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223B1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223B1
KR102510223B1 KR1020210082436A KR20210082436A KR102510223B1 KR 102510223 B1 KR102510223 B1 KR 102510223B1 KR 1020210082436 A KR1020210082436 A KR 1020210082436A KR 20210082436 A KR20210082436 A KR 20210082436A KR 102510223 B1 KR102510223 B1 KR 10251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valve
pipe
refrigerant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247A (ko
Inventor
장지영
송치우
정재화
사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2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2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6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leakage of heat-exchang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배관영역에 다수의 밸브를 포함하는 악세서리를 설치하고, 실내측에서의 냉매누설 여부에 따라 밸브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냉매누설이 발생한 실내기의 운전은 정지하고 냉매누설이 발생하지 않은 실내기는 정상운전 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운전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contro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이에 따라 설정공간(일례로,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에는 압축기 및 외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가 포함되며, 실내기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된다.
냉동사이클이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을 한다. 반면에, 냉동사이클이 난방 운전을 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을 한다.
최근 선진국 등에서 실가스 감축의무화에 따른 냉매 규제 정책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를 대응하기 위해 Low GWP인 A2L계열 미연성 냉매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나 실내에 누설 발생하는 경우 화재등의 우려로 적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냉매가 누설되는 경우 대응책으로는 별도의 차단밸브를 실내측 입출구 배관에 설치하고 누설이 센싱되는 경우 밸브를 잠궈서 실내로 더 이상의 냉매 유입을 차단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진다. 이 경우, 전체 시스템은 정지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과 관련된 선행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
등록특허 10-0661144 (2006년 12월 18일),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검출방법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실내기 측에 냉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실내측으로의 냉매 유입은 차단하고, 이후 시스템은 연속적인 운전을 수행하여 나머지 실내측은 정상적인 운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배관 영역에 다수의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악세서리를 구비하여, 냉매 누설감지시 능동적으로 냉매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과 같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하여 실내기측의 냉매를 실외기측으로 보냄으로써 실내측 누설부위로 냉매 방출을 줄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1대응 운전모드에서 제2대응 운전모드로 전환되고 누설이 발생한 실내기측에서의 냉매 유동을 중지시키고 나머지 실내기들은 정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체 실내기를 기준으로 누설이 발생한 실내기의 비율이 설정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전체 실내기를 정지시킴으로써 냉동 사이클의 응축용량과 증발용량의 차이에 따른 비효율적인 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배관영역에 다수의 밸브를 포함하는 악세서리를 설치하고, 실내측에서의 냉매누설 여부에 따라 밸브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냉매누설이 발생한 실내기의 운전은 정지하고 냉매누설이 발생하지 않은 실내기는 정상운전 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운전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는 기관에 연결되는 제1내부배관과, 액관에 연결되는 제2내부배관 및 상기 제1,2내부배관을 연결하는 제3내부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배관에 밸브를 설치하여 실내기에서의 냉매 유출입과 실내기를 바이패스 하는 냉매의 유동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배관에는 제1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내부배관에는 제2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3내부배관에는 제3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중에 실내측에서의 냉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제1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하여 상기 밸브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실내기의 누설부위에서 냉매 방출을 줄이고 잔여 냉매는 기관 또는 액관을 통하여 실외기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소정의 돌입조건을 충족하면, 제2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하며,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와 다른 밸브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에서, 상기 제1,2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밸브를 폐쇄하여 액관 또는 기관에서의 냉매는 냉매 누설이 발생한 실내기로 유입되지 못하고 제3내부배관을 통하여 바이패스 될 수 있다.
냉매 누설이 발생한 실내기의 비율이 설정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실외기의 용량과 실내기의 용량 차이에 따른 비효율적인 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체 실내기의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팽창장치를 포함하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며, 기관 및 액관을 포함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기로부터 상기 실내기로 유동하는 냉매의 흐름 또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실외기로 유동하는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악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기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제1밸브가 설치되는 제1내부배관; 상기 액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제2밸브가 설치되는 제2내부배관; 및 상기 제1내부배관의 제1분지부로부터 상기 제2내부배관의 제2분지부로 연장하며, 제3밸브가 설치되는 제3내부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제1,2내부배관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관과 상기 제1내부배관을 접속하는 제1접속포트 및 상기 액관과 상기 제2내부배관을 접속하는 제2접속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배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제1실내측 배관; 및 상기 제2내부배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제2실내측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내부배관과 상기 제1실내측 배관을 접속하는 제3접속포트; 및 상기 제2내부배관과 상기 제2실내측 배관을 접속하는 제4접속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1내부배관 중, 상기 제1분지부와 상기 제3접속포트의 사이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제2내부배관 중, 상기 제2분지부와 상기 제4접속포트의 사이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운전모드에 따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수행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3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수행시, 상기 제어부는, 냉매누설 감지센서로부터 냉매 누설이 감지되면 제1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하여 상기 제1,2밸브 중 어느 하나의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밸브를 폐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 수행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돌입조건을 충족하면 제2대응 운전모드를 시작하여 상기 제1,2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돌입조건은, 상기 압축기의 토출압력 또는 상기 실내기측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였거나,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시작한 이후 적산된 시간이 설정시간에 도달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는 다수의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 수행시, 구동되는 전체 실내기 중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의 비율이 설정비율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3 밸브를 모두 폐쇄하고, 상기 구동되는 전체 실내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와,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팽창장치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며 기관 및 액관을 포함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다수의 밸브가 구비되는 악세서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상기 제어방법은,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운전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냉매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실외기로 냉매를 보내주도록 제1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하여 상기 다수의 밸브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제어하고 단계; 및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의 수행 중 기 설정된 돌입조건을 충족하면, 실내기에 입출되는 냉매를 차단하고 상기 실외기측으로 오일을 회수하도록 제2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하여 상기 다수의 밸브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기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제1밸브가 설치되는 제1내부배관; 상기 액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제2밸브가 설치되는 제2내부배관; 및 상기 제1내부배관의 제1분지부로부터 상기 제2내부배관의 제2분지부로 연장하며, 제3밸브가 설치되는 제3내부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방 운전시, 상기 제1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3 밸브를 폐쇄하며, 난방 운전시, 상기 제2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3 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제1,2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돌입조건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사이클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거나,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시작한 이후 적산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는 다수의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 수행시, 구동되는 전체 실내기 중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의 비율이 설정비율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내지 3 밸브를 모두 폐쇄하고, 상기 구동되는 전체 실내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개 이상의 실내기 측에 냉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실내측으로의 냉매 유입은 차단하고, 이후 시스템은 연속적인 운전을 수행하여 나머지 실내측은 정상적인 운전이 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운전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배관 영역에 다수의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악세서리를 구비하여, 냉매 누설감지시 능동적으로 냉매유동을 제어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냉매누설 대응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과 같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하여 실내기측의 냉매를 실외기측으로 보냄으로써 실내측 누설부위로 냉매 방출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1대응 운전모드에서 제2대응 운전모드로 전환되고 누설이 발생한 실내기측에서의 냉매 유동을 중지시키고 나머지 실내기들은 정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실내기를 기준으로 누설이 발생한 실내기의 비율이 설정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전체 실내기를 정지시킴으로써 냉동 사이클의 응축용량과 증발용량의 차이에 따른 비효율적인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 및 악세서리의 연결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방수행시,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방수행시, 제2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난방수행시,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난방수행시, 제2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악세서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 및 악세서리의 연결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실외기(10), 실내기(20) 및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실내기(20)를 연결하는 연결배관(30,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압축기(11)와, 실외 열교환기(13) 및 실외 팽창장치(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의 일측에는 실외 팬(16, 도 3 참조)이 구비되어 외기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13) 측으로 불어주며, 상기 실외 팬(16)의 구동에 의하여 외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15)의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장치(15)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밸브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 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는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실내기(21,22,23,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다수의 실내기(21,22,23,24)의 대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며, 도 1에서는 일 예로, 4개의 실내기(21,22,23,24)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다수의 실내기(21,22,23,24)는, 제1룸(R1)에 설치되는 제 1 실내기(21), 제2룸(R2)에 설치되는 제 2 실내기(22), 제3룸(R3)에 설치되는 제 3 실내기(23) 및 제4룸(R4)에 설치되는 제 4 실내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실내기(20)에는, 실내 열교환기(25) 및 실내 팽창장치(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25)의 일측에는 실내 팬(26, 도 3 참조)이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25) 측으로 불어주며, 상기 실내 팬(26)의 구동에 의하여 실내 공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25)의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장치(27)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밸브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 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룸(R1,R2,R3,R3)에는 냉매 누설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냉매누설 감지센서(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누설 감지센서(80)는 각 룸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관(30,40)은,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기관(30) 및 액 냉매가 유동하는 액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관(30)은 상기 실외기(10)로부터 연장하여 다수의 실내기(21,22,23,2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관(30)은 다수의 실내기(21,22,23,24)로 분지하여 연결되도록 기관 분지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관 분지부(35)는 실내기의 대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관(40)은 상기 실외기(10)로부터 연장하여 다수의 실내기(21,22,23,2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관(40)은 다수의 실내기(21,22,23,24)로 분지하여 연결되도록 액관 분지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관 분지부(45)는 실내기의 대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30,40)에는 실내기(20)로의 냉매 유입 또는 실내기(20)로부터의 냉매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밸브(141,142,143)를 포함하는 악세서리(1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100)에는 상기 기관(30) 및 액관(40)이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악세서리(100)는 상기 연결배관(30,40) 중, 상기 기관 분지부(35) 및 액관 분지부(45)와 상기 실내기(20)의 사이 지점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관(30)을 기준으로, 냉매가 상기 기관 분지부(35)에서 각 실내기(20)로 유입되는 지점에 상기 악세서리(1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액관(40)을 기준으로, 냉매가 상기 액관 분지부(45)에서 각 실내기(20)로 유입되는 지점에 상기 악세서리(1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100)는 실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100)는 다수의 접속포트(111,113,115,117)가 제공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접속포트(111,113,115,117)는 상기 기관(30)에 연결되는 제1접속포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접속포트(111,113,115,117)는 상기 액관(40)에 연결되는 제2접속포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접속포트(111,113,115,117)는 제1실내측배관(51)에 연결되는 제3접속포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측배관(51)은 상기 기관(30)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냉방운전시 상기 실내기(20)에서 증발된 냉매를 배출하여 상기 기관(30)으로 가이드 하는 배관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상기 다수의 접속포트(111,113,115,117)는 제2실내측배관(55)에 연결되는 제4접속포트(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내측배관(55)은 상기 액관(40)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냉방운전시 상기 실내기(20)에서 응축된 냉매를 배출하여 상기 액관(40)으로 가이드 하는 배관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측배관(51) 및 제2실내측배관(55)은 각 실내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100)는 다수의 내부배관(121,12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내부배관(121,122,123)은 상기 제1접속포트(111)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제3접속포트(115)에 연결되는 제1내부배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배관(121)은 상기 기관(30)과 상기 제1실내측배관(51)을 유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내부배관(121,122,123)은 상기 제2접속포트(113)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제4접속포트(117)에 연결되는 제2내부배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배관(122)은 상기 액관(30)과 상기 제2실내측배관(55)을 유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내부배관(121,122,123)은 상기 제1내부배관(121)의 제1분지부(112a)에서 상기 제2내부배관(122)의 제2분지부(122a)로 연장하는 제3내부배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내부배관(123)은 상기 제1,2내부배관(121,122)을 유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대응 운전모드 수행시, 상기 제3내부배관(123)은 기관(30)을 유동한 냉매를 액관(40)으로 바이패스 하거나, 액관(40)을 유동한 냉매를 기관(30)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다.
상기 악세서리(100)는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밸브(141,142,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밸브(141,142,143)는 온/오프 조절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141,142,143)는 상기 제1내부배관(121)에 설치되는 제1밸브(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141)는 상기 제1분지부(112a)와 상기 제3접속부(115) 사이에 위치하는 제1내부배관(121)의 일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141,142,143)는 상기 제2내부배관(122)에 설치되는 제2밸브(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142)는 상기 제2분지부(122a)와 상기 제4접속부(117) 사이에 위치하는 제2내부배관(122)의 일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141,142,143)는 상기 제3내부배관(123)에 설치되는 제3밸브(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밸브(143)는 상기 제3내부배관(123)의 양 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제1분지부(112a)와 상기 제2분지부(122a)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을 온/오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모드에 관한 명령, 일례로 냉방운전 모드 또는 난방운전 모드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간을 적산할 수 있는 타이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이머(220)는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한 이후 경과된 시간을 적산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중에 형성되는 사이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30)는 사이클의 저압을 감지하는 저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압 센서는 각 실내기(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30)는 사이클의 고압을 감지하는 고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압 센서는 실외기(10)의 압축기(11) 토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실내공간에 누설되는 냉매량을 감지하는 냉매누설 감지센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누설 감지센서(80)는 각 실내공간(R1,R2,R3,R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실내측의 냉매누설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출력장치(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240)는 소정의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240)는 소정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는 상기 입력부(210), 타이머(220), 압력 센서(230) 및 냉매누설 감지센서(8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1)의 운전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운전 부품은 압축기(11), 실외 팬(16), 실내 팬(26), 실외 팽창장치(15), 실내 팽창장치(27), 제1~3밸브(141,142,143) 및 출력장치(240)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방수행시,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냉방수행시, 제2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난방수행시,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난방수행시, 제2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매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1)가 온 되고, 운전모드가 인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의 수행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S11).
공기 조화기(1)는 인식된 운전모드에 따라,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S12).
도 7a를 참조하면,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제1,2밸브(141,142)는 개방을 위하여 온 되고 제3밸브(143)는 폐쇄를 위하여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액관(40)을 통하여 제2내부배관(122)으로 유입되고, 제2실내측 배관(55)을 경유하여 실내기(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장치(27)에서 감압되고 실내 열교환기(25)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1실내측 배관(51)을 통하여 상기 제1내부배관(121)으로 유입되며, 기관(30)을 거쳐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된 냉매는 압축기(11)에서 압축되고 실외 열교환기(13)에서 응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이 반복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제1,2밸브(141,142)는 개방되고 제3밸브(143)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의 실내 열교환기(25)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2실내측 배관(55)을 통하여 상기 제2내부배관(122)으로 유입되며, 액관(40)을 거쳐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 팽창장치(15)에서 감압되고 실외 열교환기(13)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11)에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상기 기관(30)을 통하여 제1내부배관(121)으로 유입되고, 제1실내측 배관(51)을 경유하여 실내기(2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이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냉매누설 감지센서(80)를 통하여 실내기에서의 냉매누설이 감지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S13).
상기 냉매누설이 감지된 경우, 운전모드에 따라 제어모습이 달라질 수 있다. 냉방운전을 수행중인 경우, 제1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할 수 있다 (S14,S15).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시작하면, 제1~3밸브(141,142,143)의 제어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밸브(141)는 개방되고 제2밸브(142)는 폐쇄되며, 제3밸브(143)는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팽창장치(27)는 개방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액관(40)의 냉매는 폐쇄된 제2밸브(142)에 의하여 실내기(20)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 내의 잔여 냉매는 제1실내측 배관(51), 제1내부배관(121) 및 기관(30)을 통하여 실외기(10)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여, 실내기(20) 측에서의 냉매 압력은 하강하고 누설된 실내기의 부위에서 냉매 방출은 최소화 될 수 있다. 즉, 실내기(20)에 존재하는 냉매를 실외기(10) 측으로 유동시키면서 냉매의 계속적인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S16).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의 수행 중에, 제2대응 운전모드의 돌입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S17).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의 돌입조건에 관한 제1예는, 제1대응 운전모드의 수행이 시작된 이후 적산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한 이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 내에 잔존하는 냉매는 실외기(20)로 충분히 이동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머(220)에 의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의 돌입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의 돌입조건이 충족되면, 제1,2밸브(141,142)를 폐쇄하여 상기 실내기(20)로부터 실외기(10)로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고, 제3밸브(143)를 개방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2밸브(142)는 폐쇄되었으므로 액관(40)의 냉매는 제2내부배관(122)으로 유입된 후 제2실내측 배관(55)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3내부배관(123)으로 바이패스 하여 제1내부배관(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배관(121)의 냉매는 폐쇄된 제1밸브(141)에 의하여 제1실내측 배관(51)으로 유입되지 않고 기관(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면,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의 입구 및 출구는 폐쇄되어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시스템으로부터 단절될 수 있다. 상기 단절 과정에서 기관(30) 및 액관(40)에는 냉매와 함께 유동하는 오일이 적체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3밸브(143)를 개방하여 기관(30) 및 액관(40)이 제3내부배관(123)을 통하여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오일이 실외기(10)측으로 회수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3밸브(143)는 오일을 회수하기에 적당한 유량계수로 설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밸브(143)의 유량계수는 냉매 유동을 위한 제1,2밸브(141,142)의 유량계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의 수행시, 냉매가 누설한 실내기(20)는 비운전 되지만, 나머지 실내기(20)는 실외기(10)와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정상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의 돌입조건에 관한 제2예는, 제1대응 운전모드의 수행 이후, 사이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10)측에서의 냉매가 실외기(10)로 회수되면서, 실내기(10)측에서의 압력은 하강하고, 하강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 내에 잔존하는 냉매는 실외기(20)로 충분히 이동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10)측에서의 냉매가 실외기(10)로 회수되면서, 실외기(10)에서의 압축기(11) 토출측 고압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상승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 내에 잔존하는 냉매는 실외기(20)로 충분히 이동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여 제2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밸브(141,142)는 폐쇄하고 제3 밸브(143)는 개방함으로써, 누설이 감지된 해당 실내기는 비운전 하고 나머지 실내기들은 정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개방된 제3밸브(143)를 통하여 기관(30) 및 액관(40)에 적체되는 오일은 실외기(10)로 회수될 수 있다 (S18,S19).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가 수행되는 중에, 전체 운전 실내기 중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의 비율이 인식될 수 있다 (S20).
상기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의 비율이 설정비율 이상인 경우, 즉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의 비율이 너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나머지 실내기(20)들만 정상운전 하는 것이 비효율적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왜냐하면, 실외기(10)의 용량 대비 운전된 실내기의 수가 너무 적어 사이클 성능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3밸브(141,142,143)를 모두 폐쇄할 수 있다 (S21,S22).
그리고, 전체 실내기를 정지하고 공기 조화기(1)를 오프하여 시스템을 비운전 할 수 있다 (S23,S24).
실내기(20)에서의 냉매누설 상태정보가 출력장치(24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240)에서의 출력은 S18,S19 단계와 같이 일부 실내기를 비운전 하고 나머지 실내기를 정상운전 하는 경우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고, S23 단계와 같이 전체 실내기가 정지된 경우에도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24).
S14 단계에서, 공기 조화기(1)의 운전모드가 난방운전으로 인식되는 경우, 냉매누설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S25).
상기 난방운전 수행중에 상기 냉매누설이 감지된 경우, 제1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할 수 있다 (S26).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시작하면, 상기 제1밸브(141)는 폐쇄되고 제2밸브(142)는 개방되며, 제3밸브(143)는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팽창장치(27)는 개방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기관(30)의 냉매는 폐쇄된 제1밸브(141)에 의하여 실내기(20)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 내의 잔여 냉매는 제2실내측 배관(55), 제2내부배관(122) 및 액관(30)을 통하여 실외기(10)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여, 실내기(20) 측에서의 냉매 압력은 하강하고 누설된 실내기의 부위에서 냉매 방출은 최소화 될 수 있다. 즉, 실내기(20)에 존재하는 냉매를 실외기(10) 측으로 유동시키면서 냉매의 계속적인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S27).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의 수행 중에, 제2대응 운전모드의 돌입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S28).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의 돌입조건에 관한 제1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대응 운전모드의 수행이 시작된 이후 적산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의 돌입조건에 관한 제2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대응 운전모드의 수행 이후, 사이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의 돌입조건이 충족되면, 제1,2밸브(141,142)를 폐쇄하여 상기 실내기(20)로부터 실외기(10)로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고, 제3밸브(143)를 개방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1밸브(141)는 폐쇄되었으므로 기관(30)의 냉매는 제1내부배관(121)으로 유입된 후 제1실내측 배관(51)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3내부배관(123)으로 바이패스 하여 제2내부배관(1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배관(122)의 냉매는 폐쇄된 제2밸브(142)에 의하여 제2실내측 배관(55)으로 유입되지 않고 액관(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면,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의 입구 및 출구는 폐쇄되어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시스템으로부터 단절될 수 있다. 상기 단절 과정에서 기관(30) 및 액관(40)에는 냉매와 함께 유동하는 오일이 적체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3밸브(143)를 개방하여 기관(30) 및 액관(40)이 제3내부배관(123)을 통하여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오일이 실외기(10)측으로 회수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의 수행시, 냉매가 누설한 실내기(20)는 비운전 되지만, 나머지 실내기(20)는 실외기(10)와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정상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S29,S30).
상기 난방운전시 제2대응 운전모드의 수행시에도, S20~S23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 운전 실내기 중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의 비율이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20)의 비율이 설정비율 이상인 경우, 제1~3밸브(141,142,143)를 모두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실내기를 정지하고 공기 조화기(1)를 오프하여 시스템을 비운전 할 수 있다.
한편, S24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기(20)에서의 냉매누설 상태정보가 출력장치(240)에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악세서리의 일부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악세서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악세서리(100a)는 제1내부배관(121)과 제2내부배관(122)을 연결하는 제3내부배관(123)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제3밸브(143a) 및 캐필러리 튜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내부배관(123)은 제2대응 운전모드 수행시,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배관으로서 냉매 유동을 위한 제1,2내부배관(121,122)과 비교할 때 적은 유량이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실시예와 달리, 제3내부배관(123)에 설치되는 제3밸브(143a)는 제1,2밸브(141,142)와 동일한 유량계수로 설계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관경이 작은 캐필러리 튜브(150)를 설치하여, 제3내부배관(123)의 유량을 줄일 수 있다.
1 : 공기 조화기 10 : 실외기
11 : 압축기 13 : 실외 열교환기
15 : 실외 팽창장치 20 : 실내기
25 : 실내 열교환기 27 : 실내 팽창장치
30 : 기관 40 : 액관
80 : 냉매 누설센서 100 : 악세서리
121,122,123 : 제1~3내부배관 141,142,143 : 제1~3밸브
200 : 제어부 210 : 입력부
220 : 타이머 230 : 압력 센서
240 : 출력장치

Claims (17)

  1.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팽창장치를 포함하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며, 기관 및 액관을 포함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기로부터 상기 실내기로 유동하는 냉매의 흐름 또는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실외기로 유동하는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악세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기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제1밸브가 설치되는 제1내부배관;
    상기 액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제2밸브가 설치되는 제2내부배관; 및
    상기 제1내부배관의 제1분지부로부터 상기 제2내부배관의 제2분지부로 연장하며, 제3밸브가 설치되는 제3내부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운전모드에 따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냉매누설 감지센서로부터 냉매 누설이 감지되면, 제1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하여,
    냉방운전 수행시 상기 제2,3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실내 팽창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난방운전 수행시 상기 제1,3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제1,2내부배관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관과 상기 제1내부배관을 접속하는 제1접속포트 및 상기 액관과 상기 제2내부배관을 접속하는 제2접속포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부배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제1실내측 배관; 및
    상기 제2내부배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제2실내측 배관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내부배관과 상기 제1실내측 배관을 접속하는 제3접속포트; 및
    상기 제2내부배관과 상기 제2실내측 배관을 접속하는 제4접속포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1내부배관 중, 상기 제1분지부와 상기 제3접속포트의 사이 지점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제2내부배관 중, 상기 제2분지부와 상기 제4접속포트의 사이 지점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 수행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돌입조건을 충족하면 제2대응 운전모드를 시작하여 상기 제1,2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입조건은,
    상기 압축기의 토출압력 또는 상기 실내기측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였거나,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시작한 이후 적산된 시간이 설정시간에 도달한 경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다수의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 수행시, 구동되는 전체 실내기 중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의 비율이 설정비율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3 밸브를 모두 폐쇄하고, 상기 구동되는 전체 실내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공기 조화기.
  12.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와,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팽창장치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며 기관 및 액관을 포함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다수의 밸브가 구비되는 악세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악세서리는, 상기 기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제1밸브가 설치되는 제1내부배관; 상기 액관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제2밸브가 설치되는 제2내부배관; 및 상기 제1내부배관의 제1분지부로부터 상기 제2내부배관의 제2분지부로 연장하며, 제3밸브가 설치되는 제3내부배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운전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냉매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실외기로 냉매를 보내주도록 제1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하여 상기 다수의 밸브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의 수행 중 기 설정된 돌입조건을 충족하면, 실내기에 입출되는 냉매를 차단하고 상기 실외기측으로 오일을 회수하도록 제2대응 운전모드에 돌입하여 상기 다수의 밸브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냉방 운전시,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실내 팽창장치를 개방하고 상기 제2,3 밸브를 폐쇄하며,
    난방 운전시, 상기 제2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3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제1,2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입조건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사이클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거나, 상기 제1대응 운전모드를 시작한 이후 적산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한 경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다수의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응 운전모드 수행시, 구동되는 전체 실내기 중 냉매가 누설된 실내기의 비율이 설정비율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내지 3 밸브를 모두 폐쇄하고, 상기 구동되는 전체 실내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210082436A 2021-06-24 2021-06-24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1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36A KR102510223B1 (ko) 2021-06-24 2021-06-24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36A KR102510223B1 (ko) 2021-06-24 2021-06-24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47A KR20230000247A (ko) 2023-01-02
KR102510223B1 true KR102510223B1 (ko) 2023-03-16

Family

ID=8492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436A KR102510223B1 (ko) 2021-06-24 2021-06-24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7957A (ko) * 2023-01-26 202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5368A (ja) * 2011-04-01 2012-11-08 Toshiba Corp 冷媒漏洩防止機能を有する冷凍機システム
JP2020122646A (ja) * 2019-01-31 2020-08-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965A (ko) * 2012-11-02 201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5368A (ja) * 2011-04-01 2012-11-08 Toshiba Corp 冷媒漏洩防止機能を有する冷凍機システム
JP2020122646A (ja) * 2019-01-31 2020-08-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47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9500B2 (ja) 冷凍装置
US6655161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306449B2 (ja) 空気調和装置
US7272943B2 (en) Control method for multiple heat pump
JP7082098B2 (ja) 熱源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KR101706865B1 (ko) 공기조화기
WO2007013345A1 (ja) 冷凍装置
JP2003130482A (ja) 空気調和装置
KR102510223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EP3961126B1 (en) Multi-air conditioner for heating and cooling operations
KR19990081638A (ko) 멀티형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3143142B2 (ja) 冷凍装置
KR100764707B1 (ko) 히트펌프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상모드 제어방법
KR10132975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739487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527214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68061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방법
KR101416934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696712B1 (ko) 멀티 에어컨의 압축기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2422010B1 (ko) 냉난방 멀티 공기조화기
KR100382911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JPH03122460A (ja) 冷凍装置の運転制御装置
KR10130088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KR20050074133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1693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