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602B1 - 침향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침향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602B1
KR102507602B1 KR1020210188894A KR20210188894A KR102507602B1 KR 102507602 B1 KR102507602 B1 KR 102507602B1 KR 1020210188894 A KR1020210188894 A KR 1020210188894A KR 20210188894 A KR20210188894 A KR 20210188894A KR 102507602 B1 KR102507602 B1 KR 10250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arwood
fermentation
fermented
enzyme solu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병만
최성근
권혁민
박인규
김미경
이동욱
홍기민
안종찬
조귀연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제이비 바이오
공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비 바이오, 공병만 filed Critical (주)제이비 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8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3Thymelaeaceae (Mezereum family), e.g. leatherwood or false ohelo
    • A61K36/835Aquila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향 고상발효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걸리 효모액과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혼합한 혼합 효소액을 유산균으로 발효한 천연 복합발효액으로 침향을 고상 발효한 침향 발효산물과 그의 용도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본 발명의 침향 발효산물은 기력증진 또는 심혈관계 이상 증상 개선용 조성물로서 건강식품이나 약제 조성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침향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Solid fermented Aquilaria agallocha, its us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침향 고상발효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향을 고상발효하여 제조된 발효산물과 그의 용도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향(Aquilaria agallocha)은 엄밀하게 말하면 Aquilaria malaccensis 또는 근연 종의 나무가 30~50년 이상 자라서 심부에 곰팡이나 벌레에 의해서 상처입고 부식되는 현상이 유발되지 않도록 분비되는 수지성분이 침착되어 비중 1이상으로 무거워진 부위만 채취한 산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침향은 '사향'(사향노루), '용연향'(향유고래)과 함께 '세계 3대 향'으로 꼽히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침향나무에서 채취한다. 침향은 침향나무가 상처를 입었을 때 각종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하는 수액이다. 오랜 시간이 지나 굳으면서 비로소 침향이 된다. 수액이 굳어져 침향이 되기까지 수십년에서 길게는 수천년이 걸리기도 한다. 침향나무 한 그루에서 채취할 수 있는 양도 매우 적은 귀한 약재다.
침향은 다시 그 형태에 따라서 계골 향과 마제 향으로 나눌수 있는데, 계골향은 물에 약간 뜨며 가라앉기는 하지만 닭의 뼈와 같이 속이 빈 침향을 말한다. 마제 향은 말발굽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이는 이름이며 이것이 계골향에 비해서 등급이 높다.
침향 수지의 응집 방법에 따라서 품질을 구분하면 숙결(자연히 속에서 응결된 것), 생결(사람이 인위적으로 상처를 내서 고맥을 모은 것), 탈락(나무가 썩어서 저절로 탈락한 것), 고루(벌레가 먹어서 고맥이 응결된 것), 반결반불결, 파채(롱수침, 롱수향, 수반두, 소반두), 전향 순으로 등급을 나누기도 한다.
침향은 찬 기운은 위로 올리고, 뜨거운 기운은 아래로 내려줌으로써 우리 몸 전체의 순환을 원활히 하도록 돕는 작용을 하여, 몸속 어딘가가 막힌 것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질환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침향은 심장, 간장, 신장, 비장, 위장까지 오장육부를 관통하는 약성을 지닌 약재로서, 몸의 기를 조절하고 혈행을 조절하는 최고의 약재로 보기도 한다. 이러한 침향의 주요 성분은 베타-셀리넨(β-selinene)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외에도 헥사데칸(hexadecane), α-selinene, α-eudesmol, β-eudesmol 등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 성분으로는 벤질아세톤, p-메토실 벤질아세톤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신광호 외, 대한본초학회지, 2011;26(1):pp.7-12). 그러나 일부에서는 침향의 에탄올 추출후 부틸렌글리콜 분획에서 GC-MS에서는 triterpenes에 속하는 α, β, γ-Eudesmol이 주로 동정되었고, LC-MS에서는 flavonoid의 하나인 Genkwanin이 분석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있다.(박신영 외, 한국미용학회지, 2019, vol.25, no.3, pp. 685-693) 여기서 이러한 성분의 차이는 침향의 산지, 수종, 분석방법, 용매 등에 햐 달라지는 것으로, 대체로 베타-셀리넨이 주요 유효성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침향 수지를 함유한 목질 부분은 그 모양이 대부분 군모, 몽둥이, 조각 등 매우 불규칙하다. 그 길이는 7~20cm, 지름은 1.5~6cm이고, 표면은 갈색이나 흑색과 황색이 서로 교차해 있는 무늬가 있으며,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단단하고 무겁고 부러뜨리기가 어렵다. 칼로 쪼개면 절단면은 회갈색이다. 물에 가라앉는 것과 물속에 뜨는 것이 있다. 특수한 향기가 있고 맛은 쓰다. 태우면 기름이 삼출하고 강한 향기를 발산한다.
이러한 침향은 최고의 한약재로 일컬어지고 있지만, 희귀한 약제이므로 널리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서, 이러한 침향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귀한 한약재로 취급되는 침향에 대한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가공이나 활용성 개선을 위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침향과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침향과 다른 약재의 혼합처방을 근거로 하는 다양한 연구가 제안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침향과 다른 약재의 한약재를 심혈관 계통의 약재로 활용하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203008호에서는 침향, 대추 및 조릿대를 유산균 발효하여 얻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한방음료의 제조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0-2222753호에서는 침향 분말과 당귀, 녹용, 산수유, 생지황, 백복령, 백하수오, 천문동, 두충, 숙지황, 산약, 우슬, 진피, 가시오가피 및 지골피 등의 한약재를 혼합하고 이를 당밀과 선옥균을 이용하여 발효처리한 침향 공진단의 제조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 외에도, 중국특허공개 제112089830호(2020.12.18.) 등에서는 편맥가루, 침향 및 다른 다수의 한약재를 혼합한 심장질환 치료용 약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술들은 모두 침향과 다른 약재의 혼합 구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다가 유산균 등 일부에서 다수의 복합 한약재에 단순한 발효 기술을 적용하는 수준으로 가공을 통해 부분적인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우수한 효능을 가진 침향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의 개발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침향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특허등록 제10-203008호 한국특허등록 제10-2222753호 중국특허공개 제112089830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침향의 효율적이고 광범위한 활용을 위한 가공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향의 고상발효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침향 발효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향 발효산물의 고기능성으로 인한 보다 효과적인 심혈관계 질환 개선 및 기력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향을 고상발효하여 침향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막걸리 효모액과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혼합한 혼합 효소액을 유산균으로 발효한 천연 복합발효액으로 침향을 고상 발효한 침향 발효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혼합 효소액은 눈꽃동충하초, 녹용, 상황버섯, 오가피, 용안육, 산약, 천궁, 갈근 및 라임을 혼합한 식물 혼합물을 극성용매로 추출한 식물 혼합 추출액에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상발효는 침향을 천연 복합발효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발효하고, 열처리한 후 건조 및 숙성하여 발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향을 고상발효한 침향 발효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력증진 또는 심혈관계 이상 증상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건강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1) 막걸리에 설탕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배양하여 막걸리 효모액을 제조하는 단계; (2) 눈꽃동충하초, 녹용, 상황버섯, 오가피, 용안육, 산약, 천궁, 갈근 및 라임을 혼합한 식물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식물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식물 혼합 추출액에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혼합하여 식물 혼합 효소액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막걸리 효모액과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식물 혼합 효소액을 혼합한 혼합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복합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5) 침향을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발효하는 단계; (6) 상기 (5)단계의 발효한 침향을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열처리하는 단계; 및 (7) 상기 (6)단계의 열처리한 침향을 건조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침향을 고상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향의 발효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향의 발효산물은 고유의 향이 유지되면서도 보다 부드럽고 기호성이 높은 맛을 가지며, 다른 한약재의 식물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고상발효에 의해 기호도가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향 발효산물은 베타-셀리넨 함량이 증진되어 기능성과 품질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종래의 침향을 다른 한약재와 혼합하여 발효한 복합 발효물과는 달리 침향 단독의 우수한 효능 효과로 인해, 그 품질과 기능이 차별화되어 고기능성 건강식품이나 약제 조성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침향을 새로운 조건의 고상발효로 처리함으로 인해 기존에 비해 유효성분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기호성도 향상되어, 다양한 품질의 침향 원료를 우수한 고품질의 침향 발효산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활용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침향 고상발효에 사용된 발효액의 일예로서, 상기 제조방법의 공정에 적용된 막걸리 효모액, 식물 혼합 추출액, 전통주 효모를 함유하는 천연 복합발효액에 대한 실물 사진이다.
도 2a,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한 조성물 샘플을 복용한 피험자의 혈관검사 결과의 전, 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혈관건강 측정결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침향의 효능을 향상시키고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고상발효한 침향 발효산물과 그 용도의 개선된 활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침향을 다른 복합 식물추출물과 함께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침향 자체를 고상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고급 한약재로서 사용되는 침향의 활용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침향을 특정 효소액을 이용하여 고상 발효시킨 침향 발효산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침향의 발효에 사용되는 효소액은 막걸리 효모액과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혼합한 혼합 효소액을 유산균으로 발효한 천연 복합발효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발효액은 그 자체로서 침향의 고상발효에 사용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한 발효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혼합 효소액에 추가로 특정 조성의 식물 혼합 추출액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식물 혼합 추출액으로서는 예컨대, 눈꽃동충하초, 녹용, 상황버섯, 오가피, 용안육, 산약, 천궁, 갈근 및 라임을 혼합한 식물 혼합물을 극성용매로 추출한 식물 혼합 추출액에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통주인 막걸리를 이용한 발효액이 제조되는데. 이는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복합발효액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 혼합 추출액은 상기 다수의 식물 혼합물을 물로 추출한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상발효는 침향을 천연 복합 발효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발효하고, 열처리한 후 건조 및 숙성하여 발효하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침향 발효산물은 침향의 일반적인 발효와는 그 발효 후의 기능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일반 발효가 아닌 특정 조건의 고상발효 과정을 거친 고상 발효 결과물로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어 발효 전의 침향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기호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침향의 고상발효 공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침향의 고상발효를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 발효용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침향을 고상 발효시킨다.
<발효액 제조공정>
(1) 막걸리에 설탕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배양하여 막걸리 효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막걸리 효모액은 바람직하게는 막걸리에 막걸리 대비 설탕 3~4%(w/v)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28~32℃에서 3~5일 동안 배양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막걸리에 막걸리 대비 설탕 3.5%(w/v)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30℃에서 4일 동안 배양하여, 이후 단계인 발효 시 효모의 활성이 우수하게 향상된 막걸리 효모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2) 이와는 별개로 눈꽃동충하초, 녹용, 상황버섯, 오가피, 용안육, 산약, 천궁, 갈근 및 라임을 혼합한 식물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식물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그러나 이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식물 혼합 추출액을 발효액에 혼합하는 경우 이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다양한 식물 혼합 추출액에 의한 한약 처방의 효과가 발효액에 포함되어 침향의 고상발효 과정에서 더욱 우수한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식물 혼합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식물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눈꽃동충하초 11~13 중량%, 녹용 10~12 중량%, 상황버섯 10~12 중량%, 오가피 10~12 중량%, 용안육 10~12 중량%, 산약 10~12 중량%, 천궁 10~12 중량%, 갈근 10~12 중량% 및 라임 10~12 중량%를 혼합한 식물 혼합물에 식물 혼합물 대비 물 7~10배(v/w)를 첨가한 후 80~100℃에서 7~9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물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예컨대 눈꽃동충하초 12 중량%, 녹용 11 중량%, 상황버섯 11 중량%, 오가피 11 중량%, 용안육 11 중량%, 산약 11 중량%, 천궁 11 중량%, 갈근 11 중량% 및 라임 11 중량%를 혼합한 식물 혼합물에 식물 혼합물 대비 물 8배(v/w) 첨가한 후 9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실험에서 상기 식물 혼합 추출액 제조 시 상기 식물 혼합물의 재료 일부만 사용하거나 다른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식물 혼합 추출액을 사용하여 고상발효 침향을 제조하는 것에 비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혼합 추출액을 사용하여 고상발효 침향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것이 베타-셀리넨 등 침향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함량을 더욱 증진시키면서 기호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식물 혼합 추출액을 적용하는 경우 이 식물 혼합 추출액에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혼합하여 식물 혼합 효소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식물 혼합 추출액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제외하고, 개복숭아 효소액과 매실 효소액만을 혼합하여 식물 혼합 효소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식물 혼합 효소액은 일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식물 혼합 추출액에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4~6:2~3:2~3 중량비율로 혼합하거나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2~3:2~3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물 혼합 추출액에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5:2.5:2.5 중량비율, 또는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면 예비실험에서 고상발효 침향 제조 시 식물 혼합 추출액,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모두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베타-셀리넨의 함량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상기 개복숭아 효소액은 개복숭아와 설탕을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5~30℃에서 1~3개월 동안 숙성시킨 후 여 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복숭아와 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5~30℃에서 2개월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상기 매실 효소액은 매실과 설탕을 0.8~1.2:0.8~1.2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5~30℃에서 1~3개월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실과 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5~30℃에서 2개월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4) 그 다음으로는,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막걸리 효모액과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식물 혼합 효소액을 혼합한 혼합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전통주 효모를 함유하는 천연 복합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침향 발효를 위한 발효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조된 막걸리 효모액과 식물 혼합 효소액을 0.5~1.5:0.5~1.5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20~25℃에서 2~4일 동안 배양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막걸리 효모액과 식물 혼합 효소액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20~25℃에서 3일 동안 배양하여, 침향의 발효에 적합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산균으로서는 예컨대,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bifidum,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fermentu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유산균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발효 공정>
상기와 같은 천연 복합발효액을 이용하여 침향을 고상발효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고상발효 공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5) 침향을 상기 (4)단계에서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발효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여기서 침향은 한약재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침향을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침향을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20~25℃에서 50~70분 동안 1차 침지한 후 꺼내어 45~55℃에서 2~4일 동안 1차 발효하고, 상기 1차 발효한 침향을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20~25℃에서 10~20분 동안 2차 침지한 후 꺼내어 45~55℃에서 1~3일 동안 2차 발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침향을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20~25℃에서 60분 동안 1차 침지한 후 꺼내어 50℃에서 3일 동안 1차 발효하고, 상기 1차 발효한 침향을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20~25℃에서 15분 동안 2차 침지한 후 꺼내어 50℃에서 2일 동안 2차 발효할 수 있다.
(6) 상기 (5)단계에서 발효한 침향을 상기 (4)단계에서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열처리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발효한 침향은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20~25℃에서 10~20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70~80℃에서 1~3일 동안 열처리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효한 침향을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20~25℃에서 15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75℃에서 2일 동안 열처리할 수 있다.
(7) 상기 (6)단계의 열처리한 침향을 건조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침향 발효산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열처리한 침향을 35~45℃에서 2~4일 동안 건조한 후 20~25℃에서 1~3일 동안 숙성시킬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처리한 침향을 40℃에서 3일 동안 건조한 후 20~25℃에서 2일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5)단계 내지 (7)단계와 같은 조건으로 침향에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을 처리, 건조 및 숙성하게 되면 침향과 발효액의 향미 및 맛이 조화를 이루고, 침향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진 베타-셀리넨 함량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침향의 고상발효 과정에서 침향과 더불어서 인삼(홍삼, 흑삼, 산삼 등 포함)을 추가로 혼합하여 고상발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침향과 더불어서 한약재, 채소류 및 과실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더덕, 오가피, 황칠, 멀꿀, 녹용, 녹각, 동충하초, 마늘, 황금, 양배추, 호박, 석류, 매실 및 대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침향을 비롯하여 고상발효에 사용되는 식물 또는 한약재는 그 원료의 성분에 따라 고상발효에 적합하도록 건조 또는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침향은 매우 딱딱하므로 적절한 입자 크기로 분말화 또는 입자화하여 고상발효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침향 발효산물은 그 자체로서 또는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건강식품, 의약품, 음료, 식품첨가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향 발효산물은 건강식품이나 약학적 조성물로 투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분말, 엑기스, 그래뉼, 겔상, 입상, 펠릿형, 환형, 캡슐제, 정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제형은 본 발명의 발효산물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다른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는 건강식품이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경구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으로는 액제, 고형제 등으로 경구 투여가 가능하고, 액제로는 샷(Shot), 엑기스, 드링크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고, 고형제로는 분말, 그래뉼, 캡슐제, 정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산물을 포함하는 경구 제형은 예컨대 100-1,000mg/정, 3-10g/포 등의 제형으로 1일 1-3회 섭취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한약재, 충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활택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로는 한천, 전분, 알긴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무수인산일수소 칼슘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활택제로는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제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딘,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락토오즈,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오스. 글리신 등을 희석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감미제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생막걸리에 생막걸리 대비 흑설탕 3.5%(w/v)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5%(w/v)를 접종한 후 30℃에서 4일 동안 배양하여 막걸리 효모액을 제조하였다.
(2) 식물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눈꽃동충하초 12 중량%, 녹용 11 중량%, 상황버섯 11 중량%, 오가피 11 중량%, 용안육 11 중량%, 산약 11 중량%, 천궁 11 중량%, 갈근 11 중량% 및 라임 11 중량%를 혼합한 식물 혼합물에 식물 혼합물 대비 정제수 8배(v/w) 첨가한 후 9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식물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3) 개복숭아와 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5~30℃에서 2개월 동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개복숭아 효소액을 제조하였다,
(4) 매실과 설탕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25~30℃에서 2개월 동 안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매실 효소액을 제조하였다.
(5) 상기 (2)단계에서 제조한 식물 혼합 추출액, 상기 (3)단계의 제조한 개복숭아 효소액, 상기 (4)단계의 제조한 매실 효소액을 2: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식물 혼합 효소액을 제조하였다.
(6)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막걸리 효모액과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식물 혼합 효소액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에 혼합액 대비 8종 알파 혼합유산균-엘(L)2(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bifidum,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fermentum) 1%를 혼합한 후 20~25℃에서 3일 동안 배양하여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을 제조하였다(도 1).
(7) 침향은 5-15 mesh로 분쇄하여 상기 (6)단계에서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20~25℃에서 80분 동안 침지하였다(1차 침지).
(8) 상기 (7)단계의 침지한 침향을 꺼내어 50℃ 온도 및 습도 35%에 서 5일 동안 발효하였다(1차 발효).
(9) 상기 (8)단계에서 발효한 침향을 상기 (6)단계의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20~25℃에서 20분 동안 침지하였다(2차 침지).
(10) 상기 (9)단계에서 침지한 침향을 꺼내어 50℃ 온도 및 습도 35%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2차 발효).
(11) 상기 (10)단계에서 발효한 침향을 상기 (6)단계에서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20~25℃에서 15분 동안 침지하였다(3차 침지).
(12) 상기 (11)단계에서 침지한 침향을 꺼내어 75℃ 온도 및 습도 15% 에서 2일 동안 열처리 건조하였다.
(13) 상기 (12)단계애서 열처리 건조한 침향을 40℃ 온도 및 습도 15% 에서 3일간 냉풍 건조한 후 20~25℃에서 3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침향 발효산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에 1과 동일하게 침향을 고상발효하되, 상기 (2)단계의 식물 혼합 추출액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상기 (3)단계에서 제조한 개복숭아 효소액, 상기 (4)단계에서 제조한 매실 효소액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식물 혼합 효소액을 제조하여 동일 공정조건으로 고상발효하여 침향 발효산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침향을 고상발효하되 상기 (6)단계에서 사용한 유산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그 이외의 조건은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발효를 진행하여 침향의 발효산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침향을 고상발효하되 상기 (1)단계 내지 (5)단계에서 제조된 식물 혼합 효소액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상기 (6)단계에서 사용한 유산균을 이용하여 상기 (8)단계와 동일한 조건으로 발효를 진행하였다.
발효는 유산균으로 동일 유산균 농도의 발효액을 제조한 후, 상기 (7)단계 내지 (13)단계와 동일한 조건으로 침지, 발효, 열처리, 건조, 숙성하여 침향 발효산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침향을 고상발효하되 상기 (1)단계에서 사용한 막걸리 효모액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고상발효를 진행하여 침향의 발효산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베타-셀리넨의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침향 발효산물과 대조군인 동일 원료의 비발효 침향에 대하여 성분의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농축시킨 추출액은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C-MS는 GCMS- QP2010Plus (Shimadzu, Kyoto, Japan) 기기를 사용하였다. Column은 DB-5(60 mm × 0.25mm i.d., 0.25 μm film thickness, J&W, CA, USA)를 이용하였다. Ionization voltage를 70eV로 설정하였고, Temperature program은 40℃에서 5분간 머무른 뒤, 2℃/min의 속도로 280℃까지 승온시킨 후 10분간 유지하였다. Injector 온도는 250℃로 설정하였다. Carrier gas는 He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1.0 mL/min으로 하였으며, injection volume은 1 μL를 split ratio 1 : 20로 주입하여 각 시료에 대하여 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베타-셀리넨 함량측정 결과의 비교는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성분 베타 셀리넨 함량 대조군 대비 베타 실리넨 함량 증가율(%)
실시예 1 98.67 52.95
실시예 2 94.93 47.16
비교예 1 73.41 13.80
비교예 2 69.16 7.20
비교예 3 78.91 22.32
대조군(비발효 침향) 64.51 -
실험예 2 :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침향 발효산물과 대조군인 동일 원료의 비발효 침향에 대하여 기력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각 사료에 대하여 비교실험을 위해 50-60세 남성으로 구성된 관능검사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1일 500mg 씩 2회, 30일간 꾸준하게 섭취하게 하고 기력증진, 향, 맛, 기호도 등에 대한 느낌을 관찰하였다.
준비한 각 시료들은 모두 일반적으로 식품으로 섭취 가능한 물질로 검증된 것으로서, 섭취가 가능한 물질이다. 실제로 섭취 후 부작용 등에 대한 관찰에서 독성 등 특별한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결과는 참가자가 해당 시료를 섭취한 후 1점 : 전혀 증상 개선이 없음, 2점 : 다소 좋은 느낌이지만 확실하지 않음, 3점 : 각 효능에 대해 좋아진 느낌임, 4점 : 상당히 개선된 느낌을 받음, 5점 : 매우 좋게 개선된 느낌이 확실하게 느껴짐 등으로 나타나는 5점 기준 척도법으로 평가한 다음 이에 대하여 평균을 계산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기력증진 기호도 종합평가
실시예 1 4.5 4.2 4.5 4.3 4.4
실시예 2 4.1 4.8 4.6 4.4 4.5
비교예 1 3.1 3.0 3.1 2.9 3.0
비교예 2 2.8 3.5 3.0 3.3 3.2
비교예 3 3.2 2.7 3.3 3.0 3.1
대조군(비발효 침향) 1.6 2.8 2.3 2.2 2.2
실험예 3 : 혈관 건강 지표검사
샘플에 대한 혈관 건강 검사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성년 47세 남성에 대하여 Doctor Plus에서 제공하는 혈관건강 지표검사를 실시하였다.
혈관검사는 측정 전과 측정 후에 대한 혈관을 검사하여 A-B타입; 안전, C-D타입: 경고, E-G타입: 위험 등 3단계의 검사결과를 측정게이지 색상변화를 통해 검사를 시행하였다. 실험은 피험자가 상기 실시예 1의 발효산물 샘플을 상기 실험예와 같은 방식으로 섭취한 전, 후에 각각 측정한 결과로 혈관의 건강측정 결과를 평가하였다.
도 2a,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한 조성물 샘플을 복용한 피험자의 혈관검사 결과의 전, 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혈관건강 측정결과를 보여주는 결과대비표이다. 그 실험결과에서 보면, 측정 전후에 확연한 혈관건강의 증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피험자의 실험결과 실시예 1의 샘플을 복용한 결과 복용 전에 비해 매우 우수한 혈관건강의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혈과 건강과 더불어서 심혈관계 증상 이상에 대한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침향 발효산물의 경우 기력증진과 심혈관계 증상 개선에 대해 매우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고상 발효에 사용된 발효액의 구성의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로서, 본 발명의 고상 발효에 의한 침향 발효산물은 비발효 침향이나 비교예 샘플의 발효산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6)

  1. 막걸리에 설탕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배양한 막걸리 효모액;과
    눈꽃동충하초, 녹용, 상황버섯, 오가피, 용안육, 산약, 천궁, 갈근 및 라임을 혼합한 식물 혼합물을 물로 추출한 식물 혼합 추출액에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혼합한 식물 혼합 효소액;
    을 혼합한 혼합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배양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침향을 침지하여 고상발효 후 열처리, 건조 및 숙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향 발효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의 침향 발효산물을 함유하는 기력증진 또는 심혈관계 이상 증상 개선용 건강식품.
  6. 막걸리에 설탕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배양하여 막걸리 효모액을 제조하는 단계;
    눈꽃동충하초, 녹용, 상황버섯, 오가피, 용안육, 산약, 천궁, 갈근 및 라임을 혼합한 식물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식물 혼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물 혼합 추출액에 개복숭아 효소액 및 매실 효소액을 혼합하여 식물 혼합 효소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막걸리 효모액과 상기 식물 혼합 효소액을 혼합한 혼합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침향을 상기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한 침향을 상기 제조한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 복합발효액에 다시 침지한 후 꺼내어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한 침향을 건조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침향을 고상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향 발효산물의 제조방법.
KR1020210188894A 2021-12-27 2021-12-27 침향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KR10250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894A KR102507602B1 (ko) 2021-12-27 2021-12-27 침향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894A KR102507602B1 (ko) 2021-12-27 2021-12-27 침향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602B1 true KR102507602B1 (ko) 2023-03-09

Family

ID=8551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894A KR102507602B1 (ko) 2021-12-27 2021-12-27 침향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6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008B1 (ko) 1994-12-26 1999-06-15 미따라이 하지메 시트 반송 장치 및 시트 반송 장치를 갖춘 프린터
CN112089830A (zh) 2020-09-29 2020-12-18 江西中医药大学 一种缓解冠心病心绞痛的中药药香及其制备工艺
KR102222753B1 (ko) 2020-10-30 2021-03-04 김성태 체내 흡수율이 우수한 침향 공진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008B1 (ko) 1994-12-26 1999-06-15 미따라이 하지메 시트 반송 장치 및 시트 반송 장치를 갖춘 프린터
CN112089830A (zh) 2020-09-29 2020-12-18 江西中医药大学 一种缓解冠心病心绞痛的中药药香及其制备工艺
KR102222753B1 (ko) 2020-10-30 2021-03-04 김성태 체내 흡수율이 우수한 침향 공진단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동생활건강(주) ‘일동발효침향원’, 브랜드 파워대상 선정. 머니투데이. [online], 2021.06.01., [2022.09.22. 검색], 인터넷: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53111001323594&type=1>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KR20180037693A (ko) 폐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CN111820407A (zh) 一种抗幽门螺旋杆菌组合物及其应用
KR101339706B1 (ko) 홍삼 포접화합물, 면역 농축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복합 조성물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CN104560576B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218022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904702B1 (ko) 면역 증강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0766B1 (ko) 익모초 특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53658B1 (ko) 팽화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243873B1 (ko)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CN105056096A (zh) 补肾活血通络酒及其制备方法
KR100678519B1 (ko) 다슬기, 유황오리, 유근피, 송화가루, 산청목, 죽염,인진쑥, 도라지 및 흑두로 구성되는 복합제 추출물을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507602B1 (ko) 침향 고상발효산물과 그 용도 및 제조방법
KR20180000874A (ko) 미세먼지 및 중금속과 항생물질 분해 배출에 도움을 주는 영양식품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668450B1 (ko)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KR102469337B1 (ko) 녹용 추출물 제조방법 및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녹용경옥고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497169A (zh) 一种畜禽用中草药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2165106B1 (ko)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변비 질환 개선용 환제 또는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US20040185124A1 (en) Health food and antitumor agent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93006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우황 청심원 원료 함유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