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954B1 - 비데용 밸브 - Google Patents

비데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954B1
KR102505954B1 KR1020200169474A KR20200169474A KR102505954B1 KR 102505954 B1 KR102505954 B1 KR 102505954B1 KR 1020200169474 A KR1020200169474 A KR 1020200169474A KR 20200169474 A KR20200169474 A KR 20200169474A KR 102505954 B1 KR102505954 B1 KR 10250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outlet
bidet
extension groov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283A (ko
Inventor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지게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게이트(주) filed Critical 지게이트(주)
Publication of KR2022002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 비데용 밸브에 있어서, 후방에 모터가 설치되고, 일측에 내부로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공급관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상기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개방된 조절통공을 통해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조절판;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과 연결 시 자가세척구,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세정수가 배출되며,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과 인접하는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에 각각 연결된 세정튜브 및 비데튜브의 내부에 잔류된 잔수를 저압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밸브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자가세척구의 양측 및 배출관의 단부에 연장홈이 형성되어 조절판의 회전 시 조절통공이 각 연장홈이 서로 중첩되어 수압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수 최초 분사 시 저압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잔류수가 저압으로 배출되어 차가운 잔류수가 사용자의 신체에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용 밸브{VALVE FOR BIDET}
본 발명은 비데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 도기의 일종으로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세척하기 위해 상용되는 비데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용변 후,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용변자의 항문이나 여성의 국부를 세정한 후, 항문이나 국부 주위에 잔존하는 물기를 건조기에서 공급되는 온풍으로 건조시키는 장치로, 최근에는 편의성과 함께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비데는 일반가정에서 위생청결을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치질, 방광염, 질염, 설사로 인한 쓰라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여성의 월경과 산후조리 시에도 매우 유익하게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데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직수에 의해 항문을 세척하는 비데모드와, 항문이나 여성 국부의 세정을 위한 세정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세정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저자극적으로 부드러운 세정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세정효과를 향상시키고, 기포가 터질 때 발생하는 음이온에 의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세정수로서의 물에 공기가 섞이게 하여 에어버블(Air bubble)을 갖는 세정수를 공급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 비데용 밸브의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542호(공개일자 2013년04월09일)에는 입수유로에서 유입되는 물이 내부를 통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 내부를 흐르는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져 상기 회전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출수유로를 통해 출수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며 상기 입수유로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유로 조절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비데용 밸브는 겨울철에 잔수의 온도가 낮아 분사 시 최초 접촉온도가 낮아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8191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59859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098423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20110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밸브를 통해 세정수가 복수의 튜브로 분배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밸브 내에 남아 있는 차가운 잔수가 분사 시 사용자의 엉덩이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밸브는, 비데용 밸브에 있어서, 후방에 모터가 설치되고, 일측에 내부로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공급관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상기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개방된 조절통공을 통해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조절판;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과 연결 시 자가세척구,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세정수가 배출되며,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과 인접하는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에 각각 연결된 세정튜브 및 비데튜브의 내부에 잔류된 잔수를 저압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밸브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베이스는, 상기 자가세척구가 상기 조절통공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가 상기 조절통공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의 각 단부 중 상기 조절통공과 인접한 부분에는 제1 저압홈 및 제2 저압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베이스는, 상기 자가세척구의 단부에 상부 양측으로 메인 연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저압홈 및 제2 저압홈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메인 연장홈까지 인접하도록 연장된 제1 연장홈 및 제2 연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판의 회전 시 상기 메인 연장홈 및 제1 연장홈이 중첩되거나, 상기 메인 연장홈 및 제2 연장홈이 중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저압홈 및 제2 저압홈은 상기 제1 연장홈, 제2 연장홈, 자가세척구, 메인 연장홈 보다 좁게 형성되고,상기 조절통공이 상기 메인 연장홈과 제1 연장홈 또는 제2 연장홈과 연결 시상기 제1 연장홈 또는 제2 연장홈으로 유입되는 세정수가 상기 메인 연장홈으로 유입된 세정수보다 저압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 연장홈 및 인접하는 상기 메인 연장홈 중 서로 마주보는 각 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제1 파형홈 및 메인 파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홈 및 인접하는 상기 메인 연장홈 중 서로 마주보는 각 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제1 파형홈 및 메인 파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에 따르면, 자가세척구의 양측 및 배출관의 단부에 연장홈이 형성되어 조절판의 회전 시 조절통공이 각 연장홈이 서로 중첩되어 수압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수 최초 분사 시 저압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잔류수가 저압으로 배출되어 차가운 잔류수가 사용자의 신체에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연장홈에 파형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수에 와류에 의한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여 수압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밸브의 정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판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판의 회전에 따른 수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비데용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밸브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밸브의 정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판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판의 회전에 따른 수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홈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밸브는 차가운 잔수가 분사되지 않고 초기에 배출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데용 밸브(100)는, 비데용 밸브에 있어서, 하우징(110), 조절판(120) 및 밸브베이스(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비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에 모터(111)가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세정수가 내부로 공급되도록 공급관(112)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모터(111)에는 구동샤프트(111a)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111a)에는 탄성체(111b)가 결합된다.
상기 조절판(120)은 상기 모터(111)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샤프트(111a)의 구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절판(120)은 상기 탄성체(111b)에 의해 후술될 밸브베이스(130)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판(120)은 원판 형상을 가지며, 편심되는 위치에 조절통공(1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판(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을 밀폐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상기 조절통공(121)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밸브베이스(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판(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121)으로 배출되는 세정수가 배출되는 자가세척구(131), 세정배출구(132) 및 비데배출구(133)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가세척구(131)는 상기 밸브베이스(130)의 중앙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배출구(132)는 상기 밸브베이스(13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비데배출구(133)는 상기 밸브베이스(130)의 타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자가세척구(131), 세정배출구(132) 및 비데배출구(133)는 상기 조절판(1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조절판(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121)와 일치되거나 인접 시 연결되어 세정수가 배출된다.
또한, 상기 자가세척구(131)는 양측 상부가 각 외측으로 연장된 메인 연장홈(1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배출구(132) 및 비데배출구(133)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세정배출구(132)의 단부 중 상기 조절판(120)과 마주보는 단부에는 상방으로 형성된 제1 확산홈(1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확산홈(132a) 단부에는 제1 저압홈(13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확산홈(132a)은 상방을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제1 확산홈(132a)은 상기 조절판(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12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저압홈(132b)의 단부에는 인접하는 상기 메인 연장홈(131a)에 인접하도록 연장된 제1 연장홈(132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홈(132c)은 상기 메인 연장홈(131a)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연장홈(132c)은 대략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데배출구(133)의 단부 중 상기 조절판(120)과 마주보는 단부에는 상방으로 형성된 제2 확산홈(13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확산홈(133a) 단부에는 제2 저압홈(133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확산홈(133a)은 상방을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제2 확산홈(133a)은 상기 조절판(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12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저압홈(133b)의 단부에는 인접하는 상기 메인 연장홈(131a)에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된 제2 연장홈(133c)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저압홈(133b)은 상기 제2 확산홈(133a) 또는 제2 연장홈(133c)보다 좁고 낮은 깊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연장홈(133c)은 상기 메인 연장홈(131a)과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 연장홈(133c)은 대략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절판(120)은 상기 조절통공(121)이 상기 자가세척구(131)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회전에 따라 양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조절판(120)은 일방향으로 회전 시 회전 각도에 따라 최초에 상기 조절통공(121)로부터 세정수가 상기 자가세척구(131)으로 배출되고, 좀더 회전 시 상기 메인 연장홈(131a) 및 제1 연장홈(132c)과 중첩되어 세정수가 상기 메인 연장홈(131a)과 제1 연장홈(132c)으로 분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홈(132c) 및 제1 저압홈(132b)에 의해 세정수가 최초 배출 시 저압으로 분사되어, 상기 세정배출구(132)에 잔류된 잔수를 저압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통공(121)이 상기 제1 확산홈(132a)의 단부에 위치 시 세정수가 고압으로 배출되어 분사된다.
예컨대, 상기 조절판(120)은 상기 조절통공(121)이 상기 자가세척구(131)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 시 0도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연장홈(131a) 및 제1 연장홈(132c)이 중첩 시 15도, 상기 제1 저압홈(132b)에 위치 시 50도, 상기 제1 확산홈(132a)의 단부에 위치 시 150도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정배출구(132) 및 비데배출구(133)는 서로 대칭되므로, 상기 조절판(120)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의 상기 비데배출구(133)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자가세척구(131), 세정배출구(132) 및 비데배출구(133)의 각 전단부에는 각 노즐에 연결되도록 자가세척튜브(140), 세정튜브(150) 및 비데튜브(160)이 각각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메인 연장홈(131a) 및 제1 연장홈(132c)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메인 파형홈(131b) 및 제1 파형홈(132d)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연장홈(131a) 및 제2 연장홈(133c)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메인 파형홈(131b) 및 제2 파형홈(133d)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메인 파형홈(131b), 제1 파형홈(132d) 및 제2 파형홈(133d) 각각은 세정수 배출 시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여 세정수 최초 분사 시 저압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세정배출구(132) 및 비데배출구(133)의 각 내주면에는 상단에 하방으로 돌출된 제1 저항돌기(132e) 및 제2 저항돌기(133e)이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밸브에 따르면, 자가세척구의 양측 및 배출관의 단부에 연장홈이 형성되어 조절판의 회전 시 조절통공이 각 연장홈이 서로 중첩되어 수압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수 최초 분사 시 저압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잔류수가 저압으로 배출되어 차가운 잔류수가 사용자의 신체에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연장홈에 파형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수에 와류에 의한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여 수압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밸브 110: 하우징
111: 모터 112: 공급관
120: 조절판 121: 조절통공
130: 밸브베이스 131: 자가세척구
131a: 메인 연장홈 131b: 메인 파형홈
132: 세정배출구 132a: 제1 확산홈
132b: 제1 저압홈 132c: 제1 연장홈
132d: 제1 파형홈 132e: 제1 저항돌기
133: 비데배출구 133a: 제2 확산홈
133b: 제2 저압홈 133c: 제2 연장홈
133d: 제2 파형홈 133e: 제2 저항돌기
140: 자가세척튜브 150: 세정튜브
160: 비데튜브

Claims (5)

  1. 비데용 밸브에 있어서,
    후방에 모터가 설치되고, 일측에 내부로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공급관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상기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개방된 조절통공을 통해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조절판;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과 연결 시 자가세척구,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세정수가 배출되며,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통공과 인접하는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에 각각 연결된 세정튜브 및 비데튜브의 내부에 잔류된 잔수를 저압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밸브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베이스는,
    상기 자가세척구가 상기 조절통공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가 상기 조절통공의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정배출구 및 비데배출구의 각 단부 중 상기 조절통공과 인접한 부분에는 제1 저압홈 및 제2 저압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베이스는,
    상기 자가세척구의 단부에 상부 양측으로 메인 연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저압홈 및 제2 저압홈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메인 연장홈까지 인접하도록 연장된 제1 연장홈 및 제2 연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판의 회전 시 상기 메인 연장홈 및 제1 연장홈이 중첩되거나, 상기 메인 연장홈 및 제2 연장홈이 중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저압홈 및 제2 저압홈은 상기 제1 연장홈, 제2 연장홈, 자가세척구, 메인 연장홈 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조절통공이 상기 메인 연장홈과 제1 연장홈 또는 제2 연장홈과 연결 시상기 제1 연장홈 또는 제2 연장홈으로 유입되는 세정수가 상기 메인 연장홈으로 유입된 세정수보다 저압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홈 및 인접하는 상기 메인 연장홈 중 서로 마주보는 각 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제1 파형홈 및 메인 파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홈 및 인접하는 상기 메인 연장홈 중 서로 마주보는 각 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제1 파형홈 및 메인 파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밸브.
  5. 삭제
KR1020200169474A 2020-08-31 2020-12-07 비데용 밸브 KR102505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268 2020-08-31
KR20200110268 2020-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283A KR20220029283A (ko) 2022-03-08
KR102505954B1 true KR102505954B1 (ko) 2023-03-06

Family

ID=8081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474A KR102505954B1 (ko) 2020-08-31 2020-12-07 비데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9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514B1 (ko) * 2006-07-12 2007-12-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데의 유로전환 밸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808Y2 (ja) * 1990-09-27 1997-10-27 東陶機器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のノズル装置
KR100664754B1 (ko) * 2004-11-19 2007-01-03 주식회사 노비타 온수세정기의 작동초기 냉수 배출장치와 방법
KR100984231B1 (ko) 2008-07-22 2010-09-28 동양매직 주식회사 비데용 감압밸브
KR101675745B1 (ko) * 2010-03-31 2016-11-29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장치
KR200481913Y1 (ko) 2015-05-25 2016-11-24 조성현 비데용유로전환밸브
KR101598593B1 (ko) 2015-11-02 2016-02-29 주식회사 현대비데 비데용 밸브장치
KR102011018B1 (ko) 2018-03-27 2019-08-16 (주)포에스텍 비데용 컨트롤밸브
KR102108093B1 (ko) * 2018-10-04 2020-05-15 박성호 비데용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514B1 (ko) * 2006-07-12 2007-12-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비데의 유로전환 밸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283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20051A (ja) ビデの流路システム
WO1984001973A1 (en) Sanitary washing apparatus
KR102108093B1 (ko) 비데용 밸브장치
KR100838999B1 (ko) 비데의 유로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H02121674U (ko)
KR102505954B1 (ko) 비데용 밸브
JPH0881991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0400234Y1 (ko) 비데용 복합밸브 조립체
KR20160010899A (ko) 유로 전환 밸브
JP4199347B2 (ja) 止水機構付シャワーヘッド
JPH1181423A (ja) 温水洗浄装置
KR200351110Y1 (ko) 비데용 삼방 유량조절장치
KR200427880Y1 (ko)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절환밸브체 구조
JP2011042981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7439574B2 (ja) 局部洗浄装置
JPS602293Y2 (ja) 衛生洗浄装置
KR200427584Y1 (ko)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관체 연결구조
JPH0333820Y2 (ko)
CN217150512U (zh) 一种用于马桶的冲水切换装置及马桶
JP7483412B2 (ja) 衛生洗浄装置
JP2629840B2 (ja) 衛生洗浄装置
KR200360905Y1 (ko) 샤워기 헤드
KR200444965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수압조절장치
KR200427878Y1 (ko) 좌변기용 비데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의 회전조절체 구조
KR200211444Y1 (ko) 비데의 분사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