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611B1 -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611B1
KR102504611B1 KR1020210010401A KR20210010401A KR102504611B1 KR 102504611 B1 KR102504611 B1 KR 102504611B1 KR 1020210010401 A KR1020210010401 A KR 1020210010401A KR 20210010401 A KR20210010401 A KR 20210010401A KR 102504611 B1 KR102504611 B1 KR 10250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handed
coupling
power supp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604A (ko
Inventor
김다훈
Original Assignee
김다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훈 filed Critical 김다훈
Priority to KR1020210010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61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멤브레인 또는 기계식 키보드를 포함하는 제1키보드; 및 제1키보드에 결합된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를 포함하는 제2키보드를 포함하는,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Keyboard for both one hand and two hands}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손 또는 반쪽 키보드는 게임(또는 그래픽 작업)을 위해 필요없는 키를 없애고 오직 필요한 키만 남겨 놓은 전용 키보드를 의미한다. 필요한 키만을 남겨 놓다 보니 일반 양손 키보드의 반을 잘라낸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기본적으로 FPS(First-Person Shooter) 게임이나 MOBA(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 장르의 게임을 즐기기에 무리가 없으며, 엔터키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게이밍을 목적으로 한 한손 키보드일 경우 홈페이지에서 전용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하면, 키맵핑, 딜레이, 매크로 설정 등이 가능하고, 키맵핑과 매크로를 통해 특정 키 입력 시 설정한 대로 텍스트가 입력되거나 동시 입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게이밍 한손 키보드일 경우 핵심인 "축"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일례로 청축, 적축, 흑축 등의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고, 더불어, 대체로 다양한 색상의 RGB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점등 순서나 색상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손 키보드는 기존의 양손과 같이 전체 키를 사용할 수 없어 게임이나 홈페이지에 로그인 시 별도의 양손 키보드를 이용하여 한다는 점, 그리고 일반 오피스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8308호(2002.10.18.)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5855호(2010.10.29.)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04259호(2021.01.13.) 등록특허공보 제10-2121989호(2020.06.1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좌측을 키감이나 터치감이 좋은 멤브레인 또는 기계식 키보드로 구성하고, 우측을 회전 또는 접을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펜타그래프 방식 키보드로 구성하여, 한손 전용 키보드로 사용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양손 겸용 키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는 전체가 멤브레인 또는 기계식 키보드인 제1키보드; 및 제1키보드에 결합된 전체가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인 제2키보드를 포함하고, 제2키보드는 제1키보드의 하부로 접혀 제1키보드의 하부에 은닉되거나 또는 제1키보드의 측부로 펴져 좌측에 제1키보드가 위치되고 우측에 제2키보드가 위치되며, 제1키보드에 결합홈이 제공되고 제2키보드에 결합 돌기가 제공되어 결합홈 및 결합 돌기가 상호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제1키보드에 결합 돌기가 제공되고 제2키보드에 결합홈이 제공되어 결합 돌기 및 결합홈이 상호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2키보드의 상대적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 센서; 제1키보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전원 공급부; 제2키보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전원 공급부; 및 위치 센서에 의해 제1키보드의 하부에 제2키보드가 은닉된것으로 센싱되면 제1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제1키보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위치 센서에 의해 제1키보드의 우측에 제2키보드가 위치된 것으로 센싱되면 제2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제2키보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제1키보드의 바닥면과 제2키보드의 바닥면은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제1키보드의 상면과 제2키보드의 상면은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를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좌측을 키감이나 터치감이 좋은 멤브레인 또는 기계식 키보드로 구성하고, 우측을 회전 또는 접을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펜타그래프 방식 키보드로 구성하여, 한손 전용 키보드로 사용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양손 겸용 키보드로 사용할 수 있는,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의 전원 공급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예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100)는 멤브레인 또는 기계식 키보드를 갖는 제1키보드(110)와, 제1키보드(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를 갖는 제2키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키보드(110)로서 멤브레인 키보드는 하부에 기판을 두고 키를 눌렀을 때 기판과 접촉하여 인식하는 방식의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키보드는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어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부담 없는 가격과 작은 소리, 무난한 사용성을 장점으로 갖는다.
일부 예들에서, 제1키보드(110)로서 기계식 키보드는 통상 딸깍거리며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키보드는 키 하나 하나가 별도의 축을 가지고 있어 이 축이 물리적인 방식으로 키 입력을 인식하고, 다시 키를 튕겨 내기 때문에 독특한 키감과 소리를 갖고 있다. 기계식 키보드는 대체로 청축, 적축 등을 갖는데, 이것은 키보드 내 사용되는 축에 따라 느낌이 모두 다르다. 통상적으로, 청축, 적축, 갈축, 흑축으로 나누어 지며, 나열된 순서대로 소리 크기와 키 반발력이 적어진다. 흑축으로 갈수록 딸깍거리는 소리보다 서걱거리는 작은 소리가 나고, 청축같은 경우 경쾌한 소리와 튕기는 맛이 좋아, 주로 게임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키보드(120)로서 제1키보드(110)에 결합된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는 멤브레인과 비슷하지만, 키를 누르는 축이 대략 X자로 생겼다는 점이 다르다.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는 X자로 축을 만들어서 키보드의 높이를 많이 낮출 수 있어 최근 대부분의 노트북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키가 낮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부드럽게 키를 누를 수 있고, 저렴한 가격이 장점이다.
일부 예들에서, 제1키보드(110)와 제2키보드(120)의 사이에는 회전축(13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회전축(130)은 제1키보드(110)와 제2키보드(12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제1,2키보드(110,120)는 상호간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제1키보드(110)의 하면으로 제2키보드(120)가 회전하여 위치 또는 은닉됨으로써, 한손 또는 반쪽 키보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제2키보드(120)가 제1키보드(110)의 일측으로 회전하여 좌측에 제1키보드(110)가 위치되고 우측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됨으로써, 양손 키보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200)에서, 제1키보드(110)는 하부에 형성된 수납부 또는 수납 공간(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키보드(120)는 제1키보드(110)의 수납부(111)에 수용되어 제1키보드(110)의 하부에 위치(또는 은닉)됨으로써, 제1키보드(110)가 한손 또는 반쪽 키보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키보드(120)가 제1키보드(110)의 수납부(11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인출되어 좌측에 제1키보드(110)가 위치되고 우측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됨으로써, 제1,2키보드(110,120)가 함께 양손 키보드로 이용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2는 제2키보드(120)를 수평하게 유지하는 회전 돌기이고, 123은 회전 돌기(122)를 수용하는 수용 요홈이다. 회전 돌기(122)는 제2키보드(120)가 제1키보드(110)의 수납부(111)에 있을 경우에는 회전되어 수용 요홈(123)에 안착되고, 제2키보드(120)가 제1키보드(110)의 수납부(111)로부터 인출될 경우에는 회전되어 제2키보드(12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구조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100)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때에는 제1키보드(110)에 회전 돌기 및 회전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 요홈이 형성됨으로써, 제1키보드(110)로부터 제2키보드(120)가 회전되어, 좌,우측에 각각 제1,2키보드(110,120)가 위치될 경우, 제1키보드(110)로부터 회전 돌기가 회전되어 제1키보드(11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300)에서, 제2키보드(120)는 제1키보드(110)의 하부로 접혀 제1키보드(110)의 하부에 위치(또는 은닉)됨으로써, 한손 또는 반쪽 키보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키보드(120)가 제1키보드(110)의 측부로 펴져 좌측에 제1키보드(110)가 위치되고 우측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됨으로써, 양손 키보드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키보드(110)의 두께에 비해 제2키보드(12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키보드(110)는 접을 수 없는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키보드(120)는 접을 수 있는 가요성/연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키보드(110) 및 제2키보드(120)가 각각 준비되고, 제1,2키보드(110,120)가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호간 전기적/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1키보드(110)가 준비되고, 일측에 결합 돌기가 형성된 제2키보드(120)가 준비되며, 제1키보드(110)의 결합홈에 제2키보드(120)의 결합 돌기가 전기적/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키보드(110)의 결합홈 내에 다수의 전기적 접촉 패드가 구비되고, 또한 제2키보드(120)의 결합 돌기 표면에 다수의 전기적 접촉 패드가 구비됨으로써, 제1키보드(110)의 전기적 접촉 패드와 제2키보드(120)의 전기적 접촉 패드가 상호간 전기적/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키보드(110)와 제2키보드(120)는 가정용 전기 제품에 이용되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키보드(110)와 제2키보드(120)는 컴퓨터의 리셉터클과 이에 결합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스틱 사이의 결합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키보드(110)의 바닥면과 제2키보드(120)의 바닥면은 동일면을 이루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제1키보드(110)의 상면과 제2키보드(120)의 상면은 동일면을 이루도록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 또는 기계식 키보드를 포함하는 제1키보드(110) 및 제1키보드(110)에 결합된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를 포함하는 제2키보드(120)의 바닥면 및/또는 상면이 상호간 동일면을 이룸으로써, 양손 겸용 키보드로 사용될 경우, 사용이 편리하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키보드(110)에 제2키보드(120)를 수납하는 형태 외에 제2키보드(120)를 결합하여 반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으로 적용하거나 혹은 돌돌 말아서 펼치는 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요 골조는 좌측의 제1키보드(110)와 우측의 제2키보드(120)가 직업에 따라, 혹은 자판에 따라(자음과 모음) 다른 용도를 가진다는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제1키보드(110)로서 더 자주 사용되는 자판부를 사용이 용이한 기계식이나 멤브레인 방식으로 구성하고, 제2키보드(120)로서 상대적으로 덜 쓰이는 부분을 펜타그래프 방식으로 수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직업군에 따른 이용 용이성 확보뿐 아니라 태블릿을 위한 블루투스 키보드로 적용할 수 있는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100,200,3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100,200,300)의 전원 공급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100,200,300)는 위치 센서(140), 제1전원 공급부(151), 제2전원 공급부(152) 및 전원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140)는 제1,2키보드(110,120)의 상대적 위치를 센싱하여 전원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위치 센서(140)는 제1키보드(110)의 하부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또는 은닉)되었는지, 또는 제1키보드(110)의 우측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되었는지를 센싱하여 전원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위치 센서(140)는 제1키보드(110)의 하면에 설치된 발광부와 제2키보드(120)의 하면에 설치된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60)는 제1키보드(110)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제2키보드(120)의 수광부에서 수광되면 제1키보드(110)의 하부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키보드(110)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제2키보드(120)의 수광부에서 수광되지 않으면 제1키보드(110)의 우측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 외에도 전원 제어부(160)는 제1키보드(110)의 홀 소자가 제2키보드(120)의 자성체로부터 자력을 센싱하면 제1키보드(110)의 하부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키보드(110)의 홀 소자가 제2키보드(120)의 자성체로부터 자력을 센싱하지 못하면 제1키보드(110)의 우측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 외에도 전원 제어부(160)는 제1키보드(110)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하부의 제2키보드(120)에 접촉되어 턴온되면 제1키보드(110)의 하부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키보드(110)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제1키보드(110)의 우측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전원 공급부(151)는 제1키보드(110)에 전원을 인가하고, 제2전원 공급부(152)는 제2키보드(120)에 전원을 각각 인가할 수 있다. 제1,2전원 공급부(151,152)는 배터리이거나 또는 별도의 직류 전원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60)는 위치 센서(140)에 의해 제1키보드(110)의 하부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은닉)된것으로 센싱/판단되면 제1전원 공급부(151)를 통하여 제1키보드(110)에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제2전원 공급부(152)를 턴오프하여 제2키보드(1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160)는 위치 센서(140)에 의해 제1키보드(110)의 우측에 제2키보드(120)가 위치된 것으로 센싱/판단되면 제1전원 공급부(151)를 통하여 제1키보드(110)에 전원이 인가되는 동시에 제2전원 공급부(152)를 통하여 제2키보드(120)에도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손 키보드로 이용될 경우에는 제1전원 공급부(151)에 의해 제1키보드(110)에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양손 키보드로 이용될 경우에는 제1,2전원 공급부(151,152)에 의해 제1,2키보드(110,120)에 모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전원 장치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110; 제1키보드
111; 수납부
120; 제2키보드
121; 손잡이
122; 회전 돌기
123; 수용 요홈
130; 회전축
140; 위치 센서
151; 제1전원 공급부
152; 제2전원 공급부
160; 전원 제어부

Claims (7)

  1. 전체가 멤브레인 또는 기계식 키보드인 접을 수 없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1키보드; 및
    제1키보드에 결합된 전체가 펜타그래프 방식의 키보드인 접을 수 있는 고무 재질의 제2키보드를 포함하고,
    제2키보드는 제1키보드의 하부로 접혀 제1키보드의 하부에 은닉되거나 또는 제1키보드의 측부로 펴져 좌측에 제1키보드가 위치되고 우측에 제2키보드가 위치되며,
    제1키보드에 결합홈이 제공되고 제2키보드에 결합 돌기가 제공되어 결합홈 및 결합 돌기가 상호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제1키보드에 결합 돌기가 제공되고 제2키보드에 결합홈이 제공되어 결합 돌기 및 결합홈이 상호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결합홈 내에 다수의 전기적 접촉 패드가 구비되고 결합 돌기 표면에 다수의 전기적 접촉 패드가 구비되며, 결합홈 내의 전기적 접촉 패드와 결합 돌기 표면의 전기적 접촉 패드가 상호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1키보드의 하면에 설치된 발광부와 제2키보드의 하면에 설치된 수광부를 포함하여 제1,2키보드의 상대적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 센서; 제1키보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전원 공급부; 제2키보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전원 공급부; 및 위치 센서에 의해 제1키보드의 하부에 제2키보드가 은닉된것으로 센싱되면 제1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제1키보드에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위치 센서에 의해 제1키보드의 우측에 제2키보드가 위치된 것으로 센싱되면 제1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제1키보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2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제2키보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1키보드의 바닥면과 제2키보드의 바닥면이 동일면을 이루고, 제1키보드의 상면과 제2키보드의 상면이 동일면을 이루는,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10401A 2021-01-25 2021-01-25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KR10250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01A KR102504611B1 (ko) 2021-01-25 2021-01-25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401A KR102504611B1 (ko) 2021-01-25 2021-01-25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04A KR20220107604A (ko) 2022-08-02
KR102504611B1 true KR102504611B1 (ko) 2023-02-28

Family

ID=8284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01A KR102504611B1 (ko) 2021-01-25 2021-01-25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6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989B1 (ko) * 2013-11-26 2020-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308A (ko) 2001-04-09 2002-10-18 한기천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인식방법
KR20100115855A (ko) 2009-04-21 2010-10-29 김동렬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
KR102215610B1 (ko) 2019-07-03 2021-02-16 주식회사 ??스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989B1 (ko) * 2013-11-26 2020-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04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3317A (en) Two-handed controller for video games and simulations
US11794098B2 (en) Game controller with removable controller accessory
US10130876B2 (en) Joystick module
JP4277140B2 (ja) 電子装置およびゲーム用コントローラ
US6587094B2 (en) Two-sided input device for a computer-related apparatus
JP6576432B2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7794326B2 (en) Game controller
US10130874B2 (en) Removable controller accessory for a game controller
US7164412B2 (en) Key free mouse
TW200526306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9417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 function switching
US20030038781A1 (en) Joystick capable of controlling direction rudder and accelerator synchronously
US11173390B2 (en) Game controller
JP2017217412A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6193609B1 (en) Hand hel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splay screen-oriented computer game, and a display screen-oriented computer game having one or more such control units
KR102504611B1 (ko)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IES75680B2 (en) Compact ergonomic computer keyboard
US11270856B2 (en) Input device
KR19980702472A (ko)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네트워크 터미널용 인터페이스 장치,키보드, 휴대용 컴퓨터 및 게임 콘솔용 액세서리
CN210109752U (zh) 单手游戏键盘
CN107340887B (zh) 摇杆模块
JP6666556B2 (ja) マウス
JP3453263B2 (ja) ゲーム機用操作装置
JP3208523U (ja)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ルキー
JP2000061146A (ja) ゲ―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