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319B1 -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319B1
KR102507319B1 KR1020220035839A KR20220035839A KR102507319B1 KR 102507319 B1 KR102507319 B1 KR 102507319B1 KR 1020220035839 A KR1020220035839 A KR 1020220035839A KR 20220035839 A KR20220035839 A KR 20220035839A KR 102507319 B1 KR102507319 B1 KR 10250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frame
module
coupl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096A (ko
Inventor
백정란
Original Assignee
(주)쁘띠레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쁘띠레망 filed Critical (주)쁘띠레망
Priority to KR102022003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3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8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a flat stamping surface and changeable charac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8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a flat stamping surface and changeable characters
    • B41K1/2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a flat stamping surface and changeable characters with means for locating the image to be obta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8Inking devices; Stamping surfac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잉크가 내장된 스탬프 모듈이 내삽결합되는 스탬프부; 및 상기 스탬프부 상면 중앙에 결합되며 가압시 상기 스탬프 모듈을 하측으로 돌출시켜 날인시킬 수 있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Stamps with various shapes and phrases}
본 발명은 스탬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의 놀이와 교육을 위해 과일모양, 꽃모양, 응원 및 칭찬 문구 등 다양한 사물과 문구가 표현된 스탬프는 교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잉크 내장형 도장이 개발되어 별도의 잉크를 준비하여 도장에 뭍힐 필요없이 다수번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성이 향상된 스탬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스탬프의 경우 하나의 디자인만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아들이 쉽게 싫증을 느낄 수 있고, 스탬프를 찍을 내용물에 따라 각기 다른 문구가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디자인별로 적합한 스탬프를 구매하기에는 스탬프의 개수가 너무 많아져 비용 및 보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1210호에는 "조립식도장"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여러개의 도장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적층 조립되어 도장이 일렬로 조립되거나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디자인의 도장을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도장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원하는 디자인을 포함하는데 한계가 존재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사용할 경우 다수개의 도장몸체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조립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탬프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질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몸체와 끼움 부재의 규격을 맞추기 위해 제조상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뿐 아니라 별도의 사출금형을 구비해야해서 제조상의 비용부담을 야기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1210호 "조립식도장"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2617호 "교체형 완구 스탬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 및 교체가 쉬운 스탬프 모듈을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맞춰 교체할 수 있어 하나의 스탬프로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모듈만을 생산하여 간단히 스탬프 모듈을 교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스탬프 모듈만을 구입할 수 있어 생산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도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스탬프 모듈을 통해 보관면적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동부를 통해 스탬프 가압시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는 범위를 한정하여 과도하게 스탬프 모듈이 지면상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잉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탬프부와 구동부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구동부 가압시 스탬프 모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날인시 선명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탬프 모듈 교체시 잉크가 내장된 밀착면에 손가락이 닿지 않고 함몰홈을 잡고 쉽게 분리하여 교체되어 교체과정에서 손에 잉크가 뭍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에 있어서,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잉크가 내장된 스탬프 모듈이 내삽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스탬프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스탬프 프레임과, 개방된 상면을 중심으로 내측이 함몰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 공간으로 상기 스탬프 프레임 하단 일부가 내삽되는 캡을 구비하는 스탬프부; 및 상기 스탬프부 상면 중앙에 결합되며 가압시 상기 스탬프 모듈을 하측으로 돌출시켜 날인시킬 수 있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탬프 모듈은 상기 스탬프부 내측면에 다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스탬프부 내측면과 자성결합되어 착탈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탬프 프레임 외측 상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 상면으로 인입되며 상기 고정기둥 내측면을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한 결합기둥과, 합형된 상기 고정기둥과 상기 결합기둥 내측에 형성되며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기둥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기둥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측 상면 중앙에는 상기 관통볼트 상단이 내삽되어 나사결합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면에 스탬프 날인시 디자인을 미리 확인할 수 있고, 스탬프의 디자인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표시부가 형성된다.
상기 스탬프 모듈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상기 스탬프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고, 외측면에 잉크 누설을 방지하는 코팅액이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며, 두께가 상기 스탬프 프레임의 내측 높이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가압시 상기 스탬프 모듈의 일면이 상기 스탬프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어 날인될 수 있다.
상기 스탬프부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상기 스탬프 프레임 내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져 끼움결합되고, 내측 상면에 상기 스탬프 모듈과 결합되는 제2 결합면이 형성된 인입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탬프 모듈은, 하면에 형성되어 내장된 잉크가 흘러나와 날인이 가능한 밀착면; 및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면과 자성결합되는 제1 결합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면 또는 상기 제2 결합면 중 어느 하나는 마그넷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결합면과 상기 제2 결합면은 자성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입프레임의 상면 중앙에는 상단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스탬프 프레임을 관통하는 관통볼트;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볼트는, 상기 상기 스탬프 프레임을 관통하되, 상기 고정기둥과 합형된 상기 결합기둥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결합기둥을 관통한 상단은 상기 체결구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탬프부와 상기 구동부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 및 교체가 쉬운 스탬프 모듈을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맞춰 교체할 수 있어 하나의 스탬프로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모듈만을 생산하여 간단히 스탬프 모듈을 교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스탬프 모듈만을 구입할 수 있어 생산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도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스탬프 모듈을 통해 보관면적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구동부를 통해 스탬프 가압시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는 범위를 한정하여 과도하게 스탬프 모듈이 지면상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잉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탬프부와 구동부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구동부 가압시 스탬프 모듈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날인시 선명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스탬프 모듈 교체시 잉크가 내장된 밀착면에 손가락이 닿지 않고 함몰홈을 잡고 쉽게 분리하여 교체되어 교체과정에서 손에 잉크가 뭍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의 캡이 분리된 실시예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의 저면사시도 및 상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부를 정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 모듈을 분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부와 구동부간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의 캡이 분리된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b는 도 10a의 구동부를 가압하여 스탬프 모듈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예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조립 및 교체가 쉬운 스탬프 모듈을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맞춰 교체할 수 있어 하나의 스탬프로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스탬프(1)는 디자인을 이루는 스탬프 모듈(110)이 내장되어 날인(捺印 , printing)할 수 있는 스탬프부(100)와, 상기 스탬프부(100)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고 스탬프부(100)를 가압하여 날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구동부(200)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의 캡이 분리된 실시예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의 저면사시도 및 상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탬프부(1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스탬프 프레임(101)이 포함되고, 이러한 스탬프 프레임(101)의 개방된 하면 내측으로 다수개의 스탬프 모듈(110)이 상기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고정된다.
이러한 스탬프 프레임(101)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수직함몰된 걸림턱(101a)이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턱(101a)의 하면으로 캡(102)의 상면이 안착되어 스탬프 프레임(101)과 캡(102)이 합형된다.
캡(102)은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개방된 상면을 중심으로 내측이 함몰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캡(102)의 내측 공간으로 스탬프 프레임(101) 하단 일부가 내삽되어 캡(102)이 스탬프 프레임(101)에 끼움결합되어 합형된다.
이때, 스탬프 프레임(101)과 캡(102)간의 결합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탬프 프레임(101)의 한 쌍의 하단 외측면, 즉 도 1과 같이 걸림턱(101a) 하측으로 연장되어 캡(102) 내측면으로 인입되는 스탬프 프레임(101) 하단의 외측면 일측에는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01b)가 존재하고, 결합돌기(101b)가 형성된 측과 밀착되는 캡(102)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잡고 가압하여 결합돌기(101b)와 밀착된 캡(102) 내측면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결합구(102a)가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구(102a) 내측면으로 결합돌기(101b)가 밀착되어 결합고정되고, 사용자는 캡(102)을 스탬프 프레임(101)으로부터 분리시 결합구(102a)를 손가락으로 잡고 내측으로 가압하여 결합돌기(101b)와 결합구(102a) 내측면을 서로 분리시켜 캡(102)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결합돌기(101b) 및 결합구(102a)가 각각 스탬프 프레임(101)과 캡(102)의 일측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보이나 일측면과 대향하는 반대측 측면에도 형성되어 양측으로 스탬프 프레임(101)과 캡(102)이 밀착되어 결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캡(102)을 통해 스탬프(1) 미사용시 스탬프 프레임(101) 내 스탬프 모듈(110)을 보호하고, 외부와 스탬프 모듈(110)을 분리하여 의도치않게 날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에 의해 스탬프 모듈(110) 내 잉크가 마르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스탬프 프레임(101) 상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턱(103a) 상단에 안착되어 스탬프 프레임(101)에 결합고정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사용자가 쉽게 잡고 하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날인할 수 있는 손잡이(201)가 형성된다.
손잡이(201)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그립감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201)의 최상면에는 스탬프(1) 날인시 디자인을 미리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탬프(1)의 디자인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표시부(20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201)는 고정기둥(210)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며, 내측으로는 결합기둥(220)이 내장되는데 이러한 결합구조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부를 정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 모듈을 분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스탬프 프레임(101)의 개방된 하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스탬프 모듈(110)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하면에는 잉크가 내장되어 스탬프(1) 사용시 종이 등과 직접 맞닿아 날인 작업을 수행하는 밀착면(11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면에 밀착되거나 후술된 인입프레임(120) 내 제2 결합면(121)과 자성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면(112)이 형성된다.
먼저, 밀착면(111)은 잉크가 내장된 스탬프 모듈(110)의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장된 잉크가 밀착면(111)으로 스며나와 사용자가 밀착면(111)을 통해 날인 작업시 날인되고자 하는 물체에 밀착면(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잉크가 찍혀서 날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밀착면(111)은 도 5와 같이 양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음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맞게 선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탬프 모듈(110)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스탬프 프레임(101) 또는 인입프레임(129) 내측에 결합고정될 수 있는데, 다수개의 스탬프 모듈(110)은 각기 다른 색상의 잉크를 내장하여 각 밀착면(111)에 양각 또는 음각된 형상으로 날인되는데 각 밀착면(111)에 형성된 디자인 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져 다양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디자인을 날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꽃 형상의 밀착면(111)을 가지는 스탬프 모듈(110)의 경우 적색 등의 잉크를 내장하고, 줄기 형상의 밀착면(111)을 가지는 스탬프 모듈(110)의 경우 녹색 잉크를 내장하여 색상이 다채로운 꽃 디자인을 스탬프(1)가 날인할 수 있도록 한다.
스탬프 모듈(110)을 중심으로 밀착면(111)과 반대되는 측면에는 제1 결합면(112)이 형성된다. 제1 결합면(112)은 금속 재질 또는 자성을 갖는 마그넷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면에 제1 결합면(112)이 직접 밀착되어 결합되거나 후술된 바와 같이 인입프레임(120) 내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면(121)과 자성결합되어 직접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인입프레임(120) 부재시 스탬프 모듈(110)과 스탬프 프레임(10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결합면(112)은 자성을 가지는 마그넷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탬프 프레임(101)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스탬프 프레임(101)과 스탬프 모듈(110)이 자성결합을 통해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밀착면(111)은 잉크가 내장된 스탬프 모듈(110) 내부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탬프 모듈(110) 교체를 위해 접촉하는 경우 스탬프 프레임(101)의 개방된 하면에는 밀착면(111)이 돌출되기 때문에 쉽게 분리가 어려우며, 스탬프 모듈(110)을 잡더라도 밀착면(111)과 손가락이 접촉되어 손가락에 잉크가 묻어나올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스탬프 모듈(110)의 외측면을 따라 함몰된 함몰홈(113)이 형성된다.
함몰홈(113)은 스탬프 모듈(110)의 측면을 따라 함몰형성되며, 사용자가 구동부(200) 가압시 스탬프 프레임(101) 하면으로 돌출되는 스탬프 모듈(110)의 측면 위치, 즉 구동부(200) 가압시 스탬프 프레임(101) 외부로 노출되는 스탬프 모듈(110)의 측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6a과 같이 스탬프 프레임(101) 외부로 노출된 스탬프 모듈(110)의 함몰홈(113)으로 사용자는 손가락(손톱)을 끼워 도 6b와 같이 스탬프 모듈(110)을 스탬프 프레임(10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홈(113)을 통해 사용자가 스탬프 프레임(101)으로부터 용이하게 스탬프 모듈(110)을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교체과정에서 사용자 손에 잉크가 뭍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함몰홈(113)을 사용자가 집을 때 스탬프 모듈(110) 외면측으로 스며나올 수 있는 잉크를 차단하기 위하여 함몰홈(113)을 포함한 스탬프 모듈(110) 외측에 전체적으로 코팅액으로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스탬프 프레임(101)의 개방된 하면으로 스탬프 모듈(110)이 삽입되어 결합고정됨으로써 구동부(200)를 통해 스탬프부(100) 가압시 스탬프 모듈(110)이 개방된 스탬프 프레임(101) 하면으로 돌출되어 날인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탬프부(100)는 스탬프 프레임(101)에 내장되어 상기 스탬프 프레임(101) 및 구동부(200)와 결합될 수 있고, 내측으로 스탬프 모듈(110)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고정될 수 있는 인입프레임(12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인입프레임(120)은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 공간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상기 스탬프 프레임(101)의 개방된 하면과 동일하게 인입프레임(120) 하면 또한 개방되고, 하면을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된 내측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내측 공간으로 스탬프 모듈(110)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고정된다.
인입프레임(120)은 내측에 스탬프 모듈(110)이 위치함으로써 각 스탬프 모듈(110)마다 가지고 있는 잉크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고, 인입프레임(120) 내측면과 후술된 스탬프 모듈(110)의 제1 결합면(112)과 자성결합되어 인입프레임(120) 내부로 스탬프 모듈(110)이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인입프레임(120)의 함몰된 내측면, 즉 스탬프 모듈(110)의 제1 결합면(112)과 밀착되는 내측 상면에는 제1 결합면(112)과 자성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면(121)이 형성된다.
제2 결합면(121)은 금속재질 또는 자성을 가지는 마그넷으로 이루어질 수 있되, 제1 결합면(112) 또는 제2 결합면(121) 중 어느 하나는 마그넷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다른 하나는 금속 재질 또는 자성을 가지는 마그넷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결합면(112)과 제2 결합면(121)이 자성결합을 통해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입프레임(120)은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으로 완전 내삽되어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 상면과 밀착되어 끼움결합되고, 인입프레임(120)의 상면 중앙에는 관통볼트(122)가 수직돌출되어 스탬프 프레임(101)을 관통하고 구동부(200)와 결합됨으로써 스탬프부(100)와 구동부(200)가 서로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인입프레임(120)의 두께는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면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며, 구동부(200)를 통해 인입프레임(120) 가압시 구동부(200)의 이동범위와 동일하게 스탬프 프레임(101) 하면과 인입프레임(120) 하면간의 높이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된 도 10b와 같이 사용자가 스탬프(1) 날인을 위해 구동부(200) 가압시 스탬프 모듈(110)이 스탬프 프레임(101) 외측으로 돌출되되 인입프레임(120)은 돌출되지 않아 인입프레임(120)이 날인될 물체에 찍히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도록 설계제작된다.
또한, 인입프레임(120)의 내측면 높이는 스탬프 모듈(110) 중 함몰홈(113)이 형성된 부분에서 제1 결합면(112)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도 6a와 같이 사용자가 구동부(200) 가압시 인입프레임(120)은 스탬프 프레임(10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함몰홈(113)을 포함한 스탬프 모듈(110)의 하면만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날인과 동시에 사용자가 함몰홈(113)을 잡고 스탬프 모듈(110)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스탬프 모듈(110)은 스탬프 프레임(101) 또는 인입프레임(120) 내측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어지는데 이때 밀착면(111)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나 도 7a 및 7b와 같이 동일한 수평 및 수직너비를 가지되, 스탬프 모듈(110) 종류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너비가 배수로 증가하여 인입프레임(120)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도면을 중심으로 스탬프 모듈(110)의 가로에 해당되는 부분을 "수평너비"로 표현하였으며, 스탬프 모듈(110)의 세로에 해당되는 부분을 "수직너비"로 표현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밀착면(111) 형상 및 수평 및 수직너비를 가지는 스탬프 모듈(110)을 각각 제1 내지 6 모듈(110a,110b,110c,110d,110e,110f)로 나누어 기재하였음을 미리 밝힌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밀착면(111) 디자인을 가지되 동일 수평선상에 한 쌍의 제1 모듈(110a)이 삽입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모듈(110a)의 경우 인입프레임(120) 내측 수평너비의 절반에 해당되는 수평 너비를 가지며 제2 모듈(110b)의 수직너비에 2배에 해당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밀착면(111)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동일 수평선상에 한 쌍의 제1 모듈(110a)을 결합할 수 있되,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질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날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모듈(110a)의 하측에는 각각 제2 모듈(110b)과 제3 모듈(110c)이 결합고정될 수 있는데, 먼저 제2 모듈(110b)의 경우 제1 모듈(110a)과 동일한 수평너비를 가지되, 제1 모듈(110a)의 수직너비에 절반에 해당되는 수직너비를 가진다. 따라서, 하나의 제1 모듈(110a)은 제2 모듈(110b)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야 동일한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제2 모듈(110b)과 동일 수평선상에 설치되는 제3 모듈(110c)은 제2 모듈(110b)이 설치되는 우측 상단이 제2 모듈(110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함몰된 내측으로 제2 모듈(110b)이 구비될 수 있고, 제3 모듈(110c)은 한 쌍의 제1 모듈(110a)과 동일한 수평너비, 즉 인입프레임(120) 내측 수평너비와 동일한 수평너비를 가지고, 제1 모듈(110a)의 수직너비와 동일한 수직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4 모듈(110d)은 제1 내지 3 모듈(110a,110b,110c)와 다르게 문구가 디자인될 수 있고, 수평너비가 인입프레임(120) 내측 수평너비와 동일하고, 제3 모듈(110c)의 수직너비와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4 모듈(110a,110b,110c,110d)를 통해 인입프레임(120) 내측면을 모두 채워 결합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을 제공(날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7b와 같이 제4 모듈(110d)이 인입프레임(120) 내측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모듈(110d)의 하단 좌측에는 1x2 형상을 갖는 제1 모듈(110a)이 위치할 수 있으며, 하단 우측에는 1x3 형상을 갖는 제5 모듈(110e)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5 모듈(110a,110e)의 하측으로는 좌측 상단이 제5 모듈(110e)이 돌출된 만큼 하측방향으로 함몰되고 제1, 4 및 5 모듈(110a,110d,110e)을 제외한 인입프레임(120) 내측 공간을 채워넣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제 6모듈(110f)이 결합되어 새로운 형상 및 디자인을 가지는 스탬프(1)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입프레임(120) 내측 수평 및 수직 너비에 맞게 다양한 형상을 갖는 스탬프 모듈(110)을 서로 조립하여 인입프레임(120) 내측을 채워넣어 날인할 수도 있고, 앞서 인입프레임(120) 내 결합된 스탬프 모듈(11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형상 및 밀착면(111) 디자인을 가지는 다른 스탬프 모듈(110)로 교체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인입프레임(120) 내 스탬프 모듈(110)의 결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반드시 스탬프 모듈(110)로 인입프레임(120) 내측공간을 모두 채워넣을 필요없이 필요한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자성결합을 통해 삽입 및 고정시킴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날인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된 구성을 갖는 스탬프부(100)를 통해 하나의 스탬프(1)로 다양한 형상 및 디자인을 갖는 날인을 제공할 수 있고, 원하는 디자인이 담긴 스탬프 모듈(110)이 제작되면 추후 구매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의 날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탬프 모듈(110)은 쉽게 교체가 가능하며 스탬프(1)에 비해 크기가 작아 보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 또한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탬프부와 구동부간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의 캡이 분리된 상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b는 도 10a의 구동부를 가압하여 스탬프 모듈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예시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탬프 프레임(101) 상면 중앙에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관통구(103)가 형성되며, 관통구(103)의 상면에는 외경이 감소된 중앙턱(103a)이 형성되고, 중앙턱(103a)을 중심으로 내측에는 후술된 관통볼트(122)가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관통돌기(104)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의 홀이 형성된 관통돌기(104)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인입프레임(120)의 상면 중앙, 즉 스탬프 프레임(101)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일면 중앙에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나사산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관통볼트(122)가 형성된다.
이때, 관통볼트(122)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손잡이(201)와 결합시 체결홀(202a) 내측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단부터 하측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관통볼트(122)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관통홀(222)과 같이 관통되는 구성의 내측면과 나사산이 과도하게 밀착되어 구동부(200) 가압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스탬프 프레임(101) 상면 중앙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구동부(200)를 가압시 스탬프부(100) 내 스탬프 모듈(110)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날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부(200)는 걸림턱(101a) 상면에 안착되는 고정기둥(210), 고정기둥(210) 상측으로 내삽되어 상기 고정기둥(210) 내측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결합기둥(220), 상기 결합기둥(220)에 내장되어 압축 및 팽창에 의해 상기 결합기둥(2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230) 및 상기 결합기둥(220)을 내장하여 상기 결합기둥(220)을 관통한 관통볼트(122)와 결합고정되고, 상기 결합기둥(220)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따라 사용자가 잡고 가압할 수 있는 손잡이(201)로 구성된다.
먼저, 스탬프 프레임(101) 내부로 삽입된 인입프레임(120)의 관통볼트(122)는 관통돌기(104)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고, 관통볼트(122)가 관통결합된 관통돌기(104)의 외측으로는 탄성부재(230)와 상기 탄성부재(230)의 외주면 방향으로 고정기둥(210)이 결합된다.
이때, 고정기둥(210)의 내측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어 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끼움홈(211)이 상기 고정기둥(210)의 높이를 따라 함몰형성된다.
또한, 고정기둥(210) 내측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기둥(220)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어 상기 끼움홈(211)의 함몰형상과 동일하게 돌출형성된 끼움돌기(221)가 상기 결합기둥(220)의 높이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기둥(220)이 고정기둥(210)의 상면 내측으로 삽입시 끼움홈(211)으로 끼움돌기(221)가 삽입되어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기둥(210) 내측에 구비된 탄성부재(230)의 상단은 결합기둥(220)의 상단 내측면에 밀착되어 구비되고, 이를 통해 탄성부재(230)가 압축 또는 팽창하게 되면 결합기둥(220)은 하측 또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230)는 도 8과 같이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기둥(220)의 상면 중앙에는 관통볼트(122)의 상단이 관통결합되는 관통홀(222)이 형성되고, 도 9와 같이 관통홀(222)을 관통한 관통볼트(122)의 상단은 손잡이(201)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구(202) 내 체결홀(202a)로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201)는 하면이 개방되고, 내측 상면 중앙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체결구(202)가 형성되되, 체결구(202)의 하면 중앙에는 도 9와 같이 관통홀(222)을 관통한 관통볼트(122) 상단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202a)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기둥(220)이 고정기둥(210)의 개방된 상면으로 하단 일부가 끼움결합되되, 합형된 고정기둥(210) 및 결합기둥(22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230)가 위치하여 탄성부재(230)의 압축 및 팽창에 따라 결합기둥(2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탬프 프레임(101)의 관통돌기(104)를 관통한 인입프레임(120)의 관통볼트(122)를 통해 인입프레임(120)과 스탬프 프레임(101)이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고, 관통볼트(122)는 탄성부재(230) 내측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결합기둥(220)의 관통홀(222)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관통홀(222)을 관통한 관통볼트(122) 상단은 손잡이(201) 내 체결구(202) 측으로 이동하여 체결홀(202a)로 삽입됨과 동시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10a와 같이 평상시에는 탄성부재(230)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여 결합기둥(220)을 포함한 손잡이(201)가 상측으로 들려지고, 이러한 손잡이(201)와 관통볼트(122)를 통해 결합된 인입프레임(120)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여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반면, 도 10b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201)를 잡고 하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손잡이(201)와 함께 사용자는 관통볼트(122)를 가압함으로써 탄성부재(230)가 압축되어 결합기둥(220)과 함께 인입프레임(120)이 밀착된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스탬프 모듈(110)이 스탬프 프레임(101) 외측으로 돌출되어 날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의 인력 부재시 탄성부재(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인입프레임(120)을 포함한 결합기둥(220) 및 손잡이(201)가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10과 같은 형태로 복원된다.
이때, 고정기둥(210)의 하단 외측에는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된 스토퍼(212)가 고정기둥(210)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며, 이러한 스토퍼(212)를 통해 사용자가 구동부(200) 가압시 손잡이(201) 하면이 스토퍼(212) 상면에 안착되어 더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스탬프(1)를 과도하게 가압하여 날인이 잉크에 의해 번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결합구조를 가지는 스탬프(1)를 통해 스탬프부(100) 및 구동부(2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스탬프(1) 가압 후 인력 부재시 스탬프(1)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스탬프 모듈(110)이 사용 후 다시 스탬프 프레임(101) 내측으로 자동 인입되어 스탬프 모듈(110)을 보호하고, 빠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스탬프(1) 중앙르 관통하는 관통볼트(122)를 통해 스탬프(1) 및 구동부(200)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을 서로 개별적으로 결합할 필요없이 관통볼트(122)를 통해 스탬프(1) 및 구동부(200)를 결합함으로써 쉽게 조립 제작이 가능하고, 스탬프부(100)와 구동부(200)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구동부(200) 가압시 스탬프 모듈(11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날인시 선명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스탬프
100: 스탬프부 101: 스탬프 프레임
102: 캡 103: 관통구
104: 관통돌기 110: 스탬프 모듈
111: 밀착면 112: 제1 결합면
113: 함몰홈 120: 인입프레임
121: 제2 결합면 122: 관통볼트
200: 구동부 201: 손잡이
202: 체결구 210: 고정기둥
211: 끼움홈 212: 스토퍼
220: 결합기둥 221: 끼움돌기
222: 관통홀 230: 탄성부재

Claims (1)

  1.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잉크가 내장된 스탬프 모듈이 내삽결합되는 스탬프부; 및
    상기 스탬프부 상면 중앙에 결합되며 가압시 상기 스탬프 모듈을 하측으로 돌출시켜 날인시킬 수 있는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탬프 모듈은 상기 스탬프부 내측면에 다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스탬프부 내측면과 자성결합되어 착탈될 수 있고,
    상기 스탬프부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상기 스탬프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스탬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부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상기 스탬프 프레임 내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져 끼움결합되고, 내측 상면에 상기 스탬프 모듈과 결합되는 제2 결합면이 형성된 인입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탬프 모듈은 하면에 형성되어 내장된 잉크가 흘러나와 날인이 가능한 밀착면; 및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면과 자성결합되는 제1 결합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탬프 프레임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수직함몰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하면으로 캡의 상면이 안착되어 스탬프 프레임과 캡이 합형되며,
    상기 스탬프 프레임과 상기 캡 간의 결합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탬프 프레임의 한 쌍의 하단 외측면인 걸림턱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 내측면으로 인입되는 상기 스탬프 프레임 하단의 외측면 일측에는 돌출형성된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측과 밀착되는 상기 캡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잡고 가압하여 상기 결합돌기와 밀착된 상기 캡 내측면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 내측면으로 상기 결합돌기가 밀착되어 결합고정되고, 사용자는 상기 캡을 상기 스탬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결합구를 손가락으로 잡고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구 내측면을 서로 분리시켜 캡을 제거하며,
    상기 캡을 통해 스탬프 미사용시 상기 스탬프 프레임 내 상기 스탬프 모듈을 보호하고, 외부와 상기 스탬프 모듈을 분리하여 의도치않게 날인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스탬프 모듈 내 잉크가 마르는 것 또한 방지하며,
    상기 스탬프 모듈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상기 스탬프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고, 외측면에 잉크 누설을 방지하는 코팅액이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며, 두께가 상기 스탬프 프레임의 내측 높이보다 얇게 형성되고,
    스탬프 모듈의 외측면을 따라 함몰된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은 상기 스탬프 모듈의 측면을 따라 함몰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구동부 가압시 상기 스탬프 프레임 하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스탬프 모듈의 측면 위치인 상기 구동부를 가압시 상기 스탬프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스탬프 모듈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탬프 프레임 외부로 노출된 상기 스탬프 모듈의 상기 함몰홈으로 사용자는 손가락을 끼워 상기 스탬프 모듈을 상기 스탬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며,
    상기 함몰홈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스탬프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스탬프 모듈을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교체과정에서 사용자 손에 잉크가 뭍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함몰홈을 사용자가 집을 때 상기 스탬프 모듈 외면측으로 스며나올 수 있는 잉크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함몰홈을 포함한 상기 스탬프 모듈 외측에 전체적으로 코팅액으로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 가압시 상기 스탬프 모듈의 일면이 상기 스탬프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어 날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스탬프에 있어서,
    상기 인입프레임의 상면 중앙에는 상단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스탬프 프레임을 관통하는 관통볼트;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탬프 프레임 외측 상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기둥;
    상기 고정기둥 상면으로 인입되며 상기 고정기둥 내측면을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한 결합기둥;
    합형된 상기 고정기둥과 상기 결합기둥 내측에 형성되며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기둥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기둥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측 상면 중앙에는 상기 관통볼트 상단이 내삽되어 나사결합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볼트는 상기 상기 스탬프 프레임을 관통하되, 상기 고정기둥과 합형된 상기 결합기둥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결합기둥을 관통한 상단은 상기 체결구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탬프부와 상기 구동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KR1020220035839A 2021-08-06 2022-03-23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KR10250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839A KR102507319B1 (ko) 2021-08-06 2022-03-23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719A KR102380009B1 (ko) 2021-08-06 2021-08-06 조립 및 교체가 간편한 모듈형 스탬프
KR1020220035839A KR102507319B1 (ko) 2021-08-06 2022-03-23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719A Division KR102380009B1 (ko) 2021-08-06 2021-08-06 조립 및 교체가 간편한 모듈형 스탬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96A KR20230022096A (ko) 2023-02-14
KR102507319B1 true KR102507319B1 (ko) 2023-03-08

Family

ID=809973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719A KR102380009B1 (ko) 2021-08-06 2021-08-06 조립 및 교체가 간편한 모듈형 스탬프
KR1020220035839A KR102507319B1 (ko) 2021-08-06 2022-03-23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719A KR102380009B1 (ko) 2021-08-06 2021-08-06 조립 및 교체가 간편한 모듈형 스탬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0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852A1 (en) * 2022-02-18 2023-08-24 Prixel Press, LLC Pixel board print system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and method of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814A (ja) 1998-09-28 2000-04-04 Brother Ind Ltd スタンプユニット
JP3198708B2 (ja) 1993-03-17 2001-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光センサ
KR200272313Y1 (ko) 2002-01-29 2002-04-17 상동화주식회사 만년스탬프의 홀더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210Y1 (ko) 1997-12-06 2001-04-02 이승남 조립식 도장
US6047639A (en) * 1999-10-27 2000-04-11 Shih; Shiny Ink refillable stamp
US6983691B2 (en) * 2004-01-20 2006-01-10 Shiny Shih Retractable stamp
KR20110038311A (ko) * 2009-10-08 2011-04-14 손태호 도장
KR20150002617U (ko) 2013-12-26 2015-07-06 이종현 교체형 완구 스탬프
JP3198708U (ja) * 2015-05-01 2015-07-16 松尾 圭 スタ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708B2 (ja) 1993-03-17 2001-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光センサ
JP2000094814A (ja) 1998-09-28 2000-04-04 Brother Ind Ltd スタンプユニット
KR200272313Y1 (ko) 2002-01-29 2002-04-17 상동화주식회사 만년스탬프의 홀더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096A (ko) 2023-02-14
KR102380009B1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319B1 (ko) 다양한 형상 및 문구를 갖는 스탬프
USD563798S1 (en) Dispensing nozzle and cap and bottle assembly
USD545895S1 (en) Double ended stamp-shaped pen
CA103846S (en) Pressure container with actuator overcap
JP2008540182A (ja) スタンプ用品
CA2404186A1 (en) Ink cartrid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50218159A1 (en) Container having a depressible member used for ejecting contents
TW201332847A (zh) 具有組合功能的瓶蓋
US7730578B1 (en) Removable eraser for a pencil
USD498423S1 (en) Container without cap
JP5924564B2 (ja) 塗布容器用のローラの製造方法
KR200429568Y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490973Y1 (ko) 자석을 이용한 블록교구
JPS59159388A (ja) 印鑑
KR101707526B1 (ko) 다양한 입체적 굴곡면을 갖는 화장품 용기용 뚜껑
USD530745S1 (en) Writing instrument
JP2005289467A (ja) 二重容器
USD428056S (en) Fountain pen
CN206615554U (zh) 扣接标牌
CN210680271U (zh) 一种蜡笔
US8272513B1 (en) Card and stamp set and package
KR200211210Y1 (ko) 조립식 도장
KR200412008Y1 (ko) 조립식 도장
KR200399478Y1 (ko) 블록 결합식 몸체를 가진 필기구
ITRM950554A1 (it) Strumento di scrittura con timb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