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561B1 -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561B1
KR101519561B1 KR1020150029397A KR20150029397A KR101519561B1 KR 101519561 B1 KR101519561 B1 KR 101519561B1 KR 1020150029397 A KR1020150029397 A KR 1020150029397A KR 20150029397 A KR20150029397 A KR 20150029397A KR 101519561 B1 KR101519561 B1 KR 10151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inspected object
base frame
curvatu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5002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 구비되고 가이드슬롯(23)이 형성되는 가이드수단(20)과, 상기 가이드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어 피검사물(P)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30)과, 구동원(40)에 의해 회전되는 제1링크(51)와 상기 제1링크(51)에 연동되고 상기 피검사물(P)의 타단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슬롯(23)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피검사물(P)을 휘거나 펼치는 제2링크(61)를 포함하는 링크어셈블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회전되는 링크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기타 평판부재를 휘거나 펼치면서 벤딩검사를 반복시험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를 통해 반복시험의 속도와 안정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Bending test apparatus using linkage driving method for flat component}
본 발명은 부품의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가 가능한 평판부재를 접어 휘어짐 특성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시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EL(electroluminescence) 등은 FPD(평판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로 저소비 전력, 경량화 및 평면화 특성을 가지므로 텔레비전, 컴퓨터 및 휴대전화기 등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항공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업계에서는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휘어질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일정 정도 이상의 휘어짐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및 구동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진 상태 또는 휘어진 후 다시 펼쳐진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정상적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휘어짐이 가능한 정도, 즉 휨특성(Flexibility)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갖는 중요한 성능 중 하나이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있어 이러한 휨특성 및 휘어진 상태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검사장치를 통해 사용상 발생하는 여러 제약사항을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3982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평판부재를 휘거나 펼치면서 평판부재의 벤딩특성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구동원을 통해 평판부재를 휘거나 펼 수 있는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고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피검사물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연동되고 상기 피검사물의 타단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피검사물을 휘거나 펼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수단 및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제1링크는 상기 구동원에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수단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은 직선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제1링크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링크는 그 일단이 상기 제1링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일정한 경로로 회전된다.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구동원과 연결된 일단이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는 회전축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1링크의 회전에 따라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는 롤러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롯 내면을 따라 회전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곡률조절수단이 상기 피검사물의 벤딩경로 상에 돌출되어, 상기 피검사물가 상기 링크어셈블리에 의해 벤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곡률조절수단은 상기 피검사물의 외면과 접촉된다.
상기 곡률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직선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물 향해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상기 곡률조절수단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검사물와 접촉되는 곡률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곡률바는 상기 연결부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곡률바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링크에는 클램핑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피검사물의 타단을 고정하고,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제2링크와 함께 상기 가이드슬롯에 의해 안내되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클램핑수단은 그 일부가 상기 피검사물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검사물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구동원에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엑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일단은 상기 제1링크부에 형성된 링크슬롯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링크부를 회전시킨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회전되는 링크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기타 평판부재를 휘거나 펼치면서 벤딩검사를 반복시험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를 통해 반복시험의 속도와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링크어셈블리가 링크구조를 통해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등 피검사물를 휘거나 펼쳐 시험하므로, 벤딩검사를 위한 검사장치에 요구되는 구동원이 단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검사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고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검사장치의 고정수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피검사물을 휘거나 펼치는 조건을 달리하면서 시험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검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검사장치에 구비된 곡률조절수단을 이용하여 피검사물이 휘어지는 부분의 곡률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면서 검사할 수 있으므로 시험자가 원하는 다양한 시험이 하나의 검사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다양한 시험은 일정한 경로와 위치에서 이루어져 정확하게 반복구현가능하므로 피검사물의 성능검사 신뢰성 및 다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의 구성을 측면에서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벤딩조절수단의 다른 실시례를 각각 간략하게 보인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벤딩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례를 각각 간략하게 보인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이용하여 피검사물의 벤딩테스트를 실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링크어셈블리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 일부를 간략하게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례의 설명 중에서 피검사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피검사물은 필름이나 기타 휘어질 수 있는 모든 평판부재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외관 및 골격은 베이스프레임(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은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이하 '검사장치'라 함)를 지지하는 기초가 되는 것으로,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는 커버부가 구비되어 상기 검사장치를 차폐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는 생략된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내부에는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이 내장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내부에는 상기 피검사물(P)에 조작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부품이 실장된다. 즉 시험과정에서 상기 피검사물(P)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화면이 출력되고, 이를 통해 작업자는 벤딩검사과정에서 출력된 화면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에는 조작패널(1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패널(10)은 검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장치 내부의 온도,습도,검사상태 등 다양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는 가이드수단(2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수단(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상의 가이드몸체(21)가 그 골격을 형성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링크어셈블리(50)와 함께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수단(20)은 2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그 사이에 피검사물(P)이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수단(20)은 편판형상이 아니라 육면체 등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20)에는 가이드슬롯(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23)은 상기 가이드수단(20)을 관통하거나 가이드수단(20)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링크어셈블리(50)를 구성하는 제2링크(61)의 회전경로를 일정하게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슬롯(23)은 상기 가이드수단(20)을 따라 곡선경로로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슬롯(23)에는 초기위치(23A)와 말기위치(23B)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초기위치(23A)는 피검사물(P)이 휘어지기 전 펼쳐진 상태에서 제2링크(61)의 타단과 후술할 클램핑수단(80)이 위치되는 부분이고, 말기위치(23B)는 피검사물(P)이 휘어진 상태에서 제2링크(61)의 타단과 후술할 클램핑수단(80)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23) 사이에는 고정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피검사물(P)의 일단(P1)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수단(20)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상부몸체(31)와 그 하부에 이격되는 고정플레이트(3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31)로부터 상기 고정플레이트(35)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편(33)이 피검사물(P)을 고정플레이트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피검사물(P)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편(33)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동으로 동작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30)의 타측으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램핑수단(80)이 위치되어 상기 피검사물(P)의 타단(P2)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은 피검사물(P)의 일단(P1)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되나, 클램핑수단(80)은 피검사물(P)을 고정한 상태로 링크어셈블리(50)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은 승강장치(37)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 설치된 승강장치(37)의 승강로드(38)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로드(38)가 승강됨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30)도 함께 그 높이를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30)의 높이가 달라지면 피검사물(P)이 벤딩되었을 때 휘어지는 특성, 즉 곡률이 달라지게 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고정수단(30)의 높이가 낮아지면 피검사물(P)의 벤딩되는 중심의 곡률반경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37)는 전기모터,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등과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고정수단(3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고정수단(30)에는 고정플레이트(135)의 상부에 고정편(133)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고정편(133)이 회전되어 피검사물(P)의 외면을 눌러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37은 고정편(133)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나타낸다.
이밖에, 상기 고정수단(30)은 진공흡착 방식으로 피검사물(P)을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수단(30) 또는 클램핑수단(8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커넥터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피검사물(P)이 상기 고정수단(30) 또는 클램핑수단(80)에 고정되면, 상기 커넥터모듈에 의해 상기 피검사물(P)에 구동신호가 자동으로 인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검사물(P)인 디스플레이에 신호가 인가된 상태로 벤딩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모듈은 상기 피검사물(P)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신호, 보다 정확하게는 패턴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며, 반드시 고정수단(30) 또는 클램핑수단(80)에 고정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 설치된 후에 고정수단(30) 또는 클램핑수단(80) 중 어느 일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는 구동원(40)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원(40)은 링크어셈블리(5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구동원(40)은 베이스프레임(1) 외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외부에서 링크어셈블리(5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원(40)은 전기모터,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도 1 및 도 2에는 전기모터로 구성된 구동원(40)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원(40)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이를 링크어셈블리(50)의 제1링크(51)에 전달하여 피검사물(P)을 휘거나 펼치는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동원(40)에는 구동본체(4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본체(41)에는 다시 기어부(43)가 연결되어 구동본체(41)의 회전력을 변형하여 링크어셈블리(50)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어부(43)가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되어, 구동본체(41)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하지 않고 속도를 줄임과 동시에 회전력을 증대시켜 링크어셈블리(50)에 전달하는 것이다. 즉, 상기 기어부(43)는 일종의 트랜스미션기능을 수행한다. 도면부호 45는 후술할 제1링크(51)의 제1회전축(X1)이 설치되는 설치블록을 나타낸다.
상기 구동원(40)에는 링크어셈블리(50)에 연결된다. 상기 링크어셈블리(50)는 상기 구동원(40)에 의해 회전하면서 피시험물을 휘거나 펼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링크어셈블리(50)는 제1링크(51)와 제2링크(61)로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5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제1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제1회전축(X1)은 상기 구동원(40)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기어부(43)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의 중심이 된다.
상기 제1링크(51)의 일측에는 질량부(54)가 구비되는데, 상기 질량부(54)는 제1링크(51)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부피와 질량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로 되는 피시험물(P)을 휘는 동작에 힘을 더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질량부(54)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게 되고, 이를 통해 제1링크(51) 전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질량부(54)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또는 별개물을 제1링크(51) 일측에 결합하여 질량부(54)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링크(51)의 타측에는 제1연결부(5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53)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링크(61)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제2회전축(X2)을 통해 제2링크(61)와 연결되어 연동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51)에는 제2링크(61)가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61)는 상기 제1링크(51)의 제1연결부(53)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63)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수단(20)의 가이드슬롯(23)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63)는 상기 제1연결부(53)와 제2회전축(X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61)의 이동부(68)는 상기 가이드슬롯(23)을 따라 일정한 경로로 이동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동부(68)에는 롤러부(70)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롯(23) 내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보다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롤러부(70)는 상기 이동부(68)에 제3회전축(X3)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61)는 제1링크(5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1링크(51)는 그 회전축인 제1회전축(X1)이 고정되어 있으나, 제2링크(61)는 제1링크(51)와 연결되는 제2회전축(X2) 및 이동부(68)에 구비된 제3회전축(X3)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도 6 내지 도 8참조)
상기 가이드수단(20) 및 상기 링크어셈블리(5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제1링크(51)는 상기 구동원(40)에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된다. 즉, 상기 하나의 구동원(40)으로 상기 한 쌍의 링크어셈블리(50)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원(40)에는 상기 한 쌍의 링크어셈블리(50)와 연결하기 위한 기어부(43)가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링크(61)에는 클램핑수단(80)이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수단(80)은 상기 고정수단(30)에 의해 고정된 피검사물(P)의 일단(P1)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피검사물(P)의 타단(P2)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클램핑수단(80)은 자력에 의해 상기 피검사물(P)을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클램핑수단(80)은 클램핑몸체(81) 하부에 이격되는 고정플레이트(85)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몸체(81)로부터 상기 고정플레이트(85)를 향해 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클램프(83)가 피검사물(P)을 고정플레이트(85)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피검사물(P)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핑수단(80)은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경우에 클램프(83)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클램핑수단(80)이 상기 고정수단(30)과 동일한 방식으로 피검사물(P)을 고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클램핑수단(80)에도 클램핑몸체(81) 하부에 이격되는 고정플레이트(85)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몸체(81)로부터 상기 고정플레이트(85)를 향해 돌출되는 클램프(83)가 피검사물(P)을 고정플레이트(85)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피검사물(P)이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83)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모터 또는 진공흡착 방식 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클램핑수단(8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수단(20)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제2링크(61)의 이동부(68)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61)와 함께 가이드슬롯(23)의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핑수단(80)에 고정된 피검사물(P)의 타단(P2)이 함께 이동하면서 피검사물(P) 자체가 휘거나 펼쳐질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에는 곡률조절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곡률조절수단(90)은 상기 피검사물(P)이 휘어지는 과정에서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면서 휘어질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피검사물(P)의 벤딩경로 상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피검사물(P)이 상기 링크어셈블리(50)에 의해 벤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곡률조절수단(90)은 상기 피검사물(P)의 외면과 접촉하여 곡률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8에서 볼 수 있다.
상기 곡률조절수단(9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몸체부(91)와, 상기 몸체부(91)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92), 그리고 상기 연결부(92)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검사물(P)과 접촉되는 곡률바(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곡률바(95)는 원기둥형상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피검사물(P) 외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곡률바(95)는 브라켓(93)을 통해 상기 연결부(92)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9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이 직선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92)에 연결된 곡률바(95)가 상기 피검사물(P)를 향해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곡률바(95)를 통한 피검사물(P)의 접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률바(95)는 상기 연결부(92)에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곡률바(95)가 적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크기의 곡률바(95)는 피검사물(P)이 접히는 과정에서 곡률을 변경시킴으로써 다양한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 4(a)에서 보듯이, 상기 곡률바(95)는 상기 연결부(92)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4(b)에서와 같이 곡률바(95)가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피검사물(P)이 휘어지는 정도를 더 크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c)에서 보듯이 연결부(92)에 결합된 브라켓(93)이 회전되어 다수개의 곡률바(95)가 상기 피검사물(P)을 향해 돌출된 정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X4는 상기 연결부(92)에 연결된 브라켓(93)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곡률바(95)가 제1몸체(95A)와 제2몸체(95B) 두 개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제1몸체(95A)와 제2몸체(95B)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곡률조절수단(9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곡률조절수단(90)의 곡률바(95)는 회전되어 그 좌우측의 양단이 상기 피검사물(P)을 향해 돌출된 정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피검사물(P)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접는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도면부호 X5는 곡률바(95)가 구비된 플랜지가 연결부(92)로부터 회전되는 회전축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곡률조절수단(90)의 동작은 상기 곡률조절수단(90)에 구비된 몸체부(91)에 외부로부터 구동력이 가해지거나 또는 몸체부(91) 자체가 별도의 구동원(40)으로 구성되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원(40)의 구동력이 상기 제1링크(51) 뿐 아니라 상기 곡률조절수단(90)에도 전달되어 곡률조절수단(90)의 동작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이용하여 피검사물(P)의 접힘테스트를 실시하는 과정이 동작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작업자는 피검사물(P)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단(P1)을 고정수단(30)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수단(30)에 구비된 고정편(33)이 피검사물(P)을 고정플레이트(35)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피검사물(P)의 일단(P1)이 고정되며, 고정편(33)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피검사물(P)의 타단(P2)은 클램핑수단(80)에 고정된다. 상기 클램핑수단(80)도 상기 고정수단(30)과 마찬가지로, 클램핑몸체(81)로부터 고정플레이트(85)를 향해 돌출되는 클램프(83)가 피검사물(P)을 고정플레이트(85)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피검사물(P)의 타단(P2)이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클램핑수단(80)이 자력에 의해 작동하여 피검사물(P)을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피검사물(P)의 양단은 각각 고정수단(30)과 클램핑수단(8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작패널(10)을 조작하면, 상기 구동원(40)이 링크어셈블리(5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원(40)은 기어부(43)에 회전력을 공급하고, 기어부(43)는 그 회전력의 속도, 방향 및 토크를 변형하여 제1링크(51)에 전달하게 된다.
도 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링크(51)는 상기 기어부(43)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회전중심은 제1회전축(X1)이 된다.
상기 제1링크(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링크(51)에 연결된 제2링크(61)가 이에 연동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2링크(61)는 제1링크(51)에 연결된 제2연결부(63)가 상기 제1링크(51)의 제1연결부(53)를 따라 좌측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링크(61)의 이동부(68)는 상기 가이드슬롯(23)을 따라 좌측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2링크(61)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전되면서 이동부(68)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링크(61)의 이동부(68)에 결합되어 있는 클램핑수단(80)은 상기 제2링크(61)의 이동부(68)를 따라 이동되면서 피검사물(P)의 타단(P2)을 피검사물(P)의 일단(P1) 하방으로 이동시켜 피검사물(P)을 접게 된다. 피검사물(P)이 완전히 벤딩된 모습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링크어셈블리(50)의 동작과정에서 상기 피검사물(P)의 외면은 곡률조절수단(90)의 곡률바(95)에 접하여 곡률이 조절된다. 상기 곡률바(95)는 상기 피검사물(P)이 접히는 벤딩경로에 위치하므로, 피검사물(P)이 접히는 과정에서 곡률바(95)와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검사물(P)은 항상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접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곡률조절수단(90)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곡률바(95)를 피검사물(P) 방향으로 돌출시켜 검사에 이용하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검사에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곡률바(95)가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피검사물(P)의 곡률 또는 벤딩되는 형상을 달리하면서 검사할 수도 있다.
이때, 피검사물(P)의 벤딩시험 과정에서 상기 피검사물(P)에 구동신호를 인가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피검사물(P)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고정수단(30) 및 클램핑수단(80)에 고정되면, 커넥터모듈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구동신호가 자동으로 인가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피검사물(P)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검사과정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인가된 구동신호가 정상적으로 표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링크어셈블리(150)의 다른 구동방식이 예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구동원(미도시)에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엑츄에이터(1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174)는 직선이동되면서 제1링크(15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앞서 도 1 및 도 2의 실시례에서는 구동원의 회전력을 기어부(43)를 통해 전달하는 방식이었으나, 본 실시례에서는 구동원의 직선이동을 링크어셈블리(150)에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도 9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의 구성을 위해, 베이스몸체(170)와, 상기 베이스몸체(170)에 형성된 직선슬롯(171)을 따라 이동되는 엑츄에이터(174)가 구비된다. 상기 엑츄에이터(174)는 연결부(172)를 통해 구동원에 연결되어 직선슬롯(171)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엑츄에이터(174)에 구비된 구동돌기(175)는 제1링크(151)에 형성된 링크슬롯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링크(151)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엑츄에이터(174)가 화살표①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엑츄에이터(174)의 구동돌기(175)에 의해 상기 제1링크(151)가 반시계방향인 화살표②방향을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151)는 고정된 제1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링크(151)에 제2회전축(X2)을 통해 연결된 제2링크(161)는 시계방향인 화살표③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일단에 구비된 이동부(168)가 가이드슬롯(12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베이스프레임 10: 조작패널
20: 가이드수단 30: 고정수단
40: 구동원 50: 링크어셈블리
51: 제1링크 61: 제2링크
70: 롤러부 80: 클램핑수단
90: 곡률조절수단 P: 피검사물

Claims (16)

  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고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피검사물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연동되고 상기 피검사물의 타단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피검사물을 접거나 펼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수단 및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제1링크는 상기 구동원에 각각 연결되어 함께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평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수단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직선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제1링크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링크는 그 일단이 상기 제1링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일정한 경로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구동원과 연결된 일단이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되는 회전축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1링크의 회전에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는 롤러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롯 내면을 따라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곡률조절수단이 상기 피검사물의 벤딩경로 상에 돌출되어, 상기 피검사물이 상기 링크어셈블리에 의해 벤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곡률조절수단은 상기 피검사물의 외면과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직선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물를 향해 선택적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조절수단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검사물와 접촉되는 곡률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바는 상기 연결부에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바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에는 클램핑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피검사물의 타단을 고정하고,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제2링크와 함께 상기 가이드슬롯에 의해 안내되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그 일부가 상기 피검사물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검사물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에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직선이동되는 엑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일단은 상기 제1링크에 형성된 링크슬롯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또는 상기 클램핑수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피검사물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구동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가능한 커넥터모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승강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로드가 승강됨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도 함께 승강되어 그 높이가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KR1020150029397A 2015-03-02 2015-03-02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KR10151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97A KR101519561B1 (ko) 2015-03-02 2015-03-02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97A KR101519561B1 (ko) 2015-03-02 2015-03-02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561B1 true KR101519561B1 (ko) 2015-05-13

Family

ID=5339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397A KR101519561B1 (ko) 2015-03-02 2015-03-02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56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875B1 (ko) 2016-05-20 2016-11-29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검사장치와 이를 이용한 벤딩 및 롤링검사방법
KR101791842B1 (ko) 2016-03-29 2017-11-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섬유센서 각도별 데이터 측정을 위한 지그
KR101843874B1 (ko) * 2017-01-09 2018-03-30 (주)플렉시고 플렉시블소재 내구성 평가용 폴딩장치
KR101915300B1 (ko) 2017-05-08 2019-01-07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자동 밴딩기
KR20190029032A (ko) * 2017-09-11 2019-03-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KR20190083805A (ko) * 2018-01-05 2019-07-15 주식회사 코보텍 수동 변환형 굽힘 신뢰성 검사 장치
KR20190130374A (ko) * 2018-05-14 2019-11-22 주식회사 제이이노텍 스트레스 테스트 장치
US10557781B2 (en) * 2017-08-28 2020-02-11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y Co., Ltd. Bending test device and system for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10026921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코보텍 작동 신뢰성이 개선된 굽힘 내구력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884A (ko) * 2010-10-04 2012-04-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판재의 굽힘시험장치
JP2012098141A (ja) * 2010-11-02 2012-05-24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曲げ性評価方法及び繰返し曲げ試験装置
KR101375077B1 (ko) * 2013-10-30 2014-03-17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KR101449409B1 (ko) * 2013-07-16 2014-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플렉시블 pcb 벤딩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884A (ko) * 2010-10-04 2012-04-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판재의 굽힘시험장치
JP2012098141A (ja) * 2010-11-02 2012-05-24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板の曲げ性評価方法及び繰返し曲げ試験装置
KR101449409B1 (ko) * 2013-07-16 2014-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플렉시블 pcb 벤딩 시험장치
KR101375077B1 (ko) * 2013-10-30 2014-03-17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842B1 (ko) 2016-03-29 2017-11-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섬유센서 각도별 데이터 측정을 위한 지그
KR101680875B1 (ko) 2016-05-20 2016-11-29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검사장치와 이를 이용한 벤딩 및 롤링검사방법
JP2020502548A (ja) * 2017-01-09 2020-01-23 フレックシゴ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Flexigo Inc. フレキシブル素材の耐久性評価用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KR101843874B1 (ko) * 2017-01-09 2018-03-30 (주)플렉시고 플렉시블소재 내구성 평가용 폴딩장치
WO2018128265A1 (ko) * 2017-01-09 2018-07-12 (주)플렉시고 플렉시블소재 내구성 평가용 폴딩장치
CN110178011B (zh) * 2017-01-09 2022-03-22 株式会社富莱思高 可挠式材料耐久性试验用折叠装置
US11047783B2 (en) 2017-01-09 2021-06-29 Flexigo, Inc. Folding apparatus for flexible material durability testing
CN110178011A (zh) * 2017-01-09 2019-08-27 株式会社富莱思高 可挠式材料耐久性试验用折叠装置
KR101915300B1 (ko) 2017-05-08 2019-01-07 주식회사 에스아이 플렉스 자동 밴딩기
US10557781B2 (en) * 2017-08-28 2020-02-11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y Co., Ltd. Bending test device and system for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017564B1 (ko) * 2017-09-11 2019-10-2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KR20190029032A (ko) * 2017-09-11 2019-03-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KR102043453B1 (ko) 2018-01-05 2019-11-12 주식회사 코보텍 수동 변환형 굽힘 신뢰성 검사 장치
KR20190083805A (ko) * 2018-01-05 2019-07-15 주식회사 코보텍 수동 변환형 굽힘 신뢰성 검사 장치
KR20190130374A (ko) * 2018-05-14 2019-11-22 주식회사 제이이노텍 스트레스 테스트 장치
KR102086705B1 (ko) 2018-05-14 2020-03-09 주식회사 제이이노텍 스트레스 테스트 장치
KR20210026921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코보텍 작동 신뢰성이 개선된 굽힘 내구력 검사 장치
KR102266833B1 (ko) * 2019-09-02 2021-06-21 주식회사 코보텍 작동 신뢰성이 개선된 굽힘 내구력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561B1 (ko)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KR10152781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접힘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힘검사방법
CN110178011B (zh) 可挠式材料耐久性试验用折叠装置
KR1013750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KR10196122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CN110770814B (zh) 折叠机构及终端
KR10173294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KR10053879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기판 모듈 검사장치
US10113944B2 (en) Circuit board testing apparatus and circuit board testing method
CN101893213B (zh) 背光模组固定治具
CN105719575B (zh) 用于大幅面显示器的折叠式显示面板
KR1016808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검사장치와 이를 이용한 벤딩 및 롤링검사방법
KR20200117771A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49511A (zh) 一种显示面板弯折测试治具
KR102043453B1 (ko) 수동 변환형 굽힘 신뢰성 검사 장치
KR2019001080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 장치
US20130002280A1 (en) Test probe alignment structures for radio-frequency test systems
KR10214970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에 따른 간격 가변 검사장치
CN114034577A (zh) 柔性屏弯折测试治具及测试设备
US9086339B2 (en) Elongation tester
KR101735470B1 (ko)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 시연장치
KR101570215B1 (ko) 전자 디바이스의 검사장치
CN111678818B (zh) 一种柔性屏模组弯折治具
KR101316826B1 (ko) 소형 전자부품 검사용 프로브장치
CN107328536B (zh) 测试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