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104B1 -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104B1
KR102507104B1 KR1020220084735A KR20220084735A KR102507104B1 KR 102507104 B1 KR102507104 B1 KR 102507104B1 KR 1020220084735 A KR1020220084735 A KR 1020220084735A KR 20220084735 A KR20220084735 A KR 20220084735A KR 102507104 B1 KR102507104 B1 KR 102507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hange
light
optical sensor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해전
Original Assignee
서해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해전 filed Critical 서해전
Priority to KR102022008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19Electrical interface;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28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Failure detection; Spectral bandwidth calc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G01J1/042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using optical fib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8Marking de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2L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8Optical fibres; light 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파이프를 불량 유무를 검사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성형 수단, 용접 및 조절 수단, 진원성형 수단, 연마 수단 등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제조장치에 설치되는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에 있어서, 빛을 조사시키는 LED; 섬유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며 파이프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LED로부터 조사된 빛을 받아 이를 상기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내부로 확산시키는 광섬유; 상기 이동하는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다수의 광센서; 다수의 광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광센서의 숫자와 동일한 개수가 배치되며 다수의 광센서 중에서 빛의 변화를 감지한 해당 센서와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의 영역에 마킹하는 마커; 광센서에 의해 일정 수준 이상의 빛의 변화가 감지되어 마커가 작동하여 해당 파이프에 마킹하면, 알람을 울려 파이프에 천공 또는 얇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리는 알람부; 상기 LED, 광센서, 마커 및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LED, 광센서, 마커, 알람부, 모터 및 제어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불량 유무를 검사하고 약한 부분 및 천공을 검출하여 금속 파이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METAL PIPE}
본 발명은 금속 파이프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파이프를 불량 유무를 검사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금속 파이프는 금속 판재를 롤 성형이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원형의 단면으로 성형한 후 상호 맞닿는 양단부를 아르곤 용접으로 접합하여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상술한 과정으로 제조된 금속 파이프는 아르곤 용접으로 용접된 용접부에 여러 이유로 인하여 외면으로 이물질이 돌출되는 용접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축관시키거나 확관시켜 직경이 작은 모세관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최초 만들어진 직경 보다 큰 관을 형성시킬 수 있다.
최초에 아르곤 용접이 울퉁불퉁되어 용접 불량이 발생된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확관 또는 축관시키는 경우 불량률은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확관 또는 축관시킨 관로의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파이프들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체나 액체를 이송시키는 관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약한 곳이 있거나, 또는 천공이 발생된 경우 연약한 부분에 의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해당 발생된 천공을 통해 액체나 기체가 유출될 수 있어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6257호(2008. 01. 14.) '스테인리스 파이프 용접불량 감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성형 수단, 용접 및 조절 수단, 진원성형 수단, 연마 수단 등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 파이프 제조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용접 불량상태를 감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 및 조절 수단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진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표면에 용접 불량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CCD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모니터에 출력하는 컴퓨터 및 영상처리부와; 상기 컴퓨터 및 영상처리부로부터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표면에 용접 불량현상이 검출되었다는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입출력부와; 상기 디지털 입출력부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경보음을 발생하고 경보램프를 점동시키는 경보발생부와; 상기 디지털 입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 중에서 용접 불량 상태가 설정된 값보다 이상일 때의 디지털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용접 및 조절 수단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용접시스템제어부와; 상기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용접 불량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컴퓨터 및 영상처리부로 전송하는 CCD 카메라와; 상기 CCD 카메라의 렌즈가 내부에 설치된 차광막에 광원을 조사하는 LED 램프와; 상기 LED 램프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을 확산시키는 반투명 재질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용접불량 감시장치"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용접지점을 향해서만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확관 또는 축관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천공이나 약해진 부분을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인용발명은 암실에서 용접된 곳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고 이를 카메라로 감지하므로 용접 지점에 발생한 문제점만을 확인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은 광원, 카메라 및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영상을 분석하는 등의 복잡한 전기적인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로 인하여 장치의 설치에 대한 비용이 과도하게 상승되며 복잡한 영상 분석이 이후에 파이프의 문제점이 파악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6257호(2008.01.14.) '스테인리스 파이프 용접불량 감시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파이프의 내측에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광섬유를 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파이프의 외주면을 통해 유출되는 빛의 양을 검출하고 불량 유무를 검사하며 약한 부분 및 천공을 검출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파이프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는, 성형 수단, 용접 및 조절 수단, 진원성형 수단, 연마 수단 등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제조장치에 설치되는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에 있어서,
빛을 조사시키는 LED;
섬유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며 파이프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LED로부터 조사된 빛을 받아 이를 상기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내부로 확산시키는 광섬유;
상기 이동하는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다수의 광센서;
다수의 광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광센서의 숫자와 동일한 개수가 배치되며 다수의 광센서 중에서 빛의 변화를 감지한 해당 센서와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의 영역에 마킹하는 마커;
광센서에 의해 일정 수준 이상의 빛의 변화가 감지되어 마커가 작동하여 해당 파이프에 마킹하면, 알람을 울려 파이프에 천공 또는 얇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리는 알람부;
상기 LED, 광센서, 마커 및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LED, 광센서, 마커, 알람부, 모터 및 제어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광센서와 대응하는 다수의 마커를 매칭시키고, 다수의 광센서 및 마커와 통신하며, 일정 광도의 변화를 감지하면 대응하여 해당 광도에 따라 파이프의 해당 영역에 천공 또는 불량에 의한 얇은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마커를 작동시켜 해당 파이프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1/10룩스 내지 1룩스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파이프의 두께보다 얇은 것으로 판단하고 불량으로 결정하고, 1룩스 이상의 광도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파이프에 천공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파이프 검사 방법은,
제어부가 LED로 하여금 광섬유를 확산시켜 빛을 발산시키는 단계;
제어부가 연결된 다수의 광센서로부터 소정의 일정 광도 이상의 변화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단계;
제어부는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영역의 파이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제어부는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영역의 파이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제어부는 광도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영역의 파이프에 마킹하여 이상이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부는 알람을 발생시켜 해당 파이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제어부는 파이프에서 발생한 광도의 변화가 제1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단계;
상기 제2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광도의 변화가 제2 임계치 이상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단계;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값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파이프에 천공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값이 제1 임계치 이상이고 제2 임계치 이하인 경우 파이프에 기준치보다 얇은 부분이 발생한 불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제1 임계치는 1/10룩스, 제2 임계치는 1룩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는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파이프의 내측에 조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광섬유를 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파이프를 통해 유출되는 빛의 양을 검출하여 불량 유무를 검사하고 약한 부분 및 천공을 검출하여 금속 파이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는 유독가스 또는 유독물질을 이송시키는 금속파이프의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파이프 검사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파이프 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파이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파이프 검사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LED(110), 광섬유(120), 광센서(130), 마커(140), 알람부(150), 모터(160), 제어부(170) 및 배터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LED(110)는 빛을 조사하며, 제1 배터리(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시킨다. LED(110)에 의해 발광된 빛은 파이프(10)의 시작점부터 내부로 인입되어 들어가는 광섬유(120)의 일단을 향하여 조사된다.
LED(110)로부터 조사된 빛은 광섬유(120)를 따라 확산되어서 파이프(10) 내로 조사된다. 광섬유(120)는 2가닥으로 구성된다. 광섬유(120)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긴 섬유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유연성을 갖는다. 광섬유(120)는 LED(110)의 빛을 파이프(10)내로 확산시킨다. 광섬유(120)는 2가닥이 꼬여 형성되며 광섬유(120)를 감은 휠(미도시됨)의 축에 모터(160)가 연결되어 휠을 회전시켜파이프(10)로 내로 진행된다. 즉, 모터(160)는 광섬유를 감아 놓은 휠의 축을 회전시켜 광섬유(120)가 파이프(10)의 내측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구성된다. 제2 광섬유(124)는 LED(110)에 인접하여 구성되어 LED(110)로부터의 빛을 광섬유(120)를 따라서 확산시킨다. 즉, 광섬유(120) 중 제1 광섬유(122)는 모터(160)에 전면으로 진행되거나 후퇴되도록 구성되며 제2 광섬유(124)는 제1 광섬유(122)와 꼬인 상태이기 때문에 제1 광섬유(122)와 함께 이동하면서 LED(110)로부터 조사된 빛을 파이프(10)의 내부로 확산시킨다.
제1 광섬유(122)와 제2 광섬유(124)는 파이프(10)로 인입되기 전에 꼬여져 하나의 광섬유(120)로 합쳐진 상태로 파이프(10) 내로 인입된다. 광섬유(120)는 유연성이 있어 구부러지거나 또는 직선인 상태로 이동하는 파이프(10) 내로 모터(160)의 구동에 따라 삽입된다.
광센서(130)는 이동하는 파이프(10)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센서가 환형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센서들은 파이프(10)를 지향되도록 구성되며 파이프(10)로부터 유출되는 빛을 감지한다. 광센서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4개 내지 12개의 광센서(10)를 환형태로 구성하여 파이프(10)의 일측의 외주면으 감싸도록 구성된다.
마커(140)는 광센서(13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광센서의 숫자와 동일한 개수의 마커가 배치된다. 다수의 광센서(130) 중에서 빛을 감지한 해당 센서와 대응하는 마커(140)가 해당 파이프(10)의 영역에 마킹한다. 즉, 마커(140)도 광센서와 마찬가지로 4개 내지 12개의 마커(140)가 구비된다.
알람부(150)는 광센서(130)에 의해 일정 수준 이상의 빛이 감지되어 마커(140)가 작동하여 해당 파이프(10)에 불량이 발생한 지점에 마킹하면, 알람을 울려 파이프(10)에 천공 또는 얇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160)의 일측은 제1 광섬유(122)에 연결된다. 모터는 회전운동을 일부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광섬유를 전진시키고, 제1 광섬유(122)는 전진하면서 동시에 회전하여 제2 광섬유(124)와 꼬여서 광섬유(120)를 형성시켜 파이프(10) 내로 인입시킨다.
제어부(170)는 다수의 광센서(130)와 대응하는 다수의 마커(140)를 매칭시킨다. 제어부(170)는 다수의 광센서(130) 및 마커(140)와 통신하며, 일정 광도의 변화를 감지하면 대응하여 광센서(130)에 의해 일정량 이상의 광도 변화가 측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광도에 따라 파이프(10)의 해당 영역에 천공 또는 불량에 의한 얇은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마커(140)를 작동시켜 해당 파이프(1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측정되는 광량의 차이의 정도에 따라 파이프(10)의 기준 두께보다 얇게 성형되는 불량 또는 천공에 의한 불량을 감지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광센서(130)로부터 1룩스 미만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파이프(10)의 두께보다 얇은 것으로 판단하고 불량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유의미한 광도의 변화는 1/10룩스 내지 1룩스라고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1룩스 이상의 광도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파이프(10)에 천공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180)는 앞서 언급된 LED(110), 광센서(130), 마커(140), 알람부(150), 모터(160) 및 제어부(170)에 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배터리(180)로 통칭하였으나, 각 구성에 개별적인 배터리(180)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모터(160)의 경우에는 상용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파이프 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2단계에서 제어부(170)는 LED(110)로 하여금 배터리(18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광섬유(120)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도록 하고, 광섬유를 파이프(10) 내로 인입시킨다. 즉, 제어부(160)는 LED(110)를 작동시켜 발산된 빛이 파이프(10) 내에서 광섬류(120)를 따라 선형으로 발산되도록 한다.
S204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연결된 다수의 광센서(130)로부터 소정의 광도 이상의 변화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유의미한 광도의 변화 정도는 1/10 룩스 이상의 광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S204단계에서 판단하여 광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광도의 변화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영역의 파이프(1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S206단계).
제어부(170)는 광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광도의 변화가 기설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영역의 파이프(10)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S208단계).
S2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광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광도의 변화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에 해당 영역의 파이프(10)에 마킹하여 이상이 있음을 표시한다.
S212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알람을 발생시켜 해당 파이프(10)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린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파이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02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파이프(10)주변에서 광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광도의 변화가 제1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임계치는 1/10룩스일 수 있다.
S302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광도의 변화가 제2 임계치 이상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4단계). 여기서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보다 크며, 1룩스일 수 있다.
한편, S302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가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S208단계로 진행하여 파이프(10)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S304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값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파이프(10)에 천공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S306단계).
S304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값이 제2 임계치 이하인 경우 파이프(10)에 기준치보다 얇게 성형된 성형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S308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파이프 110 : LED
120 : 광섬유 130 : 광센서
140 : 마커 150 : 알람부
160 : 모터 170 : 제어부
180 : 배터리

Claims (7)

  1. 성형 수단, 용접 및 조절 수단, 진원성형 수단, 연마 수단 등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제조장치에 설치되는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에 있어서,
    빛을 조사시키는 LED;
    섬유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며 파이프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LED로부터 조사된 빛을 받아 이를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내부로 확산시키는 광섬유;
    이동하는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환형으로 형성되어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다수의 광센서;
    다수의 광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다수의 광센서의 숫자와 동일한 개수가 배치되며 다수의 광센서 중에서 빛의 변화를 감지한 해당 센서와 대응하여 해당 파이프의 영역에 마킹하는 마커;
    광센서에 의해 일정 수준 이상의 빛의 변화가 감지되어 마커가 작동하여 해당 파이프에 마킹하면, 알람을 울려 파이프에 천공 또는 얇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리는 알람부;
    상기 LED, 광센서, 마커 및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LED, 광센서, 마커, 알람부, 모터 및 제어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광센서와 대응하는 다수의 마커를 매칭시키고, 다수의 광센서 및 마커와 통신하며, 일정 광도의 변화를 감지하면 대응하여 해당 광도에 따라 파이프의 해당 영역에 천공 또는 불량에 의한 얇은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마커를 작동시켜 해당 파이프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10룩스 내지 1룩스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파이프의 두께보다 얇은 것으로 판단하고 불량으로 결정하고, 1룩스 이상의 광도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파이프에 천공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인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4. 제어부가 LED를 작동시켜 발산된 빛이 파이프 내에서 광섬류를 따라 발산되도록 하는 단계;
    제어부가 연결된 다수의 광센서로부터 소정의 일정 광도 이상의 변화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단계;
    제어부는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영역의 파이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제어부는 상기 제1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영역의 파이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제어부는 광도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영역의 파이프에 마킹하여 이상이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부는 알람을 발생시켜 해당 파이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파이프 검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제어부는 파이프에서 발생한 광도의 변화가 제1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단계;
    상기 제2 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광도의 변화가 제2 임계치 이상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단계;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값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파이프에 천공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판단하여 광도의 변화값이 제1 임계치 이상이고 제2 임계치 이하인 경우 파이프에 기준치보다 얇은 부분이 발생한 불량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금속 파이프 검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인 금속 파이프 검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임계치는 1/10룩스, 제2 임계치는 1룩스인 것인 금속 파이프 검사 방법.
KR1020220084735A 2022-07-11 2022-07-11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507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735A KR102507104B1 (ko) 2022-07-11 2022-07-11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735A KR102507104B1 (ko) 2022-07-11 2022-07-11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104B1 true KR102507104B1 (ko) 2023-03-06

Family

ID=8551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735A KR102507104B1 (ko) 2022-07-11 2022-07-11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10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400A (ja) * 2002-10-15 2004-05-13 Frontier System:Kk 樹脂チューブのシーム不良検査装置
JP2005030826A (ja) * 2003-07-09 2005-02-03 Tonan Kosan Kk コンテナの損傷穴の検出装置とその方法
KR100573561B1 (ko) * 2001-12-24 2006-04-25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필터를 이용한 핀홀 검출기
KR100796257B1 (ko) 2006-12-29 2008-01-21 주식회사 화성에스티에스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용접불량 감시장치
KR20140083377A (ko) * 2012-12-26 2014-07-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관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476749B1 (ko) * 2007-12-21 2014-12-26 발루렉 튜브즈 프랑스 비파괴 검사, 특히 제조 중이거나 완성 상태에 있는 파이프들에 대한 비파괴 검사
JP2015078890A (ja) * 2013-10-16 2015-04-2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管肉厚測定装置及び鋼管肉厚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561B1 (ko) * 2001-12-24 2006-04-25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필터를 이용한 핀홀 검출기
JP2004138400A (ja) * 2002-10-15 2004-05-13 Frontier System:Kk 樹脂チューブのシーム不良検査装置
JP2005030826A (ja) * 2003-07-09 2005-02-03 Tonan Kosan Kk コンテナの損傷穴の検出装置とその方法
KR100796257B1 (ko) 2006-12-29 2008-01-21 주식회사 화성에스티에스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용접불량 감시장치
KR101476749B1 (ko) * 2007-12-21 2014-12-26 발루렉 튜브즈 프랑스 비파괴 검사, 특히 제조 중이거나 완성 상태에 있는 파이프들에 대한 비파괴 검사
KR20140083377A (ko) * 2012-12-26 2014-07-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관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JP2015078890A (ja) * 2013-10-16 2015-04-2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管肉厚測定装置及び鋼管肉厚測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10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bnormal operation of a rotor
DE602005006232D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chläuchen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zur Fehlerermittlung
EP1936358A1 (en) Oil mist detector
JP2016532121A (ja) 表面欠陥の検出のための検査システムを点検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30035418A1 (en) Weld bead inspection apparatus
KR102507104B1 (ko)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0655638B1 (ko) 광원 장치와 그것에 사용하는 광량 모니터
JP6071519B2 (ja) ガス漏洩検知システム
JP2006234388A (ja) 漏液センサー
JP3158969B2 (ja) フイルムの欠点検出装置およびフイルムの製造方法
KR100796257B1 (ko)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용접불량 감시장치
JP5256266B2 (ja) 複合型警報器
JP2009137038A (ja) 折り返しブラダ監視システム
JP2008224331A (ja) 漏光検査装置
JP3338610B2 (ja) 確認灯付き火災感知器
JP4820064B2 (ja) 複合型警報器
JP2010043985A (ja) 光ファイバ検査装置
JP2006258439A (ja) ゴムホースのワイヤの巻付けピッチ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2000180387A (ja) X線検査装置及びx線検査方法
JP2002022666A (ja) 球面状表面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TWI583934B (zh) Helium leak detector
JP2009037428A (ja) 警報器及び警報器の点検方法
JPH115187A (ja) レーザ加工装置
JP2015184019A (ja) 中空糸モジュール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H075112A (ja) 中空糸モジュールの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