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250B1 - 종이팩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종이팩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250B1
KR102507250B1 KR1020210154718A KR20210154718A KR102507250B1 KR 102507250 B1 KR102507250 B1 KR 102507250B1 KR 1020210154718 A KR1020210154718 A KR 1020210154718A KR 20210154718 A KR20210154718 A KR 20210154718A KR 102507250 B1 KR102507250 B1 KR 10250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base plate
heater
paper pack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필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필리
Priority to KR102021015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 B31B50/72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on already formed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팩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과; 제 1 가열기와; 하부면 실링기와; 제 1 이송기와; 하부면 실링지그와; 제 2 가열기와; 개구부 실링기와; 제 2 이송기와; 개구부 실링지그와; 종이팩 이송기와; 상기 제 1 가열기, 상기 하부면 실링기, 제 1 이송기, 상기 제 2 가열기, 상기 개구부 실링기, 상기 제 2 이송기 및 상기 종이팩 이송기를 각기 제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제공된 제어기로 구성됨으로써, 지그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높이의 종이팩을 소량 다품종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이팩 실링장치 {Apparatus for sealing paper packs}
본 발명은 종이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97호(등록일자: 2011.2.16., 발명의 명칭: 실링 장치)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재료를 실링하는 실링 장치에 있어서: 히트 실 조; 상기 히트 실 조의 전단부에 제공되며, 평행하게 배열되고 내부에 장착되는 두 개의 이격된 히터를 구비하며, 상기 포장 재료의 실링 동안 상기 포장 재료와 접촉하는 작업면을 가지는 히트 실 바; 상기 히트 실 조와 마주하여 배치된 카운터 조; 상기 카운터 조 상에 제공되며 상기 포장 재료의 실링 동안 상기 포장 재료와 접촉하는 작업면을 가지는 카운터 레일; 상기 히트 실 조 및 상기 카운터 조를 상대적으로 전진/후퇴시키는 구동 수단; 상기 히트 실 바의 작업면 및 상기 카운터 레일의 작업면에 의해 포장 재료를 클램핑하면서 히터를 작동시키는 가열 수단; 두 개의 히터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커터와 탄성 카운터 커터를 포함하는 커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카운터 커터는 자신이 위치되는 상기 히트 실 바 내의 홈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히트 실 바의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포장 재료가 상기 히트 실 바의 작업면 및 상기 카운터 레일의 작업면 사이에서 클램핑 될 때 상기 포장 재료와 접촉하는 앞면을 소유하며; 상기 커터는 상기 히트 실 바의 작업면 및 상기 카운터 레일의 작업면에 의해 클램핑되는 상기 포장 재료를 절 단하기 위하여 상기 카운터 레일 상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 카운터와 마주하는 관계로 위치되어, 상기 히트 실 바의 작업면 및 상기 카운터 레일의 작업면에 의해 클램핑되는 포장 재료의 절단 동안, 상기 탄성 카운터 커터 의 앞면의 일부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탄성 카운터 커터의 앞면의 일부가 상기 포장 재료의 절단 동안 상기 커터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탄성 카운터 커터의 앞면은 상기 카운터 레일 방향으로 상기 히트 실 바의 작업면을 지나서 돌출한, 실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통상적인 실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고, 포장 용기의 위생 및 용기 형성을 개선할 수 있으나, 단일 형태의 종이팩만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구성으로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소량 다품종의 종이팩을 실링할 수 없는 근원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종이팩을 준비하여 하부면을 실링한 다음 액상 또는 고체상의 내용물을 충전한 후 상부 개구부를 실링하는 자동화된 종이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제공된 제 1 가열기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하단부가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이격 제공된 복수 개의 제 1 지지칼럼과, 상기 제 1 지지칼럼의 상단부에 제공된 제 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프레스와,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위치하되 상단부가 상기 제 1 프레스의 하부면과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가열기와 통전된 하부면 실링전극을 가지는 하부면 실링기와;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가로질러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이송기와; 상기 제 1 이송기의 상부면에 제공된 하부면 실링지그 몸체와, 상기 하부면 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지그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지그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지그몸체를 가지는 하부면 실링지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제공된 제 2 가열기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이격 제공된 복수 개의 제 2 지지칼럼과, 상기 제 2 지지칼럼의 일측 상단부에 제공된 실링전극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실링전극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제공된 전극 브라켓과, 상기 제 2 가열기와 통전되도록 상기 전극 브라켓에 제공된 제 1 실링전극과, 상기 제 2 지지칼럼의 타측 상단에 제공된 제 2 프레스와, 상기 제 2 프레스와 연동되며 상기 제 2 가열기와 통전된 제 2 실링전극과, 전면 및 배면이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측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구조로서 상기 제 2 지지칼럼의 상부에 제공된 커버를 가지는 개구부 실링기와; 이격된 상기 제 2 지지칼럼의 내부를 가로질러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이송기와; 상기 제 2 이송기의 상부면에 제공된 개구부실링지그 몸체와, 상기 개구부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제공된 복수 개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종이팩 고정칼럼을 가지는 개구부 실링지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제공된 종이팩 이송기와; 상기 제 1 가열기, 상기 하부면 실링기, 제 1 이송기, 상기 제 2 가열기, 상기 개구부 실링기, 상기 제 2 이송기 및 상기 종이팩 이송기를 각기 제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제공된 제어기로 이루어진 종이팩 실링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종이팩 이송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제공된 종이팩 이송기 몸체와, 상기 종이팩 이송기 몸체의 전면에 제공된 Y축 이송레일과, 상기 Y축 이송레일과 연동된 X축 이송레일과, 상기 X축 이송레일 및 상기 Y축 이송레일과 연동된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의 전면에 신축가능하도록 제공된 이송 암과, 상기 이송 암의 전면에 제공된 회전 블록과, 상기 회전 블록의 전면에 제공된 집게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의 하부면에 각기 제공된 방진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면 실링지그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하부면 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온도센서와, 상기 제 1 지그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높이조절 보조 지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 실링지그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개구부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지그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높이의 종이팩을 소량 다품종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팩 실링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하부면 실링기 및 하부면 실링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하부면 실링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이팩 이송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개구부 실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개구부 실링기와 개구부 실링지그에 의해 종이팩의 개구부가 실링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실링 장치에 의해 종방향-실링된 포장 재료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횡방향 실링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종이팩 실링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0), 하부면 실링기(20), 하부면 실링지그(30), 제 1 가열기(S1), 제 1 이송기(CV1), 개구부 실링기(40), 개구부 실링지그(50), 제 2 이송기(CV2), 종이팩 이송기(60), 제 2 가열기(S2) 및 제어기(CTB)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은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받침대(13)와, 받침대(13)의 하부면에 제공된 방진패드(15)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가열기(S1)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여기서, 제 1 가열기(S1)는 하부면 실링전극(26)을 가열하기 위한 공지의 고주파 장치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가열기(S1)는 하부면 실링전극(26)에 의하여 종이팩(200)을 손상없이 실링이 가능하다면 고주파 이외의 다른 열원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하부면 실링기(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지지 플레이트(21)와, 하단부가 제 1 지지 플레이트(21)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이격 제공된 복수 개의 제 1 지지칼럼(22)과, 제 1 지지칼럼(22)의 상단부에 제공된 제 2 지지 플레이트(23)와, 제 2 지지 플레이트(23)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프레스(25)와, 제 2 지지 플레이트(23)의 하부면에 위치하되 상단부가 제 1 프레스(25)의 하부면과 연동되어 있으며 제 1 가열기(S1)와 통전된 하부면 실링전극(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프레스(25)는 유압, 공압 또는 전동 실린더 형태의 프레스이다.
하부면 실링전극(26)은 제 1 프레스(25)와 연동되어 상하로 움직이며, 제 1 가열기(S1)에 의해 가열된다.
제 1 이송기(CV1)는 제 1 지지 플레이트(21)의 상부면을 가로질러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측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이송기(CV1)는 컨베이어, 무빙블록, LM 실린더 등 전, 후퇴가 가능한 공지의 장치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면 실링지그(30)는 제 1 이송기(CV1)의 상부면에 제공된 하부면 실링지그 몸체(31)와, 하부면 실링지그 몸체(31)의 상부면에 제공된 지그 고정플레이트(32)와, 지그 고정플레이트(32)의 상부면에 제공된 육각 봉상구조의 제 1 지그몸체(3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 1 지그몸체(33)는 신속한 방열을 구현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지그 개구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면 실링지그(30)는 하부면 실링지그 몸체(31)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온도센서(3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온도센서(35)는 제 1 지그몸체(33)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지의 비접촉 온도센서이다.
또한, 하부면 실링지그(30)는 제 1 지그몸체(33)의 상부면에 제공된 높이조절 보조 지그 플레이트(3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높이조절 지그 플레이트(34)는 실링되는 종이팩(200)이 길이가 긴 경우에 사용된다.
여기서, 종이팩(200)은 육면체 형상으로 측면은 미리 실링되어 있고 상부면 및 하부면은 실링되지 않은 반 조립상태이다. 하부면을 실링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종이팩(200)의 하부를 접은 후 뒤집어서 개방된 상부면을 도 3과 같이, 제 1 지그몸체(33)에 삽입하여 준비한다.
하부면 실링지그(30)는 최초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이송기(CV1)의 일측에 위치하고, 종이팩(200)의 하부면 실링시에는 제 1 지그몸체(33)가 하부면 실링전극(26)과 밀착되는 위치로 이송되며, 종이팩(200)의 하부면 실링이 완료되면 제 1 이송기(CV1)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이송된다.
종이팩 이송기(60)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측면에 제공된 종이팩 이송기 몸체(61)와, 종이팩 이송기 몸체(61)의 전면에 제공된 Y축 이송레일(62)과, Y축 이송레일(62)과 연동된 X축 이송레일(63)과, Y축 이송레일(62) 및 X축 이송레일(63)과 연동된 무빙블록(64)과, 무빙블록(64)의 전면에 신축가능하도록 제공된 이송 암(65)과, 이송 암(65)의 전면에 제공된 회전 블록(66)과, 회전 블록(66)의 전면에 제공된 집게 부재(6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Y축 이송레일(62), X축 이송레일(63) 및 무빙블록(64)은 공지의 부품들이며, 무빙블록(64)은 모터가 내장되어 Y축 이송레일(62) 또는 X축 이송레일(63)을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 이송된다. 또한, 이송 암(65)은 망원경과 같이 다단 접철되는 구성으로 길이조절되는 공지의 장치이며, 집게 부재(67)는 종이팩(200)의 외부면을 파손없이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지의 부품이다. 또한, 회전 블록(66)은 모터가 내장되어 집게 부재(67)를 회동 또는 회전시키도록 제공되어 있다.
하부면 실링이 완료된 종이팩(200)은 집게 부재(67)에 의해 파지되어 하부면 실링지그(30)로부터 탈거된 후, 회전 블록(66)이 180°회전되어 개방된 상부면이 위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언급이 없으나, 종이팩(200)은 개방된 상부면에 액상 또는 고체상의 내용물이 충전된다.
제 2 가열기(S2)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여기서, 제 2 가열기(S2)는 후술되는 제 1 및 제 2 실링전극(44)(47)을 가열하기 위한 공지의 고주파 장치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 2 가열기(S2)는 실링전극들(44)(47)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며, 내용물이 충전된 종이팩(300)을 손상없이 실링이 가능하다면 고주파 이외의 다른 열원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개구부 실링기(40)는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이격 제공된 복수 개의 제 2 지지칼럼(41)과, 제 2 지지칼럼(41)의 일측 상단부에 제공된 실링전극 지지플레이트(42)와, 실링전극 지지플레이트(42)의 전면에 제공된 전극 브라켓(43)과, 제 2 가열기(S2)와 통전되도록 전극 브라켓(43)에 제공된 제 1 실링전극(44)과, 제 2 지지칼럼(41)의 타측 상단에 제공된 제 2 프레스(46)와, 제 2 프레스(46)와 연동되며 제 2 가열기(S2)와 통전된 제 2 실링전극(47)과, 전면 및 배면이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측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구조로서, 제 2 지지칼럼(41)의 상부에 제공된 커버(4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커버(49)는 개구부 실링기(40)의 내부 구성요소를 표현하기 위하여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2 프레스(46)는 유압, 공압 또는 전동 실린더 형태의 프레스이다.
제 2 실링전극(47)은 제 2 프레스(46)와 연동되어 좌우로 움직여서 제 1 실링전극(44)과 인접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링전극(44)(47)은 제 2 가열기(S2)에 의해 각기 가열된다.
제 2 이송기(CV2)는 이격된 제 2 지지칼럼(41)의 내부를 가로질러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타측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이송기(CV2)는 컨베이어, 무빙블록, LM 실린더 등 전, 후퇴가 가능한 공지의 장치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구부 실링지그(50)는 제 2 이송기(CV2)의 상부면에 제공된 개구부실링지그 몸체(51)와, 개구부실링지그 몸체(51)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제공된 복수 개의 고정편(53)과, 고정편(53)에 의해 고정되며 개구부실링지그 몸체(51)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종이팩 고정칼럼(55)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종이팩 고정칼럼(55)은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된 종이팩(300)이 수용된다.
또한, 개구부 실링지그(50)는 개구부실링지그 몸체(51)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온도센서(5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온도센서(57)는 제 종이팩 고정칼럼(55)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지의 비접촉 온도센서이다.
개구부 실링지그(50)는 최초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이송기(CV2)의 일측에 위치하고, 내용물이 충전된 종이팩(300)이 종이팩 이송기(60)에 의해 종이팩 고정칼럼(55)에 수용된다.
종이팩 이송기(60)에 의해 내용물이 충전된 종이팩(300)이 종이팩 고정칼럼(55)에 수용되면, 하부면 실링지그(3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내용물이 충전된 종이팩(300)이 수용된 개구부 실링지그(50)는 제 2 이송기(CV2)에 의해 도 5 및 도 6과 같이 개구부 실링기(40)의 실링전극들(44)(47) 사이에 실링될 종이팩(300)의 개구부가 정렬되도록 이송된다.
종이팩(300)의 개구부 실링이 완료되면, 개구부 실링지그(50)은 제 2 이송기(CV2)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이송되며, 작업자 또는 다른 기계적 수단에 의해 종이팩(300)이 탈거되면 개구부 실링지그(5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어기(CTB)는 제 1 가열기(S1), 하부면 실링기(20), 제 1 이송기(CV1), 제 2 가열기(S2), 개구부 실링기(40), 제 2 이송기(CV2) 및 종이팩 이송기(60)를 각기 제어하도록 종이팩 이송기(60)의 배면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기(CTB)에 의한 위 구성요소들의 작동관계는 전술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이나 작동관계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0 : 베이스 프레임 20 : 하부면 실링기
30 : 하부면 실링지그 40 : 개구부 실링기
50 : 개구부 실링지그 60 : 종이팩 이송기
S1, S2 : 가열기 CV1, CV2 : 이송기
CTB : 제어기
100 : 종이팩 실링장치

Claims (3)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받침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제공된 제 1 가열기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지지 플레이트와, 하단부가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이격 제공된 복수 개의 제 1 지지칼럼과, 상기 제 1 지지칼럼의 상단부에 제공된 제 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프레스와,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위치하되 상단부가 상기 제 1 프레스의 하부면과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가열기와 통전된 하부면 실링전극을 가지는 하부면 실링기와;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가로질러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이송기와;
    상기 제 1 이송기의 상부면에 제공된 하부면 실링지그 몸체와, 상기 하부면 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지그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지그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지그몸체를 가지는 하부면 실링지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제공된 제 2 가열기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이격 제공된 복수 개의 제 2 지지칼럼과, 상기 제 2 지지칼럼의 일측 상단부에 제공된 실링전극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실링전극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제공된 전극 브라켓과, 상기 제 2 가열기와 통전되도록 상기 전극 브라켓에 제공된 제 1 실링전극과, 상기 제 2 지지칼럼의 타측 상단에 제공된 제 2 프레스와, 상기 제 2 프레스와 연동되며 상기 제 2 가열기와 통전된 제 2 실링전극과, 전면 및 배면이 일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측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중공구조로서 상기 제 2 지지칼럼의 상부에 제공된 커버를 가지는 개구부 실링기와;
    이격된 상기 제 2 지지칼럼의 내부를 가로질러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이송기와;
    상기 제 2 이송기의 상부면에 제공된 개구부실링지그 몸체와, 상기 개구부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제공된 복수 개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종이팩 고정칼럼을 가지는 개구부 실링지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제공된 종이팩 이송기와;
    상기 제 1 가열기, 상기 하부면 실링기, 제 1 이송기, 상기 제 2 가열기, 상기 개구부 실링기, 상기 제 2 이송기 및 상기 종이팩 이송기를 각기 제어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제공된 제어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종이팩 이송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제공된 종이팩 이송기 몸체와, 상기 종이팩 이송기 몸체의 전면에 제공된 Y축 이송레일과, 상기 Y축 이송레일과 연동된 X축 이송레일과, 상기 Y축 이송레일 및 상기 X축 이송레일과 연동된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의 전면에 신축가능하도록 제공된 이송 암과, 상기 이송 암의 전면에 제공된 회전 블록과, 상기 회전 블록의 전면에 제공된 집게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 실링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의 하부면에 각기 제공된 방진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면 실링지그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하부면 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온도센서와, 상기 제 1 지그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높이조절 보조 지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 실링지그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개구부실링지그 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 실링장치.
KR1020210154718A 2021-11-11 2021-11-11 종이팩 실링장치 KR10250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718A KR102507250B1 (ko) 2021-11-11 2021-11-11 종이팩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718A KR102507250B1 (ko) 2021-11-11 2021-11-11 종이팩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250B1 true KR102507250B1 (ko) 2023-03-07

Family

ID=8551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718A KR102507250B1 (ko) 2021-11-11 2021-11-11 종이팩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2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423A (ja) * 1989-08-02 1991-03-25 Toppan Printing Co Ltd 容器充填シール機
JPH0398825A (ja) * 1989-09-06 1991-04-24 Toppan Printing Co Ltd 充填シール機
KR100837656B1 (ko) * 2006-03-20 2008-06-13 매일유업주식회사 음료포장 팩의 실링여부 검사방법
JP4220163B2 (ja) * 2002-02-06 2009-02-04 ニュートリー株式会社 飲料パック用吸引具
JP6146086B2 (ja) * 2013-03-27 2017-06-14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ハーフクリアパック用の紙基材シート及びハーフクリアパック
KR20200121685A (ko) * 2019-04-16 2020-10-26 주식회사 씨앤제이글로벌 종이용기 씰링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423A (ja) * 1989-08-02 1991-03-25 Toppan Printing Co Ltd 容器充填シール機
JPH0398825A (ja) * 1989-09-06 1991-04-24 Toppan Printing Co Ltd 充填シール機
JP4220163B2 (ja) * 2002-02-06 2009-02-04 ニュートリー株式会社 飲料パック用吸引具
KR100837656B1 (ko) * 2006-03-20 2008-06-13 매일유업주식회사 음료포장 팩의 실링여부 검사방법
JP6146086B2 (ja) * 2013-03-27 2017-06-14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ハーフクリアパック用の紙基材シート及びハーフクリアパック
KR20200121685A (ko) * 2019-04-16 2020-10-26 주식회사 씨앤제이글로벌 종이용기 씰링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0977A (en) Apparatus for the heat-sealing of pack wrappers and the like
PT2373544E (pt) Aparelho para embalar
CN102015254A (zh) 用于生产食品的密封包装的密封夹爪
EP3409447B1 (en) Apparatus for sealing the top of a package for a food product and system for forming and filling a food package
KR102507250B1 (ko) 종이팩 실링장치
CN108058866A (zh) 一种全自动底封塑封机
CN213535346U (zh) 一种用于塑料薄膜彩印包装热压封口装置
KR101506516B1 (ko)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CN215514431U (zh) 一种多关节机器人装封一体化装箱机
KR20040095103A (ko)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포장 장치 및 그 방법
US6045493A (en) Sheet material feeding apparatus
CN211494763U (zh) 一种自动化热收缩包装设备
EP3321192A1 (en) Forming member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packs of pourable food products formed from a tube of packaging material
KR101469948B1 (ko) 좌우 대칭 서포트가 구비된 냉장고 열수축 필름 포장 장치용 필름랩핑기
JP3920441B2 (ja) 間欠送り装置
JP5806083B2 (ja) 棒状被包装物の挟み込み機構を備えた包装機及び棒状被包装物の包装方法
JP4282318B2 (ja) ヒートシール装置
CN220549317U (zh) 一种自立袋封口机
JP4158420B2 (ja) 液体紙容器のトップシール装置
RU2499753C2 (ru) Термонож постоянного нагрева упаковочной машины (варианты)
CN211663575U (zh) 粉条塑封装置
CN218022318U (zh) M形袋整形预封机构
CN219295855U (zh) 一种枕包机包装物保护装置
JPS5918970Y2 (ja) 被包装体の供給コンベヤ
JP6850480B2 (ja) 深絞り包装機用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