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376B1 -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376B1
KR102508376B1 KR1020210086851A KR20210086851A KR102508376B1 KR 102508376 B1 KR102508376 B1 KR 102508376B1 KR 1020210086851 A KR1020210086851 A KR 1020210086851A KR 20210086851 A KR20210086851 A KR 20210086851A KR 102508376 B1 KR102508376 B1 KR 102508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fluid
washer
holes
circumferential surfa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105A (ko
Inventor
양승주
Original Assignee
(주)승경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경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승경에스앤티
Priority to KR102021008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3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는, 자동차용 워셔액이 저장된 워셔액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로서,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 외주면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통, 및 제1 몸통의 타단에 구비되어 워셔액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이 구비된 배출판을 가지는 체결부; 및 일단이 제1 몸통의 타단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는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2 몸통, 및 제2 몸통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 관통공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이 구비된 제어판을 가지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에 따라 워셔액의 인출을 제어하는 회전부로 구성된다. 이 때, 체결부는 제1 몸통 타단 외주면에 제2 몸통을 향해 돌출된 멈춤돌기를 구비되고, 회전부는 제2 몸통 내주면에 멈춤돌기를 수용하는 멈춤돌기홈이 구비한다. 멈춤돌기홈은 제2 몸통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제2 몸통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며, 멈춤돌기가 멈춤돌기홈의 양쪽 말단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면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의 회전 각도가 서로 일치하여 워셔액이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ASSISTING APPARATUS FOR INJECTING WASHER LIQUID}
본 발명은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시판되는 자동차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에 체결하여 워셔액을 자동차 워셔탱크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워셔액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도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의 개폐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워셔액을 워셔탱크에 주입할 때 워셔액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유리에 낀 먼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와이퍼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와이퍼로 불순물들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워셔액이 사용된다. 워셔액은 워셔탱크에 저장되는데, 워셔액이 부족한 경우 운전자가 워셔액을 워셔탱크에 보충하여야 한다.
한편, 워셔액이 저장되는 워셔탱크는 자동차의 주요한 부품들이 밀집하 엔진룸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워셔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워셔액을 흘릴 경우 차량의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워셔탱크의 주입구는 직경이 작아, 초보자나 노약자는 물론 숙련자에게 있어서도 워셔액을 외부에 흘리지 않고 주입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1998-00007761
본 발명의 과제는 시판되는 자동차의 워셔액 용기에 간단히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워셔액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자동차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의 개폐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워셔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워셔액을 워셔탱크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워셔액이 가득 찰 경우, 사용자가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회전시켜 워셔액 용기 내에 남은 워셔액이 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가득찬 워셔탱크에 워셔액이 계속 주입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는, 자동차용 워셔액이 저장된 워셔액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로서, 상기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 외주면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통, 및 상기 제1 몸통의 타단에 구비되어 워셔액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이 구비된 배출판을 가지는 체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통의 타단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는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2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통공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이 구비된 제어판을 가지며,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에 따라 워셔액의 인출을 제어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의 상기 제1 몸통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몸통을 향해 돌출된 멈춤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제2 몸통 내주면에는 상기 멈춤돌기를 수용하는 멈춤돌기홈이 구비되며, 상기 멈춤돌기홈은 상기 제2 몸통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며,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멈춤돌기홈의 양쪽 말단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의 회전 각도가 서로 일치하여 워셔액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1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 중 적어도 하나는 내벽면에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은 상기 제2 몸통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통 일단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워셔액 용기 인출구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인출구 결합 암나사산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판은 상기 배출구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는, 자동차용 워셔액이 저장된 워셔액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로서, 상기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 외주면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통, 및 상기 제1 몸통의 타단에 구비되어 워셔액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이 구비된 배출판을 가지는 체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통의 타단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는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2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통공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이 구비된 제어판을 가지며,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에 따라 워셔액의 인출을 제어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면에 상기 제2 몸통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나사산을 가진다.
이 때, 상기 체결부의 상기 제1 몸통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몸통을 향해 돌출된 멈춤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제2 몸통 내주면에는 상기 멈춤돌기를 수용하는 멈춤돌기홈이 구비되며, 상기 멈춤돌기홈은 상기 제2 몸통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며,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멈춤돌기홈의 양쪽 말단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의 회전 각도가 서로 일치하여 워셔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통 일단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워셔액 용기 인출구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인출구 결합 암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판은 상기 배출구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는, 자동차용 워셔액이 저장된 워셔액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로서, 상기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 외주면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통, 및 상기 제1 몸통의 타단에 구비되어 워셔액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이 구비된 배출판을 가지는 체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통의 타단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는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2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통공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이 구비된 제어판을 가지며,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에 따라 워셔액의 인출을 제어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제2 몸통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삽입되며 워셔액의 유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관통공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넘침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넘침방지부는 상기 제어판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워셔액이 유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관통공들을 개방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제어판 방향으로 워셔액이 유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관통공들을 차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제2 몸통 내벽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넘첨방지부는 상기 나사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워셔액이 상기 제어판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유동하면 상기 넘침방지부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고, 워셔액이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제어판 방향으로 유동하면 상기 넘침방지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제2 관통공들이 차단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2 관통공들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판과 상기 제어판은 서로 면접촉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어판과 상기 넘침방지부는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는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에 체결부를 연결하고 회전부를 회전시켜 워셔액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어, 운전자는 워셔액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도 워셔액을 외부로 흘리지 않고 편리하게 워셔액을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워셔탱크에 워셔액이 가득 주입되어 워셔액이 역류하면 워셔액이 역류하는 가압에 의해 넘침방지부가 회전하여 관통공들을 자동으로 폐쇄하여, 워셔액이 가득차서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워셔탱크에 워셔액을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체결부를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회전부를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이용한 워셔액 용기 간 워셔액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의 제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C-C'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1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의 제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D-D'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탄성부재가 방지몸체 및 중심축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에서 넘침방지부의 제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에서 넘침방지부의 제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E-E'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워셔탱크에 워셔액을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일단이 자동차용 워셔액이 저장된 워셔액 용기(1)의 인출구(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워셔탱크의 주입구(3)에 삽입되어, 워셔액 용기(1)에 저장된 워셔액을 워셔탱크에 공급한다.
워셔액은 자동차 앞유리를 닦을 때 사용되는 세정액으로, 주성분이 알코올인 액체 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워셔액은 자동차의 엔진룸(4) 내에 위치한 워셔탱크에 저장되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주기적으로 또는 워셔탱크의 워셔액 잔류량을 확인하여 워셔액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시판되는 워셔액은 플라스틱 재질의 워셔액 용기(1)에 채워진 상태로 유통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시판되는 워셔액 용기(1)의 인출구(2)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운전자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워셔액 용기(1)에 결합하여 워셔액 용기(1)에 저장된 워셔액을 워셔탱크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고, 워셔액 주입이 완료되면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워셔액 용기(1)로부터 분리하여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운전자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휴대하거나 분리하여 차량 등에 보관할 수 있다.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크기가 작아 운전자가 휴대하기에 용이하고, 자동차 내에 보관하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체결부를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회전부를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워셔액 용기(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100), 및 체결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워셔액 배출을 제어하는 회전부(200)를 포함한다. 이 때, 회전부(200)는 자동차 엔진룸 내부에 위치한 워셔탱크의 주입구(3)로 워셔액을 공급할 수 있다.
체결부(100)와 회전부(200)에는 각각 복수개의 관통공들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00)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130)이 구비되고, 회전부(200)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24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관통공들(130)과 제2 관통공들(240)은 서로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제2 관통공들(240) 각각은 제1 관통공들(130) 각각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운전자가 회전부(200)를 특정한 각도로 회전시키면, 제2 관통공들(240)의 회전 위치가 제1 관통공들(130)의 위치와 일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워셔액 용기(1)에 저장된 워셔액이 제1 관통공들(130) 및 제2 관통공들(2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운전자가 회전부(200)를 또 다른 특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제1 관통공들(130)이 차단되고, 외부로의 워셔액 배출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회전부(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워셔액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본 발명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워셔액 용기(1)에 저장된 워셔액을 흘리지않고 용이하게 워셔탱크에 주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체결부(100)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제1 몸통(110), 및 제1 몸통(110)의 일측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배출판(120)을 가진다.
제1 몸통(110)은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워셔액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몸통(110)의 일단은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몸통(110)과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2)는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몸통(110)이 인출구(2)에 삽입되는 방식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배출판(120)은 제1 몸통(110)의 타단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13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130)은 배출판(120)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의 제1 관통공들(130)이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워셔액은 제1 관통공들(130)을 통하여 배출판(120)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부(200)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2 몸통(210), 및 제2 몸통(210) 내부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제어판(230)을 가질 수 있다.
제2 몸통(210)은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워셔액이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몸통(210)의 일단은 체결부(100)의 제1 몸통(110)의 타단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몸통(110)의 타단 외주면에는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고, 제1 몸통(110)의 일단 내주면에는 상기 소정의 돌기에 의해 가이드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체결부(100)와 회전부(200)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돌기를 따라 홈이 회전하면서 회전부(200)가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체결부(100)와 회전부(200)가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몸통(210)의 타단에는 제2 몸통(210) 내부의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체결부(100)에서 회전부(200)로 전달된 워셔액은 제2 몸통(210)의 타단에 구비된 배출구(22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판(230)은 제2 몸통(210) 내부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24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24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의 제2 관통공들(240)이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통(210) 내부로 유입된 워셔액은 제2 관통공들(240)을 통과하여 배출구(22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어판(230)은 체결부(100)의 배출판(120)과 면접촉 할 수 있다. 이는 체결부(100)에서 회전부(200) 방향으로의 워셔액 유출을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몸통(210)이 회전하여 제어판(230)의 제2 관통공들(240)과 배출판(120)의 제1 관통공들(130)의 위치가 일치하면, 워셔액 용기(1)로부터 유출된 워셔액이 제1 관통공들(130)과 제2 관통공들(2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몸통(210)이 회전하여 제어판(230)의 제2 관통공들(240)과 배출판(120)의 제1 관통공들(130)의 위치가 불일치함으로써 제1 관통공들(130) 모두가 제어판(230)에 의해 차단되면, 워셔액 용기(1)로부터 유출된 워셔액은 제어판(230)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회전부(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워셔액 용기(1)에 저장된 워셔액의 인출을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운전자는 워셔액 용기(1)를 워셔탱크의 주입구(3)에 주입할 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 가지는 운전자가 워셔액 용기(1)를 기울여 워셔탱크의 주입구(3)에 붓는 방법이다. 이 경우 운전자의 숙련도가 낮으면 워셔액 용기(1)가 흔들리거나 워셔액 용기(1)와 워셔탱크 간에 이격거리가 멀어져 워셔액이 워셔탱크 주입구를 벗어나 외부로 흐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 가지는 운전자가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2)를 개봉한 상태에서, 워셔액 용기(1)를 뒤집어 워셔탱크의 주입구(3)에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운전자가 워셔액 용기(1)를 뒤집는 과정에서 워셔액 용기(1)에 저장된 워셔액이 워셔탱크의 주입구(3)를 벗어나 외부로 흐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는 워셔액 용기(1)에 저장된 워셔액의 인출을 의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워셔액을 전혀 흘리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는 워셔액 용기(1)에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연결하고,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회전부(200)를 회전시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폐쇄한다. 이후, 워셔액 용기(1)를 뒤집어 워셔탱크의 주입구(3)에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배출구(220)를 삽입하고,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회전부(200)를 회전시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개방하여 워셔액을 워셔탱크의 주입구(3)에 주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회전부(200)가 워셔액 유출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워셔액 용기(1)를 뒤집더라도 워셔액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부(100)에 멈춤돌기(140)를 형성하고, 회전부(200)에는 멈춤돌기(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돌기홈(250)을 구비함으로써 체결부(100)의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멈춤돌기(140)는 제1 몸통(110) 타단 외주면에서 제2 몸통(210)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멈춤돌기홈(250)은 제2 몸통(210)의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멈춤돌기홈(250)은 멈춤돌기(140)를 수용하며, 멈춤돌기(14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회전부(200)를 회전시킬 때, 멈춤돌기홈(250)의 연장 길이만큼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멈춤돌기홈(250)의 연장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제1 관통공들(130)의 개폐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00)의 제1 관통공들(130)과 회전부(200)의 제2 관통공들(240)의 위치가 완전히 일치하였을 때 멈춤돌기(140)가 멈춤돌기홈(250)의 일측 끝단에 접촉하여 멈추도록 하고(도 8 참조), 회전부(2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멈춤돌기(140)가 멈춤돌기홈(250)의 타측 끝단에 접촉하여 멈추었을 때는 체결부(100)의 제1 관통공들(130) 모두가 제어판(230)에 의해 차단되도록(도 10 참조) 멈춤돌기홈(250)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멈춤돌기홈(250)의 길이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운전자는 보다 용이하게 워셔액의 유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몸통(110)과 제2 몸통(210)의 내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나사산은 제1 몸통(110)과 제2 몸통(21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몸통(110)과 제2 몸통(210)의 내벽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몸통(110)과 제2 몸통(210) 모두에 나사산이 형성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통(110)의 내벽면에는 제1 나사산(150)이 형성될 수 있다. 워셔액이 배출되는 제1 몸통(110)의 내벽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면 워셔액이 배출될 때에 와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되는 와류에 의해 워셔액의 배출속도가 향상되고, 주입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통(210)의 내벽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260)이 형성될 수 있다. 워셔액이 제1 몸통(1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1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와류가 약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몸통(210)에 제2 나사산(260)을 형성하여 약해진 와류를 다시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사산들(150, 260)은 워셔액 용기(1)에서 배출구(220)를 향해 이동하는 워셔액의 유출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대한민국은 위도상으로 지구의 북반구 지역에 위치한다. 북반구 지역에서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물체에 전향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향력에 의해 지면을 향해 낙하하는 워셔액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대한민국에서 상기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나사산이 구비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가 워셔액 용기(1)를 뒤집어 워셔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워셔액의 회전을 더욱 가속하여 워셔액의 배출 속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이 남반구 지역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워셔액 용기(1)에서 배출구(220)를 향해 이동하는 워셔액의 유출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산의 방향은 사용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몸통(110) 일단의 내주면과 배출구(220)의 내주면에는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2)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인출구 결합 암나사산(160)이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이용한 워셔액 용기 간 워셔액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에 운전자가 워셔탱크에 워셔액을 보충하다 보면 워셔액 용기(1)에 워셔액이 일부 남게 되는 일이 많이 발생한다. 이 경우, 운전자는 하나의 워셔액 용기(1)로 다른 워셔액 용기들(1)에 소량씩 남은 워셔액을 모아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워셔액 용기(1)에 구비된 인출구들(2)이 작기 때문에, 운전자가 초보자는 물론 경력자라고 하더라도 워셔액 용기(1)에 소량 남은 워셔액을 다른 워셔액 용기(1)로 옮기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배출구(220)의 내주면에도 인출구 결합 암나사산(160)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워셔액 용기(1)의 인출구(2)에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체결부(100)를 나사결합으로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워셔액 용기(1)의 인출구(2)에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배출구(220)를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면, 초보자라도 워셔액을 흘리지 않으면서 워셔액 용기(1) 간에 워셔액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판(120)은 배출구(220)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판(230)과 후술할 넘침방지부(300) 역시 배출구(220)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워셔액이 배출판(120), 제어판(230) 및 넘침방지부(300)를 통과할 때 야기되는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배출판(120), 제어판(230) 및 넘침방지부(300)가 곡면 형상으로 돌출되면, 관통공들의 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워셔액 배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의 제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C-C'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의 제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D-D'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제1 동작을 설명한다.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제1 동작은 워셔액 용기(1)와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결합하는 동작이다. 제1 동작 이전에는 멈춤돌기홈(250)에 멈춤돌기(140)가 걸린 상태에서, 멈춤돌기(140)는 제1 몸통(110)의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멈춤돌기홈(250)의 좌측 끝단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관통공들(130)과 제2 관통공들(240)의 회전 위치가 서로 일치하여, 워셔액이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동작으로 먼저, 운전자는 워셔액 용기(1)가 바르게 세운 상태에서,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2)의 외주면에 구비된 숫나사산과 제1 몸통(110) 일단의 내주면에 구비된 인출구 결합 암나사산(160)이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한다. 다음으로, 운전자는 제1 몸통(110)의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부(2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운전자는 멈춤돌기(140)가 멈춤돌기홈(250)의 우측 끝단에 접촉되도록 회전부(200)를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부(200)가 체결부(100)를 따라 회전됨에 따라, 제1 관통공들(130)의 위치로 제2 차단막들이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멈춤돌기(140)가 멈춤돌기홈(250)의 우측 끝단에 접촉되면 회전부(200)는 회전이 중단된다. 이 경우 제1 관통공들(130)에 제2 관통공들(240) 사이의 막들이 일치하게 되어, 상기 막들에 의해 제1 관통공들(130)이 폐쇄된다. 이 상태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동작을 통하여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가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2)를 폐쇄하게 되어, 워셔액 용기(1)에 저장된 워셔액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제2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제2 동작은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워셔탱크의 주입구(3)에 삽입하고 회전부(200)를 회전시켜 워셔액을 주입하는 동작이다.
먼저 상술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제1 동작이 완료된 후, 운전자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가 결합된 워셔액 용기(1)를 뒤집어 워셔탱크의 주입구(3)에 삽입한다. 이 때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에 의해 워셔액 용기(1)가 폐쇄되어 있다(도 11 참조). 그러므로, 운전자가 워셔액 용기(1)를 뒤집는 과정에서도 워셔액 용기(1)로부터 워셔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운전자는 제1 몸통(110)의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부(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운전자는 멈춤돌기(140)가 멈춤돌기홈(250)의 좌측 끝단에 접촉되도록 회전부(200)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회전부(200)가 체결부(100)를 따라 회전됨에 따라, 제1 관통공들(130)의 위치로 제2 관통공들(240)이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멈춤돌기(140)가 멈춤돌기홈(250)의 좌측 끝단에 접촉되면 회전부(200)는 회전이 중단된다. 이 때, 제1 관통공들(130)에 제2 관통공들(240)이 일치하게 되어, 제1 관통공들(130)이 개방된다(도 9 참조). 이 경우,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개방되어, 워셔액 용기(1)에 저장된 워셔액은 배출구(220)를 통해 워셔탱크로 공급되게 된다.
제2 동작을 통하여 워셔탱크에 워셔액의 공급이 완료된 이후, 상술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제1 동작을 참고하여, 운전자는 회전부(200)를 회전시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가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2)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운전자가 회전부(200)를 회전시켜 워셔액 용기(1) 내에 저장된 워셔액의 인출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는 워셔액 용기(1)를 뒤집은 이후에도 회전부(200)를 이용해 워셔액의 인출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워셔액을 워셔탱크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워셔액을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셔탱크는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워셔액이 충분히 주입되어 워셔탱크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워셔탱크를 가득 채운 이후에도 계속해서 워셔액을 주입하게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워셔액이 역류하여 엔진룸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워셔액의 역류시 워셔액 공급을 차단하는 넘침방지부(300)를 더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는 워셔액 용기(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100), 체결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체결부(100)를 통한 워셔액 배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회전부(200), 및 회전부(20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부(200)를 통한 워셔액 배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넘침방지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체결부(100)와 회전부(200)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상기 넘침방지부(300)를 더 가진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넘침방지부(30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넘침방지부(300)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실시예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 번째 실시예는 나사산을 이용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 실시예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먼저 나사산을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 몸통(210)의 내벽면에는 나사산(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고, 넘침방지부(300)가 상기 나사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넘침방지부(300)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3 관통공들(32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공들은 제2 관통공들(240)과 동일한 형상, 크기 및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워셔액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넘침방지부(300)는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넘침방지부(300)가 제어판(230)에 면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 경우 상기 제3 관통공들(320)과 상기 제2 관통공들(240)은 서로 교번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넘침방지부(300)가 제2 관통공들(240) 차단하여, 워셔액이 배출구(220)를 향해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후, 워셔액이 제어판(230)에서 배출구(220) 방향으로 유동하면, 즉, 차량에 워셔액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유동하는 워셔액이 상기 넘침방지부(300)를 배출구(22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넘침방지부(3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넘침방지부(300)가 제어판(230)에서 분리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제2 관통공들(240)을 통과한 워셔액은 상기 넘침방지부(300)의 상기 제3 관통공들(320)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으며,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워셔액이 자동차의 워셔탱크를 가득 채운 이후에는 배출구(220)를 빠져나간 워셔액이 역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역류한 워셔액은 상기 넘침방지부(300)를 제어판(230)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넘침방지부(300)는 제2 몸통(210)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며 제어판(2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넘침방지부(300)는 다시 제어판(230)에 접촉하게 되며, 제어판(230)의 제2 관통공들(240)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넘침방지부(30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다시 제1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워셔액의 유동 방향에 따라 넘침방지(300)부가 제어판(230)의 제2 관통공들(240)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되며, 워셔액의 역류시 워셔액의 계속적인 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워셔액 역류시 워셔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탄성부재가 방지몸체 및 중심축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대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는 워셔액 용기(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100), 체결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체결부(100)를 통한 워셔액 배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회전부(200), 및 회전부(20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부(200)를 통한 워셔액 배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넘침방지부(300)를 포함한다.
넘침방지부(300)는 회전부(20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지몸체(310)를 구비한다.
방지몸체(310)는 원판 형상이며 회전판에 대향하도록 회전부(200)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지몸체(310)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고, 제2 몸통(2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소정의 돌기를 가이드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을 따라 상기 돌기가 회전하면서 넘침방지부(300)와 회전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방지몸체(310)에는 복수개의 제3 관통공들(320)이 구비된다. 이 경우, 제3 관통공들(320)은 제2 관통공들(240)에 대응하는 형상과 숫자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관통공들(320) 사이에는 워셔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막들이 구비된다. 즉, 제3 관통공(320)과 막이 서로 교번하여 배출판(120)에 구비될 수 있고, 워셔액은 제3 관통공들(320)을 통하여 배출판(120)을 통과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제3 관통공(320)의 개구 크기는 대응하는 각각의 제2 관통공(240)의 개구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고, 제3 관통공들(320) 사이의 막들의 크기는 대응하는 제2 관통공들(240) 사이의 막들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방지몸체(310)에 구비된 제3 관통공들(320)과 제2 관통공들(240) 및 제1 관통공들(130)의 회전 위치가 모두 일치하면, 워셔액이 제1 내지 제3 관통공들(320)을 통과하여 배출구(220)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 방지몸체(310)에 구비된 제3 관통공들(320)과 제2 관통공들(240) 및 제1 관통공들(130)의 회전 위치가 불일치하면, 이 경우에 방지몸체(310)의 제3 관통공들(320) 사이의 막이 제2 관통공들(240)을 차단함으로써 워셔액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회전돌기(330)와 회전제한홈(27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돌기(330)는 방지몸체(310)의 둘레에서 제2 몸통(210)의 내벽면을 향해 돌출되고, 회전제한홈(270)은 회전돌기(330)를 수용하도록 제2 몸통(210)의 내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제한홈(270)은 제2 몸통(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돌기(330)는 회전제한홈(270) 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회전제한홈(270)의 양측 말단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회전제한홈(270)은 회전돌기(330)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회전돌기(330)와 연결된 방지몸체(31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고정돌기(340)와 고정홈(28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340)는 회전돌기(330)에서 배출구(220) 방향으로 돌출되고, 회전제한홈(270)은 상기의 고정돌기(340)를 수용하도록 회전제한홈(270)에서 배출구(2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몸통(210)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40)는 방지몸체(310)에 연결되어 있는데, 방지몸체(310)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돌기(340)는 방지몸체(3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만 가능하다. 고정돌기(34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고정돌기(340)와 고정홈(280)은 분리되며,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고정돌기(340)와 고정홈(280)은 결합될 수 있다.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스프링홈(350), 탄성부재(360), 및 중심축(29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홈(350)은 제어판(230)과 대향하는 방지몸체(310)의 회전축에 구비되고, 스프링홈(350)의 중앙으로 중심공(370)이 개구될 수 있다. 개구된 중심공(370)으로 제어판(230)의 회전축에서 배출구(220) 방향으로 돌출되는 중심축(290)이 관통한다. 이 때, 스프링홈(350)에 탄성부재(36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워셔탱크에 워셔액이 가득 차는 경우 워셔액의 주입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스프링홈(350)에 삽입되는 탄성부재(360)는 방지몸체(310)에 방지몸체(310)의 원주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2 관통공들(240)을 폐쇄하는 것이다. 탄성부재(360)의 일 예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탄성부재(360)는 방지몸체(310)에 고정되는 방지몸체 고정단(361), 및 중심축(290)에 결합되는 중심축 결합단(362)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60)의 일단인 방지몸체 고정단(361)은 방지몸체(310)에 원주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방지몸체(310)에 반지름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360)의 타단인 중심축 결합단(362)은 탄성부재(360)가 방지몸체(310)에 원주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때, 탄성부재(360)를 지지하도록 중심축(290)의 지름 방향으로 개구된 천공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중심축(290)의 천공은 중심축(29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기둥 형태로 개구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360)는 방지몸체(310)에 가해지는 워셔액의 압력에 따라 중심축(290)을 따라 제어판(230) 방향으로 상향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360)는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태엽형태의 스프링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방지몸체(310)의 원주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부(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에서 넘침방지부의 제1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에서 넘침방지부의 제2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를 E-E'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여 넘침방지부(300)의 제1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넘침방지부(300)의 제1 동작은 워셔탱크에 워셔액을 주입하는 동작으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워셔액 용기(1)와 결합되어 워셔탱크의 주입구(3)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관통공들(130,240,320)의 위치가 일치하여 워셔액이 워셔액 용기(1)로부터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를 통과하여 워셔탱크에 주입되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방지몸체(310)에 연결된 고정돌기(340)가 제2 몸통(210)의 고정홈(280)에 결합되어, 방지몸체(310)는 탄성부재(360)를 통해 제공되는 복원력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된 워셔액에 의하여 워셔탱크가 가득 차면, 워셔탱크로부터 워셔액이 역류하여 배출구(220)를 통하여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 내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유입된 워셔액이 방지몸체(310)의 저면 즉, 배출구(220) 방향의 면을 가압하여, 방지몸체(310)를 제어판(23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워셔액이 제어판(230) 방향으로 방지몸체(310)는 가압하면, 방지몸체(310)는 중심축(290)을 따라 제어판(2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방지몸체(310)는 내부에 속이 빈 밀폐공간을 포함하거나 또는 재질을 니트릴부타디엔러버(NBR), 폴리에틸렌(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케이폭(KAPO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역류하는 워셔액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을 크게 함으로써, 방지몸체(310)에 가압하는 힘을 더할 수 있다. 그리고, 방지몸체(310)가 제어판(230) 방향으로 이동하면, 방지몸체(310)에 연결된 고정돌기(340)가 고정홈(28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돌기(34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정홈(280)으로부터 고정돌기(340)가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넘침방지부(300)의 제2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넘침방지부(300)의 제2 동작은 제1 동작 이후 워셔액의 역류에 의해 방지몸체(310)가 회전하여 제2 관통공들(240)을 밀폐함으로써,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에 의해 자동으로 워셔액 공급이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넘침방지부(300)의 제1 동작에 따라 고정돌기(340)가 고정홈(280)으로부터 분리되면, 일단이 방지몸체(3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중심축(290)에 고정된 탄성부재(360)가 방지몸체(310)에 배출구(22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한다. 그리고, 탄성부재(360)의 복원력에 따라 방지몸체(310)는 제2 몸통(210)의 타단에서 일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배출구(220)와 수직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방지몸체(3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방지몸체(310)에 연결된 회전돌기(330)가 회전제한홈(270)의 원주방향으로 우측 끝단까지 회전한다. 회전돌기(330)가 회전제한홈(270)의 우측 끝단까지 회전하면, 방지몸체(310)의 제3관통공들 사이에 막들에 의해 제2 관통공들(240)이 밀폐된다. 이 경우, 제2 관통공들(240) 사이의 막들과 제3 관통공들(320) 사이의 막들이 제1 몸통(110)과 제2 몸통(210) 간의 워셔액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워셔탱크에 대한 워셔액의 주입이 중단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넘침방지부(300)를 구비한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워셔탱크에 워셔액이 가득차면, 역류에 의해 넘침방지부(300)가 자동으로 회전하고, 넘침방지부(300)의 회전에 의해 넘침방지부(300)의 차단막들이 회전부(200)의 관통공들을 폐쇄하여 워셔액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워셔액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는 제2 몸통(2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고,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실링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10)와 워셔탱크의 워셔액의 주입구(3) 간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간극을 통해 외부로 워셔액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100: 체결부
110: 제1 몸통 120: 배출판
130: 제1 관통공 140: 멈춤돌기
150: 제1 나사산 160: 인출구 결합 암나사산
200: 회전부 210: 제2 몸통
220: 배출구 230: 제어판
240: 제2 관통공 250: 멈춤돌기홈
260: 제2 나사산 270: 회전제한홈
280: 고정홈 290: 중심축
300: 넘침방지부 310: 방지몸체
320: 제3 관통공 330: 회전돌기
340: 고정돌기 350: 스프링홈
360: 탄성부재 361: 방지몸체 고정단
362: 중심축 결합단 370: 중심공

Claims (10)

  1. 자동차용 워셔액이 저장된 워셔액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로서,
    상기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 외주면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통, 및 상기 제1 몸통의 타단에 구비되어 워셔액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이 구비된 배출판을 가지는 체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통의 타단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는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2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통공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이 구비된 제어판을 가지며,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에 따라 워셔액의 인출을 제어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의 상기 제1 몸통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몸통을 향해 돌출된 멈춤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제2 몸통 내주면에는 상기 멈춤돌기를 수용하는 멈춤돌기홈이 구비되며,
    상기 멈춤돌기홈은 상기 제2 몸통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며,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멈춤돌기홈의 양쪽 말단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의 회전 각도가 서로 일치하여 워셔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 중 적어도 하나는 내벽면에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은 상기 제2 몸통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통 일단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워셔액 용기 인출구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인출구 결합 암나사산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은 상기 배출구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5. 자동차용 워셔액이 저장된 워셔액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로서,
    상기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 외주면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통, 및 상기 제1 몸통의 타단에 구비되어 워셔액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이 구비된 배출판을 가지는 체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통의 타단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는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2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통공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이 구비된 제어판을 가지며,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에 따라 워셔액의 인출을 제어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면에 상기 제2 몸통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나사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상기 제1 몸통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몸통을 향해 돌출된 멈춤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제2 몸통 내주면에는 상기 멈춤돌기를 수용하는 멈춤돌기홈이 구비되며,
    상기 멈춤돌기홈은 상기 제2 몸통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며,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멈춤돌기홈의 양쪽 말단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의 회전 각도가 서로 일치하여 워셔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통 일단의 내주면과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워셔액 용기 인출구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인출구 결합 암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판은 상기 배출구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8. 자동차용 워셔액이 저장된 워셔액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로서,
    상기 워셔액 용기의 인출구 외주면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몸통, 및 상기 제1 몸통의 타단에 구비되어 워셔액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제1 관통공들이 구비된 배출판을 가지는 체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통의 타단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는 워셔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2 몸통, 및 상기 제2 몸통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통공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제2 관통공들이 구비된 제어판을 가지며, 상기 제2 몸통의 회전 각도에 따라 워셔액의 인출을 제어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제2 몸통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삽입되며, 워셔액의 유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관통공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넘침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넘침방지부는 상기 제어판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워셔액이 유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관통공들을 개방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제어판 방향으로 워셔액이 유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관통공들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통 내벽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넘침방지부는 상기 나사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워셔액이 상기 제어판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유동하면 상기 넘침방지부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고, 워셔액이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제어판 방향으로 유동하면 상기 넘침방지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제2 관통공들이 차단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제2 관통공들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과 상기 제어판은 서로 면접촉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어판과 상기 넘침방지부는 서로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KR1020210086851A 2021-07-02 2021-07-02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KR102508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51A KR102508376B1 (ko) 2021-07-02 2021-07-02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51A KR102508376B1 (ko) 2021-07-02 2021-07-02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105A KR20230006105A (ko) 2023-01-10
KR102508376B1 true KR102508376B1 (ko) 2023-03-09

Family

ID=8489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851A KR102508376B1 (ko) 2021-07-02 2021-07-02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3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002B1 (ko) 2008-05-23 2010-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입성이 개선된 자동차용 리저버탱크장치
KR102042360B1 (ko) 2018-10-24 2019-11-07 김연수 요소수탱크용 주입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336Y1 (ko) * 1986-05-23 1989-11-25 조섭동 액체주입호오스의 액체공급 및 차단장치
KR20070035255A (ko) * 2005-09-27 2007-03-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워셔액 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002B1 (ko) 2008-05-23 2010-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입성이 개선된 자동차용 리저버탱크장치
KR102042360B1 (ko) 2018-10-24 2019-11-07 김연수 요소수탱크용 주입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105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9553B2 (ja) 空気流入口付き小型食品貯蔵容器
EP2651775B1 (en) Containers and methods for isolating liquids prior to dispensing
US6688499B2 (en) Liquid dispenser with screw pump
US69080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JP2020199254A (ja) バブルウォータマシン及び圧力ボトル
KR102508376B1 (ko) 워셔액 주입 보조장치
JPH08326940A (ja) 自己閉止バルブ
BRPI0613538A2 (pt) vaso tendo fonte de gás comprimido de co2
US2387699A (en) Liquid dispensing means
EP0624401B1 (en) Liquid foam-discharging, squeezable vessel
US6748610B2 (en) In-tank dispenser with flexible supported valve head
CN204643803U (zh) 一种改进型饮料灌注嘴
CN202635410U (zh) 杀虫剂烟雾器
US3519014A (en) Valve with stop
JP2001192098A (ja) 発泡飲料注出コック
US1352650A (en) Bottle-closure
CN103192643A (zh) 防打翻多功能墨砚盒
JP4998812B1 (ja) 洗剤用の壁面設置容器
CN213606053U (zh) 一种容器及洗手机
US3329294A (en) Tamper-proof closure
KR102477145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CN215513021U (zh) 一种墨水瓶
US1095922A (en) Bottle-stopper.
US1222889A (en) Non-refillable bottle.
JP6929092B2 (ja) 炭酸飲料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