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046B1 -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046B1
KR102507046B1 KR1020170170474A KR20170170474A KR102507046B1 KR 102507046 B1 KR102507046 B1 KR 102507046B1 KR 1020170170474 A KR1020170170474 A KR 1020170170474A KR 20170170474 A KR20170170474 A KR 20170170474A KR 102507046 B1 KR102507046 B1 KR 10250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ydrogen supply
fuel cell
stack
cel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022A (ko
Inventor
김선학
전순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0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25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at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의 수소공급라인에 구비될 수 있는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라인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급라인 내측에 형성되는 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공급라인 내에서 상기 압전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압전부에서 에너지가 발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Hydrogen supply apparatus for collecting energy in fuel cel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이 탑재될 수 있는 친환경 차량에 구비되는 고압용기를 포함하는 수소공급라인에 압전부를 형성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압전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에너지를 발전, 회수할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 스택, 연료 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연료 전지 스택에 전기 화학 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 중의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시스템, 연료 전지 스택의 운전 온도를 제어하는 열 및 물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료 공급 시스템, 즉 수소 공급계에 구비되는 수소 탱크에는 700bar 정도의 고압 압축 수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저장된 압축 수소는 수소 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고압 조절기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고압 라인으로 방출된 후, 시동 밸브와 수소 공급 밸브를 거치면서 감압되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된다.
이 때, 고압의 가스가 연료(수소)로서 사용되며, 따라서 가스를 필요에 따라 저장, 배출하기 위하여 가스의 저장 용기가 필요하다. 특히 가스는 용기 내 저장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고압으로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다만 고압으로 인한 폭발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대체연료가스 차량은 그 저장 용기의 탑재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기술의 핵심이다.
나아가, 가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스택으로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 상에서 고압의 유체는 여러 차례 감압되어 스택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기술에서는 700bar 정도의 고압용기 내부의 수소가 고압 레귤레이터에서 20bar 이하로 1차 감압되며 수소 공급 밸브 또는 인젝터를 거쳐 4bar 이하로 감압된 수소가 연료 전지 스택으로 공급하게 된다.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수소 공급 밸브를 이용하여 2차 감압이 이루어지는 경우, 시동 밸브를 통해 수소 기밀성을 확보하며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를 통해 수소 유량에 대한 정밀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수소공급라인에서는 감압밸브(HPR, High pressure relief valve), 수소차단밸브(FBV, Fuel block valve) 및 수소공급밸브(FSV, Fuel supply valve) 및 기계적 결속장치(스프링, 래치 등)에 의해 수소공급라인 내부의 고압 유체의 안정성이 확보되고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9199호 (2009. 06. 17)
종래의 수소공급라인의 경우, 고압용기 700bar의 압력에서부터 스택으로 공급되는 4bar의 압력으로 감압되면서, 압력에 따라 해당 유체가 가지는 에너지가 모두 회수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경우, 고압으로 압축된 유체의 유동에너지가 전부 버려지는 바, 본 발명에서는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의 수소공급라인에서 감압되는 유체의 유동에너지를 회수하여, 연료전지 시스템 전체의 연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구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라인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급라인 내측에 형성되는 압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공급라인 내에서 상기 압전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압전부에서 에너지가 발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공급라인은 상기 고압용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 및 상기 고압용기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수소공급라인 상에서 상기 고압용기와 상기 공급밸브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압전부는 상기 공급밸브와 상기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공급라인 중 상기 압전부 후단과 상기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소공급라인은 상기 고압용기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전부를 통과하는 상기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밸브의 듀티비가 가변 제어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압전부는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저전압 또는 고전압에 대응되는 값으로 상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DC-DC 컨버터가 상기 에너지를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저전압 직류변환장치와 저전압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상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DC-DC 컨버터가 상기 고전압으로 상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기 스택과 고전압 직류변환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고전압 배터리에 상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DC-DC 컨버터가 상기 고전압으로 상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기 스택과 저전압 직류변환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상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택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른 일 실시예로서, (a)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라인 내측에 형성된 압전부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압전부의 동작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수소공급라인에 구비된 공급밸브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목표압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목표압력에 의해 상기 고압용기와 상기 압전부 사이에 구비되는 공급밸브의 개방정도 및 개방빈도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압전부를 통과함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값에 의해 상기 목표압력이 산출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 (d) 상기 스택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측정압력과 상기 목표압력의 차이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a) 단계로 회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공급밸브의 듀티비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공급밸브의 상기 개방빈도를 제어하고, 상기 듀티비는 PWM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회수되는 에너지에 의해, 동일 연료에 대하여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이 증가하므로,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공급밸브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고압용기로부터 스택으로의 방향을 기준으로 수소공급밸브 후단의 압력이 일반적인 발명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수소공급밸브에 인가되는 전, 후단 차압이 감소하여 수소공급밸브의 내구 및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압전부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유체의 압력을 고려하여, 수소공급밸브 후단의 설정압력을 종래 기술보다 높게 설정하므로 수소공급밸브의 전, 후단 차압이 감소하며, 수소공급밸브에 인가되는 스트레스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간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간 연결관계 및 압전부 구비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전부가 고압 직류변환장치에 연결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압전부가 저압 직류변환장치에 연결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압전부를 포함하는 수소공급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에 탑재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은 크게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 스택, 연료 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 연료 전지 스택에 전기화학 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 중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연료 전지 스택의 반응열을 시스템 외부로 제거하고 연료 전지 스택의 운전 온도를 제어하는 냉각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연료 전지 시스템의 연료 공급계에는 연료가 탑재된 고압용기가 연료 저장 탱크로서 존재할 수 있다. 고압용기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수소를 연료로써 탑재 및 사용하며 700bar 정도의 고압 수소 가스가 용기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압용기의 내부에서는 연료 또는 수소에 의한 고압 상태가 지속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가 고압용기를 가압할 수 있다. 특히, 고압용기의 일 지점에 리크가 발생하거나 파단이 생기는 경우 내부의 고압이 일 지점에 집중되어 고압용기의 파손 및 그에 따른 폭발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고압용기의 내구성 및 안정성은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시스템이 탑재될 수 있는 차량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나아가, 고압용기로부터 연장되어 스택으로 수소가 공급되는 수소공급라인 상에는 고압용기로부터 인가되는 700bar의 고압을 순차적으로 감압하기 위한 밸브 및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고압용기와 마찬가지로 수소공급라인에도 대기압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의 압력이 인가되고 있으며, 수소공급라인 및 다양한 밸브 간의 기계적 결속 장치에 의해 수소 공급계의 내구가 유지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고압용기에 수소를 저장할 때, 약 700bar 정도의 고압으로 충전하는 이유는 다량의 수소를 저장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스택에서 수소와 산소가 반응을 하기 위해 필요한 스택 내부의 수소 분압의 범위는 일정범위 이내로 정해질 수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고압용기의 수소 압력과 스택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수소의 압력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필연적으로 감압되어야 하는 수소공급라인 상의 수소에 대하여, 종래 버려지는 유동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수소공급장치 및 상기 수소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 수소공급장치의 구조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공급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고압의 수소가 저장될 수 있는 고압용기(100)와 수소 및 산소가 반응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스택(200)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고압용기(100)와 스택(200)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수소공급라인(300)'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압용기(100)는 그 일측에 고압용기(100)의 개폐를 위한 고압용기(100) 솔레노이드 밸브(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압용기(100)의 솔레노이드 밸브(110)가 수소공급라인(3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110)가 개방되는 경우, 고압용기(100)가 수소공급라인(300)과 연결되며, 솔레노이드 밸브(110)가 폐쇄되는 경우, 고압용기(100)와 수소공급라인(300)이 서로 단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택(200)은 그 일측에 수소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소 유입구가 수소공급라인(30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수소공급라인(300)'은 고압용기(100)의 솔레노이드 밸브(110)와 연결되며, 연장되어 스택(200)의 수소 유입구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수소공급라인(300) 상에는 감압밸브(310), 차단밸브(320), 공급밸브(330) 및 압력센서(340)가 구비될 수 있다. 감압밸브(310)는 고압용기(100) 내부의 압력으로 배출된 수소의 압력을 감압시키기 위한 밸브로서, 고압용기(100)로부터 스택(200)으로 수소를 공급하여야하는 정도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차단밸브(320)는 수소공급라인(300) 상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스택(200)으로 수소가 공급되는 것을 완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수소공급라인(300)을 포함하는 수소 공급계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만 폐쇄되어 고압용기(100)와 스택(200) 사이의 유체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공급밸브(330)는 수소공급라인(300)을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감압시키면서 유입되는 수소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상세하게는 수소의 압력에 의해 스택(200)으로 유입되는 수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수소공급라인(300) 상에는 필요한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340)의 종류는 유체의 흐름에 대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340)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고압용기(100)로부터 스택(200)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고압용기(100)(고압용기의 솔레노이드 밸브(110) 포함), 감압밸브(310), 차단밸브(320), 공급밸브(330) 및 스택(200)의 순서로 각 구성이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택(200)으로 유입되는 수소의 압력이 가장 중요할 수 있으므로, 압력센서(340)는 공급밸브(330)와 스택(200)의 수소 유입구 사이의 일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소공급라인(300)을 세분화하여 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압용기(100)로부터 감압밸브(310) 사이의 구간을 'A 구역'으로, 감압밸브(310)와 공급밸브(330) 사이의 구간을 'B 구역'으로, 공급밸브(330)와 스택(200) 사이의 구간을 'C 구역'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역은 수소공급라인(300)을 흐르는 유체, 바람직하게는 수소의 압력 크기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용기(100)와 감압밸브(310) 사이의 구간에서는 고압용기(100)의 개방, 폐쇄에 따라 약 20-700bar 사이의 유체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즉, 고압용기(100)의 일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 밸브(110)가 개방되어 고압용기(100)로부터 수소가 배출될 때, 고압용기(100)의 압력이 그대로 A 구역에 인가되므로, A 구역의 압력은 고압용기(100) 개방 시 700bar 내지 고압용기(100) 폐쇄시의 20bar 사이에서 변동될 수 있다.
나아가, 감압밸브(310)와 공급밸브(330) 사이의 'B 구역'에서는 유체가 약 16bar의 압력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B 구역의 일 지점에 비상 상황에서 유체의 공급, 또는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3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급밸브(330)와 스택(200), 상세하게는 스택(200)의 수소 유입구 사이의 'C 구역'에는 유체가 약 1-3bar 사이의 압력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 구역의 압력에 따라 스택(200)의 수소 유입구로 공급되는 수소의 양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스택(200)에서 필요로 하는 수소의 양에 따라, C 구역의 압력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값에 따라 공급밸브(330)의 개도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공급라인(300)을 포함하는 수소공급장치의 구성 간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나아가, 도 2에서는 C 구역을 확대한 도면을 같이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소공급라인(300)의 내측으로 압전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수소공급라인(300)의 C 구역, 즉 공급밸브(330)와 스택(200) 사이의 일 지점에 압전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부(400)는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수소공급라인(300)의 형상에 대응되게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수소공급라인(300)의 내부에 원형의 압전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전부(400)는 수소공급라인(300)을 통한 유체의 유동을 위하여, 중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부(400)는 중공을 포함하는 링(ring)형상 또는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압전부(400)는 'On/Off' 제어가 가능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압전소자가 유체의 흐름에 대하여 저항 역할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C 구역 중 압전부(400)로 유체가 유입되는 구간을 압전부(400)의 전단(C1), 압전부(400)를 통과하여 스택(200)으로 유동하는 구간을 압전부(400)의 후단(C2)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부(4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은 압전부(400) 전단(C1)과 후단(C2)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전부(400) 전단(C1)의 유체 압력이 압전부(400) 후단(C2)의 유체 압력보다 클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전부(400) 전단(C1)의 유체압력은 약 3bar, 압전부(400) 후단(C2)의 유체압력은 약 1.5bar일 수 있다. 이처럼 압전부(400) 전, 후단(C2)의 압력 차이에 의해 압전부(400)를 통과하는 유체는 압전소자를 압박하게 되며, 압전소자에 인가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전부(400)에서는 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공급밸브(330)가 개방되어, B 구역의 유체압력이 압전부(400)의 전단(C1)에 인가되면, 압전부(400)의 전단(C1)이 약 3bar의 유체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약 3bar의 유체압력이 압전부(400)를 통과하면서 약 1.5bar의 압력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압전부(400) 전단(C1)과 후단(C2)의 압력 차이(압전부(400)를 통과하면서 감소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압전소자가 가압되어 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압전부(400)가 구비됨에 따라, 압전부(400) 전단(C1)의 압력이 일반적인 수소공급라인(300)에서 같은 구역의 압력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급밸브(330)에 인가되는 유체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유체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공급밸브(330) 후단(C2)에서의 압력이 일반적인 수소공급라인(300)에서 공급밸브(330) 후단(C2)의 압력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공급밸브(330) 전단(C1)과 후단(C2)의 압력 차이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밸브(330) 전단(C1)과 후단(C2)의 압력차에 의해 공급밸브(330)에 가해지는 응력 또는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공급밸브(330)의 내구성 및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급밸브(330)의 개도 정도에 따라 C 구역의 유체압력이 조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압전부(400)가 구비됨에 따라, 공급밸브(330)의 개도 빈도 및 개도 정도가 종래의 경우보다 감소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압전부(400)에서 발전된 에너지가 연료전지 시스템에 저장되는 것과 관련하여, 구성 간 연결관계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나아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압전부(400)에서 발전된 에너지가 연료전지 시스템에 저장되는 것과 관련하여, 구성 간 연결관계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3과 도 4에서는 공통적으로 DC-DC 컨버터(500)를 포함하는 압전부(400)와 스택(200), 블로워 및 펌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 펌프 및 모터의 구성은 연료전지 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구성인 바,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저전압 직류변환장치, 저전압 배터리, 고전압 직류변환장치 및 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은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압은 크게 고전압과 저전압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고전압은 스택(200)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또는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에 대응될 수 있다. 나아가, 저전압은 연료전지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의 전장 및 기타 전기로 구동되는 부품에서 사용되는 전압과 블로워 및/또는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2V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압전부(400)에서 발전된 에너지를 우선 압전부(400)에 포함된 DC-DC 컨버터(500)에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압전부(400)에 포함된 DC-DC 컨버터(500)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고전압 또는 저전압 중 적당한 전압에 맞도록 압전부(400)에서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변환한다.
상세하게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따라 압전부(400)의 DC-DC 컨버터(500)가 압전부(400)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경우, 구성 간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압전부(400)의 DC-DC 컨버터(500)가 스택(200)과 고전압 DC-DC 컨버터를 연결하는 라인의 일 지점에 체결될 수 있다. 나아가, 스택(200)과 고전압 DC-DC 컨버터를 연결하는 라인의 다른 일 지점으로부터 분기된 라인이 모터, 블로워, 펌프 및 저전압 DC-DC 컨버터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압전부(400)에서 발생된 에너지가 고전압에 대응되도록 변환되는 경우, 연료전지 시스템의 고전압 DC-DC 컨버터 및 저전압 DC-DC 컨버터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압전부(400)의 DC-DC 컨버터(500)가 압전부(400)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경우, 각 구성 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대비하여, 도 4에서는 압전부(400)의 DC-DC 컨버터(500)가 저전압 DC-DC 컨버터와 저전압 배터리 사이에 형성된 라인의 일 지점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에 의한 일 실시예의 경우, 압전부(400)에서 발생된 에너지는 저전압으로 변환되어 저전압 배러티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대로 스택(20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스택(200)으로 유입되는 수소의 양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압전부(400)의 구비 여부 및 동작 여부(On/Off)에 무관하게, 스택(200)으로 유입되는 수소의 압력은 미리 정해진 일정 범위 이내의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공급라인(300)을 포함하는 수소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며, 이하에서 상기 기술한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은 스택(200)으로 유입되는 수소의 공급 목표 압력(Ptarget _ 1)을 설정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target _1은 압전부(400)의 존재 여부 및/또는 구동 여부와 무관하게 스택(200)에서 요구하는 수소의 양에 따라 수소 유입구의 수소 압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압전부(4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Ptarget _1이 결정된 이후, 압전부(400)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대로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전부(400)는 선택적으로 동작 여부가 제어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서는 Ptarget _1을 설정한 이후, 압전부(400)의 'On' 또는 'Off'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부(400)가 'On' 상태인 경우, 즉 압전부(400)가 동작하여 수소공급라인(300)에서 유체의 흐름에 저항을 유발시키는 경우라면, 압전부(400) 전단(C1)과 후단(C2)에서의 압력차(ΔP)를 고려하여, 공급밸브(330)에서 공급하고자 하는 수소의 목표압력을 'Ptarget _2'로서 재설정할 수 있다.(S300)
압전부(400)가 'Off' 상태인 경우, 즉 동작하지 않는 경우라면, 바로 공급밸브(330)의 개도정도 및 개도빈도를 결정하는 단계(S400)로 넘어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급밸브(330)의 개도정도는 밸브의 개방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공급밸브(330)의 개도빈도는 PWM 제어에 의해 듀비티를 결정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즉 'Ptarget _1'은 압전부(400)가 없는 경우, 스택(200)으로 유입되어야하는 수소의 압력이자 공급밸브(330)에서 목표로 하는 압력을 의미할 수 있으며, 'Ptarget _2'는 압전부(400)가 구비되는 경우, 압전부(400)에서 압력이 강하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공급밸브(330)에서 공급하고자 하는 목표압력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압력차(ΔP)'는 유체가 압전부(400)를 통과하면서 감소하는 압력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전부(400)의 동작 여부를 고려하여, 공급밸브(330)로부터 스택(20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Ptarget _1' 또는 'Ptarget _2'로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target _2'는 'Ptarget _1'보다 '압력차(ΔP1)'만큼 크게 설정될 수 있다. 'Ptarget _2'가 설정된 이후, 'Ptarget _2'의 값을 고려하여 공급밸브(330)의 개방정도 및 개방빈도가 다시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압전부(400)가 'Off'인 경우, 목표압력이 한 번('Ptarget _1') 설정될 수 있으며, 압전부(400)가 'On'인 경우, 목표압력이 두 번 설정될 수 있다. ('Ptarget _1' 및 'Ptarget _2')
또한, 압전부(400)의 목표압력이 설정되어 밸브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주기로 하여, 수소의 공급 목표압력('Ptarget _1')을 재설정 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을 주기로, C 구역에 형성될 수 있는 압력센서(340)에 의해 측정된 수소의 압력과 스택(200)에서 요구하는 수소의 양을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공급계 제어기에서 수집하여, 수소의 공급 목표압력('Ptarget _1')을 재설정하는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S6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 구역의 압력센서(340)에 의해 측정된 수소의 압력과 스택(200)에서 요구하는 수소의 양에 따른 압력의 차이값(ΔP2)을 산출할 수 있다.(S500) 즉, 'ΔP2'는 'Ptarget _1' 또는 'Ptarget _2'로 설정된 목표압력의 값과 C 구역에 구비된 압력센서(340)에서 측정된 압력 값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ΔP2'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 목표 압력과 실제 C 구역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공급계 제어기에서는 다시 목표압력('Ptarget_1')을 재설정하는 단계(S600)로 회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또는 기설정된 목표압력과 C 구역에서 측정된 압력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공급밸브(330)의 목표압력을 재설정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소공급라인(300) 내의 C 구역에서 유체의 유동을 해석하여 발생 파워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약 79.5W의 유동 평균 파워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약 50%의 효율로 에너지를 회수하는 경우, 연료전지 시스템 전체의 효율이 약 0.5%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핵심 사상은 고압용기로부터 스택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대하여, 상기 유체는 필연적으로 감압되어야 하는 바, 상기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의 수소공급라인(300) 내측에 감압되는 압력에 의해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압전부(4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수소공급라인(300)의 공급밸브(330)와 스택 사이의 구역(약 1-3bar)에 구비되어 압전부(400)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일정한 수준의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 나아가 공급밸브(330)를 통과한 후의 유체의 압력이 1.5bar가 아닌 3bar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어, 공급밸브(330)의 내구 역시 향상될 수 있다는 점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압용기
110 : 고압용기 출구단의 솔레노이드 밸브
200 : 스택
300 :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의 수소공급라인
310 : 감압밸브
320 : 차단밸브
330 : 공급밸브
340 : 압력센서
400 : 압전부
500 : DC-DC 컨버터
A : 수소공급라인 중 고압용기와 감압밸브 사이 구역
B : 수소공급라인 중 감압밸브와 공급밸브 사이 구역
C : 수소공급라인 중 공급밸브와 스택 사이 구역
C1 : 수소공급라인 중 공급밸브와 압전부 사이 구역
C2 : 수소공급라인 중 압전부와 스택 사이 구역

Claims (13)

  1.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라인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급라인 내측에 형성되는 압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공급라인 중 상기 압전부 후단과 상기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소공급라인 내에서 상기 압전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압전부에서 에너지가 발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급라인은 상기 고압용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 및
    상기 고압용기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밸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수소공급라인 상에서 상기 고압용기와 상기 공급밸브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압전부는 상기 공급밸브와 상기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공급라인은 상기 고압용기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밸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전부를 통과하는 상기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밸브의 듀티비가 가변 제어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부는
    DC-DC 컨버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저전압 또는 고전압에 대응되는 값으로 상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가 상기 에너지를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저전압 직류변환장치와 저전압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저전압 배터리에 상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가 상기 고전압으로 상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기 스택과 고전압 직류변환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고전압 배터리에 상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가 상기 고전압으로 상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경우,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기 스택과 저전압 직류변환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저전압 배터리에 상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10. (a) 고압용기와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라인 내측에 형성된 압전부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압전부의 동작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수소공급라인에 구비된 공급밸브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목표압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목표압력에 의해 상기 고압용기와 상기 압전부 사이에 구비되는 공급밸브의 개방정도 및 개방빈도가 결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압전부를 통과함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값에 의해 상기 목표압력이 산출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d) 상기 스택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측정압력과 상기 목표압력의 차이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a) 단계로 회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공급밸브의 듀티비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공급밸브의 상기 개방빈도를 제어하고, 상기 듀티비는 PWM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제어방법.


KR1020170170474A 2017-12-12 2017-12-12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0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74A KR102507046B1 (ko) 2017-12-12 2017-12-12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74A KR102507046B1 (ko) 2017-12-12 2017-12-12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22A KR20190070022A (ko) 2019-06-20
KR102507046B1 true KR102507046B1 (ko) 2023-03-06

Family

ID=6710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474A KR102507046B1 (ko) 2017-12-12 2017-12-12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0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5597A (ja) * 2011-12-27 2013-07-08 Jtekt Corp 発電機能付き膨張機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703B1 (ko) 2006-09-28 2008-08-01 이돈신 병렬 급전형 저앙각 고이득 원편파 안테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5597A (ja) * 2011-12-27 2013-07-08 Jtekt Corp 発電機能付き膨張機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022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69621B (zh) 燃料电池系统、用于该燃料电池系统的控制方法以及配备有该燃料电池系统的电动车辆
US9604535B2 (en) Vehicle
US20130052553A1 (en) High pressure gas supply system and fuel cell system
CN102379061B (zh) 燃料电池系统和配备有该燃料电池系统的电动车辆
EP1473789A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cell system
WO2008053727A1 (fr) Système de piles à combustible
US1106991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hydrogen cut-off valve mounted on fuel cell vehicle
WO2007102297A1 (ja) バルブ、バルブ制御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WO2008018229A1 (fr) Système de pile à combustible
KR102139594B1 (ko) 차량용 수소 충전 및 방전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CN102369623A (zh) 燃料电池系统、用于燃料电池系统的控制方法以及配备有燃料电池系统的电动车辆
KR10190986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7046B1 (ko)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43142B2 (en) Method for dealing with fault in fuel cell system
US11332835B2 (en) Hydrogen system
JP638289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171391B2 (ja) 遮断弁の開閉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遮断弁の開閉状態判定方法
JP6207477B2 (ja) 燃料供給ユニット
KR20210104973A (ko) 연료전지차량의 충전 및 방전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JP6876741B2 (ja) 高圧レギュレータ用内部リーク防止のための圧力制御方法及び高圧遮断弁
KR101338456B1 (ko) 연료 전지 차량의 수소 공급 장치
KR101913809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08317392A (zh) 不具有供氢系统的高压管线的燃料电池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5069331A (ja) 水素供給ステーション及びその水素充填方法
KR102518693B1 (ko) 고압용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용 가스배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