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266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266B1
KR102509266B1 KR1020150179046A KR20150179046A KR102509266B1 KR 102509266 B1 KR102509266 B1 KR 102509266B1 KR 1020150179046 A KR1020150179046 A KR 1020150179046A KR 20150179046 A KR20150179046 A KR 20150179046A KR 102509266 B1 KR102509266 B1 KR 102509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bottom plate
dispose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101A (ko
Inventor
송민철
서동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266B1/ko
Priority to US15/378,862 priority patent/US10705361B2/en
Publication of KR2017007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얼라인 마크가 배치된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얼라인 마크와 대응하는 얼라인 홀이 있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바텀 플레이트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을 둘러싸고, 얼라인 홀이 있는 제2 영역을 갖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측벽부 및 얼라인 홀을 둘러싸도록 베이스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네로우 베젤을 구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바텀 플레이트에 배치된 얼라인 홀을 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돌출부가 둘러싸도록 하여, 얼라인 홀이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과 바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스얼라인(misalign)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면서 바텀 플레이트와 액정 표시 패널 간의 미스얼라인(misalign)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킴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표시 장치이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 바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인 바텀 플레이트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상을 갖고, 바텀 플레이트 내에 광원, 도광판, 반사판, 복수의 광학 시트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배치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 상에 액정 표시 패널이 배치되며,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패널이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 상부에서 액정 표시 패널을 바라보았을 때, 바텀 플레이트의 일부분, 특히, 측벽 부분이 시인될 수 있다. 이에, 액정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커버 글라스에는 바텀 플레이트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층이 배치되고, 차광층은 적어도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바텀 플레이트 부분을 가릴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는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성능과 가치를 높이기 위한 요소로써 화질, 응답 속도 및 명암비 등의 기능적인 요소들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장치의 외형적인 요소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경량 및 박형인 동시에 표시 영역은 넓게 그리고 표시 영역 이외의 비표시 영역인 베젤(Bezel) 영역은 가능한 작게 형성하는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이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글라스에 차광층이 배치되는 경우, 차광층이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져야 하므로, 네로우 베젤을 구현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네로우 베젤을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하나는 액정 표시 패널의 하면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바텀 플레이트의 면적을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바텀 플레이트는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고,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 상에 액정 표시 패널이 배치되도록 하여 커버 글라스에 배치되어야 하는 차광층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패널 상부에서 액정 표시 패널을 바라보았을 때 바텀 플레이트가 액정 표시 패널에 가려지도록 액정 표시 패널이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 상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바텀 플레이트가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광층이 차지하던 폭을 줄일 수 있어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시,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 상에 액정 표시 패널을 배치시키는 과정에서 바텀 플레이트와 액정 표시 패널을 얼라인(align)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이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었으므로, 별도의 얼라인 공정 없이 바텀 플레이트 내에 액정 표시 패널을 삽입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 상에 액정 표시 패널이 배치된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위치에 액정 표시 패널을 정확히 배치시키기 위한 얼라인 공정이 사용되어야 한다. 바텀 플레이트와 액정 표시 패널 사이에 미스얼라인이 발생하게 되면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패널의 배치가 맞지 않아 백라이트 유닛에서 방출되는 빛의 빛샘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화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텀 플레이트에 얼라인 홀을 배치하고 액정 표시 패널에 얼라인 마크를 배치하여, 얼라인 마크와 얼라인 홀이 대응되도록 바텀 플레이트와 액정 표시 패널을 얼라인시키는 방식으로 바텀 플레이트 상에 액정 표시 패널을 배치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텀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물질과 바텀 플레이트의 구조 상의 문제로 인해 얼라인 마크와 얼라인 홀의 미스얼라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바텀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바텀 플레이트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에서 방출되는 빛이 바텀 플레이트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빛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텀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바텀 플레이트의 내측에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몰드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몰드는 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이루어져 상술한 바와 같은 빛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바텀 플레이트에 배치된 얼라인 홀은 몰드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몰드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몰드를 관통하여 얼라인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얼라인 홀을 둘러싸는 몰드의 내부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몰드의 내부 표면에 버(burr)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얼라인 홀을 둘러싸는 몰드의 내부 표면이 얼라인 홀마다 상이한 형상을 갖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얼라인 홀 내부에 형성된 버(burr) 또는 요철로 인해 얼라인 홀의 형상이 예상하지 못한 형상으로 변하거나, 얼라인 홀의 형상이 불균일함에 따라, 얼라인 홀과 얼라인 마크를 사용한 얼라인 공정에서 바텀 플레이트와 액정 표시 패널 간의 미스얼라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바텀 플레이트에 배치된 얼라인 홀의 형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바텀 플레이트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텀 플레이트에 배치된 얼라인 홀이 정확하고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바텀 플레이트와 액정 표시 패널을 합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스얼라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얼라인 마크가 배치된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고, 얼라인 마크와 대응하는 얼라인 홀이 있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바텀 플레이트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을 둘러싸고, 얼라인 홀이 있는 제2 영역을 갖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측벽부 및 얼라인 홀을 둘러싸도록 베이스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돌출부에 의해 얼라인 홀이 정의되도록 함으로써 얼라인 홀의 형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패널과 바텀 플레이트 간의 미스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영역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측벽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얼라인 홀을 제외한 제2 영역에 배치된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 부재는 광 흡수성 물질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 부재는 접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와 차광 부재 상에 배치된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접착 테이프에 의해 액정 표시 패널과 바텀 플레이트가 본딩될 수 있다.
돌출부는 베이스부와 차광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 홀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얼라인 홀을 정의하는 삽입 부재일 수 있다.
돌출부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는 중앙에 얼라인 홀이 배치된 원기둥 형상 및 다각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는 베이스부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의 돌출 높이는 측벽부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은 제1 기판, 제1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제1 기판 아래에 배치된 제1 편광판 및 제2 기판의 상에 배치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제1 편광판은 제1 기판의 일부 영역에만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얼라인 마크는 제1 기판의 일부 영역에 인접한 제1 기판의 다른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하부의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텀 플레이트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바텀 플레이트에서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차광 부재 및 액정 표시 패널과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 홀을 갖고, 차광 부재가 얼라인 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얼라인 홀이 불균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방지하도록 얼라인 홀을 직접 둘러싸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얼라인 홀이 정의된 돌출부가 바텀 플레이트와 일체화되어 배치됨으로써 제조 공정 시 추가 공정 없이 바텀 플레이트의 구조 변경만으로도 얼라인 홀의 형상 변화가 억제될 수 있고, 액정 표시 패널과 바텀 플레이트 간의 미스얼라인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와 차광 부재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돌출부와 바텀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는 얼라인 홀 형상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강성(rigid)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 부재는 광 흡수성 물질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의 일 면의 면적은 네로우 베젤 구현을 위해 액정 표시 패널의 일면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강성 재질을 갖고 얼라인 홀을 정의하는 삽입 부재를 바텀 플레이트에 배치된 삽입 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얼라인 홀을 배치시킴으로써, 얼라인 홀의 형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액정 표시 패널과 바텀 플레이트를 합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스얼라인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텀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가 중앙에 얼라인 홀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균일하고 매끄러운 형상을 갖는 얼라인 홀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과 바텀 플레이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얼라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얼라인 마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얼라인 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돌출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는 액정 표시 패널(110), 편광판(120), 백라이트 유닛(130), 바텀 플레이트(140), 차광 부재(150) 및 접착 테이프(16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착 테이프(16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액정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 제1 기판(111)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112) 및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113)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13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패널(110)에는 바텀 플레이트(140)와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 마크가 배치된다. 보다 명확하게, 얼라인 마크는 제1 기판(111)에 배치된다. 이때, 얼라인 마크가 배치된 제1 기판(111)의 영역은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얼라인 마크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편광판(120)은 제2 기판(112)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편광판(121) 및 제1 기판(111)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편광판(122)을 포함한다. 하부 편광판(122)은 백라이트 유닛(13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편광시켜 제1 기판(111)으로 제공하고, 상부 편광판(121)은 제2 기판(112)을 통과한 빛을 편광시켜 외부로 방출한다. 하부 편광판(122)은 제1 기판(111)의 하부면의 전면(全面)에 배치되지 않고 일부 영역에만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130)은 액정 표시 패널(110)에 광을 제공하여 액정 표시 패널(110)을 통해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백라이트 유닛(130)은 광원부(131), 도광판(132), 반사판(133) 및 복수의 광학 시트(134)를 포함한다.
광원부(131)는 광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광을 도광판(132)에 조사한다. 광원부(131)는 도광판(132)의 일 측면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도 1에서는 광원부(131)가 도광판(132)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엣지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원부(131)는 도광판(132)의 하측에 배치되는 직하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광원부(131)는 회로 기판에 복수의 광원이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ssion Diode; LED),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및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광판(132)은 광원부(1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도광판(132)은 광원부(131)로부터 조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액정 표시 패널(110)에 전달되도록 한다. 도광판(132)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광판(132)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을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광판(132)은 강성(rigid)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렉서블(flexible)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광판(1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일 수도 있고, 쐐기 형태일 수도 있다.
반사판(133)은 도광판(132)의 하측에 배치된다. 반사판(133)은 광원부(131)에서 방출되어 도광판(132)의 하측으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킨다. 반사판(133)은 반사성 물질,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광학 시트(134)는 도광판(132)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광학 시트(134)는 광원부(131)로부터 발생된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복수의 광학 시트(134)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보호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open)된 박스(box) 형상을 갖고, 백라이트 유닛(130)을 수납한다. 바텀 플레이트(140)는 강성을 갖는 금속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플레이트(140)는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텀 플레이트(140)는 강성을 갖는 비금속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텀 플레이트(140)는 백라이트 유닛(130)이 배치되는 베이스부(141), 베이스부(141)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부(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측벽부(142)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부(141)와 측벽부(142)는 서로 수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텀 플레이트(140)의 베이스부(141)와 측벽부(142)가 이루는 각도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41)는 제1 영역(141a) 및 제1 영역(141a)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2 영역(141b)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영역(141a)은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과 대응될 수 있고, 제2 영역(141b)은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액정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과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역(141a)에는 백라이트 유닛(130)이 배치된다. 또한, 제2 영역(141b)에는 얼라인 홀(AH)을 갖는 돌출부(143) 및 차광 부재(150)가 배치된다. 바텀 플레이트(140)의 돌출부(143)는 얼라인 홀(AH)을 갖는 별도의 삽입 부재가 바텀 플레이트(140)에 삽입되거나 바텀 플레이트(140) 및 차광 부재(150) 둘 모두에 삽입되어 배치된 것인데,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광 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41)의 제2 영역(141b)에 배치되고, 측벽부(142)와 백라이트 유닛(13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차광 부재(150)는 제2 영역(141b)에서 측벽부(142)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차광 부재(150)는 바텀 플레이트(140)의 측벽부(14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측벽부(142)의 높이(h1)는 베이스부(141)의 상면으로부터 측벽부(142)가 돌출된 높이를 의미한다. 차광 부재(150)의 높이(h2)가 측벽부(142)의 높이(h1)와 동일함에 따라, 바텀 플레이트(140)와 액정 표시 패널(120) 사이에 접착 테이프(160)가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150)는 광 흡수성 물질이 포함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부재(150)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이 포함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 부재(150)가 광 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130)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바텀 플레이트(140)의 측벽부(142)에서 반사되어 발생할 수 있는 빛샘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110)과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바텀 플레이트(140)의 일 면, 예를 들어, 상면의 면적은 액정 표시 패널(110)의 일 면, 예를 들어, 하면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110)이 바텀 플레이트(140)에 수납되지 않고, 바텀 플레이트(140)의 측벽부(14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패널(110) 상부에서 바텀 플레이트(140)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바텀 플레이트(140)의 크기가 액정 표시 패널(110)의 크기와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텀 플레이트(140)의 크기가 액정 표시 패널(110)의 크기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접착 테이프(160)는 편광판(120)이 배치된 액정 표시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30)이 수납된 바텀 플레이트(140) 사이에 개재된다. 접착 테이프(160)는 양면 테이프로서, 바텀 플레이트(140)의 측벽부(142)와 차광 부재(150) 상에 배치되어 액정 표시 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30)을 본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에서는 접착 테이프(160)가 바텀 플레이트(140)의 측벽부(142)와 차광 부재(15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에 따라 측벽부(142) 상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구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한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얼라인 마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얼라인 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액정 표시 장치(100)의 바텀 플레이트(140), 차광 부재(150) 및 백라이트 유닛(130)만을 도시하였다. 도 4는 하부 편광판(122)이 배치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바텀 플레이트(140)의 하부에서 바텀 플레이트(140)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텀 플레이트(140)의 돌출부(143)는 바텀 플레이트(140)의 삽입 홀(IH)에 별도의 삽입 부재가 삽입되어 배치된 것이다. 다시 말해, 돌출부(143)는 베이스부(141) 및 측벽부(142)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다. 이때, 돌출부(143)의 돌출 높이(h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플레이트(140)의 베이스부(141)를 기준으로 바텀 플레이트(140)의 측벽부(142) 높이(h1)와 동일하다.
삽입 홀(IH)은 베이스부(141)의 제2 영역(141b) 중 모서리 부근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삽입 홀(IH)은 액정 표시 패널(110)에 배치된 얼라인 마크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삽입 홀(IH)의 직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 홀(AH)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차광 부재(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43)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차광 부재(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접착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홀(IH)을 통해 삽입되어 배치된 돌출부(143)는 차광 부재(15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차광 부재(150)의 접착성 물질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43)는 강성(rigid)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43)는 베이스부(141) 및 측벽부(142)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43)는 중앙이 관통된 형상을 갖는다. 즉, 돌출부(143)는 중앙부에 배치된 얼라인 홀(AH)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는 강성 재질로 이루어진 돌출부(143)를 삽입 홀(IH)에 삽입하는 형태로 얼라인 홀(AH)을 배치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100) 제조 공정에서 얼라인 홀(AH)의 형상이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돌출부(143)가 모든 얼라인 홀(AH)을 제조할 때 적용되므로, 얼라인 홀(AH)은 항상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액정 표시 패널(110)과 바텀 플레이트(140)를 본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스얼라인을 억제할 수 있다.
돌출부(143)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43)의 다양한 형상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돌출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41) 및 측벽부(142)와 별도로 배치되는 돌출부(143)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43)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 6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143)는, 도시한 형상 외에 다양한 다각 기둥 형상, 예를 들어, 오각 기둥 형상 또는 육각 기둥 형상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43)의 중앙에 배치되는 얼라인 홀(AH)의 형상은 돌출부(14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얼라인 홀(AH)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3)와 동일한 형상인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3)와 동일한 형상인 삼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3)와 동일한 형상인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출부(143)의 형상과 얼라인 홀(AH)의 형상이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3)의 형상은 사각 기둥인데, 얼라인 홀(AH)의 형상은 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얼라인 홀(AH)은 제1 기판(111)에 배치된 얼라인 마크(AM)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얼라인 홀(AH)의 크기는 얼라인 마크(AM)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는 자동화된 얼라인 장치를 이용하여 얼라인 홀(AH)과 얼라인 마크(AM)가 서로 대응되도록 액정 표시 패널(110)과 바텀 플레이트(140)를 얼라인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얼라인 마크(AM)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편광판(122)이 배치된 제1 기판(111)의 일부 영역에 인접한 다른 영역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얼라인 마크(AM)는 제1 기판(111)의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라인 마크(AM)는 제1 기판(111)에 블랙 잉크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기판(111)에 금속 배선 형성 시 동시에 형성되어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얼라인 홀(AH)의 배치 과정, 즉, 돌출부(143)를 배치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바텀 플레이트(140)의 베이스부(141)의 제2 영역(141b)에 차광 부재(150)를 배치시킨 후, 베이스부(141)의 제2 영역(141b)의 일부와 차광 부재(150)를 함께 관통하는 삽입 홀(IH)을 형성한다. 이어서, 얼라인 홀(AH)을 갖는 삽입 부재인 돌출부(143)를 삽입 홀(IH)에 삽입하면 균일한 형상을 가진 얼라인 홀(AH)을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과 다르게 바텀 플레이트(140)의 베이스부(141)의 제2 영역(141b)의 일부 영역에만 먼저 삽입 홀(IH)을 형성하고, 얼라인 홀(AH)을 갖는 별도의 돌출부(143)를 삽입 홀(IH)에 삽입하여 돌출부(143)를 배치한다. 이후, 돌출부(143)가 배치된 베이스부(141)의 제2 영역(141b)에 사출 공정을 통해 차광 부재(150)를 형성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차광 부재(150)가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베이스부(141)와 돌출부(143)는 별도의 접착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차광 부재를 통해 서로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바텀 플레이트의 베이스부와 차광 부재를 관통하여 얼라인 홀이 배치되고, 차광 부재의 물질로 인해 차광 부재 내부에 발생되는 버(burr) 등으로 인해 액정 표시 패널과 바텀 플레이트 간의 미스얼라인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는 바텀 플레이트(140)의 베이스부(141)와 차광 부재(150)를 관통하여 배치된 삽입 홀(IH)을 종래에 형성된 얼라인 홀보다 크게 배치하고, 강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얼라인 홀(AH)이 정의된 별도의 삽입 부재를 삽입 홀(IH)에 삽입하여 돌출부(143)를 배치함으로써, 얼라인 홀(AH)의 형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110)과 바텀 플레이트(140) 간의 미스얼라인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는 바텀 플레이트(140)의 베이스부(141)의 제2 영역(141b)에서 측벽부(142)와 접촉하도록 차광 부재(150)를 배치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30)에서 방출되는 광이 반사되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는 차광 부재(150)가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고, 돌출부(143)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돌출부(143)를 별도의 고정 부재를 사용함이 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는 바텀 플레이트(140)의 일 면의 면적이 액정 표시 패널(110)의 일 면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배치하고, 접착 테이프(160)를 통해 서로 본딩되도록 함으로써,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바텀 플레이트(240)의 돌출부(243)의 형상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돌출부(243)는 바텀 플레이트(240)와 일체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돌출부(243)는 바텀 플레이트(240)의 베이스부(241)로부터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또한, 돌출부(243)의 높이(h4)는 바텀 플레이트(240)의 베이스부(241)를 기준으로 바텀 플레이트(240)의 측벽부(242) 높이(h5)와 동일하다. 이때, 측벽부(242)의 높이(h5)는 베이스부(141)의 상면으로부터 측벽부(242)가 돌출된 높이를 의미한다. 돌출부(243)의 중앙에는 얼라인 홀(AH)이 배치된다. 얼라인 홀(AH)은 액정 표시 패널(110)의 얼라인 마크(AM)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00)는 돌출부(243)를 바텀 플레이트(240)와 일체로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삽입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200)의 형성 공정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00)는 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텀 플레이트(240)와 일체로 배치되되, 얼라인 홀(AH)을 갖도록 돌출부(243)를 배치함으로써 얼라인 홀(AH)의 형상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액정 표시 장치
110: 액정 표시 패널
111: 제1 기판
112: 제2 기판
113: 액정층
120: 편광판
121: 상부 편광판
122: 하부 편광판
130: 백라이트 유닛
131: 광원부
132: 도광판
133: 반사판
134: 광학 시트
140, 240: 바텀 플레이트
141, 241: 베이스부
141a, 241a: 제1 영역
141b, 241b: 제2 영역
142, 242: 측벽부
143, 243: 돌출부
150: 차광 부재
160: 접착 테이프
AH: 얼라인 홀
IH: 삽입 홀
TH: 관통 홀
AM: 얼라인 마크

Claims (16)

  1. 얼라인 마크가 배치된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고,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얼라인 마크와 대응하는 얼라인 홀이 있는 제2 영역을 갖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 측벽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바텀 플레이트; 및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돌출부는, 상기 얼라인 홀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광 부재 내에 개재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광 흡수성 물질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차광 부재 상에 배치된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가 본딩된(bonded),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차광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 홀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얼라인 홀을 정의하는 삽입 부재인,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중앙에 상기 얼라인 홀이 배치된 원기둥 형상 및 다각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구성된, 액정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측벽부의 높이와 동일한, 액정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아래에 배치된 제1 편광판;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편광판은 상기 제1 기판의 일부 영역에만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부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1 기판의 다른 일부 영역에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
  12. 액정 표시 패널, 상기 액정 표시 패널 하부의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서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측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 홀을 갖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상기 얼라인 홀이 불균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얼라인 홀을 둘러싸도록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베이스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광 부재 내에 개재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차광 부재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얼라인 홀 형상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강성(rigid) 재질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광 흡수성 물질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일 면의 면적은 네로우 베젤 구현을 위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일 면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액정 표시 장치.
KR1020150179046A 2015-12-15 2015-12-15 액정 표시 장치 KR102509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46A KR102509266B1 (ko) 2015-12-15 2015-12-15 액정 표시 장치
US15/378,862 US10705361B2 (en) 2015-12-15 2016-12-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46A KR102509266B1 (ko) 2015-12-15 2015-12-15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101A KR20170071101A (ko) 2017-06-23
KR102509266B1 true KR102509266B1 (ko) 2023-03-10

Family

ID=5901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046A KR102509266B1 (ko) 2015-12-15 2015-12-15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05361B2 (ko)
KR (1) KR102509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746B1 (ko) * 2017-08-29 2021-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9070734A (ja) * 2017-10-10 2019-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0082951A (zh) * 2018-01-25 2019-08-02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TWI702580B (zh) * 2018-01-25 2020-08-2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CN109031756A (zh) * 2018-08-01 2018-12-1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10802326B2 (en) * 2018-10-30 2020-10-1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erminal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CN111381390A (zh) * 2018-12-29 2020-07-07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
CN109742050B (zh) 2019-01-03 2022-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及对位方法、设备
US11555951B2 (en) 2019-06-24 2023-01-17 E Ink Holdings Inc.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CN111007678A (zh) * 2019-10-31 2020-04-14 深圳市德仓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框体及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010B2 (ja) * 1998-11-05 2000-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KR101183374B1 (ko) * 2005-06-27 2012-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49417A (ko) * 2005-11-08 2007-05-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모듈
KR101309348B1 (ko) 2006-12-26 2013-09-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모듈
KR20080082854A (ko) * 2007-03-09 2008-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소자
KR101265040B1 (ko) * 2010-04-27 2013-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6280B1 (ko) * 2013-11-11 2020-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0296B1 (ko) * 2013-12-02 2020-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9933563B2 (en) * 2014-05-23 2018-04-03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160096775A (ko) * 2015-02-05 2016-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05361B2 (en) 2020-07-07
US20170168344A1 (en) 2017-06-15
KR20170071101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266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61878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36027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device
US20170322443A1 (en) Display apparatus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65668A (ko) 액정표시장치
US20120281153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9690040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US20150163928A1 (en) Display apparatus
KR10196954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30434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50002782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0136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64465B1 (ko) 액정표시장치
US10281765B2 (en) Backlight unit provided with supporter of light source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ppor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US9658390B2 (en) Light source cover including groove an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light source cover
KR102032753B1 (ko) 베젤이 최소화된 액정표시소자
US9519098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002502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6520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40020463A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93743B1 (ko) 빛샘이 방지된 액정표시소자
KR20130020473A (ko) 빛샘이 방지된 액정표시소자
JP2017021228A (ja) 表示装置
KR102484865B1 (ko) 표시장치
KR1024187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