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222B1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222B1
KR101961222B1 KR1020170085737A KR20170085737A KR101961222B1 KR 101961222 B1 KR101961222 B1 KR 101961222B1 KR 1020170085737 A KR1020170085737 A KR 1020170085737A KR 20170085737 A KR20170085737 A KR 20170085737A KR 101961222 B1 KR101961222 B1 KR 101961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lexible display
support portion
coupled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302A (ko
Inventor
안기철
추연웅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에이엔에이치
Priority to KR1020170085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2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반복 폴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일측을 회전축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지지부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Characteristic evaluating apparatus for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반복 폴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1878년 독일에서 최초로 브라운관이 발명된 이후로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술은 흑백에서 컬러로, 브라운관에서 LCD, LED, PDP 등으로 눈부시게 발전해 왔으며, 최근 들어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이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러한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통칭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라고 하며,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그 형태에 따라 언브레이커블, 벤더블, 롤러블, 폴더블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제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일예로 덴더블(곡면)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TV가 이미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폴더블 스마트폰이 주요 업체를 통해 박람회 등에서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머지않아 많은 소비자들이 접거나 말 수 있는 형태의 휴대기기를 소지하게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요 업체들은 경쟁적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관련 기술 중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반복되는 벤딩 등에 대해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인데, 이를 위해 주요 개발 업체들은 반복 벤딩에 대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 평가 기술은 반복 벤딩을 수행해주는 기술을 포함하는데, 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970204호는 시편 양측을 클램핑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시편에 반복적으로 벤딩과 같은 기계적 변형을 가하는 시험기를 이용하여 재료적 특성을 검사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클램프가 시편 양측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수 만회에 걸쳐 벤딩 동작을 반복하는 조건에서 실시하는 경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부위와 굽혀지는 부위의 경계에서 국부적으로 응력변화가 발생하여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단될 우려가 있어 많은 반복을 수행해야 하는 특성 평가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왜냐하면 시편의 벤딩시 벤딩되어가는 각도에 따라 벤딩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회전 반경 값이 달라지는데, 시편의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벤딩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회전 반경 값이 고정값을 가지기 때문에 검사 시편의 벤딩되는 부위에 응력의 변화가 일어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시편 내부에 응력변화가 발생되면 순수하게 벤딩 특성만을 측정할 수 없어 결과값의 신뢰성이 문제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89667호는 지지판 상부에 시편을 평평하게 펼쳐 놓고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어느 하나의 지지판을 회동시켜 시편을 굽히는 벤딩 시험을 수행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벤딩 시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그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벤딩 시험 장치는 펼쳐진 시편을 지지판의 판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시험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 기술에 비하여 응력 변화가 줄어들었지만, 지지판의 판면에 펼쳐진 시편을 들어올려서 구부려 접고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일련의 벤딩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특정 부위의 응력 집중이 여전히 남아 있었기 때문에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0970204호
(특허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148966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벤딩 시험시 디스플레이에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일측을 회전축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지지부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구동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양단에 상방으로 수직 형성되는 수직가이드와,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상기 수직가이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직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수직가이드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에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블록을 가지며, 상기 연동구동부는 상기 제1지지블록에 회동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회동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블록을 가지고, 상기 연동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풀리와 상기 제2지지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1풀리 및 제2풀리를 연동시키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회동축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회동축과 일체로 회동되되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캠을 가지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1지지부가 상기 캠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캠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팔로우를 가지며,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가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캠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의 팔로우가 상기 캠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동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과, 상기 제1지지부의 양단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연결블록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캠 슬로프를 가지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1지지부가 상기 캠 슬로프의 상면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캠 슬로프 상면에 안착되는 팔로우를 가지며,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캠 슬로프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의 팔로우가 상기 캠 슬로프의 경사면을 따라 승하강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동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래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축이 회동됨으로써 상기 제2지지부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피니언을 회동시켜 상기 연결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에 의하면, 검사할 디스플레이에 응력이 가해지지 않아 높은 신뢰성의 특성 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에 의하면, 폴딩과 승강이 구조적으로 연동되어 특성 평가가 용이하고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의 사시도.
도 6a 내지 6d는 도 4에 도시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는 베이스부(100), 제1지지부(200), 제2지지부(300), 연동구동부(400)를 포함하며, 전원공급부,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의 바닥을 이루며, 제1지지부(200), 제2지지부(300), 연동구동부(400)가 설치될 수 있는 몸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베이스부(100)는 알루미늄 또는 스틸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생산 라인의 환경에 따라 아노다이징 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경에 따라 설비와의 간섭방지, 설비 최소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에는 중량을 감소시켜 장치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바닥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제1지지부(200), 제2지지부(300)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00)에는 제1지지블록(110), 제2지지블록(120)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블록은 가운데 홀이 형성되어 베어링 등을 통하여 후술할 구동축(410), 회동축(425)이 결합 될 수 있는 지지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지지블록들은 각각 알루미늄 또는 스틸로 가공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아노다이징 될 수 있다.
제1지지블록(110)은 제1지지부(200), 제2지지부(300)의 이격된 공간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이 배치되며, 가운데에는 구동축(41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에는 베어링이 결합되며, 베어링의 가운데에 구동축(410)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제2지지블록(120)은 제1지지부(200)의 양측의 중앙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이 배치되며, 가운데에는 회동축(425)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에는 베어링이 결합되며, 따라서 베어링의 가운데에 회동축(425)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지지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일측 상면에 형성되며, 검사할 디스플레이의 일측이 상면에 고정된다. 제1지지부(200)는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1지지부(200)는 안착부(210), 수직가이드(220), 가이드부싱(230), 팔로우(250)를 포함하며, 가압스프링(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10)에는 검사할 디스플레이의 일측이 안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안착부(21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안착부(210)는 디스플레이가 안정적으로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홈이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량의 감소를 위해 가운데가 혹은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안착부(210)는 알루미늄 또는 스틸로 가공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이드(220)는 베이스부(100)의 일측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안착부(210)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가이드(220)는 봉 형태로 이루어져 가이드와 가이드부싱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LM 가이드와 LM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직동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이드부싱(230)은 안착부(2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싱(230)은 수직가이드(2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홀에 수직가이드(220)가 끼워짐으로써 안착부(210)가 수직가이드(220)를 따라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싱(230)은 일반적으로 직동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이드부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수직가이드(220)의 상측에는 가압스프링(24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스프링(240)은 가이드부싱(23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안착부(210)가 후술할 캠(445)의 외주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접촉되며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팔로우(250)는 안착부(2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안착부(210)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팔로우(250)는 롤러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승하강은 일반적인 캠-팔로우 방식의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후술할 연동구동부(400)의 캠(445)의 외주면에 제1지지부(200)의 팔로우(250)가 안착되고, 이러한 캠(445)이 회전됨으로써 캠(445)의 외주면을 따라 팔로우(250)가 승하강하면서 안착부(21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2지지부(300)는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형성되며, 일측이 제1지지부(200)와 소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300)의 상면에는 검사할 디스플레이의 타측이 고정되며, 이러한 제2지지부(300)가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됨으로서 폴딩 검사를 실시한다.
이를 설명하면, 제2지지부(300)의 일측 양단은 후술할 베이스부(100)의 제1지지블록(110)에 관통 결합되는 연동구동부(400)의 구동축(41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축(410)의 일측 단부에는 구동유닛(420)이 결합되어 구동축(410)을 회전시키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구동축(410)과 결합된 제2지지부(30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지지부(300)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지지부(200)와 유사하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300)는 알루미늄 또는 스틸로 가공 제작될 수 있다.
연동구동부(400)는 폴딩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각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조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연동구동부(400)는 구동축(410), 구동유닛(420), 회동축(425), 제1풀리(430), 제2풀리(435), 타이밍벨트(440), 캠(445)을 포함한다.
구동축(410)은 베이스부(100)의 제1지지블록(110)에 관통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제1지지블록(110)에는 베어링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에 구동축(41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축(410)은 단부가 제2지지부(300)의 일측 양단에서 제2지지부(300)와 각각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구동축(410) 중 하나의 타측 단부에는 구동유닛(420)이 결합되어 이러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420)과 구동축(410)이 커플링(415)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유닛(420)의 회전축(도면번호 없음)을 구동축(410)과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410)에는 제1풀리(430)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이는 구동유닛(42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타이밍벨트(440) 및 제2풀리(435)를 통해 회동축(425)에 전달한다.
구동유닛(420)은 구동축(41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 평가를 위한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하여 서보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보모터는 일반적으로 위치제어가 가능한 형태의 모터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경우에 따라 스태핑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구동유닛(420)은 반복 폴딩을 위하여 정회전, 역회전을 지정된 각도와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며 구동축(410)에 회전력을 가한다.
회동축(425)은 베이스부(100)의 제2지지블록(120)에 관통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제2지지블록(120)에는 베어링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에 회동축(425)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이러한 회동축(425)에는 제2풀리(435)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또한 캠(445)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유닛(420)으로부터 제1풀리(430)를 통해 타이밍벨트(440)가 구동되고, 이러한 타이밍벨트(440)로부터 제2풀리(435)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캠(445)이 회전되며, 이러한 캠(445)의 외주면에 제1지지부(200)의 팔로우(250)가 안착되어 캠(445)의 외주면에 접촉됨으로써 제1지지부(200)가 제2지지부(300)의 회동과 동시에 승하강 되는 것이다.
제1풀리(430)는 구동축(410)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구동유닛(42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타이밍벨트(440)를 통해 전달한다.
제2풀리(435)는 회동축(425)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타이밍벨트(44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캠(445)에 전달한다.
타이밍벨트(440)는 제1풀리(430) 및 제2풀리(435)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캠(445)은 회동축(425)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단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캠(445)의 외주면에 제1지지부(200)의 팔로우(250)가 안착되어 캠(445)의 회전에 따라 승강된다. 이러한 캠-팔로우 방식의 승강 메커니즘으로 제1지지부(200)가 승강된다.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는 제1지지부(200)의 일측에 마련되며, 검사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비접촉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검사부(도시되지 않음)는 검사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마련되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검사부는 디스플레이의 파손여부, 이물검사 등 여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해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시계 방향으로 폴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지지부(200)와 제2지지부(300)가 평행인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420)이 구동되면 이와 결합된 구동축(410), 제2지지부(300), 제1풀리(430), 제2풀리(435), 회동축(425), 캠(445)이 동시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캠(445)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팔로우(250)가 외주면을 따라 하강됨으로써 제1지지부(20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이 동시에 하강된다.
이러한 연동으로, 도 3c 및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420)의 회전각도가 늘어감에 따라 이와 결합된 구동축(410), 제2지지부(300), 제1풀리(430), 제2풀리(435), 회동축(425), 캠(445) 또한 동시에 연동되어 더욱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캠(445)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팔로우(250)가 외주면을 따라 승강됨으로써 제1지지부(20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이 동시에 더욱 하강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대로 폴딩하는 경우 이러한 연동과정이 반대로 일어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을 해제하거나 반대쪽으로 폴딩시킴과 동시에 제1지지부(2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는 베이스부(100), 제1지지부(200), 제2지지부(300), 연동구동부(400)를 포함하며, 전원공급부,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부(100), 제1지지부(200), 제2지지부(300), 전원공급부, 검사부의 기술적 구성은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하고, 연동구동부(400)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에 관하여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연동구동부(400)는 구동축(410), 구동유닛(420), 피니언(450), 래크(455), 연결블록(460), 캠 슬로프(465)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축(410)과 구동유닛(4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과 기술적 특징이 대동소이하므로 피니언(450), 래크(455), 연결블록(460), 캠 슬로프(465)에 관하여만 설명한다.
피니언(450)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410)에 결합되며 구동축(410)과 일체로 회전된다.
래크(455)는 피니언(45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피니언(450)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래크(455)는 연결블록(460)의 일측 상면에 결합되어 연결블록(460)과 일체로 이동된다.
연결블록(460)은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유닛(42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피니언(450)과 래크(455)를 통해 전달받아 제1지지부(200)를 승강시키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록(460)의 하측에는 LM블록(470)이 결합되고,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LM가이드(475)가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 구조가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캠 슬로프(465)는 연결블록(460)의 타측 상면에 결합되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면에는 제1지지부(200)의 팔로우(250)가 안착되며 캠 슬로프(465)가 연결블록(46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지지부(200)가 승강되도록 한다.
이하에서, 도 6a 내지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의 작동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시계 방향으로 폴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지지부(200)와 제2지지부(300)가 평행인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420)이 구동되면 이와 결합된 구동축(410), 제2지지부(300), 피니언(450)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450)과 결합된 연결블록(460)과 캠 슬로프(465)가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캠 슬로프(465) 상면에 안착된 팔로우(250) 상면을 따라 하강됨으로써 제1지지부(20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이 동시에 하강된다.
이러한 연동으로, 도 6c 및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420)의 회전각도가 늘어감에 따라 이와 결합된 구동축(410), 제2지지부(300), 피니언(450) 또한 동시에 연동되어 더욱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피니언(450)과 결합된 연결블록(460)과 캠 슬로프(465)가 더욱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캠 슬로프(465) 상면에 안착된 팔로우(250) 상면을 따라 하강됨으로써 제1지지부(20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이 동시에 더욱 하강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대로 폴딩하는 경우 이러한 연동과정이 반대로 일어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을 해제하거나 반대쪽으로 폴딩시킴과 동시에 제1지지부(2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사용자는 검사할 디스플레이에 응력이 가해지지 않아 높은 신뢰성의 특성 평가가 가능하고, 폴딩과 승강이 구조적으로 연동되어 특성 평가가 용이하고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베이스부 110 : 제1지지블록
120 : 제2지지블록 200 : 제1지지부
210 : 안착부 220 : 수직가이드
230 : 가이드부싱 240 : 가압스프링
250 : 팔로우 300 : 제2지지부
400 : 연동구동부 410 : 구동축
415 : 커플링 420 : 구동유닛
425 ; 회동축 430 : 제1풀리
435 : 제2풀리 440 : 타이밍벨트
445 : 캠 450 : 피니언
455 : 래크 460 : 연결블록
465 : 캠 슬로프 470 : LM블록
475 : LM가이드

Claims (9)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일측을 회전축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지지부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양단에 상방으로 수직 형성되는 수직가이드와,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상기 수직가이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직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수직가이드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에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지지블록을 가지며, 상기 연동구동부는 상기 제1지지블록에 회동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제2지지부의 일측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회동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블록을 가지고, 상기 연동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풀리와 상기 제2지지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1풀리 및 제2풀리를 연동시키는 타이밍벨트와 상기 회동축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회동축과 일체로 회동되되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캠을 가지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1지지부가 상기 캠의 상면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캠의 상면에 안착되는 팔로우를 가지며,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가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캠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의 팔로우가 상기 캠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과, 상기 제1지지부의 양단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연결블록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캠 슬로프를 가지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양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1지지부가 상기 캠 슬로프의 상면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캠 슬로프 상면에 안착되는 팔로우를 가지며,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캠 슬로프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의 팔로우가 상기 캠 슬로프의 경사면을 따라 승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래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축이 회동됨으로써 상기 제2지지부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피니언을 회동시켜 상기 연결블록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KR1020170085737A 2017-07-06 2017-07-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KR10196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737A KR101961222B1 (ko) 2017-07-06 2017-07-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737A KR101961222B1 (ko) 2017-07-06 2017-07-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02A KR20190005302A (ko) 2019-01-16
KR101961222B1 true KR101961222B1 (ko) 2019-03-22

Family

ID=6528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737A KR101961222B1 (ko) 2017-07-06 2017-07-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926A1 (en) * 2020-04-30 2021-11-04 Illinois Tool Works Inc. Apparatus to perform load measurements on hinged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287B1 (ko) 2019-02-18 2020-05-15 삼익에프에이(주) 디스플레이 폴딩장치
KR102145682B1 (ko) 2019-02-18 2020-08-18 삼익에프에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폴딩기계의 스톱퍼장치
KR102148888B1 (ko) * 2019-03-18 2020-10-14 주식회사 이노테크 슬라이더와 리프터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밴딩 시험장치
CN109950167A (zh) * 2019-03-28 2019-06-28 华南理工大学 一种折弯机
KR102255147B1 (ko) * 2019-05-13 2021-05-24 (주)플렉시고 플렉시블 소재의 360도 양방향 폴딩 내구성 평가 장치
WO2020230988A1 (ko) * 2019-05-13 2020-11-19 (주)플렉시고 플렉시블 소재의 360도 양방향 폴딩 내구성 평가 장치
CN110296900A (zh) * 2019-06-29 2019-10-0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样品的弯折测试设备
KR102293609B1 (ko) * 2019-12-30 2021-08-26 (주)에이엔에이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내구성 테스트 장치
CN111122132B (zh) * 2020-01-10 2022-04-1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屏测试装置
KR102360943B1 (ko) 2020-06-08 2022-02-1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롤러블 디스플레이용 롤링 신뢰성 평가장치
KR102224598B1 (ko) * 2020-07-10 2021-03-08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폴딩 시험 장치
KR102400126B1 (ko) * 2020-10-20 2022-05-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연 전자소자용 복합 외력 수명 측정기
CN112414875A (zh) * 2020-11-10 2021-02-26 天津富通光缆技术有限公司滨海新区分公司 一种评价蝶形光缆长轴l向弯曲性能的测试方法及装置
KR102306402B1 (ko) * 2021-01-21 2021-09-30 냉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재의 인 아웃 양방향 폴딩 시험 장치와 그 장치를 온습도 환경에서 시험하는 시스템
KR102306401B1 (ko) * 2021-01-21 2021-09-30 냉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재의 폴딩 시험 장치
KR102359092B1 (ko) * 2021-10-06 2022-02-08 ㈜ 엘에이티 초박형 글라스 폴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431A (ja) * 1999-09-28 2001-04-06 Asahi Kasei Corp 自動床衝撃音発生装置
KR101375077B1 (ko) 2013-10-30 2014-03-17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04B1 (ko) 2008-08-29 2010-07-16 한국기계연구원 Oled 시편 시험장치
KR101489585B1 (ko) * 2013-07-05 2015-02-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유연 기판의 저항변화 측정장치
KR101489667B1 (ko) 2013-11-26 2015-02-04 주식회사 이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장치
KR102307219B1 (ko) * 2014-09-15 2021-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부림 시험 장치
KR101722733B1 (ko) * 2015-07-22 2017-04-05 한국기계연구원 다목적 기계적 변형 시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431A (ja) * 1999-09-28 2001-04-06 Asahi Kasei Corp 自動床衝撃音発生装置
KR101375077B1 (ko) 2013-10-30 2014-03-17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용택 외, 유연 기판에 제작된 PLED 소자의 Bending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밀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정밀공학회, 2014.10. pp378-379
좌성훈, 유연 전자 메모리를 위한 PI 기판에 접착된 실리콘 박막의 유연성 평가, 한국정밀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정밀공학회, 2013.10. pp351-352
편집부, [특허소식]디스플레이의 끝없는 진화,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계저널 제57권제6호, 대한기계학회, 2017.6.pp68-7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926A1 (en) * 2020-04-30 2021-11-04 Illinois Tool Works Inc. Apparatus to perform load measurements on hinged devices
US11761867B2 (en) 2020-04-30 2023-09-19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load measurements on hing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02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22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특성 평가 장치
KR1013750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KR101519561B1 (ko)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KR10176214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 장치
KR10152781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접힘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힘검사방법
KR10173294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US20180297784A1 (en) Item transfer apparatus, item inspection apparatus, item transfer method, and item inspection method
KR102148888B1 (ko) 슬라이더와 리프터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밴딩 시험장치
CN103868847B (zh) 用于剥离率测试的按压撕扯装置及按压撕扯方法
KR101279323B1 (ko) 타이어 시험기
KR101514296B1 (ko) 비틀림 스프링 토크 검사장치
CN105445971A (zh) 液晶显示面板的检查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9001080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 장치
KR102086705B1 (ko) 스트레스 테스트 장치
KR1016808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및 롤링검사장치와 이를 이용한 벤딩 및 롤링검사방법
KR20170071058A (ko) 글래스 패널 회로부 컨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회로부 검사방법
KR102400126B1 (ko) 유연 전자소자용 복합 외력 수명 측정기
CN107219118B (zh) 一种柔性显示材料在特定弯曲条件下的性能测试夹具
CN106461520B (zh) 材料试验机
CN103241635A (zh) 移动扶手的劣化诊断装置
KR20200109402A (ko) 웨이퍼 검사 장치
CN107263491A (zh) 一种具有被动关节的新型换挡器自动测试机器人
KR100648468B1 (ko) 다종 유리 기판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176470B1 (ko) 인장 및 압축 시험기
KR101631693B1 (ko) 롱피치형 롤러체인 어셈블리용 마모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