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636B1 -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636B1
KR102507636B1 KR1020220049455A KR20220049455A KR102507636B1 KR 102507636 B1 KR102507636 B1 KR 102507636B1 KR 1020220049455 A KR1020220049455 A KR 1020220049455A KR 20220049455 A KR20220049455 A KR 20220049455A KR 102507636 B1 KR102507636 B1 KR 102507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content
card
authentic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4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636B1/ko
Priority to KR1020230019968A priority patent/KR20230150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센서를 통해 NFT 카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로쿠저 사용자 ID와 NFT 카드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고유 ID에 연계되는 NFT 컨텐츠의 소유자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소유자의 소유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요청을 인증하는 단계 및 인증의 결과를 나타내는 인증데이터를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T 컨텐츠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NFT CARD PRODUCTIO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NFT 컨텐츠에 실물의 NFT 카드를 연계하고 실물로 소유된 NFT 카드를 통한 NFT 컨텐츠의 재생으로 NFT 컨텐츠의 소유감을 높이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PC, 사진기와 같은 디지털 기기를 통해서 제작된 사진, 동영상, 음원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자(원작자)에 대한 인증 수단으로 대체 불가 토큰(Non-Fungible Token, NFT)가 통용되고 있다. 컨텐츠와는 별도로 제작된 NFT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으로 인정하고 온라인상(통상 블록체인 환경)에서 유통되기도 한다. NFT는 컨텐츠 복제가 용이한 온라인 환경에서 제작된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을 확인시켜 주는 수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향후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환경이 보편화되고 메타버스에서의 디지털 컨텐츠 거래가 활성화된다면 NFT의 활용도는 더욱 커질 것이다.
NFT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확인시켜주는 역할을 하면서 가상환경에서 거래가 가능한 토큰이다. 따라서 특정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NFT와 연관시키기 위해서는 사전에 NFT 등록 사이트에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유료 혹은 무료로 등록하고 그것과 연관된 NFT를 발급받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렇게 등록된 컨텐츠는 해당 사이트에서 관리하거나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 DB에 저장되고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있는 링크 정보는 NFT에 저장되어 유통되는 것이 보통이다.
NFT를 통해 인증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온라인상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로서 소유자가 오프라인이나 현장에서 실제 소유감을 느낄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고, 오프라인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실제 소유자임을 증빙하기가 용이치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기존 NFT를 활용한 디지털 컨텐츠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온라인상에 저장되어 있는 NFT 컨텐츠를 실물의 NFT 카드에 연계 및 소유하여 NFT 컨텐츠에 대한 소유감을 높여줄 수 있는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물의 NFT 카드의 인식에 따라 NFT 카드에 포함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NFT 컨텐츠의 소유자의 인증과 후속하는 재생으로 NFT 컨텐츠의 진품 여부를 식별가능하고 그에 따라 등록된 NFT 컨텐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프라인상의 상품과 연계되어 구성되는 NFT 컨텐츠와 실물 NFT 카드를 통해 오프라인에서의 상품의 구매 인증 및 진품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추정 가능한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NFT 컨텐츠 인증 방법은 NFT 관리서버가 카메라센서를 통해 NFT 카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로부터 상기 NFT 카드의 고유 ID와 용자 ID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NFT 관리서버가 상기 고유 ID에 연계되는 NFT 컨텐츠의 소유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FT 관리서버가 상기 결정된 소유자의 소유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요청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NFT 관리서버가 상기 인증의 결과를 나타내는 인증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NFT 컨텐츠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휴대형 단말이 구비된 앱 또는 웹을 통해 상기 카메라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NFT 카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에서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응답데이터에 포함된 진위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요청을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ID와 상기 소유자 정보의 소유자 ID를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인증데이터를 구성한다.
상기한 NFT 컨텐츠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진위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응답데이터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NFT 컨텐츠는 오프라인상의 물품의 구매시에 촬영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정보는 보증서, 판매처 또는 구매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NFT 컨텐츠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요청을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요청에 포함된 공용키가 상기 소유자의 공용키인지를 상기 소유자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인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NFT 컨텐츠 인증 시스템은 카메라센서를 통해 NFT 카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로부터 사용자 ID와 상기 NFT 카드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고유 ID에 연계되는 NFT 컨텐츠의 소유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소유자의 소유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요청을 인증하며, 상기 인증의 결과를 나타내는 인증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NFT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한 NFT 컨텐츠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구비된 앱 또는 웹을 통해 상기 카메라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NFT 카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에서 고유 ID를 추출하고 상기 고유 ID와 상기 앱 또는 웹의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전송하고 수신되는 응답데이터에 포함된 진위 데이터를 표시하는 휴대형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NFT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ID와 상기 소유자 정보의 소유자 ID를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인증데이터를 구성한다.
상기한 NFT 컨텐츠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은 상기 응답데이터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고, 상기 NFT 컨텐츠는 오프라인상의 물품의 구매시에 촬영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정보는 보증서, 판매처 또는 구매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NFT 컨텐츠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NFT 관리서버는 상기 인증요청에 포함된 공용키가 상기 소유자의 공용키인지를 상기 소유자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요청을 인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NFT 카드 제작 방법은 앱, 웹 또는 키오스크를 통해 NFT 관리서버가 NFT 컨텐츠의 등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NFT 관리서버가 상기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NFT 컨텐츠를 컨텐츠 DB에 저장하고 상기 NFT 컨텐츠에 맵핑되는 NFT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NFT 관리서버가 상기 NFT 컨텐츠에 접근 가능한 고유 ID를 포함하는 NFT 카드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ID는 상기 NFT 토큰의 ID와 연계되고, 상기 NFT 카드는 휴대 가능한 카드이다.
상기한 NFT 카드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NFT 카드를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NFT 컨텐츠를 지정된 크기의 이미지로 조정하고 조정된 이미지, NFT 카드를 나타내는 표식 및 상기 고유 ID를 포함하는 실물 카드를 프린터를 통해 발행한다.
상기한 NFT 카드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NFT 관리서버가 발행된 NFT 카드를 NFT 카드 컨텐츠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NFT 컨텐츠와 상기 NFT 카드 컨텐츠는 동일한 NFT 토큰을 가지거나 개별적인 NFT 토큰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NFT 카드 제작 시스템은 NFT 컨텐츠의 등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NFT 컨텐츠를 컨텐츠 DB에 저장하고 상기 NFT 컨텐츠에 맵핑되는 NFT 토큰을 발행하며, 상기 NFT 컨텐츠에 접근 가능한 고유 ID를 포함하는 NFT 카드를 발행하는 NFT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ID는 상기 NFT 토큰의 ID와 연계되고, 상기 NFT 카드는 휴대 가능한 카드이다.
상기한 NFT 카드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NFT 관리서버로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의 NFT 컨텐츠의 등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형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NFT 관리서버는 상기 NFT 컨텐츠를 지정된 크기의 이미지로 조정하고 조정된 이미지, NFT 카드를 나타내는 표식 및 상기 고유 ID를 포함하는 실물 카드를 프린터를 통해 발행한다.
상기한 NFT 카드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NFT 관리서버는 발행된 NFT 카드를 NFT 카드 컨텐츠로 더 등록하고, 상기 NFT 컨텐츠와 상기 NFT 카드 컨텐츠는 동일한 NFT 토큰을 가지거나 개별적인 NFT 토큰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NFT 카드 제작 시스템은 NFT 컨텐츠의 등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NFT 컨텐츠를 컨텐츠 DB에 저장하고 상기 NFT 컨텐츠에 맵핑되는 NFT 토큰을 발행하며, 상기 NFT 컨텐츠에 접근 가능한 고유 ID를 포함하는 NFT 카드를 발행하는 NFT 관리서버; 및 오프라인상의 물품의 구매시 물품을 포함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등록 데이터를 상기 NFT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ID는 상기 NFT 토큰의 ID와 연계되고, 상기 NFT 카드는 휴대 가능한 카드이다.
상기한 NFT 카드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형 단말이거나 키오스크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은 온라인상에 저장되어 있는 NFT 컨텐츠를 실물의 NFT 카드에 연계 및 소유하여 NFT 컨텐츠에 대한 소유감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은 실물의 NFT 카드의 인식에 따라 NFT 카드에 포함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NFT 컨텐츠의 소유자의 인증과 후속하는 재생으로 NFT 컨텐츠의 진품 여부를 식별가능하고 그에 따라 등록된 NFT 컨텐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은 오프라인상의 상품과 연계되어 구성되는 NFT 컨텐츠와 실물 NFT 카드를 통해 오프라인에서의 상품의 구매 인증 및 진품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추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NFT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NFT 관리서버의 일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NFT 컨텐츠의 등록과 그에 따라 연계되는 NFT 카드의 제작을 위한 주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NFT 카드와 연계된 NFT 컨텐츠의 인증과 후속하는 처리과정의 주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NFT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예시적인 NFT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NFT 컨텐츠를 특정하는 실물 카드(컨텐츠 카드)인 NFT 카드(300; 도 4 참조)를 제작하고 등록하는 NFT 카드 제작 시스템 및/또는 NFT 카드(300)를 통한 인증요청에 따라 NFT 카드(300)에 연계되는 NFT 컨텐츠를 인증하고 나아가 NFT 컨텐츠의 재생과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NFT 컨텐츠 인증 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이용 가능하다.
NFT 카드 제작 시스템 및/또는 NFT 컨텐츠 인증 시스템(의 NFT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200;210,250,290 )와 NFT 관리서버(100)를 포함한다.
전자기기(200)는 카메라센서,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카메라센서를 통해 인식된 실물의 NFT 카드(300)에 대응하는 NFT 컨텐츠의 진품 여부를 NFT 관리서버(100)를 통해 인증하고 NFT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이다. 전자기기(200)는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서 이용되거나 설치되는 기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210), 개인용 컴퓨터(250) 또는 키오스크(290) 등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21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거나 태블릿 PC일 수 있고 키오스크(290)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고 특정 위치(예를 들어, 특정 상가나 공용 위치 등)에 배치된 전용기기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210), 개인용 컴퓨터(250) 및 키오스크(290) 등은 NFT 컨텐츠의 제작과 등록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210), 개인용 컴퓨터(250) 또는 키오스크(290) 등의 전자기기(200)는 백화점, 상가 등에 설치되어 오프라인상의 물품의 구매시에 해당 물품을 포함하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다. 전자기기(200)는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과 추가적인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NFT 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키오스크(290)는 백화점, 상가 외의 다양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또한), 휴대형 단말(210), 개인용 컴퓨터(250) 또는 키오스크(290) 등은 NFT 카드(300)를 통한 NFT 컨텐츠의 인증에 이용될 수 있다. 휴대형 단말(210), 개인용 컴퓨터(250) 또는 키오스크(290) 등은 내부의 메모리에 구비되는 앱이나 웹( 프로그램)을 통해 카메라센서를 이용하여 NFT 카드(300)를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된 사진에서 추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NFT 카드(300), 나아가 NFT 카드(300)에 연계되는 NFT 컨텐츠를 인증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NFT 컨텐츠의 진품 여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NFT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210)이나 키오스크(290) 등의 전자기기(200)에서 이루어지는 주요한 제어 흐름은 도 3 이하에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NFT 컨텐츠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NFT 관리서버(100)는 전자기기(200)를 통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 제작된 NFT 컨텐츠를 등록하거나 제작된 NFT 컨텐츠에 연계되는 NFT 카드(300)를 발행하거나 NFT 카드(300)를 통한 인증요청에 따라 NFT 컨텐츠를 인증하고 그에 따른 NFT 컨텐츠를 전자기기(20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NFT 관리서버(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 관리서버(100)의 전부 또는 일부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서버와 DB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단일 사이트에 DB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분산된 형태의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NFT 관리서버(100)는 알려졌거나 알려질 다양한 방식과 구조에 따라 구현가능하다. NFT 관리서버(100)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NFT 관리서버(100)의 일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예와 같이 NFT 관리서버(100)는 NFT 컨텐츠 등록 서버(110), NFT 컨텐츠 인증 서버(150) 및 컨텐츠 DB(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구성 블록도의 예는 등록과 이용(인증) 과정을 별도의 서버에서 구현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변형 예를 가질 수 있다.
NFT 관리서버(100)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면, NFT 컨텐츠 등록 서버(110)는 전자기기(200)와 연계하여 NFT 컨텐츠를 시스템 내에 등록하고 NFT 컨텐츠와 연계되는 NFT 카드(300)를 발급한다. NFT 컨텐츠 등록 서버(110)는 NFT 컨텐츠, NFT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소유자 정보 등을 구성하고 구성된 NFT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DB(190)에 저장하고 NFT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NFT 토큰을 발행한다. 또한, NFT 컨텐츠 등록 서버(110)는 등록된 NFT 컨텐츠에 접근 가능한 고유 ID를 생성하여 NFT 컨텐츠 정보에 저장하고 고유 ID와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NFT 카드(300)를 발행한다. 또한, NFT 컨텐츠 등록 서버(110)는 발행되는 NFT 카드(300)를 하나의 NFT 컨텐츠로 컨텐츠 DB(190)에 더 저장할 수 있다.
발행되는 NFT 카드(300)는 플라스틱, 종이, 또는 금속재의 (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의) 휴대 가능한 실물 카드로서 NFT 카드(300)에는 고유 ID와 NFT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NFT 컨텐츠 등록 서버(110)와 연관하여 이루어지는 주요 제어 흐름은 도 3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NFT 컨텐츠 인증 서버(150)는 전자기기(200)(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210) 등)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요청에 따라 인증요청에서 식별되는 정보를 통해 NFT 컨텐츠를 인증하고 인증결과를 나타내거나 추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데이터를 전자기기(200)로 전송한다. NFT 컨텐츠 인증 서버(150)는 사용자 등이 소유하는 NFT 카드(300)에서 추출되는 정보와 사용자 ID 등을 활용하여 NFT 카드(300)를 소지한 소지자가 NFT 카드(300)에 대응하는 NFT 컨텐츠의 실소유자인지 여부 등을 인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NFT 컨텐츠 인증 서버(150)에 이루어지는 주요 제어 흐름은 도 4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컨텐츠 DB(190)는 다수의 NFT 컨텐츠와 나아가 NFT 카드 컨텐츠를 저장한다. 컨텐츠 DB(190)는 다수의 NFT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하고 NFT 컨텐츠 아이템은 NFT 토큰이 발행된 NFT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NFT 컨텐츠 아이템은 발행된 NFT 토큰의 ID, NFT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및 소유자 정보를 포함하고 NFT 토큰의 ID에 연계되고 NFT 카드(300)에 프린팅되는 고유 ID를 또한 더 포함한다.
또한, 컨텐츠 DB(190)는 다수의 NFT 카드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하고 NFT 카드 컨텐츠 아이템은 NFT 카드(300)에 대해 발행된 NFT 토큰의 ID, 고유 ID 및 연계된 NFT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포함한다. 특정 NFT 컨텐츠와 연계되는 특정 NFT 카드 컨텐츠는 동일한 NFT 토큰을 가지거나 각각이 개별적인 NFT 토큰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NFT 컨텐츠의 등록과 그에 따라 연계되는 NFT 카드(300)의 제작을 위한 주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제어 흐름은 NFT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NFT 카드 제작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고 바람직하게는 NFT 관리서버(100)(의 NFT 컨텐츠 등록 서버(11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이루어진다.
먼저, NFT 컨텐츠 등록 데이터를 구성(S11)한다. 전자기기(200)(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210) 또는 키오스크(290))는 저장된 컨텐츠 또는 카메라센서나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컨텐츠를 NFT 컨텐츠로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되는 NFT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음원 컨텐츠 등일 수 있다. 또는 등록되는 NFT 컨텐츠는 휴대형 단말(210)이나 전용기기인 키오스크(290)에서 오프라인상의 물품의 구매시 해당 물품의 구매를 나타내기 위해 물품이나 물품 구매 장소 등을 포함하는 사진이거나 동영상일 수 있다.
전자기기(200)는 NFT 컨텐츠의 부가정보인 메타데이터를 등록 데이터로 더 구성한다.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컨텐츠의 제목, 설명, 컨텐츠에 대한 생성자에 대한 정보, NFT 컨텐츠에 연계되는 NFT 카드(300)의 발행 동의 여부, NFT 카드(300)에 포함될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그 외 NFT 카드(300)에 표시될 NFT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의 특정, 사이즈 조정 등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오프라인상의 물품의 구매시에 구매 물품에 관련되는 부가정보를 더 저장(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보증서, 판매처나 구매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200)는 소유자 정보를 등록 데이터로 더 구성한다. 최초로 구성되는 소유자 정보는 등록될 NFT 컨텐츠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 ID와 나아가 패스워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ID는 전자기기(200)(의 웹이나 앱 또는 키오스크(290))에서 NFT 관리서버(100)의 접속에 이용되는 ID 또는/및 전자지갑 ID 등일 수 있다.
이후, NFT 관리서버(100)는 NFT 컨텐츠의 등록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앱, 웹 또는 키오스크(290) 등으로부터 수신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수신된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NFT 컨텐츠를 NFT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 등록(S13)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수신된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NFT 컨텐츠를 컨텐츠 DB(190)에 저장하고 등록되는 NFT 컨텐츠에 맵핑되는 NFT 토큰을 발행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컨텐츠 DB(190)에 NFT 컨텐츠 아이템을 신규 생성하고 NFT 토큰의 ID, 메타데이터 및 소유자 정보를 신규 생성 NFT 컨텐츠 아이템에 저장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사진, 음원, 동영상 등의 NFT 컨텐츠를 컨텐츠 DB(190)의 신규 NFT 컨텐츠 아이템에 더 저장할 수 있다. 또는 NFT 컨텐츠는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이나 스웜(Swarm)과 같은 분산형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해당 NFT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인터넷 주소)가 신규 NFT 컨텐츠 아이템에 저장될 수도 있다. 발행된 NFT 토큰 또는 NFT 토큰 ID는 소유자의 전자지갑(전자지갑 앱) 등에 저장될 수 있다.
기존의 알려진 NFT 등록절차에 추가하여, NFT 관리서버(100)는 등록되는 NFT 컨텐츠에 접근 가능한 고유 ID를 포함하는 NFT 카드(300)를 발행(S15)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등록되는 NFT 컨텐츠에 유일하게 맵핑되는 고유 ID와 NFT 컨텐츠를 나타내는 대표 이미지 및 NFT 카드(300)를 나타내는 표식을 가지는 정형화된 형상의 실물 카드를 구비된 또는 원격의 프린터를 통해 발행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NFT 컨텐츠에 맵핑되는 신규의 고유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유 ID를 신규 생성된 NFT 컨텐츠 아이템에 저장하고 NFT 컨텐츠를 메타데이터의 정보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크기를 조정하거나 이미지를 선정하여 조정 또는 선정된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로 구성하고 대표 이미지, NFT 카드(300)를 나타내는 표식(문자 표식이나 로고 표식 등) 및 고유 ID를 포함하는 실물 카드를 프린터를 통해 생성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연결된 임의의 프린터(예를 들어, 키오스크(290)에 구비된 프린터 또는 특정 카드 생성업체의 프린터)를 통해 플라스틱, 금속 또는 종이재질의 실물 카드를 발행하고 발행된 실물 NFT 카드(300)를 최초의 소유자에게 오프라인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NFT 카드(300)는 소유자의 공용키(public ke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FT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는 NFT 카드(300)들은 모두 동일한 형태의 표준화된 크기의 실물 카드로 구현되고 소유자 등이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FT 카드(300)에 표시되는 고유 ID는 NFT 컨텐츠 아이템을 통해 NFT 토큰의 ID와 연계되고 NFT 카드(300)는 휴대 가능한 카드이다.
실물 카드인 NFT 카드(300)를 소유자가 휴대함으로써, 디지털의 NFT 컨텐츠의 원본 소유자의 권리를 명확히 할 수 있고 소유자는 그 소유감을 실감할 수 있다. 또한, NFT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을 위해 NFT 토큰을 거래하는 경우에도 출력된 실물의 NFT 카드(300)를 같이 전달하거나 이전할 수 있다.
또한, NFT 관리서버(100)는 발행된 NFT 카드(300)를 NFT 카드 컨텐츠로 더 등록(S17)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NFT 카드 컨텐츠 아이템을 신규 생성하고 생성된 NFT 카드 컨텐츠 아이템에 NFT 토큰의 ID, 고유 ID 및 연계된 NFT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NFT 컨텐츠와 연계되어 발행되는 NFT 카드 컨텐츠는 동일한 NFT 토큰(의 ID)을 가지거나 서로 다른 개별적인 NFT 토큰(의 ID)을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도 3의 제어 흐름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나 오프라인상의 물품의 구매 등에 따라 생성되는 컨텐츠는 NFT 컨텐츠로 등록되고 나아가 실물 카드인 NFT 카드(300)가 발행되어 NFT 카드(300)를 통해 NFT 컨텐츠의 인증에 이용가능토록 한다.
도 4는 NFT 카드(300)와 연계된 NFT 컨텐츠의 인증과 후속하는 처리과정의 주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제어 흐름은 NFT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NFT 컨텐츠 인증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고 바람직하게는 NFT 관리서버(100)(의 NFT 컨텐츠 인증 서버(15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이루어진다.
먼저, 휴대형 단말(210)은 구비된 카메라센서를 이용하여 NFT 카드(300)를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에서 고유 ID를 추출(S51)한다. 휴대형 단말(210)은 내부의 저장 메모리 등에 구비된 앱이나 웹을 통해 NFT 카드(300)를 촬영하고 ID를 추출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210)은 전자지갑 앱이나 웹 등을 이용하여 촬영과 ID 추출이 가능하다.
도 4의 도면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실물 카드인 NFT 카드(300)는 NFT카드 표식(310)과 고유 ID 표시(350) 및 대표 이미지 표시(3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휴대형 단말(210)은 NFT카드 표식(310), 고유 ID 표시(350) 및 대표 이미지 표시(390)를 포함하는 촬영된 사진에서 고유 ID를 추출할 수 있다.
구비된 카메라센서를 통해 NFT 카드(300)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210)은 적어도 추출된 고유 ID와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인증요청을 구성하여 이를 전송하고 NFT 관리서버(100)는 인증요청을 수신(S52)한다. 인증요청은 사용자 ID 외에 패스워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ID는 전자지갑 앱이나 웹에서의 사용자 ID 일 수 있다. 또한, 인증요청은 공용키와 소유자가 제공하는 개인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공용키는 NFT 카드(300)에 인쇄된 것을 인식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NFT 관리서버(100)는 인증요청의 수신에 따라 컨텐츠 DB(190)를 통해 인증요청의 고유 ID에 연계되는 NFT 컨텐츠의 소유자를 결정(S53)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컨텐츠 DB(190)의 NFT 컨텐츠 아이템들에서 촬영된 NFT 카드(300)의 고유 ID를 가지는 NFT 컨텐츠 아이템을 검색하고 검색된 NFT 컨텐츠 아이템의 소유자 정보를 추출하여 NFT 컨텐츠의 현재 소유자를 결정할 수 있다.
NFT 관리서버(100)는 결정된 소유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인증요청을 인증(S54)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소유자 정보의 ID와 수신된 사용자 ID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인증데이터를 구성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소유자의 ID와 사용자 ID가 동일한 경우 진품(및/또는 실물의 NFT 카드(300) 소지자가 NFT 컨텐츠의 실소유자)임을 나타내는 진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데이터를 구성한다. 인증데이터는 휴대형 단말(210)에서 재생 가능한 NFT 컨텐츠(또는 인터넷 주소)와 검색된 NFT 컨텐츠 아이템의 메타데이터로부터의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유자 ID와 사용자 ID가 상이한 경우 가품 또는 불인증임을 나타내는 진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데이터를 구성한다.
NFT 관리서버(100)는 알려진 공용키-개인키 방식을 활용하여 인증요청을 인증할 수 있다. 카드에는 공용키를, 그리고 카드 소유자가 개인키(private key)를 보유토록 함으로써 카드가 복제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NFT 관리서버(100)는 인증요청의 공용키와 개인키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NFT 관리서버(100)는 하나의 NFT 컨텐츠를 하나의 NFT 카드(300)에 매칭하여 소유 관계를 특정하는 대신에 다수의 NFT 카드(300)를 매칭하여 발행하고 NFT 컨텐츠의 재생권으로 활용되는 권한 부여 카드로 배포할 수 있다. NFT 관리서버(100)는 특정 NFT 카드(300)의 공용키와 NFT 컨텐츠의 개인키의 대응여부로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NFT 컨텐츠의 재생을 허여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인증 방식을 통해 특정 NFT 컨텐츠의 소유자와 재생 권리자를 분리할 수 있어 다수(예를 들어, 팬)가 특정 소유자(예를 들어, 연예인 또는 연계기획사)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NFT 관리서버(100)는 인증에 따라 인증의 결과를 나타내는 인증데이터를 인증요청한 휴대형 단말(210)로 전송(S55)한다.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휴대형 단말(210)은 응답데이터에 포함된 진품 또는 가품 등을 나타내는 진위 데이터(의 배너)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도 4의 ⓐ)하고 진위 데이터에 따라 또는 NFT 컨텐츠의 포함 여부에 따라 NFT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재생(S56)한다.
또한(후속하여), 휴대형 단말(210)은 응답데이터에 포함되는 부가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S57)한다. 휴대형 단말(210)은 오프라인상의 물품의 구매시에 촬영되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NFT 컨텐츠로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고 물품의 구매시 물품의 구매나 정품임을 인증할 수 있는 보증서, 판매처 또는 구매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정보로 수신하여 자동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도 4의 ⓑ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FT 관리서버(100)는 NFT 카드(300)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NFT 카드(300)로부터 인식되는 고유 ID에 대응하는 NFT 컨텐츠의 실 소유주임을 확인하고 NFT 카드(300)에 연결되는 NFT 컨텐츠가 원본 컨텐츠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NFT 카드(300)의 소지자는 NFT 컨텐츠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고 즉각 확인 가능하다.
도 4의 NFT 컨텐츠 인증을 위한 제어 흐름은 인터넷(온라인)을 통한 디지털 컨텐츠의 거래 외에 오프라인상의 물품(상품)의 구매와 거래에 활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명품 등과 같은 고가의 물품을 사는 경우, 명품샵은 정품 인증과 나아가 구매 인증에 이용되는 NFT 카드(300)를 발행할 수 있다. 구매 물품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구매자의 NFT 컨텐츠로 등록하고 물품의 구입시의 발급 가능한 보증서, 판매처 또는 구매자에 대한 데이터를 부가정보로 NFT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 등록 가능하다. 물품 판매샵은 구비된 키오스크(290)나 휴대형 단말(210) 또는 개인용 컴퓨터(250) 등을 통해 등록되는 NFT 컨텐츠의 NFT 카드(300)를 발행 및 출력하고 NFT 카드(300)를 구매자에게 배부할 수 있다.
배포되는 NFT 카드(300)는 이후 중고 물품의 거래에서 NFT 카드(300)를 통한 진품의 표시가 가능하여 중고 물품의 거래 신뢰도를 높이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NFT 관리서버
110 : NFT 컨텐츠 등록 서버
150 : NFT 컨텐츠 인증 서버
190 : 컨텐츠 DB
200 : 전자기기
210 : 휴대형 단말
250 : 개인용 컴퓨터
290 : 키오스크
300 : NFT 카드
310 : NFT카드 표식
350 : 고유 ID 표시
390 : 대표 이미지 표시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오프라인상의 물품의 구매시 상기 물품의 구매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물품을 포함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을 NFT 컨텐츠로서 포함하는 등록 데이터를 NFT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등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NFT 컨텐츠를 컨텐츠 DB에 저장하고 상기 NFT 컨텐츠에 맵핑되는 NFT 토큰을 발행하며, 상기 NFT 컨텐츠에 접근 가능한 고유 ID를 포함하는 NFT 카드를 발행하는 상기 NFT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ID는 상기 NFT 토큰의 ID와 연계되고, 상기 NFT 카드는 휴대 가능한 실물의 카드이고 상기 NFT 컨텐츠를 나타내는 대표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NFT 카드 제작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휴대형 단말이거나 키오스크인,
    NFT 카드 제작 시스템.

KR1020220049455A 2022-04-21 2022-04-21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102507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455A KR102507636B1 (ko) 2022-04-21 2022-04-21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019968A KR20230150188A (ko) 2022-04-21 2023-02-15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455A KR102507636B1 (ko) 2022-04-21 2022-04-21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968A Division KR20230150188A (ko) 2022-04-21 2023-02-15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636B1 true KR102507636B1 (ko) 2023-03-08

Family

ID=855082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455A KR102507636B1 (ko) 2022-04-21 2022-04-21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019968A KR20230150188A (ko) 2022-04-21 2023-02-15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968A KR20230150188A (ko) 2022-04-21 2023-02-15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76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979B1 (ko) * 2020-12-11 2021-08-09 (주) 이노트리 블록체인 기반의 영지식 증명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 계약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979B1 (ko) * 2020-12-11 2021-08-09 (주) 이노트리 블록체인 기반의 영지식 증명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 계약 플랫폼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 The Guardian, "What did I just buy? I tried to use NewYork’s first NFT vending machine", https://www.theguardian.com/technology/2022/feb/28/nft-vending-machine-new-york-blockchain, (2022.02.2* *
인용발명 2 : 더게임스데일리, "위치크래프트, 메타버스 상품 실물로 받는 NFT 포토카드 공개 ", http://www.tg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512, (2022.01.2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188A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43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US2019007345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US7003500B1 (en) Retail point of sale (RPOS) apparatus for internet merchandising
US20160358187A1 (en) Open registry for identity of things including social record feature
US20120124368A1 (en) Digital Rights Convergence Place Chaser
JP5620968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5745007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オフラインに流通させるためのカード,方法及びサーバ
JP2003509756A (ja) 電子出版物システムに適した携帯用端末機
KR20210037274A (ko)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22528281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利用権利証書を流通させ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に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020847A (ko)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412380A1 (en) Exchange and display of digital content
KR102507636B1 (ko)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JP2023061082A (ja) 物品の所有権管理システム及び所有権管理用識別コード
WO2023214596A1 (ko) Nft 카드 제작 방법 및 시스템
JP2002196985A (ja) 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の制御方法、システム、コンテンツの流通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210000156A (ko) 전자책 판매 및 관리 시스템
KR100342400B1 (ko) 전자출판물 시스템 및, 전자출판물 판매 및 관리방법
KR20240026670A (ko) Nft를 이용한 ar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3228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sing the presentation of a digital asset
KR20230074875A (ko) 물품의 소유권 관리 시스템 및 소유권 관리 식별코드
US10304052B2 (en) Retail point of sale (RPOS) apparatus for internet merchandising
KR20210018705A (ko) 등록자 기반의 상거래를 위한 영상/상품 매칭 판매 주소 정보 공유 방법
WO20231923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 authenticated nft physical twin and, generating an original nft claim from a physical object
JP6023137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