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617B1 -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617B1
KR102508617B1 KR1020220052215A KR20220052215A KR102508617B1 KR 102508617 B1 KR102508617 B1 KR 102508617B1 KR 1020220052215 A KR1020220052215 A KR 1020220052215A KR 20220052215 A KR20220052215 A KR 20220052215A KR 102508617 B1 KR102508617 B1 KR 10250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ansport
information
fee
rout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문현
Original Assignee
경동물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동물류(주) filed Critical 경동물류(주)
Priority to KR102022005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서버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제1 영업소에서 입력된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TO MANAGE FREIGHT TRANSPORT}
본 발명은 화물 운송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특정 물건을 특정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배송하는 택배 서비스는 그 거래량이 방대한 만큼 필수적인 서비스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을 통한 인터넷 쇼핑이 대중화되면서, 택배 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소비자가 쇼핑몰에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을 신청하면서 상품 구입 대금을 지불하면, 판매 업체는 택배 업체로 상품 송달을 의뢰하고, 택배 업체는 의뢰받은 상품을 수집한다. 집산지에서 수집된 상품은 배달지 집하장으로 운송되고 배달지 집하장으로 운송된 상품을 분류하여 배달지의 각 소단위 점포(대리점, 협력 업체 혹은 지점)로 빠른 시간 내에 배송된다.
이와 같이 배송 업체는 화물을 배송하기 위해 복수의 거점을 거쳐 화물을 배송할 수 있다. 배송 업체들은 배송을 위한 프로세스를 체계화하여 화물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송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94597 에서는, 화물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물의 배송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물의 보다 신속한 배송을 위하여 화물의 배송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획일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화물의 운송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화물 자동차의 운행 노선을 발송 지점에서 도착지 지점 및 고객에게 이르는 구간을 복수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운송함으로써, 운행 절차를 간소화하여 운송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운행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화물의 노선 유형을 기반으로, 화물의 운행 노선에 적합한 차량을 스케줄링하여 화물의 운송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화물의 운송과 관련하여, 노선 유형 및 운송 차량 정보 등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운송 프로세스에 연관된 사용자들이 전자기기를 통해 직접 모니터링하기 위한 화물 운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화물의 배송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경우 배송 완료일의 익일까지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일괄적으로 배송 수수료를 정산하기 위한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복수의 주체에게 배송 수수료를 정산하기에 앞서, 수수료 정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발생을 미리 검출 및 분석하여 배송 수수료를 정산하기 위한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은, 서버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제1 영업소에서 입력된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 운송 지역 정보, 터미널의 위치 정보 및 화물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노선 유형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화물량을 기준으로 상기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운송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추천 노선 유형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송 히스토리 정보는, 특정 과거 시점부터 기준 시점까지 누적된 화물의 노선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 내역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 중 최종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운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사용자들에게 전자기기를 통해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전자기기를 통해 상기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운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사용자들의 전자기기를 통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서버로부터 수신된 배송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으로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배송 데이터에서 배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복수의 주체 별로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주체에게 각각 수수료를 정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수수료 분배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분배 데이터를 재저장하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를 수정하도록 상기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수료를 정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업데이트된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주체에게 각각 수수료를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은, 서버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제1 영업소에서 입력된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운송 데이터 및 상기 운송 화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서버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제1 영업소에서 입력된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화물 자동차의 운행 노선을 발송 지점에서 도착지 지점 및 고객에게 이르는 구간을 복수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운송함으로써, 운행 절차를 간소화하여 운송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운행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화물의 노선 유형, 화물의 운송 노선 및 화물량 정보 등을 기반으로 화물의 운송에 적합한 차량을 지정하여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운송 프로세스에 연관된 사용자들이 자신의 전자기기를 통해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기 설정된 기준으로 필터링된 화물의 배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물의 배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복수의 주체 별로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수수료 분배 데이터에 따라 배송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화물의 배송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경우 배송 완료일의 익일까지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일괄적으로 지급함으로써 신속하게 복수의 주체에게 배송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복수의 주체에게 배송 수수료를 정산하기에 앞서, 수수료 정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발생을 미리 검출 및 분석하여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복수의 주체에게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의 운송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에서의 연계차(연계 차량 또는 화물 자동차)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에서 분류한 노선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운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에서 배송이 완료된 후 복수의 주체에 대해 수수료의 정산을 수행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을 통해 발송 지점 영업소(제1 영업소)로부터 운송 화물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을 통해 작성된 운송 화물 정보를 출력하는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을 통해 회수 요청된 화물에 대한 운송 화물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화물 차량(또는 운송 차량)의 발송 지점에서 도착지 지점 및 고객에게 이르는 구간의 운행 노선을 복수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운송함으로써, 운행 절차를 간소화하여 운송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운행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운송 노선 관리 시스템, 화물 배송 관리 시스템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물의 운송(또는 배송) 프로세스는, 고객이 택배 업체로 화물의 송달을 의뢰하고, 택배 업체는 의뢰받은 화물을 발송 지점 영업소를 통해 집화 처리 작업(310)을 수행하고, 화물을 관리하기 위한 운송 화물 정보를 생성(311)한다. 그리고 택배 업체는, 집화 처리된 화물을 운송 차량(또는 연계차)을 이용(320)하여 분류센터(터미널)까지 운송(330)한다. 분류센터(터미널)에서는 각 권역, 지역, 도착 지점(영업소)별 분류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분류센터(터미널)에서 지정 지역별로 분류한 화물들을 운송 차량(또는 노선차)에 상차(340)하여, 지정 지역의 분류센터(터미널)로 운송(350)한다. 분류센터(터미널)에서 운송 차량(또는 연계차)를 이용(360)하여 도착 지점 영업소로 운송(370)한다. 마지막으로 택배 업체는, 도착 지점(영업소)에 도착한 택배를 목적지로 배송하여 고객에게 전달(380)할 수 있다. 다만, 화물의 발송지와 도착지 위치 정보 또는 발송지와 도착지 사이의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설명한 단계는 생략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나아가 택배 업체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발송 지점 영업소, 화물 자동차(또는 화물 운송 차량), 분류센터, 도착 지점 영업소 등을 운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복수의 주체에게 각각 지정된 수수료를 정산(390)해야 한다.
한편 전술한 복수의 주체 각각의 역할을 살펴보면, 먼저 발송 지점(영업소)는, 발송 택배 화물을 접수 및 등록하고, 접수 및 등록된 화물을 분류 센터(터미널)로 발송할 수 있다. 그리고, 화물자동차(연계차)는, 각 지역의 분류 센터(터미널)와 인접한 관리 권역의 발송 지점(영업소) 혹은 도착 지점(영업소)의 발송 및 도착 화물의 운송을 수행할 수 있다. 분류 센터(터미널)은, 분류 센터(터미널)에 집하된 화물들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하차 및 터미널 내 운반을 수행하고, 지점별로 분류된 화물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노선 차량 및 연계 차량에 상차를 수행할 수 있다. 화물 자동차(노선차)는, 분류 센터(터미널)에서 지정 지역별 분류한 화물들을 상차하여, 지정 지역 분류 센터(터미널)로 화물의 운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착 지점(영업소)는, 도착 택배 화물을 등록하고 화물의 상태를 확인하며, 화물을 주소지별로 분류하여 고객에게 배송한다. 여기서 고객은, 택배의 운송을 의뢰하거나, 택배를 수령하는 사람 또는 업체를 지칭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연계차는, 영업소(예를 들어, 발송 지점 영업소 또는 도착 지점 영업소)에서 터미널로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 차량을 의미한다. 또한 연계차는, 터미널에서 영업소(예를 들어, 발송 지점 영업소 또는 도착 지점 영업소)로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 차량을 의미한다. 즉, 연계차는 영업소와 터미널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여, 터미널에서 분류된 영업소의 발송/도착 화물에 대한 운송을 담당할 수 있다.
연계차는, 지정된 노선으로 반복적으로 운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연계차는, 특정 터미널에서 특정 영업소로의 운행을 고정 노선으로 지정하여 반복적으로 1일 2회(발송 및 도착 화물 각각 1회씩) 운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연계차가 운행되는 영역의 범위, 특정 지역의 연계차 배차 대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계차는 지역적 특성을 기반으로 할당(예를 들어, 지역/권 단위로 각각 할당)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면적이 넓은 경우, 연계차가 운행되는 영역의 범위가 더 넓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계차의 배차 대수는, 특정 노선의 화물량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화물량이 많은 특정 노선의 연계차 배차 대수가, 화물량이 적은 특정 노선의 연계차 배차 대수보다 많은 수 있다. 또한 특정 지역의 화물량이 많아지는 경우 연계차를 추가로 배치하고, 반대로 특정량의 화물량이 줄어드는 경우 연계차의 배차 또한 줄일 수 있다. 즉, 연계차의 배차 대수는, 화물량 정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연계차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계차의 운행 영역 범위 및 연계차의 배차 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는, 과거 특정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연계차 운행 내역 정보, 연계차 운행 지역 정보, 연계차 운행 노선 정보 등 연계차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택배 회사 서버, 영업소 서버, 화물차를 관리하는 물류회사 서버 등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노선차는, 영업소에서 영업소, 또는 터미널에서 터미널로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 차량을 의미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송 지점 영업소를 '제1 영업소', 도착 지정 영업소를 '제2 영업소'로 명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운송 데이터와,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발송 지점 영업소에서 입력된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송 데이터 및 상기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화물 차량을 지정하여 화물을 운송(또는 배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 및 화물 운송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의 운송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에서의 연계차(연계 차량 또는 화물 자동차)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에서 분류한 노선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운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에서 배송이 완료된 후 복수의 주체에 대해 수수료의 정산을 수행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을 통해 발송 지점 영업소(제1 영업소)로부터 운송 화물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을 통해 작성된 운송 화물 정보를 출력하는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을 통해 회수 요청된 화물에 대한 운송 화물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서버(10)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 데이터는,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데이터로, i) 운송 차량(화물 차량 및 배송 차량) 정보, ii) 운송 차량의 운송 기사 정보, iii) 영업소 정보, iv) 터미널 정보, v) 운송 차량의 노선(또는 노선 코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송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운송 데이터는, 물류를 관리하기 위한 별개의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운송 데이터는,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기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서버(10)는,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서버로, 물류 관리 프로그램의 서버, 화물 운송(또는 배송) 업체의 서버 및 그 밖의 다양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화물의 운송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또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를 전자기기(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전자기기(20)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화물의 운송을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기기(20)를 통해 화물의 운송을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사용자로서, '운용자', '이용자', '유저'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반드시 전자기기(20)의 소유자일 필요는 없으며, 일회적으로 전자기기(20)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화물의 운송을 관리하기 위한 개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화물의 운송을 관리하기 위한 업체(또는 기업 또는 회사)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업의 대표자 또는 직원을 의미할 수 있고, 업체(또는 기업 또는 회사)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화물의 운송을 담당하는 화물 차량의 운송 기사(또는 운송 업체)일 수 있다. 즉, 화물의 운송을 담당하는 화물 차량의 운송 기사(또는 운송 업체)는,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전자기기(20)를 통해 모니터링하여 운송 업무를 보다 간편하게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전자기기(20)에서 실행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화물의 운송을 모니터링하고,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업무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기기(20)는,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대표적으로 휴대폰(21) 또는 컴퓨터(22)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2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20)는, 단말기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화물에 대한 운송 절차에 따라 지역, 터미널 위치, 화물량 등을 고려하여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노선을 자동으로 지정하고, 이를 사용자가 모니터링함으로써 화물의 운송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상술한 구성 요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설명에 따른 장치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과 서버(10) 사이, 또는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과 사용자의 전자기기(20)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2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라고도 명명될 수 있으며,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운송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영업소에서 입력된(또는 생성된) 운송 화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운송 지역, 터미널의 위치, 화물량 정보 등을 기반으로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선 유형 및 차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저장부(120)와 별도로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저장소 역시 “데이터베이스”라고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화물의 노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노선 유형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화물을 운송하는 노선의 유형을 분류한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노선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는, 화물을 배송하는 중간 단계에서의 이동을 위한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로써, 출발지와 도착지는 영업소(제1 영업소 또는 제2 영업소) 및 터미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영업소에서 영업소로 운송하는 노선의 경우 제1 유형, 영업소에서 터미널로 운송하는 노선의 경우 제2 유형, 터미널에서 영업소로 운송하는 노선의 경우 제3 유형, 터미널에서 터미널로 운송하는 노선의 경우 제4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도 3 참조).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정보 및 발송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의 거리 및 화물량을 기반으로, 노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영업소에서 영업소로 운송하고, 발송 지점(영업소)과 도착 지점(영업소)의 거리가 짧으며, 화물량이 많은 경우 제1 유형, 영업소에서 터미널로 운송하고, 발송 지점(영업소)과 도착 지점(영업소)의 거리가 멀고, 동일 도착지 화물량이 많은 경우 제2 유형, 터미널에서 영업소로 운송하고, 발송 지점(영업소)과 도착 지점(영업소)의 거리가 멀고, 발송 지점의 화물량이 많아 여러 지역으로 운송하는 경우 제3 유형, 터미널에서 터미널로 운송하고, 발송 지점(영업소)과 도착 지점(영업소)의 거리가 멀고, 화물량이 많아 여러 지역으로 운송하는 경우 제4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정보 및 발송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의 거리, 화물량 및 그 밖의 운송 노선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조합하여 노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하여 운송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결정된 노선 유형, 노선 유형에 따른 운송 노선 및 운송 차량 정보를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화물의 운송을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의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전자기기(20)에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전자기기(20)의 초기 설치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는 전자기기의 구성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는,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지정된 유형에 따른 운송 노선 및 지정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프로그램을 통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화물의 노선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차량을 자동으로 지정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화물의 운송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화물 운송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먼저 서버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운송 데이터는,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데이터로, i) 운송 차량(화물 차량 및 배송 차량) 정보, ii) 운송 차량의 운송 기사 정보, iii) 영업소 정보, iv) 터미널 정보, v) 운송 차량의 노선(또는 노선 코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송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운송 데이터는, 물류를 관리하기 위한 별개의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운송 데이터는, 운송과 관련된 기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물의 운송과 연관된 사용자들의 전자기기(610)로부터 수신된 운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서버에 저장된 운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운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과 관련된 사용자들의 전자기기(610)은, 예를 들어, 배송 담당자의 단말, 배송 회사 단말, 차량 담당자 단말, 및 전산 담당자의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송 데이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운송 데이터를 기 설정된 주기로 업데이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운송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업데이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하나의 화물에 대한 운송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경우, 즉 화물의 배송이 완료되는 경우 마다 운송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제1 영업소에서 입력된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제어부(130)는, 고객으로부터 화물의 배송(또는 운송)이 의뢰되는 경우,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된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화물을 발송하는 제1 영업소(또는 발송 지점 영업소)에서 입력(또는 생성)된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 화물 정보는, 화물 운송 접수일 정보, 운송장 번호 정보, 도착지 정보, 화물의 발신인(보내는 사람) 정보, 화물의 수신인(받는 사람) 정보, 화물의 품목 정보, 포장 상태 정보, 수량 및 개별 단가 정보, 무게 정보배송 운임 및 기타 운임 정보 등 화물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송 화물 정보는, 제1 영업소에서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고객이 화물의 배송을 의뢰하는 경우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화물의 배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전자기기(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송 화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인이 개인인 경우, 전자기기(20)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운송 화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페이지(80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인이 기업인 경우. 전자기기(20)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운송 화물 정보를 파일을 이용하여 입력받기 위한 페이지(810)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자기기(20)를 통해 운송 화물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페이지를 출력하고, 이 경우, 제1 영업소의 사용자는, 접수된 화물과 관련된 정보, 즉 운송 화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송 화물 정보는, 화물 운송 접수일 정보, 운송장 번호 정보, 도착지 정보, 화물의 발신인(보내는 사람) 정보, 화물의 수신인(받는 사람) 정보, 화물의 품목 정보, 포장 상태 정보, 수량 및 개별 단가 정보, 무게 정보배송 운임 및 기타 운임 정보 등 화물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운송 화물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생성된 운송 화물 정보를 페이지(900)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화물의 발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페이지(910)상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운송 화물 정보 및 입력된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화물의 발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페이지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객으로부터 발송 요청된 화물뿐만 아니라, 고객의 회수 요청에 따라 전자기기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운송 화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페이지(1000)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고객의 회수 요청에 따라 입력된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화물의 운송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의 회수 요청에 따른 화물의 운송 프로세스는, 고객의 배송 요청에 의한 일반적인 운송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S230).
제어부(130)는 운송 화물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운송 화물 정보의 입력 값에 따라 코드, 배차정보, 노선정보, 분류번호, 수수료, 터미널 정보, 배송기사 정보, 배송진행사항 등 운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자동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서버(또는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노선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노선 유형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노선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지와 도착지 정보는, 화물을 배송하는 중간 단계에서의 이동을 위한 출발지 및 도착지 정보로써, 출발지와 도착지는 영업소(제1 영업소 또는 제2 영업소) 및 터미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화물을 영업소에서 영업소로 운송하는 노선의 경우 제1 유형, 영업소에서 터미널로 운송하는 노선의 경우 제2 유형, 터미널에서 영업소로 운송하는 노선의 경우 제3 유형, 터미널에서 터미널로 운송하는 노선의 경우 제4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영업소에서 제2 영업소로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제1 유형 노선으로 자동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영업소에서 터미널로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제2 유형 노선으로 자동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정보 및 발송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의 거리 및 화물량을 기반으로, 노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화물을 영업소에서 영업소로 운송하고, 제1 영업소와 제2 영업소의 거리가 짧으며 화물량이 많은 경우 제1 유형, 영업소에서 터미널로 운송하고, 제1 영업소와 제2 영업소의 거리가 멀고 동일 도착지 화물량이 많은 경우 제2 유형, 터미널에서 영업소로 운송하고, 제1 영업소와 제2 영업소의 거리가 멀고, 발송 지점의 화물량이 많아 여러 지역으로 운송하는 경우 제3 유형, 터미널에서 터미널로 운송하고, 제1 영업소와 제2 영업소의 거리가 멀고, 화물량이 많아 여러 지역으로 운송하는 경우 제4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정보 및 발송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의 거리, 화물량 및 그 밖의 운송 노선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조합하여 노선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결정된 노선 유형과 함께 추천 유형(또는 추천 노선 유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과거의 운송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노선 유형을 추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송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수행하여 제1 유형 내지 제4 유형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을 추천 유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는, 과거 특정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송 히스토리 정보, 타 서버에 저장된 운송 히스토리 정보, 화물의 운송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 정보, 화물의 운송에 대한 신속도 및 정확도 정보 등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택배 회사 서버, 영업소 서버, 타 업체의 서버 등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A 영업소에서 B 영업소로 화물을 운송한 내역에 따르면, A 영업소에서 B 영업소로 운송하는 노선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지정되어 운송 프로세스가 수행된 경우, 제어부(130)는, A 영업소에서 B 영업소로 화물을 운송하는 추천 유형(또는 추천 노선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분 노선 유형을 지정하고, 추가적으로 운송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운송 추천 유형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화물을 A 영업소에서 B 영업소로 운송하는 기본 노선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지정하고, 추가적으로 운송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유형을 추천 노선 유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전자기기의 페이지를 통해 기본 노선 유형과 함께 추천 노선 유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노선 유형이 선택되도록 페이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빅데이터,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노선 유형을 추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추천 노선 유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할 수 있다(S240).
제어부(130)는, 화물량을 기준으로 노선 유형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결정된 노선 유형에 해당하는 화물의 화물량 정보를 기반으로, 화물량을 운송하기에 적합한 운송 차량을 지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화물량과 노선 유형을 기반으로, 운송 차량의 운행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운송 차량이 지정되어 운행이 결정된 경우, 해당 차량의 스케줄링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중복하여 운송 차량이 지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화물 운송 건을 제1 영업소에서 제2 영업소로 운송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노선 유형을 제1 유형으로 결정하고, 10개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칭되는 1톤 차량을 화물 차량(노선차)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150개의 화물 운송 건을 제1 영업소에서 제2 영업소로 운송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노선 유형을 제1 유형으로 결정하고, 150개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칭되는 3.5톤 차량을 화물 차량(노선차)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한 경우, 자동으로 지정된 운송 차량 정보 및 상기 운송 차량의 운송 기사 정보 등을 노선 유형과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노선 유형과 매칭되어 저장된 운송 차량 정보 및 상기 운송 차량의 운송 기사 정보를 기반으로, 운송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운송 데이터에 저장된 운송 차량 정보 및 운송 기사 정보를 기반으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이 운송이 불가한 경우, 운송 차량을 재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특정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기사의 운송이 불가한 경우, 운송 기사을 재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계차는, 영업소(예를 들어, 발송 지점 영업소 또는 도착 지점 영업소)에서 터미널로, 또는 터미널에서 영업소(예를 들어, 발송 지점 영업소 또는 도착 지점 영업소)로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 차량을 의미한다. 즉, 연계차는 영업소와 터미널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여, 터미널에서 분류된 영업소의 발송/도착 화물에 대한 운송을 담당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연계차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운행되는 영역의 범위, 특정 지역의 연계차 배차 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연계차를 연계차가 운행되는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기반으로 할당(예를 들어, 지역/권 단위로 각각 할당)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연계차가 운행되는 특정 지역의 면적이 넓은 경우, 연계차가 운행되는 영역의 범위가 더 넓어지도록 노선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연계차의 배차 대수를, 특정 노선의 화물량을 기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화물량이 많은 특정 노선의 연계차 배차 대수가, 화물량이 적은 특정 노선의 연계차 배차 대수보다 많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특정 지역의 화물량이 많아지는 경우 연계차를 추가로 배치하고, 반대로 특정량의 화물량이 줄어드는 경우 연계차의 배차 또한 줄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연계차의 배차 대수를, 화물량 정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계차의 운행 영역 범위 및 연계차의 배차 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는, 과거 특정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연계차 운행 내역 정보, 연계차 운행 지역 정보, 연계차 운행 노선 정보 등 연계차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택배 회사 서버, 영업소 서버, 화물차를 관리하는 물류회사 서버 등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연계차의 운용은 영업소의 운영 상 필요한 경우 회사와 확인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화물에 대한 노선 유형 및 운송 차량이 지정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이용하여 화물에 대한 노선 유형, 운송 차량 및 그 밖에 운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전자기기(20)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의 운송과 연관된 사용자는, 각각의 사용자의 전자기기(620, 도 9 참조)를 이용하여 화물의 노선 유형, 운송 차량 및 그 밖에 운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관된 사용자의 전자기기(620)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PDA 단말(스캐너), 휴대용 단말, PC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화물 노선 유형 및 차량이 지정된 경우, 운송 프로세스과 연관된 사용자의 전자기기(20)를 통해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다양한 방법으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기기(20)를 통해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푸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 이메일을 전송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전자기기(20)를 통해 스캔하여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된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운송 프로세스과 연관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상기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전자기기(20)를 통해 스캔하여 실시간으로 운송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운송 차량 정보, 또는 배송 상태 정보 등)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운송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 운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사용자에게 배송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제어부(130), 먼저 서버로부터 화물의 배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물의 배송 데이터는, i) 화물의 발송/도착 자료, ii) 회수 발송/도착자료, iii) 영업소, 배달구역, 배차 자료, iv) 미착, 과착, 수불화물, 잔류물량 자료, v) 영업소 장부, 일별 수수료 자료, vi) 고객(기업/개인) 정보 자료, vii) 배송률 자료, viii) 운임 자료 등을 화물의 배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송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구현된 프로그램 또는 물류를 관리하기 위한 별개의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물류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통해 배송 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배송 데이터는, 서버(또는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배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수료의 계산에 대한 요청이 검출되는 경우, 수수료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수수료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에 근거하여, 수수료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30)는, 업로드된 배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송 수수료를 계산하기 위해, 배송 데이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으로 필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배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복수의 주체에게 작업 항목에 따라 그에 매칭되는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기준으로, 운송장 번호 정보, 접수일 정보, 배송 완료일 정보, 발송지 지역 정보 등을 배송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배송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운송장 번호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배송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운송장 번호 기준으로 필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송 데이터에서 배송 프로세스가 완료된 운송장 번호를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운송장 번호를 기준으로 분류(또는 필터링)된 배송 데이터에서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작업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작업 항목 각각에 매칭되는 주체를 검색하고, 작업 항목에 따라 기 설정된 수수료 분배 기준을 기반으로 복수의 주체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배송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배송 완료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배송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배송 완료일 기준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송 완료일을 기준으로 분류(또는 필터링)된 배송 데이터에서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작업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작업 항목 각각에 매칭되는 기 설정된 수수료 분배 기준을 기반으로 배송 완료일이 동일한 작업별로 해당 작업의 주체에게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배송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발송 지역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배송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발송 지역 기준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발송 지역을 기준으로 분류(또는 필터링)된 배송 데이터에서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작업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작업 항목 각각에 매칭되는 기 설정된 수수료 분배 기준을 기반으로 발송 지역이 동일한 작업별로 해당 작업의 주체에게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배송 데이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으로 필터링 작업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기준 별로 복수의 주체에게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기준별로 복수의 주체에게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주체에게 신속하고 일괄적으로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배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복수의 주체 별로 또는 작업 항목의 내용 별로 기본 수수료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송 프로세스와 관련된 복수의 주체 별로 기본 수수료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체에 매칭되는 기본 수수료와 제2 주체에 매칭되는 기본 수수료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배송 프로세스와 관련된 복수의 작업 항목의 내용 별로 기본 수수료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업에 매칭되는 기본 수수료와 제2 주체에 매칭되는 기본 수수료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필터링된 배송 데이터에서 배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복수의 주체 별로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기 저장된 수수료 분배 기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수료 분배 데이터는, 복수의 주체에게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해 생성된 데이터로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주체에게 각각 지급되어야 하는 수수료를 산출한 결과를 반영하여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수수료 분배 기준 데이터는, 배송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위한 복수의 작업 항목 별로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백분율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송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위한 복수의 작업 항목에 따른 수수료는, 발송 집화비, 발송 터미널 연계비(발송 연계 노선비), 노선 화물차 운반비, 터미널 하역비, 도착 배달비, 도착 터미널 연계비(도착 연계 노선비), 물류회사 관리비, 백원 변상 준비금, 전산 개발비, 터미널 장비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작업 항목은, 각각 상기 작업 항목을 수행하기 위한 주체와 매칭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필터링된 배송 데이터에서 배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복수의 작업 항목을 추출한다. 제어부(130)는, 배송 데이터에서 추출된 복수의 작업 항목에 매칭된 수수료 분배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작업 항목을 수행하는 상기 복수의 주체 별로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운송장 번호에 해당하는 배송 데이터가 택배 화물에 해당하는 경우, 발송 집화비, 백원변상준비금, 발송 터미널 연계비, 노선 화물차 운반비, 터미널 하역비, 도착 터미널 연계비, 도착 배달비, 물류회사 관리비 각각에 대해 수수료 분배 기준에 따라, 각각의 작업 항목에 매칭되는 주체 별로 상기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작업 항목에 매칭되는 주체는, 발송 집화비, 발송 터미널 연계비의 주체는 발송 지점(영업소), 백원변상준비금의 주체는 CS 회사(고객응대/손실보상), 노선 화물차 운반비의 주체는 화물자동차(노선차), 터미널 하역비의 주체는 분류센터(터미널), 도착 터미널 연계비, 도착 배달비의 주체는 도착 지점(영업소), 물류회사 관리비의 주체는 택배 회사가 매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수수료의 관리 작업과 관련하여, 페이지상에 작업 항목 별 또는 복수의 주체 별로 수수료 분배 기준을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8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수수료 분배 기준에 대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출력된 수수료 분배 기준에 대한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수수료 분배 기준을 변경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전자기기(20)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수수료 분배 기준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수수료 분배 기준을 저장하고, 변경 저장된 수수료 분배 기준에 따라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체에게 각각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반으로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수수료를 정산하기 위해,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주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주체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주체들에 대한 개별적인 수수료를 송금 받기 위한 계좌 정보, 연락처 정보,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체 각각에 매칭된 계좌 번호로 산출된 수수료를 송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수료의 송금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수료의 정산 결과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화물의 배송이 완료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일까지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일괄적으로 수수료를 분배하여 지급 또는 정산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일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또는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주체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화물의 배송이 완료되는 경우, 화물의 배송 완료일의 익일까지 일괄적으로 복수의 주체에게 산정된 수수료를 지급 또는 정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화물의 배송이 완료된 경우, 기 설정된 기준일까지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송장 번호 별로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일괄적으로 수수료를 분배하여 지급 또는 정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화물의 배송이 완료된 경우, 배송 완료일의 익일까지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송장 번호 별로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일괄적으로 수수료를 분배하여 정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제1 주체에 대해서는 화물의 배송 완료일의 익일까지, 제2 주체에 대해서는 화물의 배송 완료일이 포함된 월의 말일까지, 제3 주체에 대해서는 제3 주체의 요청이 있는 기일까지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산정된 수수료를 지급 또는 정산하도록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수수료의 정산이 완료된 경우, 복수의 주체에게 수수료를 정산한 결과를 기반으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수수료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발생 정보를 반영하여, 이후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검출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수수료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해결 정보를 반영하여, 이후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오류 해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복수의 주체에게 수수료를 정산하기에 앞서, 생성된 분배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에서 오류를 검출한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수수료 분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상기 분배 데이터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음으로 초기 생성된 수수료 분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표시하여 재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발생한 오류를 수정하도록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업데이트된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체에게 각각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에 특정 주체에 대한 수수료가 산출되지 않은 오류가 발생한 경우, 특정 주체에 대한 수수료가 산출되지 않은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주체에 대한 수수료가 산출되지 않은 원인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특정 주체에 대한 수수료 분배 기준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주체에 대한 수수료를 산출할 수 없으므로 특정 주체에 대한 수수료 분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주체에 대한 수수료 분배 기준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과거 오류 발생 데이터로 구성된 오류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수수료 분배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류 히스토리 데이터는, 과거 특정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수수료 분배 데이터 생성시 발생한 오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130)는 오류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수료 분배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류의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 오류 히스토리 데이터에 따르면, 노선 화물 차량의 운반 지용에 해당하는 수수료가 해당 차량의 미등록을 원인으로 수수료 정산이 불가한 내역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미등록된 차량에 대하여 오류 발생을 검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수수료 분배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한 결과 오류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오류 히스토리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수수료 분배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을 통해 보다 정확도 높은 오류 검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페이지 상에 배송 수수료의 정산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페이지상에 배송 수수료의 정산 결과를 포함하는 수수료의 송금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배송 수수료의 정산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 상태 항목에 '정상' 그래픽을 출력하고, 배송 수수료의 정산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태 항목에 '정지' 그래픽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페이지 상에 배송 수수료의 정산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배송 수수료를 정산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페이지상에 출력된 배송 수수료의 정산 결과에 대한 세부 내용인 '입금 리스트' 및 '입금자 불분명 리스트'을 통해 정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산 오류를 추가적으로 검출 및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정산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에 정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산 오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산 오류를 분석하여 오류를 수정하고, 다시 정산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송 화물 관리 시스템(100)은,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수수료의 분배 데이터에서 검출되는 오류(또는 1차 오류)를 검출 및 분석하고, 배송 수수료의 정산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에 정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산 오류(또는 2차 오류)를 검출 및 분석함으로써, 총 2단계의 오류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화물 관리 시스템(100)은, 배송 수수료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두번의 오류 검출 단계를 거쳐 보다 정확하게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복수의 주체에게 단말기를 통해 수수료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전송하기 위한 개별적인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주체에게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배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배송 수수료의 정산과 관련된 개별적인 알림 정보를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배송 수수료의 정산을 위한 입금 예정 안내 정보를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전송하기 위한 개별적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생성된 입금 예정 안내 메시지를 복수의 주체의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일괄적으로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주체는, 상기 주체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화물 자동차의 운행 노선을 발송 지점에서 도착지 지점 및 고객에게 이르는 구간을 복수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운송함으로써, 운행 절차를 간소화하여 운송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운행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화물의 노선 유형, 화물의 운송 노선 및 화물량 정보 등을 기반으로 화물의 운송에 적합한 차량을 지정하여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운송 프로세스에 연관된 사용자들이 자신의 전자기기(20)를 통해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기 설정된 기준으로 필터링된 화물의 배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물의 배송 프로세스와 연관된 복수의 주체 별로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수수료 분배 데이터에 따라 배송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화물의 배송 프로세스가 완료되는 경우 배송 완료일의 익일까지 복수의 주체 각각에게 일괄적으로 지급함으로써 신속하게 복수의 주체에게 배송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복수의 주체에게 배송 수수료를 정산하기에 앞서, 수수료 정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발생을 미리 검출 및 분석하여 수수료 분배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복수의 주체에게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서버
20: 전자기기
100: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Claims (10)

  1. 서버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화물 운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화물의 발송 지점인 제1 영업소로부터 상기 화물의 도착 지점인 제2 영업소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 차량에 의해 상기 화물 운송이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화물 운송과 연관된 사용자에게 수수료를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물을 상기 제1 영업소에서 상기 제2 영업소로 운송하는 기본 노선 유형을 특정하는 단계;
    택배 회사 서버, 영업소 서버 및 타 업체 서버로부터 과거 특정 시점부터 기준 시점까지 누적된 상기 화물 운송에 대한 운송 히스토리 정보, 고객 만족도 정보, 신속도 정보 및 정확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화물을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을 거쳐 상기 제1 영업소에서 상기 제2 영업소로 운송하는 추천 노선 유형을 특정하는 단계;
    상기 기본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전자기기의 페이지에 상기 기본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선을 최종 노선 유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 운송과 연관된 사용자에게 수수료를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화물 운송과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게 상기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과거 오류 발생 내역으로 구성된 오류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분배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1차 오류 검출 단계;
    1차적으로 검출된 상기 분배 데이터의 오류가 수정되도록, 상기 분배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분배 데이터에 기반한 정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산 오류를 검출하는 2차 오류 검출 단계; 및
    2차적으로 검출된 상기 정산 오류를 수정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수수료를 정산하는 정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1차적으로 검출된 상기 분배 데이터의 오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수수료가 미산출되는 오류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수수료가 미산출되는 원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수수료 분배 기준 데이터의 누락 및 상기 운송 차량의 미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화물 운송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최종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화물량을 기준으로 상기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운송과 연관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전자기기를 통해 상기 화물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물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화물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전자기기를 통해 상기 바코드를 스캔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화물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서버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화물 운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화물의 발송 지점인 제1 영업소로부터 상기 화물의 도착 지점인 제2 영업소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운송 데이터 및 상기 운송 화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하고,
    상기 운송 차량에 의해 상기 화물 운송이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화물 운송과 연관된 사용자에게 수수료를 정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물을 상기 제1 영업소에서 상기 제2 영업소로 운송하는 기본 노선 유형을 특정하고,
    택배 회사 서버, 영업소 서버 및 타 업체 서버로부터 과거 특정 시점부터 기준 시점까지 누적된 상기 화물 운송에 대한 운송 히스토리 정보, 고객 만족도 정보, 신속도 정보 및 정확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화물을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을 거쳐 상기 제1 영업소에서 상기 제2 영업소로 운송하는 추천 노선 유형을 특정하고,
    상기 기본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전자기기의 페이지에 상기 기본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을 제공하고,
    상기 기본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선을 최종 노선 유형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물 운송과 관련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게 상기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데이터를 생성하고,
    과거 오류 발생 내역으로 구성된 오류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분배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1차 오류 검출을 수행하고,
    1차적으로 검출된 상기 분배 데이터의 오류가 수정되도록, 상기 분배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분배 데이터에 기반한 정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산 오류를 검출하는 2차 오류 검출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 검출된 상기 정산 오류를 수정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수수료를 정산하는 정산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1차적으로 검출된 상기 분배 데이터의 오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수수료가 미산출되는 오류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수수료가 미산출되는 원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수수료 분배 기준 데이터의 누락 및 상기 운송 차량의 미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10.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서버로부터 운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화물 운송에 대한 요청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화물의 발송 지점인 제1 영업소로부터 상기 화물의 도착 지점인 제2 영업소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 화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화물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노선 유형에 매칭되는 운송 차량을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 차량에 의해 상기 화물 운송이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화물 운송과 연관된 사용자에게 수수료를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물을 상기 제1 영업소에서 상기 제2 영업소로 운송하는 기본 노선 유형을 특정하는 단계;
    택배 회사 서버, 영업소 서버 및 타 업체 서버로부터 과거 특정 시점부터 기준 시점까지 누적된 상기 화물 운송에 대한 운송 히스토리 정보, 고객 만족도 정보, 신속도 정보 및 정확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화물을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을 거쳐 상기 제1 영업소에서 상기 제2 영업소로 운송하는 추천 노선 유형을 특정하는 단계;
    상기 기본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전자기기의 페이지에 상기 기본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노선 유형 및 상기 추천 노선 유형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선을 최종 노선 유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 운송과 연관된 사용자에게 수수료를 정산하는 단계는,
    상기 화물 운송과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게 상기 수수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과거 오류 발생 내역으로 구성된 오류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분배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1차 오류 검출 단계;
    1차적으로 검출된 상기 분배 데이터의 오류가 수정되도록, 상기 분배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분배 데이터에 기반한 정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산 오류를 검출하는 2차 오류 검출 단계; 및
    2차적으로 검출된 상기 정산 오류를 수정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수수료를 정산하는 정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1차적으로 검출된 상기 분배 데이터의 오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수수료가 미산출되는 오류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분배되는 수수료가 미산출되는 원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수수료 분배 기준 데이터의 누락 및 상기 운송 차량의 미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
KR1020220052215A 2022-04-27 2022-04-27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0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215A KR102508617B1 (ko) 2022-04-27 2022-04-27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215A KR102508617B1 (ko) 2022-04-27 2022-04-27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617B1 true KR102508617B1 (ko) 2023-03-13

Family

ID=8551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215A KR102508617B1 (ko) 2022-04-27 2022-04-27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6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195A (ko) * 2002-06-24 2004-01-03 도쇼 로지틱 가부시키가이샤 화물운송편의 효율화 시스템
KR102101814B1 (ko) * 2020-01-03 2020-04-17 정만호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KR102284951B1 (ko) * 2020-10-12 2021-08-03 정선종 화물 중계 및 배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195A (ko) * 2002-06-24 2004-01-03 도쇼 로지틱 가부시키가이샤 화물운송편의 효율화 시스템
KR102101814B1 (ko) * 2020-01-03 2020-04-17 정만호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KR102284951B1 (ko) * 2020-10-12 2021-08-03 정선종 화물 중계 및 배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9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ipment consolidation
US97107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rranging shipment and insurance for an item
US5666493A (e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order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US7050995B2 (en) System for managing order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US84290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ed delivery of shipments with multiple shipment carriers
US20200134557A1 (en) Logistical service for processing modular delivery requests
CN101027690A (zh) 整合全球追踪和虚拟库存系统
CN108701286A (zh) 确定多种产品类型的交货日期
AU20202642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ation of a product inventory by intelligent adjustment of inbound purchase orders
US20120143733A1 (en) Invoicing for item handling events
US20200342399A1 (en) Multi-platform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ed environment
US20190251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reight transportation
KR20240005657A (ko) 인바운드 제품의 지능적인 분배를 통해 제품 인벤토리를 최적화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방법
JP2006244196A (ja) 国際輸送リスク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KR102508617B1 (ko) 화물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7246223A (ja) 配送業務支援システム
JP2002109002A (ja) 戦略的提携情報管理システム、その運用方法、その管理用プログラム記録媒体、又は伝票類発行システム、貨物管理システム、物流管理システム及び商品管理方法
AU2017202251A1 (en) Logistical procurement method and system
KR20200091125A (ko) 물류 erp시스템
KR102602099B1 (ko) 배송 수수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59532B1 (ko) 기계 거래 중개 서버
KR20210103209A (ko) 통합택배 운송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고객 맞춤형 발송 및 배송 중계 시스템
KR101738489B1 (ko) 온라인 투 오프라인 기반의 화물운송 중계 장치
KR20230161594A (ko) 화물의 배송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1118332A1 (ja) 取引信用情報管理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