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07B1 -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07B1
KR102505007B1 KR1020210090404A KR20210090404A KR102505007B1 KR 102505007 B1 KR102505007 B1 KR 102505007B1 KR 1020210090404 A KR1020210090404 A KR 1020210090404A KR 20210090404 A KR20210090404 A KR 20210090404A KR 102505007 B1 KR102505007 B1 KR 10250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handle
jig
pi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9690A (ko
Inventor
장석준
김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테크
Priority to KR102021009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0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78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using inden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35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modifying the type of the force applied, e.g. the chuck transforms a compressive machine for applying a bending te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접힘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편의 폴딩 시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기어 힌지부를 통하여 제 1 지지판에 제2 지지판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정역 회전이 가능한 전동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판의 측면에 설치된 지그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전동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지지판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킬 때 제2 지지판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그 핸들의 위치를 조절하는 지그핸들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Folding Test Apparatus For Foldable display}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물이 안착 고정되는 고정지그의 지그핸들을 이용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편을 접고 펼치는 폴딩 시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히거나 만곡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두루마리처럼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장치, 종이처럼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 및 크기를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접으면 휴대가 용이하고, 화면을 펼치면 대면적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한 다양한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에는, TFT LCD나 유기 EL 또는 전기 영동 등이 있으며, 이에 적용되는 소재(이하, 플렉서블소재)의 내구성은 제품의 수명과 직결되므로 제품 설계에 앞서 선택된 소재의 내구성 시험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내구성 시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는 폴딩시험도 포함된다. 폴딩시험은 플렉서블소재를 구부리고 펼치는 동작을 반복하는 시험으로서, 가령 플렉서블소재 시편의 일부는 고정판에 고정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지지판에 고정시킨 상태로 지지판을 기계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하기 [문헌1]에서 별도의 부품 교환 없이 대상물을 원하는 곡률 반경으로 폴딩 시험을 수행하는 폴딩 시험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폴딩 시험 장치는 대상물을 폴딩하기 위한 폴딩 받침부를 선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대상물을 타원, 반원 등 원하는 곡률 반경으로 폴딩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문헌1]에는 대상물이 고정 안착되는 폴딩 받침부(300)를 고정 받침부(200)의 일측에 선회부(310), 그리고 고정 받침부(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폴딩 받침부(300)를 횡방향(X) 및 종방향(Z)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 이동부(320)와 수직 이동부(330)를 구비해야 한다. 폴딩 받침부(300)에 대해 선회 방향(A)과 횡방향(X) 및 종방향(Z)이 제각각 다르며 이를 위한 선회부(310)와 수평 이동부(320) 및 수직 이동부(330)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배치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점유 면적이 증가하고 장치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224598호(2021.03.02. 등록)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이 안착 고정되는 고정지그의 지그핸들을 이용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편을 접고 펼치는 폴딩 시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역 회전이 가능한 전동기; 고정된 제1 지지판, 기어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에 일면이 지지된 시편을 접고 펴는 동작을 수행하는 고정지그; 상기 제2 지지판의 측면에 설치된 지그 핸들;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그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동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지지판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지지판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지그 핸들의 위치를 조절하는 지그핸들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지그 핸들이 관통 결합된 핸들 브라켓, 상기 지그 핸들의 핸들핀이 끼움 결합된 핀홀더, 상기 핀홀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핸들 브라켓의 양단에 결합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홀더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 핸들의 핸들핀이 상기 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핸들핀에 결합된 미끄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부재는 테프론 재질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핀홀더와 상기 핸들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핀홀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제2 지지판을 회전시킬 때 상기 기어 힌지부의 중심축선과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선의 불일치로 인한 상기 제2 지지판의 회전위치오차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선 및 상기 기어 힌지부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수직으로 자른 2차원 평면에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일단이 축결합된 회전바, 상기 회전바와 일체화되어 동시 회전되고 상기 핸들 브라켓이 설치되는 회전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바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선 상에 시편이 접히는 작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판의 외곽에 위치하고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 힌지부는 상기 제1 지지판 측면에 돌출된 고정핀, 상기 제2 지지판 측면에 돌출된 힌지핀, 및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 기어에 상기 힌지핀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 기어가 치합되어 기어박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제2 지지판과 일체화되어 동일 방향으로 동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가 하나의 제1 지지판의 양측에 상기 기어 힌지부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2 지지판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지그핸들 조절부 각각은 해당 제2 지지판의 지그 핸들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동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고정지그의 지그 핸들을 회전시킬 때 지그핸들 조절부를 통해서 한정된 범위에서 지그 핸들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된 제1 지지판에 기어 힌지부를 매개로 제2 지지판을 연결하고, 제2 지지판에 일체화된 지그핸들을 회전시킬 때 기어 힌지부의 중심축선과 전동기의 회전축선의 불일치로 인한 제2 지지판의 회전위치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폴딩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률 반경이 다른 다양한 고정지그를 착탈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지그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2 지지판을 회전시킬 때 회전부재의 회전축선과 기어힌지부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지그핸들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회전 받침대에 설치된 지그핸들 조절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핸들 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는 평탄한 베이스 프레임(109)에 설치된 시험 장비를 이용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편에 대한 폴딩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폴딩 시험은 판 형상의 시편(F)의 일부를 접고 펴는 동작을 수 만회 정도 실시한 후 시편(F)의 기능 재현성능에 따라 내구성 및 수명을 측정할 수 있다.
시험 장비는 후술하는 고정지그(100), 전동기(120)(121), 회전부재(200), 지그핸들 조절부(230), 지그 핸들(250) 등을 포함한다.
고정지그(100)는 판 형상의 제1 지지판(101) 및 제2 지지판(102), 그리고 제1 지지판(101)에 제2 지지판(102)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기어 힌지부(106)를 포함한다. 제2 지지판(102)의 양측면에 연결구(103)가 돌출 형성된다. 연결구(103)는 체결부재(105)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지그 핸들(250)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부재(105)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기어 힌지부(106)는 제1 지지판(101) 측면에 돌출된 고정핀(107), 제2 지지판(102) 측면에 돌출된 힌지핀(108), 및 기어박스(106a)를 포함한다. 고정핀(107)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 기어(107a)과 힌지핀(108)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 기어(108a)는 치합되고 기어박스(106a) 내부에 배치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편(F)에 대한 곡률 반경에 따라 제1 지지판(101) 및 제 2 지지판(102)의 두께와 간격이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여 고정 기어(107a) 및 회전기어(108a)의 반경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기어 힌지부(106)의 중심축선(P2)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판(101) 및 제2 지지판(102)에 일면이 지지되는 시편(F)을 접을 때 적용되는 기어 힌지부(106)의 중심축선(P2)은 적용하는 곡률 반경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제1 지지판(101)이 후술하는 지그 받침대(140)에 고정된다. 제1 지지판(101)이 고정 상태에서 제2 지지판(102)과 일체로 힌지핀(108)이 회전한다. 회전하는 힌지핀(108)의 회전 기어(108a)는 고정 기어(107a)의 외주연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또한 기어박스(106a) 내부에 고정 기어(107a)와 회전 기어(108a)가 수용되고, 이들 기어에 연결된 고정핀(107)과 힌지핀(108)은 기어박스(106a) 밖으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후술하는 회전부재(200)가 제2 지지판(102)를 회전시킬 때, 제2 지지판(102)은 고정 기어(107a)의 중심축선(P2)을 기준으로 일정한 회전궤적을 그리며 회전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제1 지지판(101)은 베이스 프레임(109)에 세워진 지그 받침대(140) 상면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실시예에서 제1 지지판(101)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2 지지판(102)를 연결하여 시편(F) 양측을 각각 접는 폴딩 시험하는 동작을 예시하고 있으나, 시편(F) 일측만을 접을 수 있게 제1 지지판(101)의 일측에 하나의 제2 지지판(102)을 연결하여 고정지그(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전동기(120)(121)는 미도시한 제어기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구동원으로서, 실시예에서는 교류(AC) 서보 전동기로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기의 제어 동작에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전동식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복수 개의 전동기(120)(121)는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제1 지지판(101)에 하나의 제2 지지판(102)를 연결하여 고정지그(100)를 구성한 경우, 하나의 제2 지지판(102)에 대응하여 하나의 전동기를 설치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9)에 한 쌍의 제1 거치기둥(1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일측의 제1 거치기둥(110)에 제1 전동기(120)가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9)에 다른 한 쌍의 제2 거치기둥(1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일측의 제2 거치기둥(111)에 제2 전동기(121)가 설치된다.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거치기둥(110) 및 제2 거치기둥(111)에는 제1 및 제2 보강부재(150)(151)를 덧대어 보강할 수 있으며, 이는 전동기(120)(121)의 동작시 제1 및 제2 거치기둥(110)(111)이 과도하게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부재(200)는 회전바(210)와 회전 받침대(22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200)는 전동기(120)(121)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1 전동기(120)에 연결되는 회전부재(200)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회전바(210)는 제1 전동기(120)에 근접한 하나의 제1 거치기둥(110)의 상단에 관통되는 제1 전동기(120)의 회전축(120a)에 일측이 축결합되어 있다. 회전바(210)의 타측은 제1 전동기(120)와 대향하여 일정 간격 떨어진 다른 하나의 제1 거치기둥(11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바(210)는 제1 전동기(12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정회전 및 역회전한다. 회전바(210)는 제1 전동기(120)의 회전축선(P1) 상에 시편(F)이 접히는 작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2 지지판(102)의 외곽에 위치하고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바(210)의 일측과 타측에 회전 받침대(220)가 대향하여 각각 설치된다.
각각의 회전 받침대(220)는 회전바(210)와 일체화되어 동시 회전하게 된다.
각각의 회전 받침대(120)에는 지그핸들 조절부(230)가 설치된다.
전동기(120)(121)의 회전축선(P1)과 기어 힌지부(106)의 중심축선(P2)이 불일치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고정지그(100)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동기(120)(121)의 회전축선(P1)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회전궤적(T1)과 기어 힌지부(106)의 중심축선(P2)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회전궤적(T2)은 시작점에서 일치하나 회전 범위가 커져 180도 회전시 회전위치오차(dx)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제1 지지판(101)의 양측에 연결된 제2 지지판(102)은 기어 힌지부(106)에 구속되어 제2 회전궤적(T2)을 추종하고, 회전부재(200)는 제1 회전궤적(T1)을 추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동기(120)(12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판(102)를 회전시킬 때 회전부재(200)에 제2 지지판(102)이 직결되어 제1 회전궤적(T1)을 추종하게 되면 기어 힌지부(106)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여 파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시편(F)을 접는 폴딩 시험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200)와 제2 지지판(102) 사이에 회전궤적의 불일치로 인한 회전위치오차를 보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각각의 제2 지지판(102)에 대응하여 지그핸들 조절부(23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지그(100)가 하나의 제1 지지판(101)의 양측에 기어 힌지부(106)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판(102)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2 지지판(102)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지그핸들 조절부(230) 각각은 해당 제2 지지판(102)의 지그 핸들(250)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지그 핸들(250)은 제2 지지판(102)의 측면에 설치된 연결구(103)에 체결되는 것으로, 연결구(103)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지그 핸들(250)은 핸들 몸체(251)와 핸들핀(253)을 포함한다.
핸들 몸체(251)는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핸들 몸체(251)의 일측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구멍(254)이 형성된다. 핸들 몸체(251)의 체결구멍(254)에 연결구(103)의 체결구멍(104)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105)를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핸들 몸체(251)의 타측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핀헤드(25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핀헤드(252)의 반대측 핸들핀(25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지그핸들 조절부(230)는 핸들 브라켓(231), 핀홀더(236), 가이드레일(235)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브라켓(231)은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판에는 회전 받침대(22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234)이 형성되며, 수직으로 세워진 측판에는 핸들핀(253)이 관통 결합되도록 관통 구멍(232)이 형성된다. 또한 핸들 브라켓(231)의 하판과 상판에는 가일드레일(235)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끼움 구멍(2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핀홀더(236)는 대략 사각 블록으로 형성되고, 몸체 중심에 핸들핀(253)이 삽입되도록 장공(237)이 관통 형성된다. 장공(237)은 핸들핀(253)의 직경보다 크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핸들핀(253)이 장공(237)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핸들핀(253)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핸들핀(253) 외면에 결합된 미끄럼부재(239)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부재(239)는 테프론 재질로 코팅할 수 있다.
핀홀더(236)의 장공(237)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레일(235)이 삽입되도록 관통구멍(238)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235)은 핀홀더(236)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핸들 브라켓(231)의 양단에 결합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그 핸들(250)은 제2 지지판(102)에 일체화되어 있어, 제2 지지판(102)과 핸들핀(253)이 동시 회전하게 되며, 제2 지지판(102)이 기어 힌지부(106)의 중심축선(P2)을 따라 제2 회전궤적(T2)을 추종할 수 있도록 장공(237)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핸들핀(253)이 장공(237)에 끼워진 상태에서 핀홀더(236)는 가이드레일(23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핀홀더(236)의 상하부에는 가이드레일(235)에 끼워진 탄성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핀홀더(236)와 핸들 브라켓(231) 사이에 개재되어 핀 홀더(236)를 탄성지지한다.
도 8은 제2 지지판(102)이 제1 지지판(101)과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핀홀더(236)의 장공(237)에 끼워진 핸들핀(253)은 전동기(120)(121)의 회전축선(P1)을 기준으로 하는 제1 회전궤적(T1)과 기어 힌지부(106)의 중심축선(P2)을 기준으로 하는 제2 회전궤적(T2)이 일치하는 시작점에 위치하게 된다.
도 9는 제2 지지판(102)이 회전하여 제1 지지판(101)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1 회전궤적(T1)과 제2 회전궤적(T2)이 차이가 발생된 경우로서 핸들핀(253)은 제2 지지판(102)에 구속되어 동시회전하게 되며 핀홀더(236)의 장공(237)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즉, 전동기(120)(121)의 회전축선(P1) 및 기어 힌지부(106)의 중심축선(P1)을 포함하는 평면을 수직으로 자른 2차원 평면에서 수평 방향(x)과 수직 방향(y)으로 핸들핀(253)에 일체화된 제2 지지판(102)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렇게 지그핸들 조절부(230)는 전동기(120)(121)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회전부재(200)가 제2 지지판(102)을 회전시킬 때 기어 힌지부(106)의 중심축선(P2)과 전동기(120)(121)의 회전축선(P1)의 불일치로 인한 제2 지지판(102)의 회전위치오차를 보상한다.
도 10은 제2 지지판(102)이 회전하여 제1 지지판(101)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제2 지지판(102)이 회전하여 제1 지지판(101)과 대면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2 지지판(102)의 회전 범위가 커질수록 회전위치오차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더라도 지그핸들 조절부(230)를 통해서 회전위치오차를 보상하여 제2 지지판(102)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고정지그의 지그 핸들을 회전시킬 때 지그핸들 조절부를 통해서 한정된 범위에서 지그 핸들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기어 힌지부의 중심축선과 전동기의 회전축선의 불일치로 인한 제2 지지판의 회전위치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폴딩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회전 받침대에 착탈구조의 지그핸들 조절부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곡률반경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고정지그를 교체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고정지그 101 : 제1 지지판 102 : 제2 지지판
103 : 연결구 106 : 기어 힌지부 107 : 고정핀
107a : 고정기어 108 : 힌지핀 108a : 회전기어
109 : 베이스 프레임 110 : 제1 거치기둥 111 : 제2 거치기둥
120 : 제1 전동기 121 : 제2 전동기 140 : 지그 받침대
150 : 제1 보강부재 151 : 제2 보강부재 200 : 회전부재
210 : 회전바 220 : 회전 받침대 230 : 지그핸들 조절부
231 : 핸들 브라켓 235 : 가이드레일 236 : 핀홀더
237 : 장공 239 : 미끄럼부재 240 : 탄성부재
250 : 지그 핸들 251 : 핸들 몸체 253 : 핸들핀
F : 시편
P1 : 회전부재의 회전축선
P2 : 기어힌지부의 중심축선

Claims (11)

  1. 정역 회전이 가능한 전동기;
    고정된 제1 지지판, 기어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에 일면이 지지된 시편을 접고 펴는 동작을 수행하는 고정지그;
    상기 제2 지지판의 측면에 설치된 지그 핸들;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그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동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지지판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지지판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지그 핸들의 위치를 조절하는 지그핸들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제2 지지판을 회전시킬 때 상기 기어 힌지부의 중심축선과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선의 불일치로 인한 상기 제2 지지판의 회전위치오차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지그 핸들이 관통 결합된 핸들 브라켓, 상기 지그 핸들의 핸들핀이 끼움 결합된 핀홀더, 상기 핀홀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핸들 브라켓의 양단에 결합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더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 핸들의 핸들핀이 상기 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핸들핀에 결합된 미끄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부재는 테프론 재질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핀홀더와 상기 핸들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핀홀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핸들 조절부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선 및 상기 기어 힌지부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수직으로 자른 2차원 평면에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일단이 축결합된 회전바, 상기 회전바와 일체화되어 동시 회전되고 상기 핸들 브라켓이 설치되는 회전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선 상에 시편이 접히는 작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판의 외곽에 위치하고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힌지부는 상기 제1 지지판 측면에 돌출된 고정핀, 상기 제2 지지판 측면에 돌출된 힌지핀, 및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 기어에 상기 힌지핀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 기어가 치합되어 기어박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제2 지지판과 일체화되어 동일 방향으로 동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가 하나의 제1 지지판의 양측에 상기 기어 힌지부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2 지지판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지그핸들 조절부 각각은 해당 제2 지지판의 지그 핸들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KR1020210090404A 2021-07-09 2021-07-09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KR10250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404A KR102505007B1 (ko) 2021-07-09 2021-07-09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404A KR102505007B1 (ko) 2021-07-09 2021-07-09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690A KR20230009690A (ko) 2023-01-17
KR102505007B1 true KR102505007B1 (ko) 2023-03-02

Family

ID=8511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404A KR102505007B1 (ko) 2021-07-09 2021-07-09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0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272B1 (ko) 2002-03-27 2005-11-22 주식회사 제우스 엘씨디 글라스 검사 장치
KR101489667B1 (ko) 2013-11-26 2015-02-04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101753615B1 (ko) 2015-10-26 2017-07-06 주식회사 이노테크 양방향 접이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101762141B1 (ko) 2016-06-15 2017-07-28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 장치
KR102088613B1 (ko) * 2018-12-04 2020-03-12 주식회사 코보텍 멀티 폴딩 테스트기
KR102148888B1 (ko) 2019-03-18 2020-10-14 주식회사 이노테크 슬라이더와 리프터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밴딩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689B1 (ko) * 2017-09-04 2019-03-27 김영삼 굽힘 신뢰성 테스트 장치
KR102224598B1 (ko) 2020-07-10 2021-03-08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폴딩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272B1 (ko) 2002-03-27 2005-11-22 주식회사 제우스 엘씨디 글라스 검사 장치
KR101489667B1 (ko) 2013-11-26 2015-02-04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101753615B1 (ko) 2015-10-26 2017-07-06 주식회사 이노테크 양방향 접이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101762141B1 (ko) 2016-06-15 2017-07-28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 장치
KR102088613B1 (ko) * 2018-12-04 2020-03-12 주식회사 코보텍 멀티 폴딩 테스트기
KR102148888B1 (ko) 2019-03-18 2020-10-14 주식회사 이노테크 슬라이더와 리프터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밴딩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690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7783B2 (en) Folding apparatus for flexible material durability testing
KR10152781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접힘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힘검사방법
US9510469B2 (en) Display apparatus
KR101753615B1 (ko) 양방향 접이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101489667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10176214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 장치
CN100445749C (zh) 平板显示器测试单元的板供应装置和其中的子工作台
US201002527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stand thereof
KR101519561B1 (ko)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CN100373578C (zh) 台架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988965B1 (ko) 링크 타입 폴더블 힌지 구조
US10310554B2 (en) Folding display panels for large-format displays
CN108843915A (zh) 一种多媒体教学用电子显示屏旋转调节装置
KR102505007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폴딩 시험장치
CN108801818A (zh) 折弯机构
WO2009118817A1 (ja) 表示装置
KR102088613B1 (ko) 멀티 폴딩 테스트기
CN111982706B (zh) 一种模块化测试主机及其应用、模块化测试系统
JP4791350B2 (ja) テストヘッドの位置決め用リストジョイント
CN219169928U (zh) 可调节承载角度的承载装置
KR20200117780A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50014B1 (ko) 평판 패널 지지유닛 및 이를 갖는 평판 패널 검사 스테이지
KR100622408B1 (ko) 액정표시장치의 조립지그
TW201117914A (en) Rack for measuring instrument
US20230236098A1 (en) 360 degree folding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