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032A -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032A
KR20190029032A KR1020170116059A KR20170116059A KR20190029032A KR 20190029032 A KR20190029032 A KR 20190029032A KR 1020170116059 A KR1020170116059 A KR 1020170116059A KR 20170116059 A KR20170116059 A KR 20170116059A KR 20190029032 A KR20190029032 A KR 20190029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lding
frame
axi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564B1 (ko
Inventor
박용태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6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5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필름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폴딩축 및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와 대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필름의 타단을 고정하며,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필름을 절곡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FOLDING TEST DEVICE FOR FLEXIBLE FILM}
본 발명은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방식의 필름 테스트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곡률반경을 구현하여 반복 폴딩 테스트를 통해 폴딩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입력방식이 각광받으면서 다양한 제품에 터치입력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입력방식은 제품에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액정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터치입력방식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로는 플렉서블(Flexible)한 필름을 적용한 디스플레이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플렉서블한 필름의 경우 휘거나 구부러져도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에 평면 형상으로만 제작되던 디스플레이를 곡면으로 제작할 수 있어 제품을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플렉서블 필름을 실제 제품에 적용할 경우 반복되는 변형에서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가 필요할 수 있다.
선행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1786호)에서는 플렉서블한 기판과 표시소자의 벤딩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였다.
선행문헌의 경우, 제1 전극부(120)와 제2 전극부(160)를 이용하여 플렉서블한 기판(10)의 양단을 고정하고, 제1 전극부(120)와 제2 전극부(16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함과 동시에 제1 전극부(120)와 제2 전극부(160)를 회전시켜 플렉서블한 기판(10)을 휘게 만드는 테스트 장치이다.
선행문헌에서와 같이 기판(10)의 양단에 힘을 가하여 기판(10)을 휘게할 경우 기판(10)이 휘는 각도를 정확히 설정할 수 없으며, 기판(10)의 신뢰성 테스트를 정밀하게 진행하게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각종 곡률반경을 구현하여 플렉서블한 필름이 각종 곡률반경에서의 성능 및 반복 폴딩 테스트를 통한 폴딩 부위의 내구성을 정밀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111786호 (공개일: 2013.10.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곡률반경에서의 플레서블 필름의 성능을 정밀하게 테스트할 수 있으며, 반복 폴딩을 통해 폴딩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필름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폴딩축 및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와 대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필름의 타단을 고정하며, 회전하여 상기 필름을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절곡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폴딩축은 상기 필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를 향하는 일면이 돌출되게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축은 상기 필름이 통과하도록 상기 필름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관통되어 중공을 이루며, 상기 회전부를 향하는 일면이 돌출되게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축은 상기 필름을 중심으로 상기 필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필름이 절곡되는 부위와 접촉하는 일면이 돌출되게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정역 방향으로 왕복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필름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회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는 상기 폴딩축과 동일 방향의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 상기 폴딩축과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프레임에 상기 폴딩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바, 상기 폴딩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바의 양단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바와 상기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고정바와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동일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폴딩축에 교차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폴딩축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한 상기 고정바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다양한 곡률반경의 폴딩축을 사용하여 다양한 곡률반경에서의 필름의 성능을 정밀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의 폴딩축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의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의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실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Flexible) 필름을 반복하여 폴딩시켜 필름의 폴딩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하우징(100), 고정부(200), 폴딩축(300) 및 회전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구동모터(미도시)나 제어장치(미도시)와 같은 구동수단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필름(50)의 일단(50a)을 고정할 수 있다.
폴딩축(300)은 고정부(200)와 이격 배치되며,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400)는 폴딩축(300)을 중심으로 고정부(200)와 대향되게 구비되고, 필름(50)의 타단(50b)을 고정하며, 회전하여 필름(50)을 폴딩축(300)을 중심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고정부(200)와 폴딩축(300)은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전부(400)는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되어 하우징(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필름(50)은 일단(50a)이 고정부(200)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단(50b)이 회전부(400)에 의하여 고정되며, 회전부(400)가 회전함에 따라 필름(50)이 폴딩축(300)을 중심으로 타단(50b)이 일단(50a)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400)가 반복하여 회전하여 필름(50)을 폴딩시킴으로써 필름(50)의 폴딩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단순히 필름(50)에 대한 폴딩 데스트만 아니라 다양한 곡률반경의 폴딩축(300)을 이용하여 필름(50)을 반복하여 폴딩시킴으로써 필림(50)의 폴딩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 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폴딩축(300)의 축방향을 X 방향으로 설명하며, 폴딩축(300)에 교차되는 방향은 Y 방향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Y 방향과 X 방향은 필름(50)과 동일 수평면에서 서로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다만, Y 방향과 X 방향은 서로 수직인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폴딩축(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어서, 고정부(200)와 회전부(4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폴딩축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의 폴딩축(300)의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폴딩축(300)은 필름(50)의 일측에 배치되고, 회전부(400)를 향하는 일면(300a)이 돌출되게 곡면을 이룰 수 있다.
폴딩축(300)은 필름(5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부(400)는 필름(50)을 폴딩축(300)에 의하여 절곡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부(400)는 필름(50)이 폴딩축(300)에 의하여 절곡될 수 있도록 폴딩축(30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축(300)이 필름(50)의 상측에 배치될 경우, 회전부(400)는 필름(5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필름(50)이 폴딩축(300)의 일면(300a)을 따라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폴딩축(300)의 일면(300a)은 일정한 곡률반경(R)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부(400)가 필름(50)을 반복하여 상하 이동시킴에 따라 폴딩축(300)의 일면(300a)의 곡률반경(R) 조건에서 필름(50)의 폴딩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이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폴딩축(300)은 필름(50)이 통과하도록 필름(50)의 일단(50a)에서 타단(50b)방향으로 관통되어 중공(350)을 이루며, 회전부(400)를 향하는 일면(300a)이 돌출되게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폴딩축(300)이 필름(50)의 상측이나 하측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경우 필름(50)은 폴딩축(300)이 배치된 방향으로만 절곡되므로 상측이나 하측 중 어느 일측만 폴딩되어 필름(50)의 폴딩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반면, 폴딩축(300)에 중공(350)이 형성되면 필름(50)이 폴딩축(300)에 삽입됨에 따라 폴딩축(300)이 필름(50)의 상측과 하측과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회전부(400)는 폴딩축(300)을 중심으로 정역 방향으로 왕복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40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필름(50)은 폴딩축(300)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회전부(400)가 역방향 회전하면 필름(50)은 폴딩축(300)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부(400)가 정역 방향으로 왕복 회전함에 따라 필름(50)의 상측과 하측이 모두 폴딩축(300)과 접촉하여 절곡될 수 있으므로 필름(50)의 상측과 하측에 대하여 동시에 폴딩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폴딩축(300)은 필름(50)을 중심으로 필름(5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필름(50)이 절곡되는 부위와 접촉하는 일면(310a, 320a)이 돌출되게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즉, 폴딩축(300)이 필름(5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폴딩축(310)과 제2폴딩축(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폴딩축(310)과 제2폴딩축(320)은 서로 결합되어 그 사이의 공간에 필름(50)을 고정할 수 있다.
제1폴딩축(310)과 제2폴딩축(320)을 이용하여 필름(50)을 고정하는 경우는 앞서 폴딩축(300)에 중공(350)이 형성되어 필름(50)의 상측과 하측을 고정하는 경우와 유사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필름(50)의 상측 및 하측과 접촉하는 폴딩부(300)의 일면(300a)의 곡률반경(R)이 동일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폴딩축(310)과 제2폴딩축(320)이 각각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이룰 수 있다.
즉, 제1폴딩축(310)의 일면(310a)과 제2폴딩축(320)의 일면(320a)은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폴딩축(310)과 제2폴딩축(320)의 일면(310a, 320a)의 곡률반경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필름(50)의 폴딩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데스트할 수 있다.
또한, 폴딩축(300)을 이루는 제1폴딩축(310)과 제2폴딩축(320)은 필름(5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름(50)과 동일 평면으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폴딩축(310)과 제2폴딩축(320)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필름(50)과 접촉하는 일면(310a, 320a)이 각각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필름(50)에 하나 이상의 절곡면이 형성될 경우에 대한 폴딩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필름(50)이 U자형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이와 같은 제1폴딩축(310)과 제2폴딩축(320)을 이용하여 폴딩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곡률반경을 지닌 폴딩축(300)을 이용하여 필름(50)의 폴딩 부위에 대한 내구성 테스트를 다양한 조건에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회전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회전부(400)가 회전하여 필름(50)이 폴딩축(300)을 중심으로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필름(50)의 폴딩부위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400)는 제1프레임(410)과 회전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410)은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회전바(420)는 제1프레임(410)에 결합되며, 일면에 필름(50)의 타단(50b)이 삽입되는 삽입홈(42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410)은 폴딩축(300)과 인접하여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폴딩축(300)의 곡률반경에 따라 폴딩축(300)의 축(P2)과 제1프레임(410)이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된 지점(P1)이 동일할 경우 제1프레임(410)은 폴딩축(3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서와 같이, 폴딩축(300)의 곡률반경 크기에 따라 폴딩축(300)의 축(P2)과 제1프레임(410)이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된 지점(P1)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제1프레임(410)의 회전축(P1)과 폴딩축(300)의 중심축(P2)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폴딩축(300)이 필름(5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부(400)는 필름(50)을 상측으로 회전시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1프레임(410)의 회전축(P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필름(50)은 폴딩축(300)의 중심축(P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410)의 회전축(P1)과 폴딩축(300)의 중심축(P2)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필름(50)의 회전각도가 제1프레임(410)의 회전각도가 서로 차이(R1)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R1)로 인하여 회전바(420)에 결합되는 필름(50)의 타단(50b)이 굽혀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바(420)가 제1프레임(4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바(420)는 폴딩축(300)과 동일 방향(X)의 회전축(미도시)에 의하여 제1프레임(410)에 결합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필름(50)을 절곡시키는 과정에 회전바(420)가 필름(50)에 인가되는 인장력 방향으로 회전하여 필름(50)의 타단(50b)이 폴딩축(300)과 접촉하는 필름(50)의 일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축(300)의 중심축과 제1프레임(410)의 회전축이 다름에 따라 필름(50)이 절곡되는 과정에 필름(50)의 타단(50b)이 굽혀지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고정부
이어서, 고정부(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고정부(200)는 제2프레임(210), 고정바(220), 연결부재(230) 및 탄성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210)은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프레임(210)은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되며,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의 공간에 필름(50)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바(220)는 폴딩축(300)과 대향되게 구비되며, 제2프레임(210)에 폴딩축(300)과 교차되는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바(220)는 폴딩축(300) 방향(X)으로 배치되며, 제2프레임(2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필름(50)의 일단(50a)을 고정할 수 있다.
필름(50)이 고정부(200)와 회전부(400)에 의하여 일단(50a) 및 타단(50b)이 각각 고정됨에 따라 폴딩축(300)을 중심으로 절곡되는 과정에 폴딩축(300)에 교차되는 방향(Y)으로의 인장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바(220)는 제2프레임(210)에 대하여 폴딩축(300)에 교차되는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과도한 인장력에 의하여 필름(50)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220)가 폴딩축(300)에 교차되는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유는 반복되는 테스트를 거쳐 필름(50)이 찢어지거나 파손될 경우 고정바(220)가 이동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필름(50)의 파손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고정바(220)는 연결부재(230) 및 탄성부재(240)를 통해 제2프레임(210)에 폴딩축(300)에 교차되는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폴딩축(300)과 교차되는 방향(Y)으로 배치되며, 고정바(220)의 양단을 관통하여 고정바(220)와 제2프레임(210)을 연결할 수 있다. 고정바(220)는 연결부재(2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부재(230)를 통해 제2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240)는 고정바(220)와 제2프레임(210) 사이에 결합되며 연결부재(230)와 동일방향(Y)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40)는 폴딩축(300)에 교차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폴딩축(300)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연결부재(230)와 동일방향(Y)으로 탄성 변형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40)가 연결부재(230)의 둘레에 감기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탄성부재(240)는 연결부재(230)와 인접하게 구비되며 고정바(220)와 제2프레임(2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가 고정바(2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초기 상태에서 길이(L3, L4)가 동일하다고 할 경우, 필름(50)이 절곡되기 전 폴딩축(300)과 대향되는 고정바(220)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부재(240)의 길이(L2)가 고정바(220)의 타측에 배치된 탄성부재(240)의 길이(L1)에 비해 짧을 수 있다.
즉, 필름(50)이 절곡되기 전 초기 상태에서 필름(50)이 회전부(400) 를 향하는 인장력을 받도록 하여 고정바(220)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부재(240)는 탄성 수축되고, 고정바(220)의 타측에 배치된 탄성부재(240)는 인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50)이 절곡되는 과정에 파손되어 끊어지게 되면 필름(50)에 인가되던 인장력이 사라지게 되므로 고정바(220)의 양측에 배치된 탄성부재(240)가 초기 상태로 회복됨에 따라 고정바(220)가 초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200)는 제2프레임(210)에 고정바(22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50)이 파손되어 고정바(220)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부재(500)가 고정바(220)의 이동을 감지하여 필름(50)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재(500)에 의하여 필름(50)의 파손이 감지되면 회전부(400) 즉, 제1프레임(410)의 외전을 멈추어 전체 폴딩테스트 장치를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는 다양한 곡률반경의 폴딩축을 이용하여 필름(50)이 각 곡률반경에서 폴딩되도록 하여 반복 폴딩과정에서 필름(50)의 폴딩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필름 50a: 일단
50b: 타단 100: 하우징
200: 고정부 210: 제2프레임
220: 고정바 230: 연결부재
240: 탄성부재 300: 폴딩축
300a, 310a, 320a: 일면 310: 제1폴딩축
320: 제2폴딩축 350: 중공
400: 회전부 410: 제1프레임
420: 회전바 420a: 삽입홈
500: 센서부재 R: 곡률반경
R1: 회전각도차이 X: 폴딩축 방향
Y: 폴딩축에 교차되는 방향 L1, L2, L3, L4: 거리
A: 파손 P1, P2: 지점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필름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폴딩축; 및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와 대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필름의 타단을 고정하며, 회전하여 상기 필름을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절곡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축은,
    상기 필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를 향하는 일면이 돌출되게 곡면을 이루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축은,
    상기 필름이 통과하도록 상기 필름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관통되어 중공을 이루며, 상기 회전부를 향하는 일면이 돌출되게 곡면을 이루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축은,
    상기 필름을 중심으로 상기 필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필름이 절곡되는 부위와 접촉하는 일면이 돌출되게 곡면을 이루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정역 방향으로 왕복 회전이 가능한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필름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회전바;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상기 폴딩축과 동일 방향의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
    상기 폴딩축과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프레임에 상기 폴딩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바;
    상기 폴딩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바의 양단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바와 상기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고정바와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동일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폴딩축에 교차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폴딩축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한 상기 고정바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KR1020170116059A 2017-09-11 2017-09-11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KR10201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059A KR102017564B1 (ko) 2017-09-11 2017-09-11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059A KR102017564B1 (ko) 2017-09-11 2017-09-11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032A true KR20190029032A (ko) 2019-03-20
KR102017564B1 KR102017564B1 (ko) 2019-10-21

Family

ID=6603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059A KR102017564B1 (ko) 2017-09-11 2017-09-11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5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148A (ko) * 2019-05-13 2020-11-23 (주)플렉시고 플렉시블 소재의 360도 양방향 폴딩 내구성 평가 장치
CN113567275A (zh) * 2021-09-23 2021-10-29 深圳荣耀智能机器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测试设备
CN113811752A (zh) * 2019-05-13 2021-12-17 株式会社富莱思高 可挠式材料360度双向折叠耐久性试验用装置
KR102438186B1 (ko) * 2022-01-21 2022-08-31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폴딩 테스트 장치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폴딩 테스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256A (ko) * 2010-04-13 2011-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렉서블 소자의 벤딩 테스트 설비
KR20120010801A (ko) * 2010-07-27 2012-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KR20130111786A (ko) 2012-04-02 2013-10-11 지 . 텍 (주) 유연 기판과 유연 표시소자의 벤딩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01375077B1 (ko) * 2013-10-30 2014-03-17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KR101519561B1 (ko) * 2015-03-02 2015-05-13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KR20150139135A (ko) * 2014-06-02 2015-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256A (ko) * 2010-04-13 2011-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렉서블 소자의 벤딩 테스트 설비
KR20120010801A (ko) * 2010-07-27 2012-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KR20130111786A (ko) 2012-04-02 2013-10-11 지 . 텍 (주) 유연 기판과 유연 표시소자의 벤딩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01375077B1 (ko) * 2013-10-30 2014-03-17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KR20150139135A (ko) * 2014-06-02 2015-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KR101519561B1 (ko) * 2015-03-02 2015-05-13 주식회사 지엔티시스템즈 링크구동방식을 이용한 평판부재 벤딩검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148A (ko) * 2019-05-13 2020-11-23 (주)플렉시고 플렉시블 소재의 360도 양방향 폴딩 내구성 평가 장치
CN113811752A (zh) * 2019-05-13 2021-12-17 株式会社富莱思高 可挠式材料360度双向折叠耐久性试验用装置
CN113567275A (zh) * 2021-09-23 2021-10-29 深圳荣耀智能机器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测试设备
KR102438186B1 (ko) * 2022-01-21 2022-08-31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폴딩 테스트 장치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폴딩 테스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564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874B1 (ko) 플렉시블소재 내구성 평가용 폴딩장치
KR20190029032A (ko) 플렉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CN112233557B (zh) 柔性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150919B (zh) 柔性显示装置
KR20130073832A (ko) 마이크로 기계식 코리올리 회전율 센서
US9086339B2 (en) Elongation tester
JP2023035476A (ja) 耐折り曲げ性試験装置及び耐折り曲げ性試験方法
JPH10197498A (ja) 検査装置
KR20180085921A (ko) 플렉시블 필름용 폴딩테스트 장치
KR102342860B1 (ko)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JP7310430B2 (ja) 探傷装置
CN114034577A (zh) 柔性屏弯折测试治具及测试设备
JP6049377B2 (ja) 疲労試験装置
US12019054B2 (en) Device for evaluating 360-degree bidirectional folding durability of flexible material
KR101576417B1 (ko) 내시경 장치를 이루는 벤딩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9066700A (ja) ロボットハンド
KR101939982B1 (ko) 1자유도 가진모드를 가지는 멤스 자이로스코프
JP3754180B2 (ja) シート状試料の曲げ特性測定装置
KR20140006390U (ko) 커넥터 검사지그
KR100688684B1 (ko) 테이프형상부재 반송장치
CN219916598U (zh) 可变装置
KR10253876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커버글래스의 임계곡률반경 측정을 위한 음향센서장치를 적용한 접힘시험 시스템 및 방법
CN107966589A (zh) 扫描型探针显微镜
JP2000121465A (ja) ベルト張力測定用装置及び測定方法
KR102402231B1 (ko) 시편시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