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469B1 -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469B1
KR102504469B1 KR1020170172002A KR20170172002A KR102504469B1 KR 102504469 B1 KR102504469 B1 KR 102504469B1 KR 1020170172002 A KR1020170172002 A KR 1020170172002A KR 20170172002 A KR20170172002 A KR 20170172002A KR 102504469 B1 KR102504469 B1 KR 10250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rminal
control target
control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194A (ko
Inventor
설운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469B1/ko
Priority to US15/970,909 priority patent/US10855772B2/en
Priority to CN201810530658.1A priority patent/CN109963266B/zh
Publication of KR2019007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05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by remotely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43Bus networks involving priority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허브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허브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단말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허브장치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과 중복되는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을 우선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VEHICLE, HUB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 허브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기본적으로 TCP/IP 프로토콜(TCP/IP Protocol)을 통해 사람이 운용하는 컴퓨터들이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식별, 연산 및 통신이 가능한 모든 사물들(Things)이 인터넷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모든 사물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IoT(Internet of Things; 이하, "사물 인터넷"이라고 한다)라고 한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은 기존의 유선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더욱 진화된 단계로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고, 이는 사물이 인간에 의존하지 않고 통신을 주고받는 점에서 기존의 유비쿼터스(Ubiquitous)나 사물지능통신인 M2M(Machine to Machine)과 유사한 점은 있지만, 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상호 간에 통신이 가능한 정보 통신 기반을 의미한다.
일 측면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제어 대상이 중복됨에 따른 차량과 단말기 간의 기능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허브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허브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단말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허브장치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과 중복되는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을 우선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은, 시동이 턴 온 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리스트를 상기 차량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리스트를 상기 차량의 제어 대상 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과 중복되는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이 입력되는 경우, 승인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을 포함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허브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허브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차량;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대상과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중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상기 차량에 부여하는 허브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판단된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이면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상기 차량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허브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차량과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상기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허브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단말기 및 허브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차량 통신부; 및 시동이 턴 온되면 상기 단말기의 제어대상과 상기 차량의 제어대상 사이에 중복된 제어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설정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다른 허브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고, 차량 및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허브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대상과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중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상기 차량에 부여하는 허브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단말기 및 허브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제어 대상이 중복됨에 따른 차량과 단말기 간의 기능 충돌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기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의 통신 시스템(1)은 사물 인터넷 기기(40, 이하 '디바이스'로 설명한다) 및 이러한 사물 인터넷 기기(40)들과 통신 신호를 주고 받는 허브장치(20)를 포함하며, 허브장치(20)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차량(10) 및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IoT)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요소로는 유형의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각종 서비스 분야와 형태에 적합하게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거나 각종 기술을 융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대량의 데이터 등 사물 인터넷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해킹이나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기술 등이 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IoT)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기(10)에는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TV, 에어컨 등의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각종 가전기기,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 노트북, 각종 센서, 자동차 오디오, 디지털 계량기, 도어 잠금 장치, 게임기, 스피커, 보안 장치 등 우리 주변의 모든 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포함되는 각종 모듈 및 센서들도 이러한 사물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물의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IoT 통신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디바이스(40)들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네트워크 서버와 연결하기 위한 허브장치(20)가 필요하다.
복수의 디바이스(40)들은 허브 장치(100)를 통해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허브장치(20)로부터 할당된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대역(Time Slot)에 기초하여 사물 인터넷을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40)들은 상호간에 사물 인터넷을 수행할 수도 있고, 허브장치(20)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사물 인터넷을 수행할 수도 있다.
허브장치(20)는 디바이스(40)와 다양한 통신 방법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ZigBee 방식 및 Z-WAVE 방식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허브장치(20)는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디바이스(40)로 전송하여 통신 연결한 후, 연결된 디바이스(40)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각 디바이스(40)들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3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러한 허브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30)는 허브장치(2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디바이스(40)에 관한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디바이스(4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바이스(40)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를 지칭한다.
먼저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 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장치(20)와의 통신을 통해 디바이스(40)를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30)와 같이, 차량(10)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러한 허브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 또한 허브장치(2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디바이스(40)에 관한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디바이스(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단말기(30)와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10)은 단말기(3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케이블 연결 등을 통한 유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종래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는 단말기로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차량에서도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단말기와 차량이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및 차량의 제어 대상, 즉 통신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가 동일하다면 단말기 및 차량 상호간의 기능이 충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단말기(30) 및 차량(1) 상호간 기능의 충돌 없이 단말기(30) 및 차량(10) 모두 사물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1)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은 기어박스(160), 센터페시아(130), 스티어링 휠(140) 및 계기판(15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16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기어 레버(16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박스에는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장치나 오디오 장치(133)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기능이나 차량(10)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이얼 조작부(163)와 다양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부(162)가 설치될 수 있다.
대시보드에 마련된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2), 오디오 장치(133) 및 디스플레이(13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1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10)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어박스(160)에 설치된 입력부(162)의 버튼들이나 다이얼 조작부(163)를 통해 공조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오디오 장치(1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는 운전자에게 차량(10)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1)는 센터페시아(13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31)는 차량(10)의 센터페시아(13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1)는 차량(10)에 설치된 장치들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1)는 공조 장치(132), 오디오 장치(133)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디스플레이(131)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장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에 대응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에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계기판(150)은 차량 상태, 차량 주행과 관련된 정보,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하는 계기판 디스플레이(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은 차량(10), 단말기(30) 및 차량(10)과 단말기(30)와 통신 연결 가능한 허브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은 단말기(30) 및 허브장치(20) 중 적어도 하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차량 통신부(110) 및 차량(10)의 다양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통신부(110)는 차량(10)이 허브장치(20) 및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차량 통신부(110)는 허브장치(20)와 통신을 할 경우, 외부에 마련된 서버(미도시)를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통신부(110)는 허브장치(20)와의 통신을 통해, 허브장치(20)와 연결된 디바이스(40)에 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통신부(110)는 디바이스(4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통신부(110)는 단말기(30)와의 통신을 통해, 단말기(3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30)로 차량(10)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통신부(110)가 무선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모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텔레매틱스(Telematics)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텔레매틱스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와 차량 통신부(110)를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다양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Transmitter) 및 다양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할 수 있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의 다양한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차량 통신부(110)가 디바이스(40)에 대한 다양한 제어 명령을 송출할 수 있도록 차량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부(120)는 디바이스(40)에 대한 제어권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단말기(30) 및 허브장치(20) 중 적어도 하나와 교환하도록 차량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허브장치(20)는 차량(10) 및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허브 통신부(210) 및 허브장치(2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허브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통신부(210)는 허브장치(20)가 차량(10) 및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허브 통신부(210)는 디바이스(4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허브 통신부(210)는 디바이스(40)로부터 디바이스(40)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차량(10) 또는 단말기(30)로부터 디바이스(40)에 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디바이스(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허브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차량 통신부(110)의 설명과 동일하다.
허브 제어부(220)는 허브장치(20) 내의 다양한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허브 통신부(210)가 디바이스(40)에 대한 다양한 제어 명령을 수신받고, 이를 다시 디바이스(40)로 전송하도록 허브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허브 제어부(220)는 디바이스(40)에 관한 제어권 설정 및 변경과 관련된 정보를 차량(10) 및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와 교환하도록 허브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30) 또한 차량(10) 및 허브장치(20) 중 적어도 하나와 제어권 설정 및 변경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는 디바이스(40)에 대한 제어 명령을 허브장치(20)로 송출할 수 있고, 디바이스(40)에 대한 제어권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하에서 차량, 단말기 및 허브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에서 차량(10)의 시동이 ON되면(401),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단말기(30) 간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403).
단말기(30)가 사용자의 허브장치(20)와 통신 연결이 되면(402),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기(30)로 제어대상 리스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404). 이 때, 제어대상은 허브장치(20)를 통해 제어 명령을 내릴 대상을 말하며, 사물 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40) 중 제어대상이 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차량(10)의 요청에 회신하여, 단말기(30)는 제어대상 리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405), 차량 제어부(120)는 수신한 단말기(30)의 제어대상 리스트와 차량(10)의 제어대상 리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406).
제어대상 리스트의 비교를 통해(406),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과 단말기(30)의 제어대상 중 중복된 제어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07).
중복된 제어대상이 없는 경우(407의 아니오),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과 허브장치(20) 사이의 통신 연결을 할 수 있다(413). 이 경우, 단말기(30)와 차량(10)간의 제어대상이 중복되지 않으므로, 기능 충돌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중복된 제어대상이 있는 경우(407의 예), 차량 제어부(120)는 단말기(30)에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408).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요청받으면(408), 단말기(30)는 요청 승인에 대한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09). 이 때, 요청 승인에 대한 입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은 별도로 마련된 입력부에 의해 요청 승인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로 확인할 수 있다.
요청 승인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409의 예), 단말기(30)는 승인 신호를 차량(10)으로 전송하고(410),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단말기(30)의 제어권을 해제할 수 있다(411).
이 경우, 단말기(3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해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없으며, 구체적으로 단말기(30)와 허브장치(20)의 통신에서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통신 연결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명령은 차량(10)에서만 전송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30)와 차량(10)의 기능 충돌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그 다음 차량 제어부(120)는 승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412), 승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412의 예),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413).
이 때, 차량 제어부(120)는 별도로 제어권 해제를 하지 않았으므로, 이 경우 차량 제어부(120)는 허브장치(2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10)의 중복된 제어대상을 포함하여 제어대상 리스트에 포함된 디바이스(4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승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412의 아니오), 차량 제어부(1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권을 해제할 수 있다(414). 차량 제어부(1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권을 해제한 채로(414),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413).
이 경우, 차량 제어부(1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해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없으며, 구체적으로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에서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통신 연결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명령은 단말기(30)에서만 전송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30)와 차량(10)의 기능 충돌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차량(10)은 시동이 OFF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415), 차량의 시동이 OFF되면,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416).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차량(10)은 디바이스(40)에 대해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없다.
차량(10) 과 허브장치(2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후,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과 단말기(30) 간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417).
차량(10)과 단말기(30)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단말기(3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권을 설정할 수 있다(418). 구체적으로, 단말기(3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통신 연결이 비활성화된 경우, 이를 다시 활성화시킴으로써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권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기(30)와 차량(10)의 기능 충돌이 일어나지 않고, 차량(10)의 시동이 꺼진 후에는 다시 단말기(30)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에서, 차량(10)의 시동이 ON되는 경우(501)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과 단말기(30) 간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503).
단말기(30)와 허브장치(20) 간의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502), 허브장치(20)의 허브 제어부(220)는 중복된 제어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4). 이 경우, 제어대상은 디바이스(4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브 제어부(220)는 동일한 제어대상에 대한 통신 연결이 차량(10)과 단말기(30) 각각으로부터 수행되는 경우, 중복된 제어대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허브 제어부(220)는 동일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명령이 차량(10) 및 단말기(3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중복된 제어대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중복된 제어대상이 확인되는 경우, 허브 제어부(220)는 단말기(30)로 단말기(3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505), 차량(10)으로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506).
이후, 단말기(3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507)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508), 허브 제어부(220)는 차량(10)과 단말기(30)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X1)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09).
구체적으로, 허브 제어부(220)는 차량(10)과 단말기(3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과 단말기(30) 간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X1)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10)과 단말기(30)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X1)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509의 예), 허브 제어부(2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차량(10)에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브 제어부(220)는 동일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명령이 차량(10) 및 단말기(3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차량(1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우선적으로 제어대상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40) 중 차량(10) 및 단말기(30) 간에 중복되는 제어대상은 차량(10)에 의해서 우선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은 차량(1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이 없는 경우에만 제어대상으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제어대상에 대한 차량(10) 및 단말기(30)의 기능 충돌은 방지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의 시동이 OFF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511), 차량(10)의 시동이 OFF되는 경우,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512).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허브장치(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권을 변경할 수 있다(513).
구체적으로, 허브장치(20)는 차량(10)에 부여한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 우선 권한을 단말기(30)에 부여함으로써 제어권을 차량(10)에서 단말기(30)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기(30)와 차량(10)의 기능 충돌이 일어나지 않고, 차량(10)의 시동이 꺼진 후에는 다시 단말기(30)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에서 전술한 차량(10) 및 단말기(30)의 기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 후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의 시동이 OFF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601).
이 경우, 차량(10) 및 단말기(30)의 기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은 전술한 도 4의 401 내지 413 단계에 포함된 동작 또는 도 5의 501 내지 510 단계에 포함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0) 및 단말기(30)의 기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 이후 차량(10)의 시동이 OFF되는 경우,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602).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후,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과 단말기(30) 간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603).
차량(10)과 단말기(30)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허브장치(20)의 허브 제어부(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604). 이 경우,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는 제어 명령에 따른 중복된 제어대상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장치(20)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기(30)는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605). 구체적으로, 단말기(30)는 기존에 저장된 설정 정보와 허브장치(20)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가 다른 경우, 허브장치(20)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기존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허브장치(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권을 설정할 수 있다(606).
구체적으로 허브 제어부(220)는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권을 단말기(3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허브 제어부(2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단말기(30)와 허브장치(30) 간의 통신 연결이 비활성화된 경우, 이를 다시 활성화시킴으로써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권이 단말기(30)에 부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제어권 변경에 따른 제어 주체의 변경과 상관없이 중복된 제어 대상은 최신의 설정 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에서 전술한 차량(10) 및 단말기(30)의 기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 후 차량 제어부(120)는 차량(10)의 시동이 OFF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701).
이 경우, 차량(10) 및 단말기(30)의 기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은 전술한 도 4의 401 내지 413 단계에 포함된 동작 또는 도 5의 501 내지 510 단계에 포함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0) 및 단말기(30)의 기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 이후 차량(10)의 시동이 OFF되는 경우, 차량(10)과 허브장치(20)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702).
차량(10)과 허브장치(20)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차량 제어부(1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703).
차량 제어부(1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한 후(703), 차량(10)과 단말기(30) 간의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704).
단말기(30)는 차량(10)으로부터 수신된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705). 구체적으로, 단말기(30)는 기존에 저장된 설정 정보와 차량(10)으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가 다른 경우, 차량(10)으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기존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단말기(30)가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705), 허브장치(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권을 설정할 수 있다(706).
구체적으로 허브 제어부(220)는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권을 단말기(3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허브 제어부(220)는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단말기(30)와 허브장치(30) 간의 통신 연결이 비활성화된 경우, 이를 다시 활성화시킴으로써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제어권이 단말기(30)에 부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제어권 변경에 따른 제어 주체의 변경과 상관없이 중복된 제어 대상은 최신의 설정 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통신 시스템
10: 차량
20: 허브장치
30: 단말기
110: 차량 통신부
120: 차량 제어부
210: 허브 통신부
220: 허브 제어부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허브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허브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단말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허브장치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과 중복되는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을 상기 단말기보다 우선하여 제어하는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시동이 턴 온 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리스트를 상기 차량의 제어 대상 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과 중복되는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을 상기 단말기보다 우선하여 제어할 수 있는 우선 권한을 요청하는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상기 우선 권한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을 입력받는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이 입력되는 경우, 승인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을 해제하는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을 포함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허브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을 해제하는 통신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을 재설정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허브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통신 시스템.
  12.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차량;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대상과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중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을 상기 단말기보다 우선하여 제어할 수 있는 우선 권한을 상기 차량에 부여하는 허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이면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상기 단말기보다 우선하여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차량에 부여하는 통신 시스템.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통신 시스템.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허브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차량과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중복된 제어대상에 대한 상기 우선 권한을 상기 단말기에 부여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허브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통신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시동이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의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통신 시스템.
  19. 단말기 및 허브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차량 통신부; 및
    시동이 턴 온되면 상기 단말기의 제어대상과 상기 차량의 제어대상 사이에 중복된 제어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대상을 상기 단말기보다 우선하여 제어할 수 있는 우선 권한을 설정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동이 턴 온 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리스트를 상기 차량의 제어 대상 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과 중복되는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20.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고, 차량 및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허브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대상과 상기 단말기의 제어 대상 중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을 상기 단말기보다 우선하여 제어할 수 있는 우선 권한을 상기 차량에 부여하는 허브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 제어부는,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과 상기 단말기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이면 상기 중복된 제어 대상에 대한 상기 단말기보다 우선하여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상기 차량에 부여하는 허브장치.

KR1020170172002A 2017-12-14 2017-12-14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50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02A KR102504469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US15/970,909 US10855772B2 (en) 2017-12-14 2018-05-04 Vehicle, hub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1810530658.1A CN109963266B (zh) 2017-12-14 2018-05-29 车辆、集线器装置和通信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02A KR102504469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194A KR20190071194A (ko) 2019-06-24
KR102504469B1 true KR102504469B1 (ko) 2023-02-28

Family

ID=6681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002A KR102504469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55772B2 (ko)
KR (1) KR102504469B1 (ko)
CN (1) CN109963266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8489A1 (en) 2012-08-07 2015-07-23 Koninklijke Philips N.V. Timed lighting control
US20170257794A1 (en) 2014-08-26 2017-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between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20170285596A1 (en) * 2016-03-31 2017-10-05 Lenovo (Singapore) Pte. Ltd. Controlling appliance setting based on user 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881A (ja) * 2000-08-23 2002-02-28 Fujitsu Ten Ltd 移動体からの屋内家電機器制御装置
KR20050098180A (ko)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아이케이테크 고주파 무선제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4507884B2 (ja) * 2005-01-11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装置を備える車両
KR100689772B1 (ko) * 2005-04-29 2007-03-0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휴대 인터넷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와 차량용텔레매틱스 시스템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774368B1 (ko) * 2006-03-31 2007-11-07 (주)더싸인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단말기
US8363102B1 (en) * 2006-10-13 2013-01-29 L-3 Communications Mobile-Vision, Inc. Dynamically load balancing date transmission using one or more access points
JP4702322B2 (ja) * 2006-12-14 2011-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8718536B2 (en) * 2011-01-18 2014-05-06 Marwan Hann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mobile devices within a vehicle
US8768567B2 (en) * 2012-10-29 2014-07-01 Broadcom Corporation Intelligent power and control policy for automotive applications
WO2015100218A1 (en) * 2013-12-23 2015-07-02 Robert Bosch Gmbh Job site radio with wireless control
JP6206232B2 (ja) * 2014-02-13 2017-10-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制御装置
EP2950011B1 (en) * 2014-05-29 2019-08-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apparatus that remotely controls air conditioner and terminal apparatus
CN105223913A (zh) * 2014-06-30 2016-01-06 青岛海尔智能家电科技有限公司 用于设备控制的方法及装置
US20160070580A1 (en) * 2014-09-09 2016-03-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gital personal assistant remote invocation
CN104635501B (zh) * 2014-12-25 2017-12-12 芜湖市汽车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智能家居控制方法和系统
KR101714456B1 (ko) * 2015-03-19 2017-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5159122B (zh) * 2015-09-15 2018-12-14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05563124U (zh) * 2016-04-08 2016-09-07 深圳市京华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智能车载终端远程控制智能家居的系统
KR101858811B1 (ko) * 2016-07-05 2018-05-16 주식회사 유코스텍 사용자 기반 개별 제어 기능을 갖는 세대환경 조절장치
CN106292319A (zh) * 2016-08-23 2017-01-04 北京汽车集团有限公司 处理指示信息的方法、车载终端及系统
US9963106B1 (en) * 2016-11-07 2018-05-08 Nio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on in autonomous vehicles
CN107026799B (zh) * 2017-03-01 2020-02-21 杭州伯坦科技工程有限公司 新能源汽车车联网系统车载终端的流量控制方法
CN107274720A (zh) * 2017-05-05 2017-10-2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汽车及多车协同控制方法、系统
US10200934B2 (en) * 2017-05-22 2019-02-05 Cisco Technology, Inc. Data traffic reduction for suspended data service
CN107248943B (zh) * 2017-07-06 2020-09-01 海信集团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8489A1 (en) 2012-08-07 2015-07-23 Koninklijke Philips N.V. Timed lighting control
US20170257794A1 (en) 2014-08-26 2017-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between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20170285596A1 (en) * 2016-03-31 2017-10-05 Lenovo (Singapore) Pte. Ltd. Controlling appliance setting based on user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194A (ko) 2019-06-24
US20190190991A1 (en) 2019-06-20
CN109963266B (zh) 2024-05-28
CN109963266A (zh) 2019-07-02
US10855772B2 (en)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9762B2 (en) Remotely operating a movable barrier operator with auxiliary device
US10912136B2 (en)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wireless ranging
US10134271B1 (en) Vehicle integration with security and/or automation systems
US20170136991A1 (en) System for assigning a smartphone as a temporary key for a vehicle
US20140266635A1 (en) Communicating with residential electrical devices via a vehicle telematics unit
EP3389334B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80227704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on-board apparatus, and program
CN109654679B (zh) 控制空调的方法及装置、系统、存储介质
KR101625617B1 (ko) 차량용 신호 대기 시간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098020A1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US20210250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object using master identity device and slave identity device
KR102504469B1 (ko) 차량, 허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CN111954202B (zh) 运动物体和操作运动物体的方法及边缘计算系统
JP6279301B2 (ja) 連携装置、携帯端末、携帯連携システム
CN114244540B (zh) 权限控制方法、设备、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20094700A (ko) 스마트폰 원격 제어 지원을 위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293324B (zh) 用于传送移动装置锁定图标的车辆计算系统和方法
CN106797550B (zh) 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以及存储介质
US20200019415A1 (en) User terminal, user interface, computer program product, signal sequence, means of transport, and method for setting up a user interface of a means of transport
KR10233044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04904A (ko) 서버,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321113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휴대 단말,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KR20150121593A (ko)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JP2014199634A (ja) 情報端末装置
CN110825066A (zh) 车载设备单元的信息系统及车载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