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823B1 - 필름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 및 이러한 유형의 필름 연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름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 및 이러한 유형의 필름 연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823B1
KR102507823B1 KR1020207016281A KR20207016281A KR102507823B1 KR 102507823 B1 KR102507823 B1 KR 102507823B1 KR 1020207016281 A KR1020207016281 A KR 1020207016281A KR 20207016281 A KR20207016281 A KR 20207016281A KR 102507823 B1 KR102507823 B1 KR 102507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ir
ejection
discharge nozzl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825A (ko
Inventor
미하엘 바우마이스터
안티모스 기아포울리스
토비아스 호이즐
마르쿠스 운트라이너
Original Assignee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085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29C2035/04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29C2035/1666Cooling using ga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29C51/421Heating or cooling of preforms, specially adapted f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방출 노즐(8a)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를 포함하는 필름 연신 시스템(1)용 송기 모듈(3)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이송 평면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송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제1 복귀 시스템(9)이 적어도 두 개의 추출 채널들(10a, 10b)을 구비하고, 추출 채널들은 각각 추출 구역(11a, 11b)을 구비한다. 적어도 두 개의 추출 구역들(11a, 11b)은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이격되고, 이송 평면(4)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은 제1 및 제2 추출 구역(11a, 11b) 사이에 배열된다. 적어도 두 개의 추출 구역들(11a, 11b)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앞에만 그리고/또는 뒤에만 배열된다.

Description

필름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 및 이러한 유형의 필름 연신 시스템
본 발명은 필름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 및 이러한 유형의 필름 연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유형의 필름 연신 시스템은 종방향 연신 시스템, 횡방향 연신 시스템, 종방향 연신 스테이지 및 횡방향 연신 스테이지를 구비하는 순차 연신 시스템 또는 동시 연신 시스템이다.
플라스틱 필름들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이러한 종류의 필름 연신 시스템들은 온도가 서로 다른 여러 구간들로 분할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지 필름이라고도 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송기 모듈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온도 제어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특정한 필름 특성을 생성하거나 혹은 설정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플라스틱 필름 웹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필름이 기술적으로 배향, 다시 말해 (종방향으로 그리고/또는 횡방향으로) 연신된다. 이 경우 이러한 유형의 필름 연신 시스템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이송 방향, 즉 인출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배열되는 복수의 이러한 종류의 송기 모듈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송기 모듈들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온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송기 노즐들을 포함한다. 송기 노즐들은 또한 방출 노즐들 또는 방출 노즐 배열체라고도 한다.
원칙적으로 열전달이 가능한 가장 잘 될 수 있도록 송기 노즐들을 가능한 한 플라스틱 필름 웹 가까이로 가져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가능성은 이송 시스템에 의해 제한되는데, 이 이송 시스템은 플라스틱 필름 웹을 방출 노즐들 사이를 통해 이송하기 때문이다. 이송 시스템 높이 및 적당한 안전 간격이 방출 노즐들의 플라스틱 필름 웹으로부터의 거리를 규정한다.
방출 노즐들을 플라스틱 필름 웹 가까이로 안내하는 한 가지 가능성은 망원경식 노즐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비용이 들고 이에 따라 실제로는 드물게 실시된다. 이송 시스템이 또한 그 폭 조절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연신 폭이 조정될 수 있어야 함), 노즐 기구도 역시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노즐 기구는 기계적으로 복잡하고 이에 따라 비용이 많이 든다.
여러 가지 송기 모듈들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DE 196 23 471 C1은 천공형 노즐의 형태로 구성된 송기 노즐을 설명한다. 열을 지어 배열되고 인출 방향 및 인출 방향에 대해 횡인 방향 양쪽으로 오프셋된 복수의 구멍들을 공기 체적 유동이 통과한다. 이 공기 체적 유동은 다중 챔버 시스템(공급 챔버, 추가 챔버, 분배 챔버)을 통해 구멍들로 공급된다.
US 3 199 224는 코팅된 소재를 위한 온도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복수의 방출 노즐들이 소재들이 안내되는 이송 경로의 양 측부에 배열된다. 이 방출 개구들은 복귀 개구들 내에 배열된다. 배출되는 공기 제트는 소재 웹과 접촉하고 반향된 다음 복귀 개구들을 통해 다시 흡인된다.
US 3 199 224의 단점은 불안정한 공기 유동 조건들에 있다. 배출될 공기 유동은 본질적으로 무질서하게 요동하는 유동으로 설명될 수 있고, 이는 시간이 지나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유동 상태가 제공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 특정한 경우에, 이는 자유 제트들이 무질서하게 오락가락 진동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유 제트들은 소재 웹의 표면과 단지 순간적으로 접촉하거나 혹은 바로 순간적으로 인접한 복귀 개구들을 향해 전향하게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이 무질서하게 요동하는 유동으로 인해 소재 웹은 시간적으로 그리고 국부적으로 불균일하게 가열되거나 혹은 냉각된다. 따라서 소재 웹의 기계적 특성이 불균일하게 제공된다.
US 3 199 224에서 제안된 바와 같은 코팅될 소재 대신 플라스틱 필름 웹을 생산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더 크다. 이 경우, 기계적 특성(예를 들어 평탄도, 탁도, 걸리값(Gurley value), 다공성 또는 수축성)이 균일하게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충격 제트라고도 할 수 있는 자유 제트들의 심각한 진동 및 전향은 필름에 대한 열전달이 상당히 달라지기 때문에 매우 안 좋다. 예를 들어 공급 운동으로 인해, 충격 제트가 전향을 할 때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일부가 항상 충격 제트를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이 부분에는 열이 더 적게 투입된다. 다른 한편으로, 플라스틱 필름 웹의 다른 부분은 웹에 순조롭게 접촉하는 충격 제트를 항상 무작위로 지나갈 수 있어 열이 많이 투입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높은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구역들과 낮은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구역들이 서로 번갈아서 나타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필름 웹에 각기 다른 온도가 가해진다.
요약하면, 이전의 송기 모듈들 및 필름 연신 시스템들의 불안정한 유동 조건들이 불균일한 열 투입이 일어나는 이유이다.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인출 방향 이동으로 인해, 웹에는 국부적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 각기 다른 온도가 가해진다. 따라서 열처리 단계들 또는 기술 공정들이 서로 다른 시간들에 그리고 서로 다른 위치들에서 플라스틱 필름 웹에 일어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시간들에 그리고 서로 다른 위치들에서 결정화가 시작되거나 혹은 종료되고, 이에 따라 투명도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여기에서 제공하는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동시적인 온도 제어를 달성할 수 있는 필름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 및 상응하는 필름 연신 시스템 자체를 생성하는 데 있다. 특히 보다 안정적인 유동 조건을 생성하는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자유 제트들이 더 이상 심하게 진동하거나 전향하지 않아야 하고, 이에 따라 시간적이고 국부적인 온도 제어가 보다 균일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인 청구항 1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 및 청구항 28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송기 모듈의 발명에 따른 전개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27에서 알 수 있고, 필름 연신 시스템의 발명에 따른 전개는 청구항 29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은 넓은 범위의 층 두께와 조성을 가질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 웹들을 가열하거나 혹은 냉각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송기 모듈은 필름 연신 시스템의 각기 다른 구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송기 모듈은 플라스틱 필름 웹이 공급되는 필름 진입 구역, 및 이에 따라 온도 제어가 완료된 플라스틱 필름 웹이 배출되는 필름 배출 구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플라스틱 필름 웹은 필름 진입 구역으로부터 필름 배출 구역의 방향으로 이송 평면에서 송기 모듈 내에서 인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가 필름 진입 구역과 필름 배출 구역 사이에 구비되고, 플라스틱 필름의 방향으로 가열 또는 냉각용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가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인출 방향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이송 평면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추출 노즐들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이 구비된다. 복귀 시스템은 두 개의 흡입 구역들을 포함하고, 흡입 구역들과 추출 채널들을 통해 공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복귀 시스템도 마찬가지로 필름 진입 구역과 필름 배출 구역 사이에 배열된다.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은 인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이송 평면에 평행하게 배향되며, 적어도 두 개의 흡입 영역들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인출 방향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은 제1 및 제2 흡입 구역 사이에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 및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은 이송 평면의 동일한 측부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흡입 구역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인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 앞에만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입 구역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인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 뒤에만 배열된다.
흡입 구역들이 인출 방향으로 방출 노즐의 앞과 뒤에만 배열되면 특히 유리하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 웹의 전체 폭에 걸쳐 진행하는 충격 제트가 생성되고 왔다갔다 진동하는 범위가 더 작으며 더 이상 전향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라스틱 필름 웹에 매우 일정한 열이 투입된다. US 3 199 224와 달리, 방출 노즐은 종방향으로 흡입 구역이 없다. US 3 199 224의 개개의 방출 노즐들은 상응하는 흡입 구역의 모든 측부들에 둘러싸인다. 여기서 흡입 구역들은 바람직하게는 방출 노즐로부터 100cm 미만, 90cm, 80cm, 70cm, 60cm, 50cm, 40cm, 30cm, 20cm 또는 10cm 미만의 거리로 떨어져 배열된다. 이러한 안정화의 원인은 자유 제트(충격 제트)가 즉시 흡입 구역에 흡인되지 않고 (플라스틱 필름 웹에서의 반향에 의해) 더 긴 경로를 취하게 될 정도로 방출 속도(임펄스)가 큰 점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가능성은 복귀 와류가 자유 제트(충격 제트)를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고 이에 따라 안정화시키는 점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이 슬롯형 노즐로 구성되고, 노즐 개구 영역은 방출 노즐의 종방향으로 진행하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슬롯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방출 노즐이 천공형 노즐을 포함할 수 있는데, 노즐 개구 영역은 방출 노즐의 종방향으로 (인출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인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들에 의해 그리드 배열체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노즐 개구 영역은 공기 질량체 체적 유동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의 영역으로 이해된다. 완전히 또는 부분적(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의 연결 리브들의 배열체를 포함)으로 개방된 슬롯의 장점은 시간을 고려할 때 매우 안정적인 열전달계수를 달성할 수 있고 플라스틱 필름 웹이 송기 모듈을 빠져나가고 나면 플라스틱 필름 웹의 온도 변동이 보다 작다는 점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특히 송기 모듈이 종방향으로 매우 길게 연장하면서 동시에 슬롯의 치수(예를 들어 슬롯의 폭)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그 구조는 다소 복잡하다. 따라서 슬롯은 또한 단지 수 밀리미터 내지 수 센티미터 두께이며 안정화를 위해 제공되는 상응하는 연결 리브들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막힐 수도 있다. 다른 대표 실시예에서, 방출 노즐이 열을 지어 배열되고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구멍들을 구비하는 그리드 배열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그리드 배열체는 매우 쉽게 제조될 수 있고 매우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구멍들이 서로 매우 가깝게(예를 들어, 20mm 미만, 15mm, 12mm, 10mm, 8mm, 6mm 또는 5mm 미만의 간격으로) 배열되면, 이 구멍들은 복수의 개별 자유 제트를 갖는 개별 구멍으로 작용하지 않고, 대신 방출 노즐의 종방향으로 (공통의) 충격 제트가 생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멍 열이 제공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특히, 인출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되는 2개 내지 8개의 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구멍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인출 방향을 따라 혹은 인출 방향에 대해 횡으로 더 길게 연장하는 슬롯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이 슬롯형 노즐과 천공형 노즐을 혼합하여 포함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방출 노즐의 종방향으로 양 형태들 간에 변경이 있을 것이다. 방출 노즐이 (그리드 배열체의 형태로 된) 천공형 노즐로 실시되는 구역은 방출 노즐의 기계적 안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다른 영역들은 슬롯형 노즐들로 실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흡입 구역도 마찬가지로 해당 흡입 구역의 종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들에 의해 상응하는 제1 및 제2 그리드 배열체의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흡입 구역의 높은 기계적 안정성이 보장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구멍 열이 제공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특히 인출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되는 2개 내지 8개의 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구멍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인출 방향을 따라 혹은 인출 방향에 대해 횡으로 더 길게 연장하는 슬롯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방출 노즐에 대해 별도의 노즐 박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복수의 방출 노즐들이 또한 공동 노즐 박스에 배열될 수도 있다. 노즐 박스는 상응하는 제1 및 제2 측벽들을 포함하며, 측벽들은 인출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이송 평면에 대해 횡으로 혹은 이에 직교하게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는 후방 벽을 더 포함하며, 후방 벽은 방출 노즐의 반대쪽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측벽들을 서로 연결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은 측벽들 사이에 배열된다. 노즐 박스는 상응하는 공기 수용 챔버 또는 공기 안내 챔버를 둘러싸는데, 이 챔버는 이송 평면을 향하는 방출 노즐의 구역에서만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박스는 DE 196 23 471 C1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벽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노즐 박스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벽들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송 평면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진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형 단면을 가진다.
특히, 상응하는 제1 및 제2 추출 채널은 측벽들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거나 혹은 제1 및 제2 추출 채널이 측벽들을 따라 진행한다.
복귀 시스템이 또한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인출 방향에 대해 횡으로, 특히 이에 대해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이송 평면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상응하는 복귀 박스도 포함할 때 송기 모듈의 추가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 이는 예를 들어 복귀 박스가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보다, 양 박스들이 이송 평면의 동일한 측부에 배열된 상태에서, 이송 평면으로부터 더 떨어져 있으므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귀 박스도 마찬가지로 복귀 박스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흡입 슬롯 및/또는 복귀 박스의 종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흡입 개구들을 포함한다. 흡입 박스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흡입 슬롯 또는 흡입 개구들의 한도 내에서만 종방향으로 개방된다. 그 외에는, 상응하는 측벽 및 후방 벽에 의해 폐쇄된다.
추가적인 집중 시험 및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충격 제트를 단순한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추가로 지지하거나 혹은 복잡한 노즐 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충격 제트를 플라스틱 필름 웹에 보다 가깝게 보내려고 시도했다. 도입부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목적에 유용한 망원경식 노즐 기구들은 이송 시스템의 가변 폭을 고려하여 그 자신의 내부에서 활주할 수 있는 구성이어야 하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복잡한 구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발예에서, 이송 평면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보다 더 돌출하고 방출 노즐과 유사하게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 역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가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의 일측에 장착되면 유리하다는 것을 알았다. 플라스틱 플레이트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충격 제트는 단지 하나의 측부에서만 지지되며, 충격 제트는 옆의 가이드에서 흡인되고(코안다 효과) 이에 따라 필름에 보다 가까이 가게 된다. 충격 제트의 조기 전향이 이에 따라 방지된다. 따라서 보다 균일한 온도 제어가 이루어진다.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 또는 배플 플레이트는 또한 코안다 가이드 패널이라고도 한다.
송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도 또한 포함한다. 이들은 제1 방출 노즐 배열체 및 제1 복귀 시스템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2 방출 노즐 배열체는 하나 이상의 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노즐들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인출 방향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배향되고 이송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그러나, 이 경우, 제1 방출 노즐 배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이 이송 평면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은 제1 측부의 반대쪽인 이송 평면의 제2 측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필름 웹은 두 개의 측부들에서 온도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시스템은 플라스틱 필름 웹을 생산하는데 사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송기 모듈 또는 복수의 상술한 송기 모듈을 구비한다. 복수의 송기 모듈들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전부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각기 다른 송기 모듈들을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이 천공형 노즐로 형성되는 송기 모듈들 및 다른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이 슬롯형 노즐로 형성되는 송기 모듈들이 사용될 수 있다. 흡입 구역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복수의 방출 노즐들을 사용하면, 방출 노즐들 및 연관된 흡입 구역들이 하나의 송기 모듈 내에서도 각기 다르게(구멍들 또는 슬롯들, 또는 크기, 형상, 배향(각 위치) 등)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송기 모듈들이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의 방출 노즐 수가 다른 경우, 하나의 송기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의 모든 방출 노즐들의 전체 노즐 개구 영역이 다른 송기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의 모든 방출 노즐들의 전체 노즐 개구 영역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다 균일한 열 투입이 보장된다.
송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방출 노즐을 구비하며, 추가 방출 노즐의 옆에 추가 제1 및 제2 흡입 구역들이 있다. 여기서 구조와 배열 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과 동일하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가 추가 노즐 박스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추가 방출 노즐은 추가 노즐 박스에 배열된다. 이송 평면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대부분 또는 완전히 공기 불투과성인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가 적어도 두 개의 노즐 박스들 사이에 또는 두 개의 노즐 박스들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놓이고, 이에 의해 각기 달느 방출 노즐들의 인접한 두 개의 흡입 구역들의 범위가 획정된다. 이는 공기가 흡입 구역들에서만 추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동 조건들이 매우 정확하고 재현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대표 실시예들을 예시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유사한 컴포넌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진다.
도 1은 필름 연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의 각기 다른 대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라스틱 필름 웹의 이송 평면 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의 유입 구역 및 방출 노즐 구역의 중첩 구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의 제1 방출 노즐 장치의 노즐 박스를 여러 가지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운송 평면의 양 측부에 배열된 방출 노즐 장치들 및 복귀 시스템들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의 대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버 플레이트 장치에 의해 서로 이격된 복수의 방출 노즐을 포함하는 방출 노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로, 각각의 방출 노즐 옆에 두 개의 흡입 구역이 있다.
도 7,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의 각기 다른 대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의 각기 다른 대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로, 대표 실시예들은 방출 노즐들과 복귀 노즐들의 수가 서로 상이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의 대표 실시예를 삼차원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방출 노즐들이 천공 노즐들을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의 대표 실시예를 삼차원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1 방출 노즐 장치의 방출 노즐들이 이중 노즐들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과 종래 기술의 송기 모듈의 온도 및 평균 열전달계수의 대표적인 곡선들을 비교하는 여러 가지 그래프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필름 연신 시스템(1)은 종방향 연신 시스템, 횡방향 연신 시스템, 종방향 연신 스테이지 및 횡방향 연신 스테이지를 구비하는 순차 연신 시스템, 또는 동시 연신 시스템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 연신 시스템(1)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을 연신하는 데 사용되고, 이러한 목적으로 예를 들어 여러 구간들(1a, 1b, 1c, 1d, 1e)로 분할되어 있다. 물론 이 구간들(1a 내지 1e) 전부가 실제로 구비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소정의 필름 특성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설정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필름 웹(2)은 여러 구간들(1a 내지 1e)에서 각기 다른 온도들에 노출된다. 여기서 제1 구간(1a)은 예열 구간이라고도 한다. 제2 구간(1b)은 연신 구간이라고 하는 반면, 제3 구간(1c)은 추가 가열 구간이라 한다. 제4 구간(1d)은 중립 구간이라고도 하고, 제5 구간(1e)은 냉각 구간이라 한다. 원칙적으로, (하나의 구간(1a 내지 1e)로부터 다른 구간으로 공기가 유동함으로써) 개별 구간들(1a 내지 1e)이 서로에게 영향을 덜 미치도록 구간들(1a 내지 1e)이 이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추가의 중립 구간들이 개별 구간들(1a 내지 1e) 사이에 또한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간(1a 내지 1e)은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송기 모듈(3)들을 포함한다. 이 송기 모듈(3)들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연장하며, 그 길이는 대략 1m 초과, 1.5m, 2m, 2.5m, 3m, 3.5m, 4m, 4.5m 또는 5m 초과이지만, 바람직하게는 6m 미만, 5m, 4m, 3m, 2m, 또는 1m이다. 이들은 추가로 종방향(5), 즉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연장하며, 그 길이는 2m 초과, 3m, 4m, 5m, 6m, 7m, 8m, 9m, 10m, 11m, 12m, 13m, 또는 15m 초과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7m 미만, 16m, 15m, 14m, 13m, 12m, 11m, 10m, 9m, 8m, 7m, 6m, 5m, 4m, 3m, 또는 2m 미만이다.
이 경우 송기 모듈(3)은 송기 유닛(미도시)과 상응하는 가열 및/또는 냉각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송기 모듈(3)들은 위치된 구간(1a 내지 1e)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 웹(2)을 가열하거나 혹은 냉각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 웹(2)을 가열하고자 하는 경우, 플라스틱 필름 웹(2)의 방향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가열 및/또는 냉각 장치에 의해 가열된다. 예를 들어 냉각 구간(1e)에서는 플라스틱 필름 웹(2)이 냉각된다. 이를 위해, 보통 송기 모듈(3) 외부로부터 외기가 흡인되어 플라스틱 필름 웹(2)에 송풍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흡인된 공기의 추가 냉각이 또한 수행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편향 챔버들을 구비하는 송기 모듈(3)의 기본적인, 특히 내부 구조는 예를 들어 DE 196 23 471 C1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그 개시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한다.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필름 웹(2)이 제1 구간(1a)으로 도입되고 제5 구간(1e) 뒤에서 제거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의 각기 다른 대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송기 모듈(3)의 윤곽은 단지 예시적으로만 선택되었다. 송기 모듈(3)은 또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송기 모듈(3)은 필름 진입 구역(6a) 및 필름 배출 구역(6b)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필름 웹(2)은 필름 진입 구역(6a)로부터 필름 배출 구역(6b)의 방향으로 이어지는 이송 평면(7)에서 송기 모듈(3) 내에서 인출 방향(4)으로 이동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가 필름 진입 구역(6a)과 필름 배출 구역(6b) 사이에 배열되고, 가열 또는 냉각을 목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웹(2)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8a)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8a)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8a)의 종방향은 송기 모듈(3)의 종방향(5)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도 2a 및 도 2b의 대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방출 노즐(8b)을 또한 포함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8a)에 대해 인출 방향(4)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이 추가로 구비되는데,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은 적어도 두 개의 추출 채널들(10a, 10b)을 구비하고, 추출 채널들 각각은 흡입 구역(11a, 11b)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은 추출 채널들(10a, 10b)을 통해 공기를 추출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은 마찬가지로 필름 진입 구역(6a)과 필름 배출 구역(6b) 사이에 배열된다.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은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의 종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송기 모듈(5)의 종방향(5)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은 제1 및 제2 흡입 구역(11a, 11b) 사이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과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은 이송 평면(7)의 동일한 측부에 배열된다.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은,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서, 총 흡입 개구 영역(12)을 갖는데, 이 총 흡입 개구 영역은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방출 구역에서의 노즐 개구 영역보다 8배 내지 14배 더 크다. 이 경우 총 흡입 개구 영역(12)은 제1 흡입 구역(11a)의 흡입 개구 영역(12a)과 제2 흡입 구역(11b)의 흡입 개구 영역(12b)의 합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방출 노즐(8b)이 또한 도시되어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방출 노즐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5)으로 연장하며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향되고, 추가 방출 노즐(8b)은 방출 구역에 자신의 노즐 개구 영역(13)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방출 노즐들(8a, 8b) 둘 다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추가의 제1 및 제2 흡입 구역들(11a, 11b)은 마찬가지로 각각 제1 및 제2 흡입 채널(10a, 10b)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에 연결된다. 추가의 제1 및 제2 흡입 구역들(11a, 11b)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추가 방출 노즐(8b)의 앞에만 배열되고, 추가의 제2 흡입 구역(11b)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추가 방출 노즐(8b)의 뒤에만 배열된다.
도 3에는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이 종방향(5)으로 이송 평면(7)보다 더 연장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평면도에서, 흡입 구역들(11a, 11b)은 이송 평면(7)의 하나의 단부 또는 양측 단부들 너머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이 경우 이송 평면(7)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이 이동하거나 혹은 연장하는 구역을 규정한다. 그러나 도시된 크기의 경우는, 전체 흡입 개구 영역(12) 중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 놓인 부분들만 관련된다. 노즐 개구 영역(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흡입 개구 영역(12)은 단지 공기 질량체 체적 유동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노즐 개구 영역(13)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은 종방향(5)으로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과 동일한 거리에 걸쳐서 연장한다.
제1 방출 노즐(8a)에 의해 그리고 선택적인 제2 방출 노즐(8b)에 의해 소정의 시간 간격 내에 유출되는 (양과 형상에 관해) 가장 일정한 공기 질량체 체적 유동의 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흡입 구역(11a)이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앞에만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입 구역(11b)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뒤에만 배열되는 것이 중요하다.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 간격 내에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질량체 체적 유동은 동일한 시간 간격 내에 두 개의 흡입 구역들911a, 11b)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 질량체 체적 유동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충격 제트(15)(도 2a, 도 2b 참조)를 가능한 최고의 방법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서 전체 흡입 개구 영역(12)(두 개의 (부분) 흡입 개구 영역들(12a, 12b)의 합)은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전체 노즐 개구 영역(13) 보다 8배, 8배 초과, 9배, 10배, 11배, 12배 또는 13배 초과 더 커야 한다. 동시에, 양 흡입 구역들(11a, 11b)의 전체 흡입 개구 영역은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전체 노즐 개구 영역(13) 보다 14배, 14배 미만, 13배, 12배, 11배, 10배 또는 9배 미만 더 클 수 있다.
도 3의 경우, 제1 흡입 구역(11a)의 흡입 개구 영역(12a)이 제2 흡입 구역(11b)의 흡입 개구 영역과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양 흡입 구역들(11a, 11b)의 흡입 개구 영역들(12a, 12b)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들은 30% 미만, 25%, 15%, 10% 또는 5% 미만으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를 포함하는데, 이 노즐 박스에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배열된다. 노즐 박스(20a)는 제1 및 제2 측벽들(21a, 21b)을 포함하고, 측벽들은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종방향(5)으로 연장하며, 그리고 이송 평면(7)에 횡으로 혹은 이에 직교하게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는 후방 벽(21a)을 더 포함하는데, 후방 벽은 방출 노즐(8a)의 반대쪽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종방향(5)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측벽들(21a, 21b)을 서로 연결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은 양 측벽들(21a, 21b) 사이에 배열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대표 실시예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방출 노즐(8b)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노즐 박스(20b)가 있다. 그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씩의 방출 노즐(8a, 8b)이 각각의 노즐 박스(20a, 20b)에 배열된다.
여기서 제1 추출 채널(10a)의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의 제1 측벽(21a)의 외측을 따라 연장한다. 제2 추출 채널(10b)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의 제2 측벽(21b)의 외측을 따라 연장한다. 추출 채널(10a, 10b)은 베이스 부분에 대해 횡으로 혹은 이에 직교하게 연장하는 추가 벽 부분들을 통해서도 또한 안내되어야 한다는 점에 의해 규정되지는 않는다. 추출 채널(10a, 10b)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 때문에 공기 유동이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의 측벽(21a, 21b)을 따라서만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는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오프셋되게 배열된 두 개의 측벽들(21a, 21b)이 이송 평면(7)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를 향해 진행하고,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은 서로를 향해 원뿔형으로 진행하는 측벽들(21a, 21b)의 단부 구역들에 형성되거나 혹은 배열된다.
반면에, 도 2b에는 두 개의 측벽들(21a, 21b)이 서로 거의 평행하게 진행하고, 이송 평면(7)을 마주보는 측부에서 전방 벽(21d)에 의해 폐쇄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이송 평면(7)에 인접하게 배열된 전방 벽(21d)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여 전방 벽(21d)을 두 개의 부분들로 분할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추출 채널(10a)이 전방 벽(21d)의 제1 부분을 따라 연장하고, 제2 추출 채널(10b)은 전방 벽(21d)의 제2 부분을 따라 연장한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불투과성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또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노즐 박스들(20a, 20b) 사이에 배열되고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흡입 구역들(11a, 11b)은 바람직하게는 방출 노즐(8a)과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 간의 거리에 의해 획정된다. 도 2b에는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노즐 박스들(20a, 20b)로부터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각기 다른 방출 노즐들(8a, 8b)의 두 개의 인접한 흡입 구역들(11a, 11b)은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에 의해 그 범위가 획정된다.
노즐 박스들(20a, 20b)이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전방 벽(21d)을 또한 포함하는 도 2b에서,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가장 단순한 경우에서 단순한 이차원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차원 플레이트는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9)에 의해 전방 벽(21d)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9)에 스크루 결합된다. 특히 적어도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이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갭(28)을 형성하고 있다. 추출 채널들(10a, 10b)은 각각의 노즐 박스(20a, 20b)에 배열된 흡입 구역(11a, 11b)으로부터 갭(28)을 통과하여 진행하고,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스페이서(20)들에 의해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에 체결되고 이송 평면(7)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하고 그리고 (평평한) 요소 또는 (커버) 패널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각기 다른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또한 상응하는 스페이서(29)들을 사용하지 않고 노즐 박스들 위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에, 도 2a에서는,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서로를 향해 원뿔형으로 진행하는 측벽들(21a, 21b)에 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대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한다.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측벽들을 연결하는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의 다른, 경사진 측벽이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의 다른 측벽(21b, 21a)을 향해 원뿔형으로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21a, 21b)과 거의 평행하게 진행한다. 추출 채널들(10a, 10b)은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의 이 측벽과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의 측벽들(21a, 21b) 사이에 형성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또한 그 단면이 사다리꼴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이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갭(28)을 형성하고, 상응하는 추출 채널(10a, 10b)이 각각의 노즐 박스(20a, 20b)에 배열된 흡입 구역(11a, 11b)으로부터 형성된 갭(28)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방출 노즐들(8a, 8b)은 바람직하게는 이송 평면(7)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다른 방출 노즐(8b)보다 이송 평면(7)에 더 가깝게 배열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의 대표 실시예들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이송 평면(7)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8b, 8c, 8d, 8e, 8f)과 거의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사실이다.
도 2a 및 도 2b는 충격 제트(15)의 대표적인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충격 제트는 플라스틱 필름 웹(2)과 접촉한 다음 인출 방향(4)으로 그리고 인출 방향(4)의 반대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편향되고 나서, 흡입 구역들(11a, 11b)을 통해 추출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이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를 포함하는데, 복귀 박스는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며 특히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그리고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여기서 복귀 박스의 종방향은 특히 송기 모듈(3)의 종방향(5)과 평행하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는 이송 평면(7)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보다 멀리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 및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8a)는 이송 평면(7)의 동일한 측부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는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속 흡입 슬롯(27) 또는 복귀 박스(26a)의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흡입 개구들을 포함한다. 이 연속 슬롯(27) 또는 흡입 개구들은 여기서 이송 평면(7)의 방향을 그리고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의 방향을 향한다.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는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또는 대부분 흡입 슬롯(27) 또는 상응하는 흡입 개구들을 통해 공기를 흡인한다.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 및 제1 복귀 시스템(9)에 더하여,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 및 제2 복귀 시스템(31)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도 2a 및 도 2b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자, 도 5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31)이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 및 제1 복귀 시스템(9)과 비교하여 이송 평면(7)의 반대쪽 측부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는 노즐 개구 영역(13)을 각각 갖는 하나 이상의 방출 노즐(8a, 8b)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또는 복수의 방출 노즐들(8a, 8b)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진행하며,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31)은 마찬가지로 복수의 흡입 구역들(11a, 11b)을 포함하며, 복수의 흡입 구역들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진행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또는 복수의 방출 노즐들(8a, 8b)의 노즐 개구 영역(13)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31)의 제1 및 제2 흡입 구역들(11a, 11b) 사이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31)은 그 구조가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 및 제1 복귀 시스템(9)에 상응하며, 여기서는 이를 참조한다.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은, 평면도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과 합동이게 배열된다. 상응하는 흡입 구역들(11a, 11b)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공기 유동의 경로가 또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충격 제트(15)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8a)로부터 빠져나가서 플라스틱 필름 웹(2)과 접촉한다. 그곳에서, 공기 유동은 원통형으로 방향을 바꾸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에 바로 인접하게 배열된 흡입 구역들(11a, 11b)을 통해 추출된다. 상응하는 제1 및 제2 추출 채널들(10a, 10b)은 노즐 박스(20a)의 전방 벽(21d)에 의해 그리고 노즐 박스(20a)의 상응하는 측벽(21a, 21b)에 의해 형성된다.
도 5는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이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갭(28)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갭(28)은 인접한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의 측벽(21b)들에 의해 형성된다. 흡입 구역들(11a, 11b)의 두 개의 제2 추출 채널(10b)들에 의해 추출되는 공기 질량체 체적 유동은 이 갭(28)을 통해 유동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공기 질량체 체적 유동을 위한 별도의 안내 배열체가 필요 없다.
도 5에는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상응하는 노즐 박스(20a 또는 20b)로부터 이송 평면(7)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도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노즐 박스들(20a, 20b)의 전방 벽(21d)들보다 이송 평면(7)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양 노즐 박스들(20a, 20b)에 스페이서(29)들을 이용하여 고정, 특히 스크루 고정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의 평면도에서,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는 전방 벽(21d)과 중첩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각각의 추출 채널(10a, 10b)은 전방 벽(21d)과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 사이에서 갭(28)을 통과하여 진행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방출 노즐들(8a, 8b)과 정확하게 동일한 거리로 이송 평면(7)으로부터 이격된다.
송기 모듈(3)이 단 하나의 방출 노즐(8a)을 포함해야 한다면, 인접한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은 여전히 상응하는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에 의해 획정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라는 표현은 특히 평평하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이거나 혹은 정사각형인 플레이트를 하나 이상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는 예를 들어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에 사용되는 노즐 박스(20a, 20b)를 여러 가지로 도시한다. 이러한 노즐 박스(20a, 20b)의 단부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는데, 이는 공기가 이 단부면을 통해 송풍되기 때문이다.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시스템(1)은 소정의 시간 간격 내에 소정의 공기 체적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하거나 혹은 냉각하도록 구성된 가열 및/또는 냉각 장치를 사용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및/또는 냉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에 연결된 공기 방출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특히 공기 방출구는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상응하는 노즐 박스(20a, 20b)의 개방 단부면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 및/또는 냉각 장치는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송기 모듈(3)은 재순환 모듈로 작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입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의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으로 개방된 단부면에 연결된다. 한편, 공기 유입구는 송기 모듈(3) 외부의 구역에도 또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신선한 공기가 흡인될 수 있다. 이러한 신선한 공기는 더 가열되거나 혹은 냉각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은 또한 신선한 공기가 단지 흡인되어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을 통해 플라스틱 필름 웹(2)의 방향으로 송풍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a 및 도 4b에, 제1 흡입 구역(11a)이 제1 흡입 구역(11a)의 종방향(5)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들에 의해 제1 그리드 배열체(40a)의 형태로 형성된 것이 더 도시되어 있다. 제2 흡입 구역(11b)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2 흡입 구역도 마찬가지로 제2 흡입 구역(11b)의 종방향(5)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들에 의해 제2 그리드 배열체(40b)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및/또는 제2 흡입 구역(11a, 11b)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모든 구멍들은 바람직하게는 인출 방향(4) 길이가 제1 및/또는 제2 흡입 구역(11a, 11b)의 종방향(5)보다 더 길다.
제1 및/또는 제2 흡입 구역(11a, 11b)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모든 구멍들은 그 단면이, 즉 평면도(도 4b 참조)에서, 각진 형상, 둥근 형상, 타원 형상 또는 n각형 형상을 갖거나 혹은 이러한 형상에 가깝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 및 제1 그리드 배열체(40a)가 서로 연결, 바람직하게는 스크루 결합되는 것을 더 볼 수 있다. 일체형 디자인도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개별 구멍들은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로부터 펀칭되거나 혹은 레이저 가공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이는 노즐 박스(20a)의 다른 측벽(21b)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도 마찬가지로 제2 그리드 배열체(40b)에, 바람직하게는 고정되게,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그리드 배열체에 스크루 결합되거나 혹은 제2 그리드 배열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특정 그리드 배열체(40a, 40b)는 특히 상응하는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있는 평면에 배열된다. 이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이송 평면(7)과 평행하다. 원칙적으로, 특정 그리드 배열체(40a, 40b) 또한 상응하는 노즐 박스(20a, 20b)에 스크루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응하는 제1 또는 제2 그리드 배열체(40a, 40b)는 종방향(5)으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 웹(2)과 동일한 거리에 걸쳐 연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는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그리드 배열체들(40a, 40b) 및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또한 그러하듯이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 4b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슬롯형 노즐을 포함하며, 노즐 개구 영역(13)이 방출 노즐(8a)의 종방향(5)으로 진행하는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슬롯은 대표 실시예에서는 완전히 개방된다. 또한 슬롯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예를 들어 (기계적 안정성을 위한) 연결 리브들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도 6은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대표 실시예에서, 4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 20c, 20d)이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방출 노즐들(8a, 8b, 8c, 8d)은 각각의 노즐 박스(20a, 20b, 20c, 20d)에 놓인다. 이 방출 노즐들(8a 내지 8d) 각각의 옆에 제1 및 제2 흡입 구역(11a, 11b)이 있다. 여러 노즐 박스들(20a 내지 20d)의 개별 흡입 구역들(11a, 11b)은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에 의해 서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의 다른 대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4개의 노즐 박스들(20a 내지 20d)을 포함한다. 각각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 또는 20c, 20d)이 복귀 박스(26a, 26b)와 결합된다. 이는 각각의 복귀 박스(26a, 26b)가 각각 두 개의 방출 노즐들(8a, 8b 및 8c, 8d)로부터 공기를 흡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경우,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노즐 박스들(20a, 20b 또는 20b, 20c 또는 20c, 20d)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또한 송기 모듈(3)의 외측 벽들 각각에 배열되고, 최외측 노즐 박스들(20a, 20b)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에 따라 상응하는 흡입 구역들(11a, 11b)을 획정한다.
또한, 추가 격벽(50)이 또한 구비되는데, 추가 격벽은 관련된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와 관련된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c, 20d)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b) 사이에서 공기 순환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충격 제트(15)(도 7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더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또는 모든 방출 노즐들(8a, 8b, 8c, 8d)에 배열되고,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는 이송 평면(7)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또는 모든 방출 노즐들(8a, 8b, 8c, 8d)보다 더 돌출한다. 여기서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또는 여러 방출 노즐들(8a, 8b, 8c, 8d)의 종방향(5)으로 폐쇄된 형태로 연장한다.
이러한 유형의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는 당연히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d)에도 또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를 이용하여, 보다 균일한 열전달계수를 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충격 제트(15)를 플라스틱 필름 웹(2)에 더 가까이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생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어떠한 복잡한, 특히 망원경식의 노즐 기구도 필요 없다. 충격 제트(15)는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를 이용하여 (단지) 하나의 측부에 지지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충격 제트(15)가 옆의 가이드에서 흡인되고(코안다 효과), 이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 웹(2)에 보다 가까이 갈 수 있는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 옆으로 안내되는 충격 제트(15)는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의 단부에서 박리되고 플라스틱 필름 웹(2)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충격 제트(15)의 전향(turning away) 또는 진동이 감소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웹(2)의 보다 균일한 온도 제어가 이루어진다.
원칙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는 통상의 노즐 기구보다 더 양호한 구성일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는 예를 들어 힌지 패널과 유사하게 인출 방향으로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는 중실형 기구로 실시될 수 있지만, 하나의 측부에만 배열되고 노즐 기구와 달리 슬롯을 갖는 박스로 형성되지 않는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의 다른 대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대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복귀 시스템(9)이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 20b, 20c, 20d)에 통합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는 바람직하게는 흡입 구역들(11a, 11b)을 제외하면 상응하는 노즐 박스(8)의 종방향(5)으로 완전히 폐쇄되고, 제1 복귀 시스템(9)을 통해 흡인되는 공기는 상응하는 노즐 박스(20a)의 단부면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복귀 박스들(26a, 26b, 26c, 26d)이 노즐 박스들(20a 내지 20d)에 통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의 특히 컴팩트한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명료성을 높이기 위해, 노즐 박스들(20a, 20b, 20c, 20d)만 도시한다. 도 8 a와 달리,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 또는 20b, 20c 또는 20c, 20d) 사이의 갭(28)은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에 의해 적어도 이송 평면(7)의 방향으로 폐쇄된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은 이송 평면(7)으로부터 갭(28)으로는 형성될 수 없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 또는 20b, 20c 또는 20c, 20d)에 스크루 결합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는 적어도 갭(28)의 폭(인출 방향(4))에 걸쳐 그리고 플라스틱 필름 웹(2)의 폭에 걸쳐 연장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는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평평하거나 혹은 이송 평면의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는 하나의 플레이트 또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거의 대부분(공기의 80% 초과) 또는 전적으로 흡입 구역들(11a, 11b)에서 추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는 여러 노즐 박스들에 (20a, 20b 또는 20b, 20c 또는 20c, 20d)에 스페이서(29)를 이용하여 부착되거나 혹은 직접 배치될 수 있거나, 혹은 여기에 스크루 결합되거나 혹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복수의 송기 모듈들은 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 경우 개별 송기 모듈은 각기 다른 수의 방출 노즐들(8a, 8b, 8c, 8d, 8e, 8d, 8g, 8h)을 구비한다. 제1 대표 실시예에는 8개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h)이 있다. 제2 대표 실시예에는 6개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f)이 있다. 제3 대표 실시예에는 6개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d)이 있다. 제4 대표 실시예에는 3개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c)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방출 노즐들(8a 내지 8h)의 총 노즐 개구 영역(13)은 일정하다. 이는 많은 방출 노즐들(8a 내지 8h)의 경우, 상응하는 방출 노즐(8a 내지 8h)의 각각의 노즐 개구 영역(13)이 단지 소수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c)만 있는 경우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반적으로는, 이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 웹(2)에 투입되는 열이 일정하다. 이는 전체 흡입 개구 영역(1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전체 흡입 개구 영역은 제1 흡입 구역(11a)의 흡입 개구 영역(12a) 및 제2 흡입 구역(11b)의 흡입 개구 영역(12b)으로 구성된다.
대체로,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총 흡입 개구 영역(12)의 크기는 일정하다. 이는 (도 9의 첫 번째 예와 같이) 다수의 흡입 구역들(11a, 11b)이 있는 경우 제1 및 제2 흡입 구역들(11a, 11b)의 흡입 개구 영역들(12a, 12b)은 도 9의 마지막 예에 도시된 바와 가이 단지 소수의 흡입 구역들(11a, 11b)이 있는 경우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시스템(1)이 방출 노즐들(8a, 8b, ... 등)의 수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송기 모듈(3)을 포함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 경우, 하나의 송기 모듈(3)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방출 노즐들(8a, 8b, ... 등)의 총 노즐 개구 영역(13)은 다른 송기 모듈(3)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방출 노즐들(8a, 8b, ... 등)의 총 노즐 개구 영역(13)과 크기가 거의 동일하다. 이는 하나의 송기 모듈(3)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흡입 구역들(11a, 11b)의 총 흡입 개구 영역(12)을 다른 송기 모듈(3)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흡입 구역들(11a, 11b)의 총 흡입 개구 영역(12)과 비교해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이는 도 9에 도시된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 및 제2 복귀 시스템(3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시험 결과, 3개 또는 4개의 노즐 박스들(20a 내지 20d)을 사용하면, 5개, 6개, 7개, 8개 또는 8개를 초과하는 노즐 박스들(20a 내지 20h)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송기 모듈(3) 내에서 보다 균일한 공기 유동이 얻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의 다른 대표 실시예를 삼차원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송기 모듈(3)은 8개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h)을 포함하며, 이 대표 실시예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h)은 연속적인 슬롯형 노즐을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 이 경우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방출 노즐들(8a 내지 8h)이 천공형 노즐로 형성되거나 혹은 이러한 유형의 천공형 노즐을 포함한다. 하나의 방출 노즐(8a 내지 8h)의 총 노즐 개구 영역(13)은 특정 방출 노즐(8a 내지 8h)의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들에 의해 그리드 배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
노즐 개구 영역(3)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모든 구멍들은 그 단면이 각진 형상, 둥근 형상, 타원 형상 또는 n각형 형상을 갖거나 혹은 이러한 형상에 가깝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의 다른 대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대표 실시예에는, 4개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d)이 있는데, 이 방출 노즐들은 인출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이 경우에는 모든 방출 노즐들(8a 내지 8d)이 서로 이격되고 인출 방향(4)으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배출 챔버들을 구비하는 이중 노즐을 포함한다. 따라서 노즐 개구 영역(13)은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부분 노즐 개구 영역들의 합이다. 이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옆에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이 있다.
원칙적으로, 보다 적은 수의 방출 노즐들(8a, 8b, ... 등)을 사용하면 온도가 균일하게 증가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에 비해, 플라스틱 필름(2) 상의 국부적인 부하 또한 증가하는데, 이는 열 투입이 매우 짧은 구간들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높은 열전달계수). 또한, 공기는 높음 공기 속도로 플라스틱 필름 웹(2)과 접촉한다. 열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민감한 필름 유형들(예를 들어 PA, PET)의 경우,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 웹(2)이 예를 들어 강한 충격 빔(15)에 의해 변형(신장)되거나 혹은 강한 온도 투입에 의해 손상될 것이기 때문에 이는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방출 노즐들(8a, 8b, ... 등)의 수는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소재에 따라 선택된다. 노즐 개구 영역(13)의 크기 및 노즐 개구 영역(13) 옆에 있는 흡입 구역들(11a, 11b)의 총 흡입 개구 영역(12)의 경우도 동일하다.
개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 ... 등)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7)으로 유지 장치(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 박스들(20a, 20b, ... 등)은 변형된 방출 노즐(8a, 8b, ... 등)을 구비하는 노즐 박스들(20a, 20b, ... 등)에 대해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귀 박스들(26a, 26b, ...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방출 노즐 배열체(3) 및 제1 복귀 시스템(9)에 대해 행한 모든 설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31)에도 또한 적용된다.
도 12a에는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시간에 따른 평균 온도에 대한 두 개의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곡선들은 측정 또는 시뮬레이션(측정된 값들의 계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송기 모듈(3)의 필름 방출 배출 구역(6b)에서 관련된 시간에서의 플라스틱 필름 웹(2)의 폭에 걸쳐 온도의 평균이 구해진다. 플라스틱 필름 웹(2)의 폭에 걸쳐 온도의 평균이 구해지고, 온도는 복수의 센서들(2개 내지 30개의 센서들)에 의해 검출되는데, 센서들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폭에 걸쳐 이격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센서들의 측정값들이 더해진 다음 측정값들의 수로 나누어진다. 점들로 표시된 측정 곡선은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을 사용한 결과이다. 십자들로 표시된 측정 곡선은 종래 기술의 송기 모듈을 사용하여 얻어졌다.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을 사용했을 때 시간에 따른 온도 변동이 훨씬 적고 이에 따라 필름 특성이 보다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2b는 플라스틱 필름 웹(2)용으로 간주되는 전체 송기 모듈의 평균 열전달계수를 송기 모듈(3)의 균일한 열전달계수 평균값의 시간 곡선에 해당되는 시간에 따른 도시하고 있다. 점들로 표시된 측정 곡선은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을 사용한 결과이다. 십자들로 표시된 측정 곡선은 종래 기술의 송기 모듈을 사용하여 얻어졌다.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3)을 사용했을 때 시간에 따른 평균 열전달계수의 변동이 상당히 적고 이에 따라 필름 특성이 보다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한 대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하고 그리고/또는 예시된 모든 피처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서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Claims (29)

  1. 플라스틱 필름 웹(2)들을 가열하거나 혹은 냉각하기 위한 필름 연신 시스템(1)용 송기 모듈(3)로,
    - 송기 모듈(3)이 필름 진입 구역(6a) 및 필름 배출 구역(6b)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필름 웹(2)은 필름 진입 구역(6a)으로부터 필름 배출 구역(6b)의 방향으로 이송 평면(7)에서 송기 모듈(3) 내에서 인출 방향(4)으로 이동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가 필름 진입 구역(6a)과 필름 배출 구역(6b) 사이에 구비되고, 가열 또는 냉각을 목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웹(2)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가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향되고;
    - 적어도 두 개의 추출 채널들(10a, 10b)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이 구비되며, 추출 채널들은 각각 흡입 구역(11a, 11b)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은 추출 채널들(10a, 10b)을 통해 공기를 추출하도록 구성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이 필름 진입 구역(6a)과 필름 배출 구역(6b) 사이에 배열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및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이 이송 평면(7)의 동일한 측부에 배열되고;
    -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이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이격되며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향되고,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이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제1 및 제2 흡입 구역(11a, 11b) 사이에 배열되되, 적어도 하나의 제1 흡입 구역(11a)이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앞에만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입 구역(11b)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뒤에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이,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서, 총 흡입 개구 영역(12)을 갖는데, 이 총 흡입 개구 영역은 이송 평면(7) 중첩되는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방출 구역에서의 노즐 개구 영역보다 8배 내지 14배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서 제1 및 제2 흡입 구역(11a, 11b)의 총 흡입 개구 영역(12)이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총 노즐 개구 영역(13)보다 8배, 8배 초과, 9배, 10배, 11배, 12배 또는 13배 초과 더 크고; 그리고
    - 제1 및 제2 흡입 구역(11a, 11b)의 총 흡입 개구 영역(12)은 이송 평면(7)과 중첩되는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총 노즐 개구 영역(13) 보다 14배, 14배 미만, 13배, 12배, 11배, 10배 또는 9배 미만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은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앞과 뒤에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열되며, 소정 거리는 100cm 미만, 90cm, 80cm, 70cm, 60cm, 50cm, 40cm, 30cm, 20cm 또는 10cm 미만이고; 그리고/또는
    -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이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를 통해 추출 가능한 공기 체적 유동의 적어도 80%, 85%, 90% 또는 95%를 적어도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을 통해 추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 제1 흡입 구역(11a)의 흡입 개구 영역(12a)은 그 크기가 제2 흡입 구역(11b)의 흡입 개구 영역(12b)과 거의 동일하거나; 혹은
    - 제1 및 제2 흡입 구역(11a, 11b)의 흡입 개구 영역(12a, 12b)이 서로 30% 미만, 25%, 20%, 15%, 10% 또는 5% 미만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슬롯형 노즐을 포함하고, 노즐 개구 영역(13)이 방출 노즐(8a)의 종방향(5)으로 진행하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그리고/또는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천공형 노즐을 포함하고, 노즐 개구 영역(13)이 방출 노즐(8a)의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들에 의해 그리드 배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 제1 흡입 구역(11a)이 제1 흡입 구역(11a)의 종방향(5)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들에 의해 제1 그리드 배열체(40a)의 형태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 제2 흡입 구역(11b)이 제2 흡입 구역(11b)의 종방향(5)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멍들에 의해 제2 그리드 배열체(40b)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 제1 및/또는 제2 흡입 구역(11a, 11b)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모든 구멍들은 인출 방향(4) 길이가 제1 및/또는 제2 흡입 구역(11a, 11b)의 종방향(5)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9. 청구항 6에 있어서,
    - 노즐 개구 영역(13)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모든 구멍들은, 그 단면이,
    a) 각진 형상;
    b) 둥근 형상,
    c) 타원 형상; 또는
    d) n각형 형상을 갖고; 그리고/또는
    - 제1 및/또는 제2 흡입 구역(11a, 11b)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 또는 모든 구멍들은, 그 단면이,
    a) 각진 형상;
    b) 둥근 형상,
    c) 타원 형상; 또는
    d) n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0. 청구항 7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가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를 포함하고;
    -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 노즐 박스(20a)가 제1 및 제2 측벽(21a, 21b)을 포함하고, 측벽들은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종방향(5)으로 연장하며 이송 평면(7)에 횡으로 혹은 이에 직교하게 배열되고;
    -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가 후방 벽(21c)을 포함하고, 후방 벽은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반대쪽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종방향(5)으로 연장하며 측벽들(21a, 21b)을 서로 연결하고;
    -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양 측벽들(21a, 21b)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 제1 추출 채널(10a)의 일부가 제1 측벽(21a)의 외측을 따라 연장하고;
    - 제2 추출 채널(10b)의 일부가 제2 측벽(21b)의 외측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 인출 방향(4)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게 배열된 두 개의 측벽들(21a, 21b)이 이송 평면(7)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를 향해 진행하고,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형 단면을 가지며, 방출 노즐(8a)은 서로를 향해 원뿔형으로 진행하는 측벽들(21a, 21b)의 단부 구역들에 형성되거나; 혹은
    - 측벽들(21a, 21b)이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며 이송 평면(7)을 마주보는 측부에서 전방 벽(21d)에 의해 폐쇄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이송 평면(7)에 인접하게 배열된 전방 벽(21d)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여 전방 벽(21d)을 두 개의 부분들로 분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추출 채널(10a)이 전방 벽(21d)의 제1 부분을 따라 연장하며 제2 추출 채널(10b)은 전방 벽(21d)의 제2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의 두 개의 그리드 배열체들(40a, 40b)이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진행하며 방출 노즐(8a)의 노즐 개구 영역(13)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이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를 포함하고, 복귀 박스는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인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그리고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향되고;
    -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가 이송 평면(7)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20a)보다 멀리 이격되고,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 및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박스(8a)는 이송 평면(7)의 동일한 측부에 배열되고;
    -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박스(26a)의 종방향(5)으로 연장하는 연속 흡입 슬롯(27)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복귀 박스(26a)의 종방향(5)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흡입 개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이 적어도 하나의 제1 노즐 배열체(8)의 제1 노즐 박스(20a)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7. 청구항 1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가열 및/또는 냉각 장치가 구비되고, 이 장치는 소정의 공기 체적을 소정의 시간 기간에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거나 혹은 냉각하도록 구성되고;
    - 적어도 하나의 가열 및/또는 냉각 장치가 공기 방출구를 포함하고, 공기 방출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에 연결되고;
    - 적어도 하나의 가열 및/또는 냉각 장치가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공기 유입구는
    a)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송기 모듈(3)이 재순환 모듈로 작동하거나; 혹은
    b) 송기 모듈 외부의 구역에 연결됨으로써 신선한 공기가 흡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8. 청구항 1에 있어서,
    -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에 장착되고, 이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는 이송 평면(7)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보다 더 돌출하고, 가이드 플레이트 배열체(60)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의 종방향(5)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19. 청구항 1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서로 이격되고 인출 방향(4)으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방출 챔버들을 구비하는 이중 노즐을 포함하고, 노즐 개구 영역(13)은 인출 방향(4)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부분 노즐 개구 영역들의 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0. 청구항 1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가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 또는 3개 또는 4개 또는 5개의 추가 방출 노즐들(8b, 8c, 8d, 8e, 8f)을 포함하고, 추가 방출 노즐들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5)으로 연장하며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배향되고, 추가 방출 노즐(8b) 또는 추가 방출 노즐들(8b, 8c, 8d, 8e, 8f)이 각각의 방출 구역에 별도의 노즐 개구 영역(13)을 구비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방출 노즐들(8a, 8b, 8c, 8d, 8e, 8f)이 인출 방향(4)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열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방출 노즐들(8a, 8b, 8c, 8d, 8e, 8f)이 이송 평면의 동일한 측부에 배열되고;
    - 각각의 추가 방출 노즐(8b, 8c, 8d, 8e, 8f)의 노즐 개구 영역(13)이 제1 및 제2 추가 흡입 구역(11a, 11b) 사이에 배열되고, 제1 및 제2 흡입 구역(11a, 11b)은 제1 또는 제2 추출 채널(10a, 10b)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에 연결되고;
    - 추가 제1 흡입 구역(11a)이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특정 추가 방출 노즐(8b, 8c, 8d, 8e, 8f) 앞에만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입 구역(11b)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으로 특정 추가 방출 노즐(8b, 8c, 8d, 8e, 8f) 뒤에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1. 청구항 1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가 복수의 노즐 박스들(20b, 20c, 20d, 20e, 20f)을 포함하고;
    -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공기 불투과성인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 20c, 20d, 20e, 20f) 사이에 또는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 20c, 20d, 20e, 20f)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공기 불투과성인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 20c, 20d, 20e, 20f) 사이에 또는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 20c, 20d, 20e, 20f)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놓이고, 이에 의해 각기 다른 방출 노즐들(8a, 8b, 8c, 8d, 8e, 8f)의 인접한 두 개의 흡입 구역들(11a, 11b)의 범위가 획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이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갭(28)을 형성하고;
    - 추출 채널들(10a, 10b)은 각각의 노즐 박스(20a, 20b)에 배열된 흡입 구역(11a, 11b)으로부터 갭(28)을 통과하여 진행하고,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는 스페이서(20)들에 의해 두 개의 노즐 박스들(20a, 20b)에 고정되고 이송 평면(7)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4. 청구항 22 또는 청구항 23에 있어서,
    - 커버 플레이트 배열체(25)가 이송 평면(7)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 8b, 8c, 8d, 8e, 8f)과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5. 청구항 1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방출 노즐들(8a, 8b, 8c, 8d, 8e, 8f)이 이송 평면(7)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거나; 혹은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다른 방출 노즐(8a, 8b, 8c, 8d, 8e, 8f)보다 이송 평면(7)에 더 가까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6. 청구항 1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31)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는 노즐 개구 영역(13)을 각각 갖는 하나 이상의 방출 노즐들(8a, 8b, 8c, 8d, 8e, 8f)을 구비하고, 하나의 방출 노즐(8a) 또는 복수의 방출 노즐들(8a, 8b, 8c, 8d, 8e, 8f)은 플라스틱 필름 웹(2)의 인출 방향(4)에 대해 횡이거나 혹은 이에 직교하는 자신의 종방향으로 진행하며, 이송 평면(7)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의 하나의 방출 노즐(8a) 또는 복수의 방출 노즐들(8a, 8b, 8c, 8d, 8e, 8f)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31)의 제1 및 제2 흡입 구역(11a, 11b) 사이에 배열되고;
    -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복귀 시스템(9)이 이송 평면(7)의 제1 측부에 배열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복귀 시스템(31)은 제1 측부의 반대쪽인 이송 평면(7)의 제2 측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이, 평면도 상에서, 제2 방출 노즐 배열체(30)의 적어도 하나의 방출 노즐(8a)과 합동이게 배열되고;
    - 제1 복귀 시스템(8)의 적어도 하나의 제1 흡입 구역(11a)이, 평면도 상에서, 제2 복귀 시스템(31)의 적어도 하나의 제1 흡입 구역(11a)과 합동이게 배열되고;
    - 제1 복귀 시스템(9)의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입 구역(11b)이, 평면도 상에서, 제2 복귀 시스템(31)의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입 구역(11b)과 합동이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8. 플라스틱 필름 웹들을 생산하기 위한 필름 연신 시스템(1)으로,
    청구항 1에 따른 하나의 송기 모듈(3) 또는 복수의 송기 모둘(3)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시스템.
  29. 청구항 28에 따른 복수의 송기 모듈(3)들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 웹들을 생산하기 위한 필름 연신 시스템(1)으로,
    - 모든 송기 모듈(3)들이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혹은
    - 적어도 두 개의 송기 모듈(3)들이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h)의 수가 다르고, 하나의 송기 모듈(3)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방출 노즐들(8a 내지 8)의 전체 노즐 개구 영역이 다른 송기 모듈(3)의 제1 방출 노즐 배열체(8)의 모든 방출 노즐들(8a 내지 8c)의 전체 노즐 개구 영역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시스템.
KR1020207016281A 2017-11-22 2018-11-21 필름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 및 이러한 유형의 필름 연신 시스템 KR102507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7595.9A DE102017127595A1 (de) 2017-11-22 2017-11-22 Belüftungsmodul für eine Folienreckanlage und eine solche Folienreckanlage
DE102017127595.9 2017-11-22
PCT/EP2018/082111 WO2019101808A1 (de) 2017-11-22 2018-11-21 Belüftungsmodul für eine folienreckanlage und eine solche folienreck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825A KR20200085825A (ko) 2020-07-15
KR102507823B1 true KR102507823B1 (ko) 2023-03-07

Family

ID=6450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281A KR102507823B1 (ko) 2017-11-22 2018-11-21 필름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 및 이러한 유형의 필름 연신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97179B2 (ko)
EP (1) EP3713738A1 (ko)
JP (1) JP7278280B2 (ko)
KR (1) KR102507823B1 (ko)
CN (1) CN111372753B (ko)
DE (1) DE102017127595A1 (ko)
WO (1) WO2019101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4029A1 (de) * 2020-05-26 2021-12-02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Blasdüse
DE102020130631A1 (de) * 2020-11-19 2022-05-19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Behandlungsanlage für eine durch einen Behandlungsofen hindurchführbare flexible Materialbahn, insbesondere Kunststofffolie
KR102399283B1 (ko) 2021-11-01 2022-05-19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필름 연신장비의 열풍공급용 노즐장치 및 노즐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4125A2 (de) 1989-08-22 1991-02-27 Hoechst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Trocknen einer auf einem bewegten Trägermaterial aufgebrachten Flüssigkeitsschicht
JP2000511840A (ja) 1996-06-12 2000-09-12 ブリュックナー マシーネンバウ ゲーエムベーハー 送風ノズル
JP5949548B2 (ja) 2011-03-29 2016-07-06 東レ株式会社 テンターオーブンおよび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9224A (en) 1962-04-03 1965-08-10 Wolverine Equipment Co Apparatus for treating continuous length webs comprising high velocity gas jets
US3199244A (en) 1962-10-18 1965-08-10 Sr Jordan W Frederiksen Fishing lure
JPH064275B2 (ja) 1985-05-20 1994-01-19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フィルムの横延伸方法
US5156312A (en) 1989-12-29 1992-10-20 Somerset Technologies, Inc. Flotation nozzle for web handling equipment
JPH0596619A (ja) * 1991-10-08 1993-04-20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イルム延伸機
JP3645486B2 (ja) 2000-12-11 2005-05-11 三菱樹脂株式会社 ステンターの温度調節装置
JP4733303B2 (ja) 2001-07-17 2011-07-27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テンタオーブン装置
DE102005054995B4 (de) 2005-07-28 2014-03-13 Otto Junker Gmbh Düsensystem für die Behandlung von bahnförmigem Gut
JP2007320276A (ja) * 2006-06-05 2007-12-13 Toray Ind Inc テンターオーブン
MY151712A (en) 2007-03-20 2014-06-30 Toray Industries Air injection nozzle, and tenter oven using the nozzle
CN101802662B (zh) * 2007-09-21 2012-02-29 住友化学株式会社 相位差膜的制造方法
JP6394010B2 (ja) 2013-03-29 2018-09-26 東レ株式会社 テンターオーブン、及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AT515957A1 (de) 2014-06-26 2016-01-15 Berndorf Band Gmbh Vorrichtung mit zumindest einem Endlosband
WO2017031053A1 (en) * 2015-08-14 2017-02-23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Melt blowing apparatus and method
EP3398750B1 (en) 2015-12-28 2021-10-20 Toray Industries, Inc. Air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CN106679394B (zh) * 2016-12-02 2019-01-15 汕头市远东轻化装备有限公司 薄膜横向拉伸烘箱的风箱系统单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4125A2 (de) 1989-08-22 1991-02-27 Hoechst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Trocknen einer auf einem bewegten Trägermaterial aufgebrachten Flüssigkeitsschicht
JP2000511840A (ja) 1996-06-12 2000-09-12 ブリュックナー マシーネンバウ ゲーエムベーハー 送風ノズル
JP5949548B2 (ja) 2011-03-29 2016-07-06 東レ株式会社 テンターオーブンおよび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3738A1 (de) 2020-09-30
WO2019101808A1 (de) 2019-05-31
CN111372753A (zh) 2020-07-03
JP2021504179A (ja) 2021-02-15
US20210122102A1 (en) 2021-04-29
JP7278280B2 (ja) 2023-05-19
DE102017127595A1 (de) 2019-05-23
KR20200085825A (ko) 2020-07-15
CN111372753B (zh) 2022-07-15
US11897179B2 (en)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823B1 (ko) 필름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 및 이러한 유형의 필름 연신 시스템
JPWO2006075803A1 (ja) リフロー炉
CN110382986B (zh) 干燥系统
US11718049B2 (en) Treatment machine for a flexible material web, in particular plastic film, which can be passed through a treatment furnace
US4347960A (en) Apparatus for loading runs of fabrics
US3398466A (en) Slot apparatus for high velocity gas treatment of moving webs
RU2002118704A (ru) Машина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слоистых гибких изделий, например, промышленных кож и шкур
US3638330A (en) Web support nozzles for drier
JP7241576B2 (ja) ウェブ乾燥装置およびウェブ乾燥方法
CN111448046B (zh) 膜制造装置
CN111836685B (zh) 气体喷出喷嘴及炉、以及加工膜的制造方法
US201301524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 Treating Continuously Conveyed Sheet Materials
EP3033453B1 (en) Fluid treatment unit for fabrics or cellulosic material as well as fluid treatment method
US10458710B2 (en) Supply plenum for center-to-ends fiber oxidation oven
WO2017009133A1 (en) Nozzle box for air-borne continuous paper sheet drying
JP5136543B2 (ja) 加熱炉
JPS63200860A (ja) 長手方向に送られる帯状製品に処理媒体を吹き付けるブロー装置
EP0377311A1 (en) Forced circulation airing nozzle box construction
JPH0453978B2 (ko)
US20210370325A1 (en) Blowing nozzle
KR20220068940A (ko) 처리로를 통과할 수 있는 가요성 재료 웹, 특히 플라스틱 필름 처리 기계
US20050152815A1 (en) Fluidized bed apparatus for batch-by-batch or continuous process control and method for operating a fluidized bed apparatus
CN117360070A (zh) 热风可循环的烘箱及其工作方法
KR101983889B1 (ko) 매니폴드
NL1033659C2 (nl) Luchtverdeelmiddel alsmede systeem voor het in verschillende richtingen verdelen van lucht in een ruim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