 사용피부타입정보를 비교하여 유저에게 부적합한 화장품을 알려주어서, 자신의 피부타입에 부합하는 화장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번째, 상기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상품공급업체는 불필요하게 들어가야 할 마케팅비용과 유통비를 최소화함으로서 소비자에게 더 저렴한 비용에 더 우수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는 서버(100); 유저클라이언트(200); 및 업체클라이언트(300);가 도시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의 연결관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은, 서버; 유저클라이언트; 및 업체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버는 유저의 맞춤체험에 부합하는 상품을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클라이언트에 제공할 화면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이전의 맞춤체험에 대한 참여도(예를 들어, 이전 맞춤체험에 대해 기재한 리뷰 개수), 기재한 리뷰에 대한 타인의 평가 등을 반영하여 맞춤체험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상품이 화장품인 경우, 상기 서버는 유저클라이언트를 통해 수신한 유저피부특성정보를 통해 유저의 유저피부타입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화장품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화장품의 사용이 적합한 피부타입정보(즉, 사용피부타입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화면에 표시할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는 상품리스트 또는 상품정보를 포함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이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에 적합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는 상품 또는 업체의 광고를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는, 통신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는 이동단말기에 해당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ao phone), 모바일 게임기,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Note Book)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고정단말기에 해당하는 데스크 탑 PC, 텔레비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는 유저의 사용자입력을 획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는 유저의 맞춤체험 지원요청을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는 유저피부특성정보와 같은 맞춤조건정보를 획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업체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업체클라이언트는 상품을 주로 사용하는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를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가 상기 상품에 부합하는 맞춤조건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체클라이언트는 화장품의 사용피부타입정보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화장품 관련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업체클라이언트는 상품에 대한 설명을 위해 유저클라이언트에 표시할 상품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서버가 유저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맞춤조건정보를 포함한 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200);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리스트 내에 포함된 특정 상품에 대한 맞춤체험 지원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의 기진행된 맞춤체험에 대한 리뷰 개수, 타인이 상기 리뷰를 읽은 횟수, 상기 리뷰에 대한 타인의 평가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특정기준에 따라 반영하여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서버가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를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다(S100). 상기 맞춤조건은, 유저에게 부합하는 맞춤체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획득하는 조건정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맞춤조건정보는 상기 유저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 피부타입, 직업, 유저의 관심사항(예를 들어, 뷰티, 공연, 여행, 맛집 등), 사용언어 등을 포함하여 유저에게 적합한 맞춤체험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상기 맞춤체험은 유저에게 적합한 샘플제공 등의 특정 상품에 대한 이벤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서버는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유저가 입력한 맞춤조건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서버가 유저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맞춤조건정보를 포함한 상품리스트를 제공한다(S200). 즉, 상기 서버는 상품이 유저에게 적합한 상품인지 유저가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상품을 주로 구입하거나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를 포함한 상품리스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이 화장품인 경우, 서버는 상기 유저가 자신의 피부특성에 부합한 화장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화장품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화장품리스트를 포함한 화면을 유저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리스트 내에 포함된 특정 상품에 대한 맞춤체험 지원요청을 수신한다(S300). 즉, 유저가 유저클라이언트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한 맞춤체험을 확인하고, 맞춤체험 지원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맞춤체험은, 화장품 샘플 제공 또는 특정 화장품의 구입을 위한 할인쿠폰 제공, 특정 전자제품의 사용기회 제공 등의 이벤트가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는 유저의 맞춤체험 지원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를 선정한다(S400). 서버는 상품을 공급하는 업체들의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에 상품의 홍보 관련 사항을 특정기준을 적용하여 반영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상기 유저의 기 진행된 맞춤체험에 대한 리뷰 개수, 타인이 상기 리뷰를 읽은 횟수, 상기 리뷰에 대한 타인의 평가점수 등의 반영요소를 고려하여 맞춤체험 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저가 이미 진행된 화장품 샘플제공 맞춤체험 이벤트에 대한 리뷰를 많이 게재할수록 화장품에 대한 실제 사용자 관점의 평가가 많아져서 화장품에 대한 홍보 효과가 높아지며, 서비스에 대한 홍보 효과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버는 이를 반영하여 맞춤체험에 지원한 유저 중에서 맞춤체험 대상자를 선정한다. 상기 특정기준은 가장 적절한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을 위한 반영요소의 종류 또는 반영요소의 수행수준에 따른 점수 적용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상기 유저의 맞춤체험에 대한 리뷰 개수와 타인이 상기 리뷰를 읽은 횟수 중에서 리뷰 기재가 홍보 효과에 영향력이 더 크므로 점수 부여 비중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 제공단계(S200)는, 상기 서버가 접속한 상기 유저를 인식하고,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와 상기 상품별 맞춤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에 부적합한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적합한 상품을 상기 리스트에서 제외, 화면 일측에 부적합정보를 포함, 또는 상기 상품의 선택시 경고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리스트 화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유저의 조건에 맞지 않는 상품을 맞춤체험으로 제공하면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실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피부 타입에 맞지 않는 화장품을 사용하면 화장품 회사들의 이미지를 실추하게 되어 홍보에 역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더운 나라의 유저에게 패딩점퍼와 같은 겨울 의류 상품의 맞춤체험 이벤트를 제공하면,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서버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유저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를 바탕으로 부적합한 상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된 상품들은 상기 리스트에서 제외되거나, 상품을 선택하는 아이콘 주변과 같은 화면 일측에 부적합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유저가 부적합한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 팝업창 등을 통해 유저의 맞춤조건정보에 부합하지 않는 상품이라는 경고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상기 상품이 어떠한 맞춤조건정보에 부합하지 않는지를 함께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 또는 타인이 기재한 리뷰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공유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횟수 또는 공유에 대한 타인의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에 의한 정보 전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SNS를 통한 상품의 홍보를 유도하고, 이를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버는 유저 또는 타인이 기재한 리뷰의 SNS를 통한 공유 수행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에 의한 서비스 내에서 유저의 SNS계정을 연동하도록 하여, 서버는 유저에 의해 SNS에 리뷰가 공유되면 알림을 제공받아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서버는 리뷰의 공유 횟수 또는 리뷰 공유에 대한 타인의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하여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데이터는 상기 리뷰 공유에 대한 댓글 개수 또는 상기 리뷰 공유에 대한 리액션(예를 들어, 페이스북의 '좋아요')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의 상품평가정보를 종합하여 상품별 또는 업체별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화면 내 순위별 광고 위치에 자동으로 상기 순위에 상응하는 업체 또는 상품의 광고를 입력하여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저는 상기 상품의 샘플을 사용해보는 등의 맞춤체험 이벤트에 참여한 후 또는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한 후에 상품평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서버는 상품평가정보를 반영하여 상품별 또는 업체별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서버는 상기 순위에 따라 유저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화면 내 순위별 광고 위치에 자동으로 상기 순위에 상응하는 업체 또는 상품의 광고를 입력하여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화면 내 순위별 광고위치는 서버가 광고노출수준을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가 화면 상의 광고의 클릭 수의 누적 통계를 산출하여 순위별로 광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광고위치는 팝업에 해당할 수도 있고, 화면상의 광고가 배치될 수 있는 특정한 위치가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상기 리뷰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상품의 판매사이트 또는 홍보페이지의 링크를 포함한 리뷰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가 지정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저들은 맞춤체험에 대해 본인 또는 타인이 기재한 리뷰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상품 판매 업체들의 홍보효과 또는 상품판매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공유되는 리뷰에 상품의 홍보페이지(예를 들어, 커머스 서비스 내의 맞춤체험 이벤트 지원 페이지) 또는 판매사이트의 링크를 포함하여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유저가 지정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의 리뷰 공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품의 판매사이트 또는 홍보페이지의 링크를 리뷰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서버는 상기 생성된 리뷰를 상기 지정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는 업체의 상품을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사람들에게 홍보하며, 사람들이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맞춤체험 지원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맞춤체험이 계속적으로 전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맞춤체험의 전파에 따라 많은 리뷰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품이 화장품인 경우,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는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유저피부특성정보에 해당하고, 상기 상품의 맞춤조건정보는 상기 화장품의 사용피부타입정보에 해당하며, 상기 맞춤조건정보 수신단계(S100)는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유저피부특성정보를 수신하여 유저피부타입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화장품특성정보를 수신하여, 사용피부타입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화장품의 경우 유저의 피부특성정보를 획득하여 피부타입을 파악하고, 화장품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피부타입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는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유저피부특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유저피부특성정보는 유저의 피부타입을 판단하기 위해 서버가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상기 유저피부특성정보는 유저의 서비스 가입 시 입력을 통해 획득될 수 있고, 유저가 맞춤체험 탐색 이전에 입력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유저피부특성정보는 유저의 피부에 특이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 업데이트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즉, 유저피부특성정보는 가입 시부터 계속적인 유저의 입력에 의해서 누적 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버는 유저의 피부상태 변화를 인식할 수 있으며, 유저피부특성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서버는 서버 내 특정기준을 기초로 상기 유저피부특성정보에 상응하는 유저피부타입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피부타입을 소분류(피부타입정보)로 나누고, 상기 유저의 피부특성에 가장 부합하는 피부타입을 결정한다.
그 후,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화장품특성정보를 수신하여, 사용피부타입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특성정보는 상기 화장품의 성분, 효과, 부작용 등의 화장품의 사용자를 판단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말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화장품특성정보를 서버 내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피부타입 중 사용이 적합한 피부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장품의 사용이 적합한 피부타입을 사용피부타입정보라고 한다.
따라서, 리스트 생성 단계(S200)에서, 서버는 화장품 리스트를 생성하면서 상기 유저피부타입정보와 상기 화장품별 사용피부타입정보의 비교를 통해 상기 유저피부타입정보에 부적합한 화장품을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서버는 유저가 유저에게 부적합한 화장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상품 공급 업체들은 샘플 제공 등의 간단한 맞춤체험 이벤트를 통해 홍보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샘플 제공을 통한 유저들의 리뷰 게재로 연속적으로 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상품 제공 업체들은 서비스 내 리뷰 누적에 의해 실제 상품을 사용해본 유저들의 평가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업체는 상기 리뷰를 통해 상기 상품의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상품의 잠재적소비자에게 실제 유저들의 리뷰를 제공함에 따라 신뢰도를 상승시키고, 상품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넷째, 업체는 유저들이 유저의 맞춤조건에 맞지 않는 상품을 사용함에 따라 이미지가 실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유저들이 SNS를 통해 리뷰를 공유하도록 유도하여, 상품의 홍보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SNS의 특성에 따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도 쉽게 홍보가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품에 대한 유저의 평가를 광고 위치 부여에 반영함에 따라, 업체들이 효능이 뛰어난 샘플 또는 성능이 우수한 상품을 제공하는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들은 뛰어난 제품 자체 또는 상기 제품의 샘플을 경험해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상품이 화장품인 경우, 유저들은 서버가 유저피부타입정보와 화장품의 사용피부타입정보를 비교하여 유저에게 부적합한 화장품을 알려주어서, 자신의 피부타입에 부합하는 화장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번째, 상기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상품공급업체는 불필요하게 들어가야 할 마케팅비용과 유통비를 최소화함으로서 소비자에게 더 저렴한 비용에 더 우수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서버 200 : 유저클라이언트
300 : 업체클라이언트

Claims (6)

  1. 서버가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유저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맞춤조건정보를 포함한 상품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상품리스트 내에 포함된 특정 상품에 대한 맞춤체험 지원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의 기 진행된 맞춤체험에 대한 리뷰 개수, 타인이 상기 리뷰를 읽은 횟수, 상기 리뷰에 대한 타인의 평가점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특정기준에 따라 반영하여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리스트 제공단계는,
    상기 서버가 접속한 상기 유저를 인식하고,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와 상기 상품별 맞춤조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에 부적합한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적합한 상품을 상기 상품리스트에서 제외, 화면 일측에 부적합정보를 포함, 또는 상기 상품의 선택시 경고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상품리스트 화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유저 또는 타인이 기재한 리뷰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공유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횟수 또는 상기 공유에 대한 타인의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하여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맞춤체험 대상자 선정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상품평가정보를 종합하여 상품별 또는 업체별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화면 내 순위별 광고 위치에 자동으로 상기 순위에 상응하는 업체 또는 상품의 광고를 입력하여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면 내 순위별 광고위치는 광고노출수준을 분석하여 결정되는,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상기 리뷰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상품의 판매사이트 또는 홍보페이지의 링크를 포함한 상기 리뷰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가 지정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화장품인 경우,
    상기 유저의 맞춤조건정보는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유저피부특성정보에 해당하고,
    상기 상품의 맞춤조건정보는 상기 화장품의 사용피부타입정보에 해당하며,
    상기 맞춤조건정보 수신단계는,
    상기 유저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유저피부특성정보를 수신하여 유저피부타입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업체클라이언트로부터 화장품특성정보를 수신하여 사용피부타입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KR1020160173853A 2016-12-19 2016-12-19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KR20170040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53A KR20170040116A (ko) 2016-12-19 2016-12-19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53A KR20170040116A (ko) 2016-12-19 2016-12-19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513A Division KR20160093157A (ko) 2015-01-28 2015-01-28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116A true KR20170040116A (ko) 2017-04-12

Family

ID=5858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853A KR20170040116A (ko) 2016-12-19 2016-12-19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01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518B1 (ko) * 2017-05-30 2018-06-29 강문영 소셜 피드백 전자책 편집 장치
KR101895001B1 (ko) 2017-07-13 2018-09-05 (주)블루오션소프트 스마트폰기반 쌍방향 라이브방송 커머스 서비스 플랫폼
KR20220137275A (ko) * 2021-04-02 2022-10-12 김학철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541434B1 (ko) * 2022-07-08 2023-06-13 주식회사 스룩 인플루언서와 판매대행사를 연결하는 공동구매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518B1 (ko) * 2017-05-30 2018-06-29 강문영 소셜 피드백 전자책 편집 장치
KR101895001B1 (ko) 2017-07-13 2018-09-05 (주)블루오션소프트 스마트폰기반 쌍방향 라이브방송 커머스 서비스 플랫폼
KR20220137275A (ko) * 2021-04-02 2022-10-12 김학철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541434B1 (ko) * 2022-07-08 2023-06-13 주식회사 스룩 인플루언서와 판매대행사를 연결하는 공동구매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073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branding
US201103073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user or member experience on brands
US201103073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social influence
US118808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ferred review
US11321760B2 (en) Product sales system utilizing product purchase history, product of interest, and customer review of acquaintance
US20120166232A1 (en) Customer managed restaurant information system
US20180293630A1 (en) Electronic computer engines for analytical search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70140789A (ko) 온라인 상품 개별 판매 url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70040116A (ko)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KR102176191B1 (ko) 인맥 신뢰 기반 광고 시스템
US20150178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using offline transaction information
KR20120078837A (ko) 코디네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및 경영관리시스템
KR20190143775A (ko)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KR20180118392A (ko) Sns를 이용한 쇼핑몰 상품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6917348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KR101640120B1 (ko)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37424B1 (ko) 사용자의 구매 및 참여 가능성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Ho et al. Leveraging NFC and LBS technologies to improve user experiences
KR20190056075A (ko)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평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10079078A (ko) 제품 판매 url을 이용한 인플루언서 기반 제품 홍보 플랫폼 및 방법
KR20200097544A (ko) 리셀러들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KR20160093157A (ko) 맞춤체험기반 상품 커머스 서비스 방법
KR20110019529A (ko) 판매 시스템
US20180232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shoppers gaze, implicit interest, identity and social network based information disbursement system & combo de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