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553B1 - 실링 효과를 개선한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 포장용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링 효과를 개선한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 포장용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4553B1 KR102504553B1 KR1020220128737A KR20220128737A KR102504553B1 KR 102504553 B1 KR102504553 B1 KR 102504553B1 KR 1020220128737 A KR1020220128737 A KR 1020220128737A KR 20220128737 A KR20220128737 A KR 20220128737A KR 102504553 B1 KR102504553 B1 KR 1025045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film layer
- plastic film
- parts
- container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41000242583 Scypho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1610 polycaprolact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632 polycaprolac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6008 lipopolysaccha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1897 ter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40070527 tourmal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613 tourma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032 tourmal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6344 thermoplastic co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092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707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claims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8790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666 vacuum for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41000234295 Mus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785 packaging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280 packaging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63583 high-density polyethyle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99514 low-density polyethyle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8 biodegrada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21 biodegradable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AQRGUVFOMOMEM-UHFFFAOYSA-N butene Natural products CC=CC IAQRGUVFOMOM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5 chemical rea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4 glyc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22 meat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8 metallocene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5 polymerization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29 polypropylene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3 resistance to break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0 shrink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파리 점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적용하여 APET, PET, PS 및 PP등으로 구성되는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에 대한 실링 효과가 우수하고 식품 접촉에도 무해한 동시에 산소차단성이 우수한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파리 점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적용하여 APET, PET, PS 및 PP등으로 구성되는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에 대한 실링 효과가 우수하고 식품 접촉에도 무해한 동시에 산소차단성이 우수한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맞벌이의 증가 및 고령자 가구, 1인 가구 등의 증가로 인하여 가공 식품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공 식품이 용기에 포장된 이후 가공과정, 유통과정 및 이용과정을 거치는 동안 수분 및 산소 등으로 인해 식품의 변질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산소차단성을 갖는 포장용기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식품 포장용 용기의 경우에는 대부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및 폴리프로필렌(PP)등으로 구성되는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ET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PET용 수축필름의 경우에는 대부분 외국으로부터 고가에 수입하고 있으므로 비용상승 및 공급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PET 용기를 식품 포장용 필름 또는 육가공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충격에 약하고, 수분에 약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PET 용기를 폴리프로필렌(PP) 용기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존재하나, PP 용기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산소차단성, 투명성, 방담성, 수축성이 우수하며, 특히 PP 용기와의 실링(Sealing) 강도가 우수한 식품 포장용 필름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 PET용 필름의 경우에는 용기와 접착하는 필름의 접착면이 폴리에틸렌(PE)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PP 용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접착강도가 낮기 때문에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따라서 PP 용기와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단순히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산소차단성이 낮고,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P)의 경우 수축률이 낮으며, 표면장력이 낮아 수분으로 인한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방담특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APET, PET, PS 및 PP등으로 구성되는 트레이 용기에 대한 실링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산소차단성이 높은 필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7666호는 폴리프로필렌(PP)계 용기와의 높은 접착강도 및 우수한 산소차단특성, 수축율, 방담특성과 투명성을 갖는 식품 포장용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73463호는 포장 트레이에 실링되어 하이그로스코픽 기능을 통해 수분을 흡착하는 동시에 여러 분자를 흡착하여 탈취 기능을 나타내는 페트 트레이 실링용 필름 구조 및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파리 점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적용하여 APET, PET, PS 및 PP등으로 구성되는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에 대한 실링 효과가 우수하고 식품 접촉에도 무해한 동시에 산소차단성이 우수한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폴리프로필렌 터폴리머 70~90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30중량%를 혼합한 제1 혼합 수지로 제1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락트산 60~70중량%, 바나나 줄기 섬유 3~5중량% 및 PET 25~37중량%를 혼합한 제2 혼합 수지로 제2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해파리 점액 추출물 40~60중량%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10~15중량%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25~50중량%을 혼합하여 코팅층을 제조하는 코팅층 제조 단계; 상기 제1 필름층의 상단에 제2필름층을 열융착하는 이중 필름층 제조 단계; 및 상기 이중 필름층의 상단 및 하단에 코팅층을 열융착하는 코팅 단계; 를 포함하는,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필름층 제조 단계는 제1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 5~10중량부 및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2~5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필름층 제조 단계는 제2 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분말 0.2~0.8중량부 및 토르마린 분말 0.1~0.5 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 단계는 코팅층 열융착 후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연신 가공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은 해파리 점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적용하여 APET, PET, PS 및 PP등으로 구성되는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에 대한 실링 효과가 우수하고 식품 접촉에도 무해한 동시에 산소차단성이 우수하여 식품 등을 담은 트레이 용기를 밀봉하는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폴리프로필렌 터폴리머 70~90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30중량%를 혼합한 제1 혼합 수지로 제1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락트산 60~70중량%, 바나나 줄기 섬유 3~5중량% 및 PET 25~37중량%를 혼합한 제2 혼합 수지로 제2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해파리 점액 추출물 40~60중량%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10~15중량%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25~50중량%을 혼합하여 코팅층을 제조하는 코팅층 제조 단계; 상기 제1 필름층의 상단에 제2필름층을 열융착하는 이중 필름층 제조 단계; 및 상기 이중 필름층의 상단 및 하단에 코팅층을 열융착하는 코팅 단계; 를 포함하는,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폴리프로필렌 터폴리머 70~90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30중량%를 혼합한 제1 혼합 수지로 제1 필름층을 제조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은 프로필렌을 지글러-나타 중합 또는 메탈로센 촉매 중합으로 중합시킨 고분자를 의미한다. 밀도는 0.9 정도로 현재 있는 플라스틱 중에 가장 가벼우며, 용해 온도도 165℃ 정도로 높기 때문에 적용 범위가 폴리에틸렌(m.p 140℃)보다 넓다. 상기 폴리머(Polymer)는 프로필렌과 같은 단량체를 중합시켜 고분자화 한 상태를 의미한다. 두 종류의 단량체를 중합시킨 2원 공중합체의 경우 코폴리머(Copolymer)라 하며, 세종류의 단량체를 중합시킨 3원 공중합체의 경우 터폴리머(Terpolymer)라 한다. 폴리머의 구조상에 있어서, 단량체가 한가지로만 구성된 중합체일 경우 호모 폴리머라 하며, 두 종류의 단량체로 구성될 경우 각각의 단량체가 복수로 구성되는 단량체 블록이 연결되어 생성되는 폴리머를 블록 코폴리머라 하고, 두 종류의 단량체가 순서에 상관없이 중합되어 생성되는 폴리머를 랜덤 코폴리머라 한다. 또한, 세 종류의 단량체가 순서에 상관없이 중합되어 생성되는 폴리머를 랜덤 터폴리머라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터폴리머는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을 중합하여 얻어진 3원 공중합체이고, 랜덤 터폴리머이며, 연신성 및 수축성이 우수하고 융점은 123~125℃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은 에틸렌의 반복적인 결합으로 만들어진 고분자를 의미한다. 폴리에틸렌은 밀도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과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온에서 투명한 고체이면서 가공이 쉽고 유연하여 주로 투명한 비닐 제품, 필름이나 코팅, 비닐하우스의 비닐 등으로 사용된다. 반면,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높고 단단해 외부 충격에도 잘 견디는 특성을 가져 각종 용기나 병, 페트병 뚜껑, 파이프 등에 사용된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우수한 산소차단성을 가져 식품 포장에도 주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 제조 단계는 제1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 5~10중량부 및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2~5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무색이며 투명성이 매우 뛰어난 무독성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아크릴수지는 일반적으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등으로 구분된다. 아크릴 수지는 가공이 쉽고 저렴한 가격에, 무게는 유리보다 가벼우며 충격 강도는 강화 유리에 비해 6배~17배 강하다.
상기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TPC)는 2개 이상의 중합체 또는 특수 유형의 블록 공중합체의 블렌드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의 일종으로 고무의 이점과 열가소성 수지의 손쉬운 가공성을 갖는다.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는 장쇄 또는 단쇄 글리콜의 무작위 길이 시퀀스가 교대로 존재하는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이며 우수한 내 화학성, 고강도,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폴리락트산 60~70중량%, 바나나 줄기 섬유 3~5중량% 및 PET 25~37중량%를 혼합한 제2 혼합 수지로 제2필름층을 제조한다.
상기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은 옥수수와 같이 풍부한 녹말을 가진 바이오 매스에서 녹말을 분리하고 녹말을 분리하여 생성된 포도당을 발효시켜 젖산을 응축 고분자화하여 생산된 열가소성 중합체를 의미한다. 폴리락트산은 생산 공정이 무공해이며, 생분해성을 가져 친환경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락트산은 우수한 열 안정성 및 내용매성을 가지며 생체 적합성, 광택, 투명성 및 내열성을 가져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상기 바나나 줄기 섬유는 바나나 잎의 줄기 부분에서 추출한 섬유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나나 줄기 섬유는 바나나 줄기 바깥쪽을 제외한 안쪽 섬유만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바나나 줄기의 바깥쪽에서 추출한 섬유는 거친 질감을 가지지만 바나나 줄기 안쪽에서 추출한 섬유는 부드러운 질감을 가져 필름에 혼합하여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의 바나나 줄기 섬유는 제2 필름층과 혼합되어 제2필름층의 연신시 파단률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투명도가 높고 가벼우면서도 잘 깨지지 않는 특징이 있어 주로 페트병의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층 제조 단계는 제2 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분말 0.2~0.8중량부 및 토르마린 분말 0.1~0.5 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화은 분말은 은 이온과 염화 이온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앙금 생성 반응 산물로서 물에 잘 녹지 않는 특징을 가지며 강한 항균 효과를 갖는다.
상기 토르마린 분말은 전기석이라고도 불리는 토르마린의 분말을 의미한다. 토르마린은 자체적으로 원적외선을 내는 특징을 가지며 산화 방지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염화은 분말 및 토르마린 분말은 제2 필름층에 혼합되어 제2필름층에 항균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부여하여 식품 포장시 식품의 보존이 원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해파리 점액 추출물 40~60중량%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10~15중량%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25~50중량%을 혼합하여 코팅층을 제조한다.
상기 해파리 점액 추출물은 해파리아문에 속하는 무척추동물의 점액을 동결 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해파리 점액 추출물은 코팅층에 포함되어 코팅층의 열 접착 능력을 강화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는 지질과 다당류로 구성되는 커다란 분자구조물로서 그람 음성 세균의 외부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의 지질다당류는 코팅층에 포함되어 코팅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해파리 점액 추출물과 함께 열 접착 능력을 강화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PCL)은 열가소성 고분자이자 생분해성 고분자로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하다. 낮은 온도인 60℃에서 겔(gel)화해 점토처럼 사용이 간편하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카프로락톤은 해파리 점액 추출물 및 지질다당류와 혼합되어 코팅층의 구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열 접착시 열 접착 능력을 강화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필름층의 상단에 제2필름층을 열융착하여 이중 필름층을 제조한다. 상기 열융착 방법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실링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플라스틱 필름 제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열융착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중 필름층의 상단 및 하단에 코팅층을 열융착하여 코팅시킴으로서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는 코팅층 열융착 후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연신 가공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은 연신 가공 처리 후 두께가 50~150㎛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폴리프로필렌 터폴리머 75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중량%를 혼합한 제1 혼합 수지로 제1 필름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폴리락트산 65중량%, 바나나 줄기 섬유 3중량% 및 PET 32중량%를 혼합한 제2 혼합 수지로 제2필름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해파리 점액 추출물 40중량%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15중량%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45중량%을 혼합하여 코팅층을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필름층의 상단에 제2필름층을 열융착하여 이중 필름층을 제조한 다음, 상기 이중 필름층의 상단 및 하단에 코팅층을 열융착하여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실시예 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1필름층 제조단계의 제1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 5중량부 및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3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실시예 2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2 필름층 제조단계의 제2 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분말 0.2~0.8중량부 및 토르마린 분말 0.1~0.5 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실시예 3으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코팅 단계의 코팅층 열융착 후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연신 가공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실시예 4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코팅층의 구성을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100중량%로 대체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비교예 1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2필름층에서 바나나 섬유를 제외하고 제조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을 비교예 2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실링 강도 비교]
실시예 1내지 4와 비교예 1및 2의 실링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히트 실 테스터를 사용하여 실링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내지 4와 비교예 1및 2의 플라스틱 필름을 각각 100mm 폭, 150mm 길이의 시험편으로 2개씩 절출하고 PET 필름과 PP필름에 부착한 다음, 소정의 히터 온도(200℃ 또는 220℃), 압력 0.2MPa, 실링 시간 1초의 조건에서, 히트 실링을 행한 후, 실링한 시험편을 폭 15mm의 시험편으로 절출하고, 박리 강도 (N/15mm)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실링 강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실링강도 (N/15mm) |
PET | 51 | 51 | 50 | 53 | 22 | 48 |
PP | 55 | 54 | 53 | 55 | 27 | 50 |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실링강도는 50이상인 반면 코팅층을 PCL로 변경한 비교예 1은 매우 낮은 수준의 실링 강도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층이 PET 또는 PP용기에 대한 우수한 실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산소투과도 비교]
실시예 1내지 4의 산소투과도를 확인하기 위해 ASTM D1434 방법으로 산소투과도(cc · mm/m2 · day)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
산소투과도(cc · mm/m2 · day) | 42 | 44 | 45 | 43 |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내지 4의 산소투과도는 모두 100을 넘지 않아 산소차단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여 식품 보관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3)
- 폴리프로필렌 터폴리머 70~90중량%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30중량%를 혼합한 제1 혼합 수지로 제1 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락트산 60~70중량%, 바나나 줄기 섬유 3~5중량% 및 PET 25~37중량%를 혼합한 제2 혼합 수지로 제2필름층을 제조하는 단계;
해파리 점액 추출물 40~60중량%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10~15중량%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25~50중량%을 혼합하여 코팅층을 제조하는 코팅층 제조 단계;
상기 제1 필름층의 상단에 제2필름층을 열융착하는 이중 필름층 제조 단계; 및
상기 이중 필름층의 상단 및 하단에 코팅층을 열융착하는 코팅 단계; 를 포함하는,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 제조 단계는 제1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 5~10중량부 및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2~5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층 제조 단계는 제2 혼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분말 0.2~0.8중량부 및 토르마린 분말 0.1~0.5 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실링 효과를 개선한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8737A KR102504553B1 (ko) | 2022-10-07 | 2022-10-07 | 실링 효과를 개선한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 포장용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8737A KR102504553B1 (ko) | 2022-10-07 | 2022-10-07 | 실링 효과를 개선한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 포장용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4553B1 true KR102504553B1 (ko) | 2023-03-03 |
Family
ID=8551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8737A KR102504553B1 (ko) | 2022-10-07 | 2022-10-07 | 실링 효과를 개선한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 포장용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455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4576B1 (ko) | 2023-08-08 | 2024-02-07 | 최준영 | 식품 포장 방법 |
KR102673795B1 (ko) | 2023-08-08 | 2024-06-10 | 최준영 | 식품포장용 성형필름 제조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659A (ko) * | 2003-05-28 | 2004-12-08 | 민영혜 |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 탄성체 조성물 |
KR100836496B1 (ko) * | 2007-04-03 | 2008-06-09 | 한일이화주식회사 | 생분해성 경질 발포체 |
KR101673463B1 (ko) | 2015-11-18 | 2016-11-16 | 윤영욱 | 페트 트레이의 실링 구조를 갖는 필름구조 및 그 제조방법 |
KR101970002B1 (ko) * | 2018-09-10 | 2019-04-17 | 주식회사 에버켐텍 | 식품포장재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200077666A (ko) | 2018-12-20 | 2020-07-01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식품 포장용 필름 |
JP2021525291A (ja) * | 2018-05-22 | 2021-09-24 |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 ポリエステルへの反応性接着性のための触媒を有する樹脂 |
-
2022
- 2022-10-07 KR KR1020220128737A patent/KR102504553B1/ko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659A (ko) * | 2003-05-28 | 2004-12-08 | 민영혜 |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 탄성체 조성물 |
KR100836496B1 (ko) * | 2007-04-03 | 2008-06-09 | 한일이화주식회사 | 생분해성 경질 발포체 |
KR101673463B1 (ko) | 2015-11-18 | 2016-11-16 | 윤영욱 | 페트 트레이의 실링 구조를 갖는 필름구조 및 그 제조방법 |
JP2021525291A (ja) * | 2018-05-22 | 2021-09-24 |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 ポリエステルへの反応性接着性のための触媒を有する樹脂 |
KR101970002B1 (ko) * | 2018-09-10 | 2019-04-17 | 주식회사 에버켐텍 | 식품포장재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200077666A (ko) | 2018-12-20 | 2020-07-01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식품 포장용 필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4576B1 (ko) | 2023-08-08 | 2024-02-07 | 최준영 | 식품 포장 방법 |
KR102673795B1 (ko) | 2023-08-08 | 2024-06-10 | 최준영 | 식품포장용 성형필름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4553B1 (ko) | 실링 효과를 개선한 진공성형용기 및 트레이 용기 포장용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3072351B (zh) | 直线易撕型复合膜、袋 | |
US20230249444A1 (en) | Laminate structure for barrier packaging | |
JP2014188923A (ja) | 積層フィルム | |
FI73923C (fi) | Polyamidhaltig maongskiktsfilm. | |
KR102495956B1 (ko) | 생체 적합성 차단 포장용 적층 구조체 | |
JP2005111926A (ja) | 多層積層体およびそれから成る成形体 | |
JP7069876B2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 |
CN211106098U (zh) | 一种可降解胶袋复合膜及基于其的真空袋 | |
CN104292716B (zh) | 增塑增韧聚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
CN221497325U (zh) | 一种抗菌聚乙烯复合膜 | |
Raj | Plastics and their role in food packaging | |
WO2023276920A1 (ja) | 積層体 | |
JP2022152666A (ja) | 単層体、製造方法、積層体及び成形体 | |
JP2005111925A (ja) | 樹脂成形体 | |
JP2016094521A (ja) |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 |
KR101786588B1 (ko) | 레토르트용 기체 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 |
JP2021160113A (ja) | バイオマス由来の樹脂層を有する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体用紙容器および包装製品 | |
NZ762665B2 (en) | Laminate structure for biocompatible barrier packaging | |
KR100718985B1 (ko) | 레토르트 식품 저장용 용기 | |
JP2021160112A (ja) | バイオマス由来の樹脂層を有する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体用紙容器および包装製品 | |
KR100876387B1 (ko) | 성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다층 포장재 및 그를 이용한용기 | |
JPH0464440A (ja) | 多層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Zhuang | Polymeric Films Used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resh‐Cut Produce | |
JP2002234127A (ja) | 多層成形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