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593A -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593A
KR20150121593A KR1020140047677A KR20140047677A KR20150121593A KR 20150121593 A KR20150121593 A KR 20150121593A KR 1020140047677 A KR1020140047677 A KR 1020140047677A KR 20140047677 A KR20140047677 A KR 20140047677A KR 20150121593 A KR20150121593 A KR 20150121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udio
car audio
communication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Priority to KR102014004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593A/ko
Publication of KR2015012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오디오;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무선 연결되어 상기 카오디오의 오디오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부와 블루투스 페어링되는 제1 단말통신부; 상기 제1 단말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는 오디오 동작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단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오디오 동작명령에 대응하는 실행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로 차량 및 카오디오를 제어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차량 및 차량의 카오디오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무선 모뎀 및 카오디오의 디스플레이부를 장착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업자 서버와 휴대 단말기 간 통신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므로, 차량의 원격관리가 용이하고, 차량의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서비스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System of controlling car audio and vehicle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카오디오와 휴대 단말기 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차량 및 카오디오의 상태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기를 통해 차량 및 카오디오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크게 늘어나고 스마트폰의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차량 및 차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의 연동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차량, 특히 기존 중장비류(ex 굴삭기 등)에서는 카오디오의 장착이 용이하지 않아서 대부분 의자 밑에 또는 차체 천정 부분에 장착을 해야 하고, 단순히 리모콘으로 제어를 해야 하며, 카오디오의 현재 상태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카오디오의 제어 뿐만 아니라, 차량의 원격 관리를 위해 많은 차량들이 무선 모뎀을 장착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중장비류는 사업자가 무선 모뎀으로 원격관리 서비스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중장비류의 카오디오는 따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않아 제어를 하는데 매우 불편한 상황이며, 디스플레이부로서 LCD 등을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비용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장착 위치를 확보하기도 용이하지 않아, 원격제어나 관리 서비스를 위해서 무선 모뎀을 장착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23923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블루투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및 차량 내부의 전자장치를 직접적으로 원격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의 제어부가 직접적으로 통신하여야 하고, 차량의 제어부가 다수의 전자기기와 연결됨에 따라 차량의 제어부의 구성이 복잡해지며, 사업자 서버 등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차량의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서비스 대응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23923호 (2004.03.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카오디오와 휴대 단말기 간의 간단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차량 및 카오디오의 상태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기를 통해 차량 및 카오디오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오디오;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무선 연결되어 상기 카오디오의 오디오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부와 블루투스 페어링되는 제1 단말통신부; 상기 제1 단말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는 오디오 동작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단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오디오 동작명령에 대응하는 실행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는, 카오디오의 전원상태 정보, MP3 파일 정보, 라디오 주파수정보, 블루투스 설정 정보 및 카오디오 볼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오디오는 차량 인터페이스와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통신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수신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동작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말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제2 단말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단말통신부로 상기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는, 차량의 위치정보 및 차량의 잠금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로 차량 및 카오디오를 제어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 및 차량의 카오디오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무선 모뎀 및 카오디오의 디스플레이부를 장착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업자 서버와 휴대 단말기 간 통신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므로, 차량의 원격관리가 용이하고, 차량의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서비스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의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통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는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의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는 카오디오(100), 상기 카오디오(100)의 오디오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오디오(100)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제1 통신부(110), 차량 인터페이스(10)와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수신된 차량의 고유번호 및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120) 및 MCU(130, main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는 제1 통신부(110)와 블루투스 페어링되는 제1 단말통신부(210), 차량의 고유번호 및 차량의 상태정보를 사업자 서버(300)로 전송하는 제2 단말통신부(220), 카오디오(100) 및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카오디오(100)의 제1 통신부(110)와 휴대 단말기(200)의 제1 단말통신부(210)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블루투스를 통한 상호 접속은 SPP 프로파일(Serial Port Profile)에 의한 무선 설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의 (a)와 같이 제1 통신부(110)와 제1 단말통신부(210) 간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도 2의 (b)와 같이 제1 통신부(110)에서 제1 단말통신부(210)로 오디오 제어정보가 전송되고, 도 2의 (c)와 같이 제어부(230)는 제1 단말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후술할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40)에서는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직관적인 형태로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는, 카오디오의 전원상태 정보, MP3 파일 정보, 라디오 주파수정보, 블루투스 설정 정보 및 카오디오 볼륨정보 등을 포함하며, 도 3 (a) 내지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40)에서는 다양한 오디오 제어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종래의 카오디오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하더라도 핸즈프리 및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를 카오디오로 듣는 기능이 전부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카오디오(100)가 구현할 수 없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휴대 단말기(200)가 대신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오디오 제어정보는, 라디오 주파수 뿐만 아니라 카오디오의 MP3 player 부분, 오디오의 볼륨 조절 등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30)는 제1 단말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카오디오(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오디오 동작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종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카오디오 제어를 포함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40)를 터치하여 키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키 입력을 통해 도 3 (a)에 도시된 카오디오의 전원을 on/off 제어하거나, 도 3 (b)에 도시된 오디오의 볼륨 조절, 도 3 (c)에 도시된 라디오의 주파수 선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터치하여 키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휴대 단말기(200)에 구비된 버튼 등의 다른 키 입력 방식을 통해 오디오 동작명령의 생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230)는 상기 키 입력방식을 통해 오디오 동작명령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제어부(230)에서 생성된 상기 오디오 동작명령에 대응하는 실행정보(가령, 전원이 on이 된 상태표시, 볼륨의 높낮이 표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를 통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카오디오(100)는 차량 인터페이스(10)와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 네트워크로 CAN 통신을 실시예로 기술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이외에도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네트워크 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도 사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제1 단말 통신부(210)는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어부(230)로 전달하고, 제어부(230)는 제2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동작명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는, 차량의 위치정보 및 차량의 잠금상태정보를 포함한다.
도 4를 이용하여, 차량의 동작명령 중, 차량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에 관한 동작명령을 예시로 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의 (a)와 같이 제1 통신부(110)와 제1 단말통신부(210) 간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도 4의 (b)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의 제1 단말통신부(210)에서 카오디오(100)의 제1 통신부(110)로 차량 제어정보, 가령 차량의 잠금/잠금해제 정보가 전송되고, 도 4의 (c)와 같이 차량 인터페이스(10)로 차량의 잠금/잠금해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사업자 서버(300)는 제2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전송된 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제2 단말통신부(220)로 상기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는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오디오(100)의 동작이 개시되면, 카오디오(100)의 제1 통신부(110)와 휴대 단말기(200)의 제1 단말통신부(210) 간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진다. 블루투스 페어링이 완료되면 제1 통신부(110)에서 제1 단말통신부(210)로 오디오 제어정보가 전송되고, 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는 카오디오 모드를 실행한다. 이는 카오디오 모드 실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됨으로 구현 가능하다.
휴대 단말기(200)에서 카오디오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형태로 외부에 표시된다.
한편, 제어부(230)는 오디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카오디오(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오디오 동작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카오디오(100)에 전송하고, 카오디오(100)는 MCU(130)를 통해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사업자 서버(300)는 제2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전송된 상기 차량의 고유번호 및 차량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제2 단말통신부(220)로 상기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30)가 차량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동작명령을 직접 생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200)에서 사용자 서버(300)로 차량의 고유번호 및 차량의 상태정보를 전달하면, 사용자 서버(300)에서 이에 근거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제2 단말통신부(220)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230)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동작명령을 생성하여, 카오디오(100)로 전송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차량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카오디오(100)로 차량의 고유번호(ID) 정보를 전송한다. 차량의 고유번호가 카오디오(100)로 전송되면, 휴대 단말기(200)는 차량의 고유번호를 등록하고(차량 ID 등록),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후, 차량 인터페이스(10)로부터 차량 상태정보가 카오디오(100)로 전달되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상태정보가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차량 상태정보를 사업자 서버(300)로 전송하며, 사업자 서버(300)는 차량의 고유번호 및 차량 상태정보를 등록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와 차량이 블루투스로 페어링되면, 최초 1회 차량의 고유번호를 등록한 후 차량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주기적으로 차량의 고유번호와 차량 상태정보를 사용자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게 되며, 이 서비스는 사업자의 서비스 정책 및 사용자의 동의 하에서 이루어 진다.
사업자 서버(300)는 차량의 고유번호와, 차량 상태정보(가령 차량의 잠금상태정보 등)를 분석하여, 주기적으로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 발생시 휴대 단말기(200)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가령, 차량 잠금 기능)을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즉각적인 서비스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사업자 서버(300)와 휴대 단말기(200) 간 통신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므로, 차량의 원격관리가 용이하고, 차량의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서비스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 인터페이스 100: 카오디오
110: 제1 통신부 120: 제2 통신부
130: MCU 200: 휴대 단말기
210: 제1 단말통신부 220: 제2 단말통신부
230: 제어부 240: 디스플레이부
300: 사용자 서버

Claims (5)

  1.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오디오;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무선 연결되어 상기 카오디오의 오디오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부와 블루투스 페어링되는 제1 단말통신부;
    상기 제1 단말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는 오디오 동작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단말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오디오 동작명령에 대응하는 실행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제어정보는, 카오디오의 전원상태 정보, MP3 파일 정보, 라디오 주파수정보, 블루투스 설정 정보 및 카오디오 볼륨정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오디오는 차량 인터페이스와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통신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수신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동작명령을 생성하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말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제2 단말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단말통신부로 상기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는, 차량의 위치정보 및 차량의 잠금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140047677A 2014-04-21 2014-04-21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KR20150121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677A KR20150121593A (ko) 2014-04-21 2014-04-21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677A KR20150121593A (ko) 2014-04-21 2014-04-21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593A true KR20150121593A (ko) 2015-10-29

Family

ID=5443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677A KR20150121593A (ko) 2014-04-21 2014-04-21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5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2875A (zh) * 2019-07-18 2021-01-19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收听车载收音机的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2875A (zh) * 2019-07-18 2021-01-19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收听车载收音机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098B2 (en) Efficient headunit communication integration
US8813198B2 (en) Configuration of accessories for wireless network access
US10134271B1 (en) Vehicle integration with security and/or automation systems
US20160007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new bluetooth device
CN104641622A (zh) 用于借助于移动电话控制车载计算机的系统
US8839366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ular apparatus
KR101984874B1 (ko) 사용자단말과 외부장치 간 연결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841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low level function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0306698B2 (en) Method for setting up and operating a wireless network
US9742810B2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CN113556715A (zh) 设备连接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介质和电子设备
US20150195650A1 (en) Method for audio receiver to select audio source from multiple transmitters
CN105897858B (zh) 促进移动装置和车辆计算机系统之间的通信的系统和方法
KR20150121593A (ko) 휴대 단말기를 통한 카오디오 및 차량 제어 시스템
KR101551075B1 (ko)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293324B (zh) 用于传送移动装置锁定图标的车辆计算系统和方法
CN104853318A (zh) 移动装置、显示装置及使用其的多媒体输出方法
EP4020936B1 (en) Switchable communication transport for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devices and vehicle head units
JP6020211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中継サーバ、および、中継サーバ用プログラム
JP7283732B2 (ja) 車両通信システム
KR20170112290A (ko) Avn 기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시스템 장치
JP2016005126A (ja) 携帯機器、プログラム及び内部情報送信システム
JP2014147076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両用通信装置、携帯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
CN111107545A (zh) 一种基于nfc的账号同步方法、介质及终端
KR20090024579A (ko) 블루투스 장치 검색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