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855A -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 - Google Patents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855A
KR20100115855A KR1020090034464A KR20090034464A KR20100115855A KR 20100115855 A KR20100115855 A KR 20100115855A KR 1020090034464 A KR1020090034464 A KR 1020090034464A KR 20090034464 A KR20090034464 A KR 20090034464A KR 20100115855 A KR20100115855 A KR 2010011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auxiliary
key
keys
function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렬
Original Assignee
김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렬 filed Critical 김동렬
Priority to KR102009003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855A/ko
Publication of KR2010011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키보드의 기능키들은 타자 자리에서 멀어 치기가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그 사용이 띄어쓰기에 국한 되 있던 엄지손가락을, 기존 타자법의 맞춰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상의 키보드에 있어서 키틀의 아래를 전체적으로 연장한 형태이며, 타자 자리에 위치하고 키틀에 거취 된 엄지손가락의 아래의 중심에 기능키들을 키보드의 기능키들과 함께 복수로 배치하였다.
이와 같은 보조키보드(5)의 구조는, 건 들여지지 않도록, 키켑이 현저히 낮거나 박막형태로, 키보드(3)와는 단층구조를 이루고, 보호받침대(4)의 안에서 보호 구조를 취한다. 또한 4개의 보조키(6)로 조합 배치된 기능키들을, 사용프로그램에 따라 바꿔 쓸 수 있도록 보호받침대의 안의 일측에 전환모드스위치(9)를 구조하였다.
따라서 타자 시, 타자 자리 중심에서 기능키를 칠 수 있는가 하면, 기존 타자법에 적합하고, 메인키보드에 조합된 보조키보드의 구조가 자연스러워, 빠르고 쉽게 칠 수가 있으며, 종래 키보드에 익숙한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구조이다. 또한 전환모드스위치를 전환하여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필요한 기능키들을 쉽게 칠 수 가 있다.
박막형키보드, 키캡형키보드, 메인키보드, 키틀, 보조키보드, 보호받침대, 멤브레인키, 팬타그래프키, 전환모드스위치

Description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키보드가 구조된 키보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키보드로 일체형보조키보드가 구조된 평면도와 이를 단면 도시한 측면도. (박막형키보드인 액정화면보조 키보드 등의 표시도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캡형키보드가 구조된 평면도와 이를 단면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의 단면도시한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박막형키보드인 일체형보조키보드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조도.
도 6은 도 3의 측면도의 단면 도시한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6의 키캡형보조키보드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환모드의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환모드스위치의 전환 시, 변환되는 보조키 들의 기능을 나타낸 조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박막형키보드 1A : 일체형보조키보드
1B : 액정화면보조키보드 1Aa : 보조키
1Ab : 박막형키켑 1Ac : 키켑필림
1Ad : 전극필림 1Ae : 부도체필림
1Af : Led램프 1Ag : Led회로기판
2 : 키켑형키보드 2A : 키켑형보조키보드
2Aa : 키켑형보조키 2Ab : 키켑
2Ac : X자가이드 2Ad : 전극필림
2Ae : 부도체필림 2Af : Led램프
2Ag : Led회로기판
3 : 키보드, 메인키보드 3a : 키틀
3b : 스페이스키 3c : 키
4 : 보호받침대 5 : 보조키보드
6 : 보조키 7 : 멤브레인키
7a : 멤브레인키켑 8 : 펜타그래프키
9 : 전환모드스위치 9a : 연동전환접점스위치
9b : 접점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출원번호 20-2000-0016424는 일반 컴퓨터 자판 (keyboard)상의 띄어쓰기(space)글쇠 앞에 도면과 같이 본체와 약간의 경사면을 만들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3개의 버튼 (1), (2), (3)을 설치하거나, 띄어쓰기 글쇠를 도면과 같이 완만한 경사를 두어 확장시키고 글쇠의 앞면에 별도로 3개의 버튼을 약간 돌출시켜 한글과 영어문자 및 지우기 작업을 편리하게 실행하도록 한 컴퓨터자판이다.
출원번호 10-2001-0033252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의 본체 상에 마련되는 백 스페이스 키를 스페이스 키의 일 측에 구비하고, 커서 키를 스페이스 키의 하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에 있어서 상기 출원번호 20-2000-0016424는 종래의 키보드의 띄어쓰기 글쇠 앞에 기능 버튼을 추가한 형태로, 본체의 경사면을 두고 그 위에 보턴을 구조하여, 타자 시 손가락의 접점이 안정되지 않고, 본체를 따라 버튼을 찼아 누르는 동작임으로, 신속히 두드리는 타자동작이 오히려 불편할 수 있다.
상기 출원번호 10-2001-0033252는 키보드의 본체 소정 부위를 돌출 형성시켜 커서 키를 위치한 것으로, 커서키가 손에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이렇게 돌출된 키보드의 형상 또한 불완전 하다, 그런가 하면 별도로 구비된 기능키가 커서키로 만 한정 되 있다.
따라서 키보드 안에서 사용빈도가 높으나 타자 자리 범위에서 떨어져 위치하여, 사용하기 불편한 키들을 안정되게 타자 자리 범위 안으로 넣을 수 있다면 이는 획기적이라 할 수 있겠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스키에 한정 되 사용해 왔던 엄지손가락을 기존 타자법의 맞춰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래의 키보드 구조에서, 타자 자리에 위치한 손과 그 엄지손가락이 키틀에 거취 되며, 이러한 키틀 아래를 전체적으로 연장한 형태이며, 기능키들을 엄지손가락이 거취 된 키틀 아래의 중심에 복수로 배치하였다. 이것은 보조형태의 키보드로 메인키보드의 키틀 아래에서 단층구조를 이루고 보호받침대에 의해 보호 구조를 취한다.
또한 보조키보드는 모아진 엄지손가락 아래의 중심에서, 타자하기 좋은 개수로 4개의 보조키를 배치하였다. 따라서 타자 자리에서 멀고 약지로 처 불편했던 기능키들을, 엄지손가락으로 쉽게 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메인키보드와 보조키보드를 단층 구조로 한 것은, 메인키보드 사용 시 엄지손가락 아래 배치된 기능키들이 손에 걸리거나 심리적으로 방해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보조키보드는 박막형태의 키나 키켑이 낮은 키를 구조하여 단차를 둔다.
또한 4개의 보조키 이지만 스위치를 전환하면 다수의 기능키들을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조합 배치된 기능키들을 사용프로그램에 따라 바꿔 폭 넓게 쓸 수 있도록 전환모드스위치를 갖추어 구조하였다. 한편 보조키의 개수를 좀 더 늘릴 수도 있지만 그 만큼 인식하기가 어려워지고, 키보드 폭도 넓어지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기능키라고 하면 Shift키, Enter키, Backspace키, 한/영키, Esc키, Del키, 커서키 등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보드는 일반 키보드에 보조키보드인 박막형키보드와 키캡형키보드가 각기 조합된 두 가지 형태로 구조하여 나타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박막형키보드(1)인 일체형보조키보드(1A)와 또는 액정화면보조키보드(2A)가 조합된 평면도와 이에 단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그중 일체형보조키보드(1A)의 확대도인 도 4, 도 5와 함께 살펴보면, 통상의 키보드(3)에 스페이스키(3b) 아래로 엄지손가락을 거취 할 수 있도록 키틀(3a)이 구조 된 것에 있어서, 키틀(3a)을 경계로 키보드(3)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연장하고, 타자 자리 중심과 나란한 스페이스키(3b)의 중심에 대향하여 2줄 4개의 보조키(1Aa)로 일체형보조키보드(1A)를 구조하였다. 이때 보조키(1Aa)들은 박막형으로 메인키보드(3) 저면과 나란히 평면으로 구조되고, 보조키(1Aa)들은 기능키들로 메인키보드(3)에 있는 것과 같이 복수로 배치했다.
보호받침대(4)는 보조키(1Aa)들이 키틀(3a)과 보호받침대(4) 안에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우묵하게 파인 형태로, 타자 중 거취 된 손에 의하여 건 들여지지 않도록 보호 구조를 취한 것이다. 또 보호받침대(4)는 키틀(3a)에 잇대어 사변을 둥글게 한, 직삼각형을 누인 형태로 손바닥의 거취가 좋도록 구조하였다.
보호받침대(4)의 안 일 측에는 전환모드스위치(9)를 설치하여, 보조키(1Aa)가 4개 이지만 확장하여 쓸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들에 따라서 필요 한 기능키들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 이라고 하면, 한글1, 한글2, 케드, 액셀로 구분하였으며, 도면 9에 표시한 바와 같은 기능키들을 조합 배치하였으며, 전환모드스위치 전환 시, 변환된 기능을 밑줄 쳐 구분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한글1 프로그램은 사용빈도가 높은 Shift키를 주로 하여, 한/영키, Backspace키를 조합하고, 이에 Enter키를 추가한 한글2와, 대표적 응용 프로그램인 CAD의 경우는, 실행키인 Enter키를 중심으로 Del키, Esc키, Backspace키 그리고 액셀 프로그램의 경우는 표 구성임으로 커서키를 조합하였다.
이에 도면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연동접점전환스위치(9a)를 이용하여 4개의 기능키 만 선택적으로 일체형보조키보드(1A)의 보조키(1Aa)에 접속 배정하게 된다. 또한 5조의 접점(9b)을 사용하고 있으나 접점(9b) 수를 늘리면 좀 더 다양한 보조키(1Aa) 조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일체형보조키보드(1A)에 있어서, 전환모드스위치(9)의 전환에 따라서, 1개의 보조키(1Aa)에 4가지 기능키가 전환됨으로, 각 박막형키켑(1Ab)의 상단 면을 4분하여 4개의 기능키 이름이 표시되며, 이에 빛을 조사하여 구분 할 수 있도록, 일체형보조키보드(1A)의 아래에는 Led램프(1Af)를 구조하였다.
보통 박막형 키보드들의 부재는 비닐 수지 등 투명한 재질로 빛을 조사하는데 문제가 없고, 표시된 내용이 잘 보일 수 있도록, 글씨 부위만을 남기고 박막형키켑(1Ab)를 도장하였다.
박막형키보드(1)의 구조에 있어서, 보통 박막형태의 키보드라고 하면, 멤브레인키(7)의 키켑을 전극판과 일체화하여 박막화한 일체형보조키보드, 액정화면키 보드, 정전용량키보드 등을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박막형키보드(1)로 일체형보조키보드(1A)를 이용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키의 이름이 표시되고 접촉면과 돌기가 구조된 박막형키켑(1Ab)의 키켑필림(1Ac)과 전기전도체 전극이 점착된 2장의 부도체 전극필림(1Ad)과 이에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부도체필림(1Ae)과 각 박막형키켑(1Ab)마다 4개의 Led램프(1Af)가 집적된 Led회로기판(1Ag)이 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박막형키켑(1Ab)의 돌기에 눌림에 따라서 전극의 접촉이 일어나고 키보드(3)에 내장된 칩에 의해 해당하는 비트 코드가 발생한다.
또한 전환모드스위치(9)의 작동구조를 도8 회로도와 도 9 키조합도를 통하여 설명한다. 전환모드스위치(9)는 연동스위치로 메인키(3) 중 기능키 4개만을 선택하여 4개의 보조키(1Aa)에 병열로 접속 배정한다. 이때 전환모드에 따른 기능키의 조합은 도 9와 같으며 모드전환에 따라서 각각의 보조키(1Aa)는 4개의 기능키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환모드스위치(9)의 5번째의 접점은 Led램프(1Af)를 점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키캡형키보드(2)의 평면도와 이에 단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확대도인 도 6, 도 7와 함께 살펴보면, 박막형키보드(1)인 일체형키보드(1A)와 동일한 구조이나, 보조키보드(5)로 키켑형 키인 펜타그래프키(8)를 조합한 것은 박막형키보드(1)는 키켑에 의한 키 감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키켑을 갖고 있으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이를 낮춰 구조할 수 있는 펜타그래프키(8)를 보조키보드(5)로 조합하였다.
펜타그래프키(8)는 고른 압력을 주기 위한 스위치 주변에 X자가이드가 달렸고, 일반 멤브레인키(7) 방식 보다는 키켑 크기가 반 이하로 얇게 구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멤브레인키(7)와 펜타그래프키(8)를 조합하면, 키켑형보조키보드(2)의 높이를 메인키보드(3) 보다 1/3로 낮출 수가 있다.
한편 키보드(3)는 다루기 좋도록 슬림화 되가는 추세이며, 본 발명에 적합하도록 메인키보드(3)와 보조키보드(5)의 키 높이의 차를 적절히 둘 수 있다면, 어떤 키 구조의 형식을 조합하든 본 발명의 의도한바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겠다.
또한 펜타그래프키(8)의 키켑(2Ab)의 고정판 아래 Led램프(2Af)가 집적된 회로기판(2Ag)이 층 구조를 이루고, 키켑(2Ab)의 기능 표시된 문자에 빛이 조사되는데, 이에 집중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X자가이드(2Ac)를 구조하거나, 그 재질을 투명한 수지로 구조할 수 있다. Led 램프(2Af)의 작동 방법은 일체형키보드(1A)의 예와 같으며, 전극필림(2Ad)이 적층된 구조를 도면과 같이 나타냈다.
또한 보조키보드(5)인 박막형키보드(1)로 정전용량키보드, 액정화면키보드등과 조합하여 구조함에 있어서, 이들 각각의 작동원리는 공지된 기술로, 특히 액정화면키보드의 경우는, 발광된 액정화면에 의한 키 표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환모드스위치(9)에 의하여 기능키들을 바꿀 수 있을뿐더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설정된 기능키의 종류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키보드(5)로 조합한 액정화면보조키보드(1B)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통해서 살펴보면, 박막형키보드(1)로 액정화면보조키보드(1B)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액정화면보조키보드(1B)는 제1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접촉점에 대응되는 접촉신호를 출력하며, 투명성을 갖는 터치 판넬과, 상기 터치 판넬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발생하는 터치 판넬 구동부와, 상기 터치 판넬과 동일 광축선상에 배치되며, 제2구동신호에 응답하여 화면상에 자판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표시부와, 자판 정보를 따라 상기 제2구동신호를 발생하는 화면표시 구동부와, 자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접촉신호로부터 터치 판넬의 접촉 좌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외부로부터 외력 되는 자판 정보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자판 정보를 상기 화면 표시 구동부에 출력하며, 상기 터치 판넬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접촉 좌표에 대응되는 키 코드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 화면부에 표시된 기능키 모두를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바꿀 수 있도록 전환모드스위치(9)가 구조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종래의 키보드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하게 되며,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시 전환모드스위치(9)를 조작하여 해당프로그램에 셋팅 한다. 그러면 보조키(6)에 해당하는 기능표시 중 한곳에 Led램프가 켜져서 표시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된 대로 보조키(6)를 보고 치거나, 인식하기 쉬운 배치임으로 감각적으로 칠 수도 있다.
또한 타법에 있어서, 타자자리에 손을 얹고 엄지손가락 아래 위치한 추가된 보조키보드(5)를 치게 되는데, 이는 엄지손가락을 뻗어 내려치거나, 손가락의 형태에 따라 엄지손가락을 뻗어 엇걸어 칠 수도 있다.
한편 액정화면보조키보드(1B)의 경우는, 키의 모양이 액정화면으로 표시되고, 이를 터치하여 입력하게 된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보조키보드(5)상의 보조키(6)들의 설정된 기능을, 전환모드스위치(9)에 의하여 바꾸거나, 사용자 편의에 따라 임의로 보조키(6) 각각의 설정을 바꿀 수도 있다. 즉 액정화면에 표시되고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키(6)를 일정시간 눌러 활성화 시켜놓고 메인키보드(3)상에 원하는 키(3c)를 눌러 저장하여 바꾸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타자 시, 타자 자리 중심에서 기능키를 칠 수가 있으므로, 빠르고 쉽게 칠 수가 있다. 한편 보조키보드가 얇게 구조되고 보호받침대에 의하여 보호됨으로 손이 키에 걸리거나, 이를 의식하지 않고도 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키를 양 엄지손가락으로 뻗어 치는 구조는, 기존 타자법에 적합하며, 보조키보드의 구조가 최소로 되고 자연스러워, 종래 키보드의 익숙해온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구조이다.
또한 전환모드스위치를 사용하여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필요한 기능키들을 쉽게 칠 수 있을뿐더러, 전환모드스위치를 확장하여 새로운 조합의 기능키들을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박막형키보드는 메인키보드를 슬림화 할 경우에 적합하고, 같은 유형인 액정화면보조키보드는 발광된 화면표시가 세련되고, 임의로 키를 바꿀 수 있으며, 키캡형키보드의 경우는 키의 구조대로 키 감이 보장된다. 또 보호받침대는 보조키보드의 보호뿐만 아니라 손에 안정에도 도움이 된다.

Claims (4)

  1. 통상의 키보드(3)에 있어서, 키틀(3a)을 갖고 키틀 하부를 전체적으로 연장하고, 타자 자리 중심과 나란한 키틀(3a) 아래에 기능키로 조합된 보조키보드(5)를 구조하고, 기능키들은 키보드(3)에 있는 것과 같이 복수로 배치하고, 이때 보조키보드(5)는 메인키보드(3)와는 단차를 갖는 박막형키보드(1)와 키켑형키보드(2)로 구조되고, 우묵한 보호받침대(4)는 키틀(3a)과 조합하여 보조키보드(5)를 보호하고, 보호받침대(4)의 안 일 측에는 전환모드스위치(9)가 설치되고, 전환모드스위치(9)로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조합된 기능키들의 보조키를 바꿔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하여 된 컴퓨터 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보조키보드(5)는 키켑형보조키보드(2A)로 펜타그래프키(8)를 조합하여 구조된 컴퓨터 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보조키보드(5)는 박막형키보드(1)로 액정화면보조키보드(1B)를 조합하여 구조된 컴퓨터 키보드.
  4. 제 3항에 있어서, 박막형키보드(1)인 액정화면보조키보드(1B)에 보조키(6)들의 메모리 능력을 부여하고 임의로 보조키(6)들의 기능을 바꿀 수 있는 제어방법이 구조된 컴퓨터 키보드.
KR1020090034464A 2009-04-21 2009-04-21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 KR20100115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464A KR20100115855A (ko) 2009-04-21 2009-04-21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464A KR20100115855A (ko) 2009-04-21 2009-04-21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855A true KR20100115855A (ko) 2010-10-29

Family

ID=4313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464A KR20100115855A (ko) 2009-04-21 2009-04-21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8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582B1 (ko) 2018-12-24 2020-04-06 황원동 휴대 및 분리형 보조 키보드 겸 터치 패드
KR20220107604A (ko) 2021-01-25 2022-08-02 김다훈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582B1 (ko) 2018-12-24 2020-04-06 황원동 휴대 및 분리형 보조 키보드 겸 터치 패드
KR20220107604A (ko) 2021-01-25 2022-08-02 김다훈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48920A1 (en) Keyboard with hinged keys and display functionality
US9122318B2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reducing keyboard data entry errors
EP1183590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2449447B1 (en) Tactile feedback display screen overlay
TWI386010B (zh) 行動終端機
JP2008533559A (ja) ユーザの対話を改善するためのキーボードのキーキャップに一体化されたタッチパッド
KR20090098967A (ko) 비대칭 섞임 키보드
US20110268487A1 (en) Keyboard assembly and underlying display device
US7060924B1 (en) Dual tactility keypad switch
JP2008033616A (ja) 入力装置
TWI575444B (zh) 指令輸入裝置與指令輸入方法
JPH07295720A (ja) 入力装置
JP2010176438A (ja) タッチスイッチ付表示装置
KR2004010156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00115855A (ko) 엄지를 활용한 키보드
JP5660611B2 (ja) 電子機器、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27053A (ja) キーボード装置
CN113485526B (zh) 一种笔记本电脑
US11054934B2 (en) Electronic device
KR2010008697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TWM430652U (en) Touch keyboard
KR20100101993A (ko)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JP2005148848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面入力表示装置
KR20230121558A (ko) 일본어 pc용 키보드 및 게임용 키보드
KR20040099872A (ko) 투명 키패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