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963B1 - 높은 인장 강도의 강철 와이어 - Google Patents

높은 인장 강도의 강철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963B1
KR102504963B1 KR1020177020922A KR20177020922A KR102504963B1 KR 102504963 B1 KR102504963 B1 KR 102504963B1 KR 1020177020922 A KR1020177020922 A KR 1020177020922A KR 20177020922 A KR20177020922 A KR 20177020922A KR 102504963 B1 KR102504963 B1 KR 102504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eight
elongated
wire
martensi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973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메스플롱
길트 탕펠라에르
하벨 빔 판
끌레르크 마르텐 데
Original Assignee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7010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Abstract

본 발명은 둥글지 않은 단면을 가지며 가공 경화된 상태에 있는 세장형 강철 요소를 개시하는데, 여기서 상기 세장형 강철 요소는 강철 조성으로 0.20 중량% 내지 1.00 중량% 범위의 탄소 함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의 규소 함량, 0.40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망가니즈 함량, 0.0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크로뮴 함량, 개별적으로 0.025 중량%로 제한되는 황 및 인 함량, 개별적으로 0.5 중량%로 제한되는 니켈, 바나듐, 알루미늄, 몰리브데넘 또는 코발트의 함량, 및 잔부의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가지며, 상기 강철은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을 포함하는 마텐자이트계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1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다.

Description

높은 인장 강도의 강철 와이어
본 발명은, 높은 인장 강도의 세장형(elongated) 강철 요소, 특히 높은 인장 강도의 강철 와이어, 높은 인장 강도의 세장형 강철 요소의 제조 방법, 및 스프링 와이어 및 로프 와이어로서의 상기 높은 인장 강도의 세장형 강철 요소의 다양한 용도 또는 응용예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5922149는 가요성 관의 시행에 사용된 강철 와이어 및 형상화된 와이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형상화된 와이어는 0.05-0.5% C, 0.4-1.5% Mn, 0-2.5% Cr, 0.1 -0.6% Si, 0-1% Mo, 0.25% 이하의 Ni, 및 0.02% 이하의 S 및 P로 이루어지는 강철을 압연시키거나 인발시켜서 제조되고,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켄칭시켜서 적어도 32의 HRC 경도, 주로 마텐자이트계 및 베이니트계 강철 구조, 및 소량의 페라이트를 성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1 열 처리가 형상화된 와이어에 대하여 수행된다. 상기 켄칭 단계는, 상기 강철 와이어를 강철의 Ac3 점(point)보다 높은 온도에서 오스테나이트화 노(austenitizing furnace)로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형상화된 와이어는 열 처리 후에 900 MPa를 초과하지 않는 파단점(breaking point) Rm을 갖는다.
국제 특허 출원 2011/151532는 가요성 관 부품으로 사용하도록 의도된 저-합금 탄소 강철의 프로파일화된 와이어를 개시한다. 상기 강철 와이어는 하기 조성을 갖는다: 0.75% 내지 0.95% 탄소, 0.30% 내지 0.85%의 망가니즈, 0.4% 미만의 크로뮴, 0.16% 미만의 바나듐, 0.15% 내지 1.40%의 규소. 이 강철 와이어는 세장형 요소 로드(rod)를 이것의 오스테나이트 도메인 내에서 먼저 열간 압연시킨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프로파일화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로드에 먼저 2개의 연속적이며 순차적인 단계, 즉 등온 템퍼링에 의해 열-기계적인 처리를 실시하여 와이어 로드에 균일한 펄라이트 마이크로구조가 얻어지게 한 다음, 50 내지 최대 80%에 포함되는 전반적인 가공 경화율을 사용한 냉간 기계적 변형 작업에 의해 와이어 로드의 최종 형상이 얻어지게 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후, 얻어진 프로파일화된 와이어에 410 내지 710℃의 온도에서 열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와이어에 원하는 최종의 기계적 특성이 얻어지게 한다. 이 특허 출원에서, 등온 템퍼링에 의해 형성될 마이크로구조는, 강철이 인발 및/또는 압연에 의해 가해진 변형을 견디게 하는 펄라이트이다.
페라이트-펄라이트 구조, 및 상당히 높은 기계적 강도 및 경도 값을 갖는 냉간-형상화된 미가공 상태의 탄소 강철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한계치를 넘어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면 상기 강철은 부적절한 연성을 가지게 되므로, 스프링 와이어를 사용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예를 들어, 사전 형상화 및 굽힘 작업, 및 와이어 보강에 필요한 보강 작업이 고려됨이 발견되었다. 국제 특허 출원 WO2013041541은 특수한 강철 조성을 갖는 강철 와이어에 대한 구체적인 열 처리를 개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강철 와이어는 특정한 부피의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및 높은 파단 신율(elongation at fracture)을 갖는 야금학적 구조를 갖는다. 인장 강도를 추가로 향상시키고 허용되거나 바람직한 연성을 동시에 갖도록 강철 와이어에 대하여 많은 노력이 수행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내지는 매우 높은 인장 강도, 및 허용되는 연성을 갖는 세장형 강철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 와이어 또는 로프 제조용 요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높은 인장 강도의 강철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목적은, 높은 내지는 매우 높은 인장 강도, 및 허용되는 연성을 갖는, 세장형 강철 요소, 특히 강철 와이어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향된 마텐자이트계 마이크로구조 덕분에 매우 높은 인장 강도 및 연성을 갖는 세장형 강철 요소, 및 상기 세장형 강철 요소를 연속 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여기서, 상기 "세장형 강철 요소"는, 나머지 두 치수, 즉 폭 및 두께 또는 직경보다 현격하게 더 큰 하나의 두드러진 치수, 즉 길이를 갖는 강철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세장형 강철 요소"는, 몇 미터 내지 몇 킬로미터의 길이, 및 밀리미터 내지 몇십 밀리미터 정도의, 예를 들어, 0.5 mm 내지 50 mm, 1 내지 20 mm, 및 폭이 두께보다 더 큰 경우의 폭 및 두께를 갖는 편평한 형상화된 단면을 갖는 강철 와이어이다. 본원의 내용에서, "세장형 강철 요소"는, 형상화된 와이어 및 프로파일화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강철 와이어, 강철 바(bar), 강철 로드, 강철 스트래핑(strapping), 강철 스트립, 강철 레일, 및 세장형 형상을 갖는 임의의 강철 부재를 주로 칭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둥글지 않은 단면을 가지며 가공 경화된(work-hardened) 상태에 있는 세장형 강철 요소로서, 상기 세장형 강철 요소는 강철 조성으로
0.20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0.50 중량% 내지 0.75 중량%, 또는 약 0.60 중량% 범위의 탄소 함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0.15 중량% 내지 1.8 중량%, 또는 약 0.20 중량%, 또는 약 1.40 중량% 범위의 규소 함량,
0.40 중량%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50 중량% 내지 0.80 중량%, 또는 약 0.6 중량% 범위의 망가니즈 함량,
0.0 중량%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10 중량% 내지 0.90 중량%, 또는 0.50 중량% 내지 0.80 중량% 범위의 크로뮴 함량,
개별적으로 0.025 중량%로 제한, 예를 들어, 0.015 중량%로 제한되는 황 및 인 함량,
개별적으로 0.50 중량%로 제한, 예를 들어, 0.30 중량%로 제한되거나 0.10 중량%로 제한되는 니켈, 바나듐, 알루미늄, 몰리브데넘 또는 코발트의 함량, 및
잔부의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가지며, 강철 내 모든 요소의 중량 분율의 합은 100%이고, 상기 강철은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을 포함하는 마텐자이트계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1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 것인 세장형 강철 요소가 제공된다.
마텐자이트계 강철은 다결정성 재료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다결정성 재료의 그레인이 무작위적으로 배향되면, 상기 다결정성 재료는 배향되지 않거나 텍스쳐화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조건 하에서, 다결정성 재료의 그레인은 바람직하게는 배향될 수 있고, 이 경우에 다결정성 재료는 "배향", "정렬" 또는 "텍스쳐화"된 것으로 불려진다. 2개 유형의 배향 또는 정렬, 즉, "결정학적 배향" 그리고 "마이크로구조적 배향"은 종종 만난다. 결정학적 배향은, 그레인이 예컨대, 특정한 결정학적 평면 또는 결정학적 방향의 바람직한 정렬 또는 배향을 갖게끔 결정학적으로 배향됨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결정학적 배향은 보통은, 샘플의 좌표계 내에서 상이한 공간 방향으로 측정된 회절 피크 세기의 배향 의존성을 분석 (예컨대, X선 회절 (XRD) 분석 또는 전자 후방산란 회절 (EBSD))함으로써 결정된다. 한편, 다결정성 재료의 그레인이 형태학적으로 비등방성의 형상을 가지면, 상기 그레인은 또한, 예컨대 다결정성의 형성 동안 단일축 압축에 의해 "마이크로구조적 배향"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구조적 배향"은, 비등방성 형상의 그레인이 바람직한 방향 또는 평면 내에서 형태학적으로 배향됨을 의미한다. 이것은 주사 전자 현미경 (SEM)과 같은 이미지 분석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그레인의 형태 비등방성이 종종 이들의 결정학에 관련되기 때문에, 결정학적 배향은 종종 마이크로구조적 배향과 관련된다.
마텐자이트는 선반- 또는 판-형상의 결정 그레인으로 나타난다. 단면에서 보면, 렌즈형 (렌즈-형상)의 결정 그레인은 때때로 침상 (바늘-형상)으로 설명된다. 본원에 따르면, 제조된 마텐자이트계 강철 와이어에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1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다. 용어 "배향된"은, 렌즈 형상의 그레인이 결정학적으로 배향되거나 마이크로구조적으로 배향되거나, 결정학적 그리고 마이크로구조적 둘 모두로 배향됨을 의미한다.
결정학적 배향의 부피 백분율은 X선 회절 (XRD) 분석 또는 전자 후방산란 회절 (EBSD)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구조적 배향의 부피 백분율은 이미지 분석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용어 "배향된"은, 렌즈 형상 그레인의 결정학적 축 또는 축이 도 1에서 a1 및 a2로 예시된 것과 동일한 방향에서 정확하게 배향될 뿐 아니라, 오차 허용도 내에서의 배향을 칭함을 의미한다. 그레인의 특정 축의 방향 (또는 특정 결정학적 방향)이 도 1에서 각도 α로 표시된 대로 20°내에서, 바람직하게는 10°내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5°내에서 벗어나면, 이러한 그레인 또한 배향된 것으로 간주된다.
배향은, 예를 들어, 렌즈 형상 그레인의 평면과 수직인 방향 (도 1에서 a1, a2, 예를 들어, [001]로 표시된 방향) 내 하나의 치수적으로 바람직한 배향을 적어도 칭한다. 하나의 치수적인 배향에 대하여, 렌즈 형상 그레인은 렌즈 형상 평면 위에 방향성 있게 (도1에서 a4, a5로 표시된 방향) 무작위적으로 분포된다. 배향은 또한 3개의 치수적으로 바람직한 배향을 칭할 수 있으며, 즉, 그레인은 2개의 직각 방향, 예를 들어, [001] 및 [100]으로 바람직하게 배향된다.
본 발명의 세장형 강철 요소는 가공 경화된 상태에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세장형 강철 요소가 와이어 인발 또는 압연과 같은 기계적 변형에 의해 가공 경화됨을 의미한다. 와이어 인발은, 와이어를 하나의 또는 일련의 인발 다이(들)를 통하여 당김으로써 와이어의 단면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 금속 가공 공정이다. 와이어 압연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금속 롤에 의해 초래된 변형을 통하여 금속 조각을 형상화시키거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공정이다. 가공 경화는 인장 강도 Rm를 증가시키고 와이어의 연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와이어의 연성은 파단 신율 At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예시될 것이지만, 통상적인 강철 와이어와 비교하여, 구체적인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강철 와이어는 높은 수준의 신율과 함께 상당한 수준의 인장 강도에 도달하기 위해 약간의 감소 단계를 단지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장형 강철 요소는 이것의 단면이 둥글지 않은 경우에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강철의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은 배향되고, 상기 배향은 보통은 세장형 강철 요소의 제조와 관련된다.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배향 또는 생성물의 텍스쳐는 결과적으로 생성물의 기하구조 또는 치수와 특정하게 관련되었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방향성의 압축력 때문에, 냉간 압연된 편평한 형상 와이어의 텍스쳐는 둥근 단면을 갖는 인발된 와이어와 비교하여 더 좋다. 또한, 생성물의 기하구조에 대한 냉간 압연된 편평한 형상 와이어의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배향 방향은, 둥글지 않은 단면의 비등방성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2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3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4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다.
본원에 따른 세장형 강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인장 강도 Rm의 적어도 80%인 항복 강도 Rp0.2를 갖는다. Rp0.2는 0.2% 영구 신율에서의 항복 강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항복:인장 비, 즉 Rp0.2/Rm은 80% 내지 96%이다. 그러므로, 탄성 변형 후 강철 와이어는 파단 전 특정 정도로 계속하여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로 열거될 것이 듯이, 연속적인 열 처리는 3%보다 큰 파단 신율 At과 함께 매우 높은 항복:인장 비 (열 처리 전 Rm은 열 처리 후 Rm 이상임)를 초래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세장형 강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 코팅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강철 와이어는 아연, 알루미늄, 니켈, 은,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 중 임의 하나로부터 선택된 내부식성 코팅을 갖는다. 그러한 경우에, 상기 와이어는 심지어 가혹한 부식성 환경에서도 연장된 수명을 갖는다.
연속적인 열 처리 없이도, 세장형 강철 요소는 적어도 1200 MPa의 인장 강도 Rm 및 적어도 3%의 파단 신율 At을 가질 수 있다. 세장형 강철 요소는 냉간-압연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세장형 강철 요소는 편평한 형상의 와이어일 수 있고 따라서 단면이 "대장장이 십자가(blacksmith cross)"를 갖는다. 연속적인 열 처리 없이도, 편평한 형상의 강철 와이어는 300 mm2 미만의 단면적에 대해 적어도 1200 MPa 그리고 100 mm2 미만의 단면적에 대해 적어도 1300 MPa 그리고 5 mm2 미만의 단면적에 대해 적어도 1400 MPa의 인장 강도 Rm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Rm은 연속적인 열 처리를 사용한 경우에 1000 MPa로 하향 조정될 수 있다. 연속적인 열 처리를 사용한 경우에, 인장 강도 Rm은, 열 주기의 시간 및 온도에 따라, 열 처리 전에 얻어진 Rm에서 1000 MPa으로 하향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세장형 강철 요소는 스프링 와이어 또는 로프 제조용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둥글지 않은 단면을 가지며 가공 경화된 상태에 있는 세장형 강철 요소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세장형 강철 요소는 강철 조성으로,
0.20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0.50 중량% 내지 0.75 중량%, 또는 약 0.60 중량% 범위의 탄소 함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0.15 중량% 내지 1.8 중량%, 또는 약 0.20 중량%, 또는 약 1.40 중량% 범위의 규소 함량,
0.40 중량%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50 중량% 내지 0.80 중량%, 또는 약 0.6 중량% 범위의 망가니즈 함량,
0.0 중량%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10 중량% 내지 0.90 중량%, 또는 0.50 중량% 내지 0.80 중량% 범위의 크로뮴 함량,
개별적으로 0.025 중량%로 제한, 예를 들어, 0.015 중량%로 제한되는 황 및 인 함량,
개별적으로 0.50 중량%로 제한, 예를 들어, 0.30 중량%로 제한되거나 0.10 중량%로 제한되는 니켈, 바나듐, 알루미늄, 몰리브데넘 또는 코발트의 함량, 및
잔부의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가지며, 강철 내 모든 요소의 중량 분율의 합은 100%이고, 상기 강철은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을 포함하는 마텐자이트계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1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 것이고,
상기 방법은 순서대로
a) 120초 미만의 기간 동안 Ac3 온도 초과에서 강철 잉곳, 강철 와이어 로드 또는 강철 (인발 또는 압연된) 와이어를 오스테나이트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오스테나이트화된 강철 잉곳, 강철 와이어 로드 또는 강철 와이어를 60초 미만의 기간 동안 100℃ 미만에서 켄칭시키는 단계,
c) 상기 켄칭된 강철 잉곳, 강철 와이어 로드 또는 강철 와이어를 10초 내지 600초 범위의 기간 동안 320℃ 내지 700℃에서 템퍼링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켄칭되고 템퍼링된 강철 잉곳, 강철 와이어 로드 또는 강철 와이어를 세장형 강철 요소로 가공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제공된다.
미국 특허 5922149의 개시 내용에서와 같은 선행 기술에서,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철 와이어 또는 와이어 로드를 먼저 최종 치수로 변형시키거나 가공 경화시킨 후에 켄칭 및 템퍼링시켰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철 잉곳, 강철 와이어 로드 또는 강철 와이어를 마텐자이트 형성이 종료되는 온도 미만으로 먼저 단시간 내에 켄칭시켜서 마텐자이트계 구조를 생성시킨다. 이 마텐자이트계 구조에서는, 보유된 오스테나이트가 예를 들어, 1 부피% 미만으로 거의 없거나 매우 제한된다. 그 후, 켄칭된 강철 와이어 로드 또는 강철 와이어를 템퍼링시킨다. 그 후,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템퍼링된 마텐자이트계 강철을 예를 들어, 최종 치수로 인발시키거나 압연시킴으로써 변형시키거나 가공 경화시킨다. 켄칭되고 템퍼링된 마텐자이트계 세장형 강철 요소에 대한 인발 또는 압연을 통하여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을 배향시킨다. 배향 정도는 주로 적용된 압축력 및 변형율 경화에 따른다.
본 발명은 예상치 않은 기술적 결과 및 이점을 제공한다. 보통의 와이어 가공에서, 켄칭 및 템퍼링은 최종 단계이며, 마텐자이트는 인발 또는 압연에 대하여 불리한 것으로 항상 주장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마텐자이트계 와이어의 인장 강도는 매우 높고, 인장 강도 수준과 높은 연성 수준의 조합은 일반적이지 않다. 템퍼링된 마텐자이트계 강철을 인발 또는 압연시켜서 얻은 놀라운 결과는, 통상의 공석(eutectoid) 강철과 비교하여 (Cr 및 Si로 미세합금화된) 강철을 특별하게 합금화시키는 것에 기인할 수 있다. 냉간 변형시킨 세장형 강철 요소 내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배향은, 켄칭되고 템퍼링된 마텐자이트계 강철에 대한 변형을 통한 압축력 적용의 결과이다. 본원의 조성 및 방법의 시너지 효과는, 바람직한 마텐자이트계 배향을 갖는 마텐자이트계 세장형 강철 요소를 초래한다.
상기 방법은 e) 상기 가공 경화된 세장형 강철 요소를 10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에이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서, 상기 가공 경화는 700℃ 미만의 온도에서 발생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가공 경화는 냉간 압연이다. 냉간 변형은 재료의 가공 경화와 강화의 합산된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추가로 향상시킨다. 이것은 또한 표면 마무리를 개선시키고 더욱 엄격한 오차 허용도를 유지하여, 열간 변형에 의해 얻어질 수 없는 바람직한 품질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또 다른 가능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가공 경화는 400℃ 내지 700℃에서 발생하는 가온 압연(warm rolling)이다. 유사한 감소에 대하여, 가온 압연의 적용은 원하는 통과의 양, 즉 압연 상의 부하를 현격히 감소시키고 공정을 간편화시킨다.
상기 방법은 e) 상기 가공 경화된 세장형 강철 요소를 350℃ 내지 700℃의 온도에서 어닐링하는 대안적인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닐링 단계는 세장형 강철 요소의 잔여 응력을 제거하고, 항복:인장 비를 증가시키고, 연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 및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고려된 경우에 상세한 설명을 참조로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다결정학적 재료 내 그레인 배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선행 기술에 따른 강철 와이어에 대한 열-기계적 공정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철 와이어에 대한 열-기계적 공정을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 공정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곡선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에 따른 인장/항복 강도, 및 신율을 두께 감소의 함수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편평한 형상의 세장형 강철 요소의 단면 위에서의 "대장장이-십자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는 편평한 형상의 강철 와이어의 "대장장이-십자가" 중심 근방의 주사 전자 마이크로구조 (SEM)를 도시한다.
도 7b는 편평한 형상의 강철 와이어 단면의 짧은 에지에서의 주사 전자 마이크로구조를 도시한다.
도 7c는 편평한 형상의 강철 와이어 단면의 긴 에지에서의 주사 전자 마이크로구조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열 처리 후 와이어 로드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9a는 와이어 로드 중심 근방의 주사 전자 마이크로구조를 도시한다.
도 9b는 와이어 로드의 에지에서의 주사 전자 마이크로구조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철 와이어의 인장/항복 강도, 및 신율을 어닐링 온도의 함수로 전개한 것을 도시한다.
도 4는 6.5 mm의 직경 및 하기 강철 조성을 갖는 강철 와이어 또는 와이어 로드에 적용된 적합한 온도 대(versus) 시간 곡선을 예시한다:
- 중량% C = 0.55
- 중량% Mn = 0.65
- 중량% Si = 1.4
- 중량% Cr = 0.6,
나머지는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
이 강철의 마텐자이트 변형 Ms의 출발 온도는 약 280℃이고, 마텐자이트 변형이 종료되는 온도 Mf는 약 100℃이다.
상기 방법의 다양한 단계는 다음과 같다:
- 강철 와이어가 120초 동안 약 950℃의 노에서 머무르는, 제1 오스테나이트화 단계 (10);
- 적어도 20초 동안 100℃ 미만 온도의 오일 중에서 마텐자이트를 변형시키는, 제2 켄칭 단계 (12);
- 60초 미만 동안 약 450℃ 온도에서 강인성을 증가시키는, 제3 템퍼링 단계 (14); 및
- 20초 이상 동안 실온에서의 제4 냉각 단계 (16).
곡선(18)은 다양한 설비 부품 (노, 조 등)에서의 온도 곡선이고, 곡선(19)은 강철 와이어 또는 와이어 로드의 온도이다.
상기 열 처리 후 강철 와이어 또는 와이어 로드는 템퍼링된 마텐자이트계 마이크로구조를 갖는다.
형성된 마텐자이트계 강철 와이어 또는 와이어 로드에는 400℃ 미만에서 편평한 형상으로의 냉간 압연이 계속해서 수행된다. 강철 요소는 여러 개의 압연 스탠드를 통하여 최종 치수로 냉간 압연된다. 강철 와이어가 통과하는 압연 스탠드가 많을수록 두께 감소는 더욱 커진다. 강철 와이어의 장력은 측정되고 조절될 수 있다. 스탠드 사이에서 이동하는 강철 와이어에서의 장력을 최소화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력은 강철을 상당히 좁힐 수 있다. 정밀 속도 조절 시스템이, 장력을 최소화시키도록 압연기가 구동되는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 에지 압연이 2개 두께의 압연 사이에 삽입된다.
파단 신율 At와 함께 상이한 두께 감소 수준에서의 항복 (Rp0.2) 및 인장 (Rm) 강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인장 및 항복 강도 둘 다가 두께 감소와 함께 증가한다. 항복 대 인장 비는 80 내지 96이다. 60%의 두께 감소를 갖는 경우에, 편평한 형상의 강철 와이어의 인장 강도는 파괴 또는 파단 없이 2200 MPa까지 진행될 수 있다. 그러한 편평한 형상의 강철 와이어는 약 2%의 파단 신율을 갖는데, 이는 추가 가공 또는 작업, 예컨대 굽힘에 대하여 허용된다.
이러한 매우 높은 인장 강도는 압연 후 강철 와이어 내 배향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결과이다. 배향을 이미지 분석에 의해 분석하였고,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1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은, 압연으로 인해 생성된 최대 변형율 영역으로 특성규명된 (도 6에 도시된) 소위 "대장장이 십자가" 근방에 잘 배향된다. 몇몇의 예에서, 상기 "대장장이 십자가"는, 눈으로 보이는 전단 밴드가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또한 "적층 십자가"로 불린다. 응력의 관점에서, 압연은 편평한 형상의 와이어의 중심, 긴 에지 및 짧은 에지 사이에서 응력 성분의 불균일한 재분배를 갖는다. 최고의 변형율 또는 최강의 변형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대로 십자가 영역에서 일어난다. 마텐자이트가 훨씬 더 잘 압축되고 상기 짧은 그리고 긴 에지 (도 6의 단면 도에서 각각 (b) 및 (c)로 표시된 위치) 근방의 배향과 비교하여 이 십자가 영역 (예를 들어, 도 6에서 (a)로 표시된 위치) 근방에 결과적으로 배향되도록, 변형율 분배가 렌즈 형상의 형상화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배향을 결정한다. 도 7a, 및 도 7b 및 7c는 각각, 폭 11.9 mm 그리고 두께 3.5 mm로 냉간 압연된 편평한 형상의 와이어의 (도 6에서 (a)로 표시된) 중심 근방의, 그리고 (도 6에서 각각 (b) 및 (c)로 표시된) 짧은 그리고 긴 에지 근방의 단면의 마이크로구조를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된 대로, 렌즈 형상의 형상화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은 바늘형 형상의 마이크로구조를 나타내며 잘 배향되어 있다. 특히 상기 단면 중심 근방에서 렌즈 형상의 마텐자이트계 결정 그레인의 축이, 편평한 형상의 와이어의 긴 에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됨이 확인되었다. 도 7b 및 7c에 도시된 대로 에지에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배향 정도는, 중심 근방에 있는 도 7a에 도시된 것만큼 높지는 않다.
비교로, 둥근 단면을 갖는 와이어 로드 (도 8)의 (도 8에서 위치 (b)로 표시된) 에지에서 그리고 (도 8에서 위치 (a)로 표시된) 중심 근방에서 마이크로구조가 또한 관찰되며,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로드에는 본 발명의 편평한 형상의 와이어와 동일한 열 처리가 수행되었고, 상기 열 처리 동안 또는 후에 이 와이어 로드에는 냉간 변형이 가해지지 않는다. 냉간 변형이 없는 경우에, 와이어 로드는 균일한 마이크로구조를 보인다.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은 와이어 로드의 중심 (도 9a) 근방 또는 에지 (도 9b)에 무작위적으로 배향된다.
추가적인 그리고 임의적인 단계로, 어닐링 처리가 응력을 제거하도록 압연 후에 사용될 수 있다. 초기 냉간 압연된 편평한 형상의 와이어는 약 2020 MPa의 인장 강도, 약 1750 MPa의 항복 강도 및 약 4.2%의 파단 신율을 갖는다. 가공 경화된 강철 와이어는 15 m/min의 속도에서 350℃ 내지 750℃ 온도의 어닐링 노 또는 오븐을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어닐링 온도 (AT)의 함수로서의 강철 와이어의 인장 강도 (Rm-R), 항복 강도 (Rp0.2-R) 및 파단 신율 (At-R)의 전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를 저온, 즉 약 400℃ 또는 450℃에서 어닐링한 경우에는, 신율이 향상되지 않았고 심지어 약간 감소되었다. 그러나, 500℃ 초과의 온도에서 어닐링한 경우에는, 가공 경화된 강철 와이어의 파단 신율 (At-RTA)은 도 10에 도시된 대로 어닐링 온도와 함께 증가한다. 강철 와이어를 700℃에서 어닐링한 경우에는, 강철 와이어의 파단 신율 (At-RTA)은 약 9.5%까지 진행할 수 있다. 인장 강도 (Rm-RTA) 및 항복 강도 (Rp0.2-RTA) 둘 모두는 강철 와이어의 어닐링 온도와 함께 감소한다.
예로서, 가공 경화된 강철 와이어는, 이것의 인장 강도 Rm이 약 2020 MPa에서부터 1000 MPa 내지 1500 MPa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1200 MPa 내지 1500 MPa를 포함하는 값까지 감소되도록 어닐링된다. 또 다른 예로, 가공 경화된 강철 와이어는, 이것의 인장 강도 Rm이 약 2020 MPa에서부터 1500 MPa 내지 1900 MPa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1600 MPa 내지 1800 MPa을 포함하는 값까지 감소되도록 어닐링된다. 한편 어닐링 처리는 상기 와이어의 강도 및 신율에 현격하게 영향을 미치며,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내피로성, 내부식성, 및 수소 취성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안적으로 가온 압연이 강철 와이어의 두께를 감소시키거나 편평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켄칭되고 템퍼링된 둥글거나 편평한 와이어는 가온 압연 전 노 또는 오븐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중간 주파수의 유도 가열 노 중에서 400℃ 내지 700℃의 온도까지 먼저 가온된다. 여기서, 중간 주파수는 10 내지 200 kHz 범위의 주파수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압연 단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열 손실을 보충하도록 강철의 온도를 조정하는 트리밍 유닛이 가온 압연 동안 사용된다.

Claims (15)

  1. 둥글지 않은 단면을 가지며 가공 경화된 상태에 있는 세장형 강철 요소이며,
    상기 세장형 강철 요소는 강철 조성으로
    0.20 중량% 내지 1.00 중량% 범위의 탄소 함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의 규소 함량,
    0.40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망가니즈 함량,
    0.0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크로뮴 함량,
    개별적으로 0.025 중량%로 제한되는 황 및 인 함량,
    개별적으로 0.5 중량%로 제한되는 니켈, 바나듐, 알루미늄, 몰리브데넘 또는 코발트의 함량, 및
    잔부의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
    을 가지며,
    상기 강철은 마텐자이트계 그레인 및 1 부피% 미만으로 보유된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마텐자이트계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1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 것인
    세장형 강철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2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 것인 세장형 강철 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4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 것인 세장형 강철 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 강도 Rm의 적어도 80%인 항복 강도 Rp0.2를 갖는 세장형 강철 요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200 MPa의 인장 강도 Rm 및 적어도 3%의 파단 신율 At을 갖는 세장형 강철 요소.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00 mm2 미만의 단면적에 대해 적어도 1200 MPa, 100 mm2 미만의 단면적에 대해 적어도 1300 MPa, 그리고 5 mm2 미만의 단면적에 대해 적어도 1400 MPa의 인장 강도 Rm를 갖는 세장형 강철 요소.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간 압연된 상태에 있는 세장형 강철 요소.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온 압연된 상태에 있는 세장형 강철 요소.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한 형상의 와이어인 세장형 강철 요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형상의 와이어가 그의 단면 상에서 볼 수 있는 "대장장이 십자가(blacksmith cross)"를 갖는 것인 세장형 강철 요소.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장형 강철 요소가 스프링 와이어 또는 로프 제조용 요소로서 사용되는, 세장형 강철 요소.
  12. 둥글지 않은 단면을 가지며 가공 경화된 상태에 있는 세장형 강철 요소의 제조 방법이며,
    여기서 상기 세장형 강철 요소는 강철 조성으로,
    0.20 중량% 내지 1.00 중량% 범위의 탄소 함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의 규소 함량,
    0.40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망가니즈 함량,
    0.0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크로뮴 함량,
    0.025 중량%로 개별적으로 제한되는 황 및 인 함량,
    개별적으로 0.5 중량%로 제한되는 니켈, 바나듐, 알루미늄, 몰리브데넘 또는 코발트의 함량, 및
    잔부의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
    을 가지며,
    상기 강철은 마텐자이트계 그레인 및 1 부피% 미만으로 보유된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마텐자이트계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마텐자이트계 그레인의 적어도 10 부피%의 분획이 배향된 것이고,
    상기 방법은 순서대로
    a) Ac3 온도 초과에서 120초 미만의 기간 동안 강철 잉곳(ingot), 강철 와이어 로드(wire rod) 또는 강철 (인발 또는 압연된) 와이어를 오스테나이트화시키는(austenitizing) 단계,
    b) 상기 오스테나이트화된 강철 잉곳, 강철 와이어 로드 또는 강철 와이어를 100℃ 미만에서 60초 미만의 기간 동안 켄칭시키는 단계,
    c) 상기 켄칭된 강철 잉곳, 강철 와이어 로드 또는 강철 와이어를 320℃ 내지 700℃에서 10초 내지 600초 범위의 기간 동안 템퍼링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켄칭되고 템퍼링된 강철 잉곳, 강철 와이어 로드 또는 강철 와이어를 세장형 강철 요소로 가공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e) 상기 가공 경화된 세장형 강철 요소를 350℃ 내지 700℃의 온도에서 어닐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경화가 냉간 압연인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경화가 400℃ 내지 700℃에서 발생하는 가온 압연인 방법.
KR1020177020922A 2015-01-30 2016-01-28 높은 인장 강도의 강철 와이어 KR102504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3145.6 2015-01-30
EP15153145 2015-01-30
PCT/EP2016/051765 WO2016120366A1 (en) 2015-01-30 2016-01-28 High tensile steel w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973A KR20170106973A (ko) 2017-09-22
KR102504963B1 true KR102504963B1 (ko) 2023-03-02

Family

ID=5243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922A KR102504963B1 (ko) 2015-01-30 2016-01-28 높은 인장 강도의 강철 와이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570479B2 (ko)
EP (1) EP3250719B1 (ko)
KR (1) KR102504963B1 (ko)
CN (1) CN107208233B (ko)
BR (1) BR112017011375A2 (ko)
DK (1) DK3250719T3 (ko)
ES (1) ES2748941T3 (ko)
HU (1) HUE045545T2 (ko)
MY (1) MY182701A (ko)
PL (1) PL3250719T3 (ko)
RU (1) RU2695847C2 (ko)
WO (1) WO2016120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8276B (zh) * 2015-10-09 2021-05-25 江阴贝卡尔特钢丝制品有限公司 具有用于耐腐蚀的金属涂层的细长钢丝
KR102101635B1 (ko) * 2016-03-07 2020-04-17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내수소 유기 균열성이 우수한 고강도 평강선
CN110945149B (zh) * 2017-07-21 2022-01-11 江阴贝卡尔特钢丝制品有限公司 用于柔性针布的钢丝
FR3096908B1 (fr) * 2019-06-07 2021-06-18 Safran Aircraft Engines Procédé de realisation d’une pièce renforcée mecaniquement
KR102326263B1 (ko) * 2019-12-20 2021-11-15 주식회사 포스코 초고강도 스프링용 선재, 강선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1541A1 (en) * 2011-09-20 2013-03-28 Nv Bekaert Sa Quenched and partitioned high-carbon steel wi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1371B1 (fr) 1995-03-10 1997-04-30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fabrication de fils en acier - fils de forme et application a une conduite flexible
JPH09170030A (ja) * 1995-12-19 1997-06-30 Sumitomo Electric Ind Ltd ばね用鋼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288322A1 (en) * 2001-08-29 2003-03-05 Sidmar N.V. An ultra high strength steel composition,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an ultra high strength steel product and the product obtained
RU2203341C1 (ru) * 2001-12-05 2003-04-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инансовая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ая Компания" Сталь
ES2656070T3 (es) * 2007-02-23 2018-02-23 Tata Steel Ijmuiden Bv Procedimiento de conformación termomecánica de un producto final con muy alta resistencia y un producto producido por el mismo
RU2370565C2 (ru) * 2007-08-29 2009-10-20 ООО "Вагон Комплект" СТАЛЬ ДЛЯ ВИНТОВЫХ ПРУЖИН С ДИАМЕТРОМ ПРУТКОВ 27-33 мм И ПРУЖИНА, ИЗГОТОВЛЕННАЯ ИЗ НЕЕ
DE102010003997A1 (de) * 2010-01-04 2011-07-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33102 Verwendung einer Stahllegierung
FR2960556B3 (fr) 2010-05-31 2012-05-11 Arcelormittal Wire France Fil de forme en acier a hautes caracteristiques mecaniques resistant a la fragilisation par l'hydrogene
SI3055436T1 (sl) 2013-10-11 2017-11-30 N.V. Bekaert S.A. Jeklena žica z visoko natezno trdnostjo
MX2016007570A (es) * 2013-12-11 2016-10-04 Arcelormittal Acero martensitico con resistencia a fractura retardada y metodo de fabricac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1541A1 (en) * 2011-09-20 2013-03-28 Nv Bekaert Sa Quenched and partitioned high-carbon steel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973A (ko) 2017-09-22
RU2017130545A (ru) 2019-02-28
MY182701A (en) 2021-02-02
CN107208233B (zh) 2020-03-17
CN107208233A (zh) 2017-09-26
PL3250719T3 (pl) 2020-03-31
EP3250719B1 (en) 2019-09-04
US20170362679A1 (en) 2017-12-21
EP3250719A1 (en) 2017-12-06
RU2695847C2 (ru) 2019-07-29
RU2017130545A3 (ko) 2019-07-17
WO2016120366A1 (en) 2016-08-04
HUE045545T2 (hu) 2019-12-30
BR112017011375A2 (pt) 2018-04-03
DK3250719T3 (da) 2019-11-25
ES2748941T3 (es) 2020-03-18
US10570479B2 (en)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5656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674620B2 (ja) ボルト用鋼線及びボル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EP3055436B1 (en) High tensile strength steel wire
KR101961579B1 (ko) 비조질 기계 부품용 선재, 비조질 기계 부품용 강선 및 비조질 기계 부품
KR102504963B1 (ko) 높은 인장 강도의 강철 와이어
US8926768B2 (en) High-strength and high-ductility steel for spring,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spring
EP3653736A1 (en) Hot-rolled steel strip and manufacturing method
US11401569B2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492393B2 (ja) 熱間圧延棒鋼線材とその製造方法
KR20110127241A (ko) 특히 스프링 요소용의 조직 압연 스트립 강으로서의 마이크로 합금 탄소강
EP2883974B1 (en) Wire rod having good strength and duct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955242B1 (en) Steel sheet for nitrid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5080215B2 (ja) 等方性と伸び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KR20070067905A (ko)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제조방법
US20100239452A1 (en) Strip of hot rolled micro-alloyed steel for obtaining finished pieces by cold pressing and shearing
JP5896673B2 (ja) せん断加工部品用熱延鋼板およびせん断加工部品用鋼板の製造法
KR20240032929A (ko)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4207168A (zh) 用于高强度弹簧的线材和钢丝及其制造方法
CA304517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quenched mo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press steel material, and hot press steel material
KR20090100708A (ko) 초미세립을 갖는 고강도 고연성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