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929B1 -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Google Patents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3929B1 KR102503929B1 KR1020220047921A KR20220047921A KR102503929B1 KR 102503929 B1 KR102503929 B1 KR 102503929B1 KR 1020220047921 A KR1020220047921 A KR 1020220047921A KR 20220047921 A KR20220047921 A KR 20220047921A KR 102503929 B1 KR102503929 B1 KR 102503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ootbridge
- cantilever structure
- fastening
- shap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20 waste ty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52 Lari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590 Larix decidu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는 옹벽, 교량 또는 도로의 수직면에 시공되어 인도를 확장시키기 위한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로서, 상기 수직면에 결합되는 각각의 앵커판재; 폐도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한쪽이 상기 앵커판재와 일체화되는 지점부와, 상기 지점부의 반대쪽에서 V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지지부로 이루어진 V형 거더; 상기 제1,2 지지부에 마련되는 난간; 및 상기 V형 거더의 상면에 시공되는 데크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브의 수직면에 시공되는 각 거더들의 지점부 단면을 박스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형고를 키우지 않아도 지점부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거더에 설치되는 데크로드의 보행공간을 구성하는 데크재를 직결나사가 아닌 클립으로 간접 고정함으로써 데크재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서 기존의 인도만으로는 통행량을 만족시키지 못하거나,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인도가 마련되지 않아 이를 부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확장을 위한 시공을 요하게 된다.
종래의 교량에 보행자 등의 통행을 위해 확장이 가능하도록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47143호(공고일 : 2014.10.06)의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가 제시된 바 있다.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는 로드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로드를 확장하는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에 관한 것으로, 로드의 측변을 따라 비탈부에 일정간격으로 박혀서 고정되는 고정 파일,; 상기 고정 파일의 상부에 위치하며, 연결공간이 구비된 지지 블록과, 일측이 상기 지지 블록의 상부에 위치된 후 타측이 외곽쪽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과, 상기 연결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에 상기 연장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부와, 상기 연장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어 보도를 형성하는 커버부와, 상기 연장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종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구조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공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4833호(공고일 : 2015.07.08)에는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는, 인도교의 통행 하중을 교량측에 전달하는 인도교 받침보의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어 통행로 폭이 증가되고, 인도교 받침보가 받는 수직 하중을 분산시켜 시공 안전성이 향상되고, 안전 난간의 강성이 증가되고 난간 하부측 외관의 형상 변경이 용이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확장형 인도교는, 교량의 상부 슬라브에 거더(받침보)가 앵커로 고정 설치되었으나, 캔틸레버형 거더의 특성상 가장 큰 힘을 받는 지점부, 즉 앵커가 설치되는 단부에 가장 큰 휨모멘트가 작용하기 때문에 단부의 구조적 안전성을 위하여 단부의 단면(높이)을 키우거나 거더 하단에 브라켓을 추가로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거더의 상면에 시공되는 데크로드는 천연목재로 된 데크재를 직결나사로 관통하여 체결하고 있었기 때문에 데크재의 쪼개짐,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직결나사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진동으로 인하여 풀릴 경우에 보행자의 보행에 간섭되어 안전상의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장형 인도교를 시공함에 있어서 슬라브의 수직면에 결합되는 거더들의 지점부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더에 시공되는 데크로드의 데크재를 직결나사를 관통하여 체결하지 않고 클립으로 간접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간을 거더의 바깥쪽에 배치함으로써 보행공간을 확장시켜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옹벽, 교량 또는 도로의 수직면에 시공되어 인도를 확장시키기 위한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로서, 상기 수직면에 결합되는 각각의 앵커판재; 폐도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한쪽이 상기 앵커판재와 일체화되는 지점부와, 상기 지점부의 반대쪽에서 V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지지부로 이루어진 V형 거더; 상기 제1,2 지지부에 마련되는 난간; 및 상기 V형 거더의 상면에 시공되는 데크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V형 거더는, 상기 제1,2 지지부의 단부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제1,2 지지부의 단부에 일체화 되는 제1,2 마감판; 수평단의 양쪽은 상기 제1,2 지지부의 단부 상면에 각각 지지되고 수직단의 양쪽은 상기 제1,2 마감판에 각각 지지되는 마감 브라켓; 상기 제1 마감판에 대응되는 상기 수직단의 한쪽 바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체결볼트들에 의해 상기 제1 마감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 브라켓의 일단과 함께 상기 제1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보강판; 및 상기 제2 마감판에 대응되는 상기 수직단의 반대쪽 바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 체결볼트들에 의해 상기 제2 마감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 브라켓의 타단과 함께 상기 제2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보강판은, 상기 난간의 기둥을 보행로의 바깥쪽에 배치하여 보행로가 확장되도록 상단에서 바깥쪽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난간 확장부; 및 상기 제1 결합 보강판과 상기 난간 확장부를 지지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로드는, 상기 V형 거더의 상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결합되는 각관; 천연목재로 이루어져 상기 각관의 상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데크재; 및 상기 데크재를 간접적으로 상기 각관에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우산형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우산형 클립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각관의 상면에 안착되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단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각각 만곡지게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변형공간을 각각 형성하면서 자체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데크재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면서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가압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각관의 내부에 마련되는 체결판에 체결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각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판은, 상기 고정나사의 체결시 탄성을 발생시켜 상기 체결판을 탄력 지지하여 상기 고정나사의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한 판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관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부를 관통한 상기 고정나사가 상기 체결판에 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장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공의 양쪽 지지단 일부가 하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보강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결된 배출홈이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확장형 인도교를 시공함에 있어서 슬라브의 수직면에 결합되는 거더들의 지점부 단면을 폐도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지점부의 형고를 키우지 않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더의 지점부 단면을 폐도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수직면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거더의 시공이 가능하고, 지점부를 제외한 양쪽의 지지부를 H빔 형태로 슬림하게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더의 지점부를 기준으로 각각의 지지부를 V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거더로 두 개의 거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크로드의 보행공간을 구성하는 데크재를 양쪽에 가압편이 형성된 우산형 클립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데크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크재의 변형을 방지하여 원형이 보존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간을 지지하는 기둥이 보행로의 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기둥이 보행로를 침범하지 않게 되어 보행로가 확장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V형 거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에 데크로드와 난간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우산형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우산형 클립을 이용하여 데크재를 간접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우산형 클립이 데크재를 간접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우산형 클립에 의해 데크재가 간접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V형 거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에 데크로드와 난간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우산형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우산형 클립을 이용하여 데크재를 간접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우산형 클립이 데크재를 간접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우산형 클립에 의해 데크재가 간접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V형 거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구조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는, 옹벽, 교량 또는 도로의 수직면에 수직면(12)에 시공되어 인도를 확장시키기 위한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슬라브(10)의 수직면(12)에 결합되는 각각의 앵커판재(180)와, 폐도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한쪽이 앵커판재(180)와 일체화되는 지점부(114) 및 지점부(114)의 반대쪽에서 V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지지부(116A,116B)로 이루어진 V형 거더(100)와, 제1,2 지지부(116A,116B)에 마련되는 난간(400) 및 V형 거더(100)의 상면에 시공되는 데크로드(80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V형 거더(100)는, 데크로드(800)을 지지하기 위한 인도교의 골격으로, 슬라브(10)의 수직면(12)에 앵커로 고정되는 앵커판재(180)에 외팔보형(캔틸레버 -cantilever)으로 결합된다.
V형 거더(1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도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한쪽이 앵커판재(180)와 용접을 포함한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화되는 지점부(114)와, 지점부(114)의 반대쪽에서 서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V형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2 지지부(116A,116B)로 이루어진다. 지점부(114)는, 폐도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점부(114)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점부(114)가 폐도형의 단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지점부(114)의 단면을 키우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V형 거더(100)의 저면을 받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과 같은 구성요소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제1,2 지지부(116A,116B)는 지점부(114)보다는 더 슬림하도록 H빔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점부(114)가 폐도형의 박스형 단면으로 견고하게 구성되고, 제1,2 지지부(116A,116B)가 H형 단면으로 슬림하게 구성됨으로써 지점부(114)에 작은 휨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구조적 안전성을 갖게 된다.
특히, 지점부(114)를 중심으로 제1,2 지지부(116A,116B)가 'V'자 형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1개의 지점부(114)로 2개의 지지부(116A,116B)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V형 거더(100)들을 도 1 및 도 3,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2 지지부(116A,116B)의 단부가 이웃하는 다른 거더의 지지부에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데크로드(8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V형 거더(100)는, 제1,2 지지부(116A,116B)의 단부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120)를 더 포함한다.
마감부재(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지지부(116A,116B)의 단부에 용접으로 일체화 되는 제1,2 마감판(122A,122B)과, 수평단(124A)의 양쪽은 제1,2 지지부(116A,116B)의 단부 상면에 각각 지지되고 수직단(124B)의 양쪽은 제1,2 마감판(122A,122B)에 각각 지지되는 마감 브라켓(124)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마감판(122A)에 대응되는 수직단(124)의 한쪽 바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체결볼트(123A)들에 의해 제1 마감판(122A)에 결합되어 마감 브라켓(124)의 일단과 함께 제1 지지부(116A)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보강판(128)과, 제2 마감판(122B)에 대응되는 수직단(124B)의 반대쪽 바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 체결볼트(123B)들에 의해 제2 마감판(122B)에 결합되어 마감 브라켓(124)의 타단과 함께 제2 지지부(116B)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보강판(126)을 포함한다.
이러한 마감부재(120)의 구조에 의해 제1,2 지지부(116A,116B)의 단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 보강판(128)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400)의 기둥(410)을 보행로의 바깥쪽에 배치하여 보행로가 확장되도록, 상단에서 바깥쪽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난간 확장부(128A)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결합 보강판(128)의 전면과 난간 확장부(128A)의 저면에 각 일단이 용접으로 결합되어 제1 결합 보강판(128)에 대하여 난간 확장부(128A)를 받쳐 지지하는 보강리브(128B)를 더 포함한다.
제1 결합 보강판(128)에 난간 확장부(128A)가 마련됨으로써 난간(400)의 기둥(4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재(810)들이 구성하는 보행공간(WS)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보행공간(WS)이 확장될 수 있다.
난간 확장부(128A)에 설치되는 난간(400)은, 데크로드(800)의 보행공간(WS)을 보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진 내부기둥과, 내부기둥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목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부기둥으로 이루어진 기둥(410)과, 각각의 기둥(410)을 연결하는 난간대(420)들로 이루어진다. 난간대(420)는 가로난간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로난간들과 세로난간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로난간의 각 단부는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기둥(410)과 결합될 수 있고, 직접적으로 기둥(4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기둥(410)이 전술한 제1 결합 보강판(128)의 난간 확장부(128A)에 설치됨으로써 보행공간(WS)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공간(WS)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난간 확장부(128A)의 상면에 기둥(410)이 결합됨으로써 기둥(410)이 보행공간(WS)을 침범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보행공간(WS)은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기둥(410)이 보행공간(WS) 내에 위치하게 되면 기둥(410)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보행공간(WS)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나, 본 발명과 같이 기둥(410)이 난간 확장부(128A)에 설치되어 보행공간(WS)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보행공간(WS)이 확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V형 거더(100)와 마감부재(120)의 시공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V형 거더(100)의 지점부(114) 단부에 앵커판재(180)를 용접하여 일체화하고, 각 제1,2 지지부(116A,116B)의 단부에 제1,2 마감판(122A,122B)을 각각 용접하여 일체화 한다.
그리고, 제1 마감판(122A)과 제2 마감판(122B)에 마감 브라켓(124)의 양쪽 수직단(124B) 내측면을 밀착시킨 후 수직단(124B)의 바깥쪽 면에 제1,2 결합 보강판(128,126)을 밀착시킨다. 이어서 제1,2 체결볼트(123A,123B)들을 제1,2 결합 보강판(128,126)과 수직단(124B)으로 관통시켜 제1,2 마감판(122A,122B)에 체결한다.
이 과정으로 마감부재(120)는 제1,2 지지부(116A,116B)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1,2 지지부(116A,116B)의 단부가 마감된다.
이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12)에 앵커판재(180)를 밀착시킨 후 앵커볼트로 고정한다. 이 과정으로 V형 거더(100)의 지점부(114)는 수직면(12)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마감부재(120)는 V형 거더(100)가 수직면(12)에 시공된 후에 제1,2 지지부(116A,116B)에 결합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V형 거더(100)와 마감부재(120)가 슬라브(10)에 시공되면, V형 거더(100)와 마감부재(120)에 데크로드(800) 시공한다.
전술한 데크로드(800)는, V형 거더(100)의 상면에 시공되는 것으로, V형 거더(100)의 상면과 마감 브라켓(124)의 상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결합되는 각관(130)과, 천연목재로 이루어져 각 각관(130)의 상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데크재(810)와, 데크재(810)를 간접적으로 각관(130)에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우산형 클립(820)을 포함한다.
V형 거더(100)의 상면 및 마감 브라켓(124)에 설치되는 각각의 각관(130)들은 데크재(810)들이 V형 거더(100)의 상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데크재(8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관(130)의 내부에는, 데크재(810)를 밟고 보행하는 보행자에 의한 보행충격을 완충하고 소음을 방지하며 데크재(810)를 각관(130)에 간접 결합하는 고정나사(830), 즉 우산형 우산형 클립(820)을 각관(130)에 고정하는 고정나사(830)의 풀림을 방지하고 빗물을 포함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폐타이어칩을 포함하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충진재는, 폐타이어칩 85-95중량% 및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바인더 5-15중량%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폐타이어칩 90중량%와 바인더 10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크재(810)들은 각관(130)의 상면에 우산형 클립(820)에 의해 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보행로를 형성하여 데크로드(800)를 구성한다.
데크재(810)는, 천연목재, 합성목재, 낙엽송탄화목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 각관(130)의 상면에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보행공간(WS)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데크재(810)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들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각각 형성되며, 폭 방향 양 측면에는 안착홈(814)이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각각 형성된다. 양쪽의 안착홈(814)은, 각 우산형 클립(820)의 양쪽에 형성된 가압편(822)이 양쪽에서 각각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가압편(822)의 외측면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데크재(810)는, 양쪽의 안착홈(814)에 각 우산형 클립(820)의 가압편(822)이 각각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각관(1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데크재(810)를 각관(130)에 고정하기 위한 우산형 클립(820)은, 데크재(810)를 비 체결방식(간접 고정식)으로 각관(13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우산형 클립(82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높이 및 길이로 형성되고 중간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관통공(824A)을 구비하고 각관(130)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정부(824)와, 고정부(824)의 상단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각각 만곡지게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고정부(824)와의 사이에 변형공간(S)을 각각 형성하면서 자체 탄성을 구비하고, 데크재(810)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814)에 삽입되면서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가압편(8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편(822)은, 끝단에서 고정부(824)의 상단 쪽으로 갈수록 점차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가압편(822)이 견고한 지지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데크재(810)의 수축 또는 팽창시 변형되면서 데크재(810)의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압편(822)의 끝단이 고정부(824)의 상단 쪽보다 더 얇게 형성되므로 큰 하중이 작용할 때 보다 큰 탄성력을 발생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가압편(822)의 끝단에서 고정부(824)로 갈수록 점차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보다 강한 지지력으로 데크재(810)를 견고하게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824)의 상부 양쪽에 가압편(82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824)의 양쪽면과 각 가압편(822) 사이에 변형공간(S)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부재(824)의 양쪽면과 각 가압편(822) 사이에 변형공간(S)이 형성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양쪽 데크재(810)의 수축 및 팽창시 각 가압편(822)이 충분히 변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가압편(822)이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으로써 데크재(810)의 수축 및 팽창시에도 가압편(822)은 안착홈(814)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824)의 저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824A)과 연결된 배출홈(824B)이 고정부(82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배출홈(824B)은 관통공(824A)으로 배출된 빗물이 고이지 않고 고정부(824)의 저면 양쪽으로 배출되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빗물 배출구조에 의해 고정부(824) 상면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배출홈(824B)을 통하여 고정부(824)의 하부 양쪽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우산형 클립(820)의 고정부(824)는, 관통공(824A)을 통하여 각관(1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체결판(840)에 체결되는 고정나사(830)에 의해 각관(130)에 고정된다.
체결판(840)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830)의 체결시 탄성을 발생시켜 체결판(840)을 탄력 지지하여 고정나사(830)의 체결력을 강화하고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판스프링(842)을 더 포함한다. 즉, 판스프링(842)은 체결판(840)의 상면과 각관(13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나사(830)의 체결시 압축되면서 탄성을 발생시켜 고정나사(830)의 풀림을 방지하고 체결력을 강화한다.
한편, 데크재(700)들이 시공되는 각관(130)의 상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824)의 관통공(824A)을 관통한 고정나사(830)가 체결판(840)에 가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부(824)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장공(130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관(130)의 장공(130B)이 형성됨으로써 고정나사(830)가 관통공(824A)과 장공(130B) 및 판스프링(842)을 관통하여 각관(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체결판(840)에 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우산형 클립(820)의 이동이 가능하다. 즉, 각관(130)에 장공(130B)이 형성됨으로써 우산형 클립(82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장공(130B)의 양쪽 지지단(130A) 가장자리는, 도 9에 도시된 원형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산형 클립(820)이 결합되었을 때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향으로 절곡되어 보강단(130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양쪽의 지지단(130A)의 각 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보강단(130C)이 형성되므로, 고정나사(830)이 체결판(840)에 체결될 때 각 보강단(130C)이 체결판(84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산형 클립(82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클립(820)들을 이용하여 데크재(810)들을 비 체결방식으로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형 클립(820)의 관통공(824A)으로 고정나사(830)을 관통시킨 후 관통공(824A)을 통과한 고정나사(830)에 판스프링(842)을 끼우고 체결판(840)에 체결하여 가결합 한다.
고정나사(830)에 체결한(840)이 가결합 되면, 각관(130)의 측면에서 우산형 클립(820)은 각관(130)의 상면에 위치하고 판스프링(842)과 체결판(840)은 각관(1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우산형 클립(820)을 수평 이동시킨다.
이 과정으로 우산형 클립(820)은 각관(130)의 상면에 위치하고 판스프링(842)과 체결판(840)은 각관(130)의 내부에 위치하며 판스프링(842)과 우산형 클립(820) 저면 사이에 해당하는 고정나사(830)의 일부분은 장공(130B)에 위치하게 되고, 우산형 클립(820)은 각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위 과정을 반복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우산형 클립(820A,820B,820C,820D)을 각관(130)의 장공(130B)에 설치한다.
각각의 우산형 클립(820A,820B,820C,820D)이 설치되면, 첫번째 우산형 클립(820A)의 고정나사(830)를 조인다. 고정나사(830)를 조이면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판(840)이 장공(130B)의 양쪽 지지단(130A) 저면에 밀착되므로 우산형 클립(820A)은 각관(130)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첫번째 우산형 클립(820A)이 각관(130)에 고정되면 첫번째 데크재(810A)를 첫번째 우산형 클립(820A)에 밀착시켜 한쪽의 가압단(822)이 첫번째 데크재(810A)의 한쪽 안착홈(814)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어서, 두번째 우산형 클립(820B)의 한쪽 가압단(822)을 첫번째 데크재(810A)의 반대쪽 안착홈(814)에 삽입하여 가압한 후 두번째 우산형 클립(820B)의 고정나사(830)을 조인다. 두번째 우산형 클립(820B)의 고정나사(830)을 조임에 따라 두번째 우산형 클립(820B)은 각관(130)에 고정되면서 첫번째 데크재(810)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 과정으로 첫번째 데크재(810)는 첫번째 우산형 클립(820A)과 두번째 우산형 클립(820B)에 의해 각관(130)에 간접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종래기술과 같이 직결나사에 의해 각관(130)에 고정되지 않게 되므로 직결나사에 의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데크재(810)가 수축 팽창하더라도 첫번째 우산형 클립(820A)과 두번째 우산형 클립(820B)의 각 가압단(822)이 첫번째 데크재(810A)를 양쪽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므로 변형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첫번째 우산형 클립(820A)을 고정하고 첫번재 데크재(810A)을 수평 이동시켜 첫번째 우산형 클립(820A)의 가압단(822)에 밀착시킨 후 두번째 우산형 클립(820B)을 데크재(810A)의 반대쪽으로 밀착시킨 후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각 데크재(810A,810B,810C)들이 간접 고정방식으로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130)에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데크재(8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의 가압단(822)이 데크재(810)를 양쪽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므로 데크재(810)의 수축 팽창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데크재(810)가 우산형 클립(820)에 의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고정됨으로써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데크재(810)가 직결나사 없이 양 측면에서 가압하는 우산형 클립(820)에 의해 고정되므로 보행자의 보행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우산형 클립(820)을 각관(130)에 가 결합한 상태에서 각 우산형 클립(820) 사이에 데크재(810)를 배치한 후 고정나사(830)을 조이는 것만으로 데크재(810)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데크재(810)의 시공 속도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V형 켄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는, 거더(100)를 V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거더(100)가 2개의 거더(100)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거더(100)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거더(100)의 지점부(114) 단면을 폐도형 단면으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지지 브라켓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지점부(114)의 단면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데크로드(800)의 난간(400)이 난간 확장부(128A)에 설치됨으로써 데크재(810)가 형성하는 보행공간(WS)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데크로드(800)의 보행공간(WS)을 구성하는 데크재(810)가 우산형 클립(820)에 의해 간접 고정방식으로 각 각관(13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데크재(810)들을 각관(130)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데크재(810)를 고정하기 위한 직결나사가 사용되지 않아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산형 클립(820)이 데크재(810)의 양쪽에서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목재로 된 데크재(810)의 수축 팽창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슬라브 12 : 수직면
100 : 거더 114 : 지점부
116A,116B : 제1,2 지지부 120 : 마감부재
122A,122B : 제1,2 마감판 123A : 제1 체결볼트
123B : 제2 체결볼트 124 : 마감 브라켓
126 : 제2 결합 보강판 128 : 제1 결합 보강판
128A : 난간 확장부 128B : 보강리브
400 : 난간 410 : 기둥
420 : 난간대 130 : 각관
130A : 지지단 130B : 장공
130C : 보강단 800 : 데크로드
810 : 데크재 820 : 우산형 클립
810 : 데크재 820 : 우산형 클립
830 : 고정나사 840 : 체결판
842 : 판스프링
100 : 거더 114 : 지점부
116A,116B : 제1,2 지지부 120 : 마감부재
122A,122B : 제1,2 마감판 123A : 제1 체결볼트
123B : 제2 체결볼트 124 : 마감 브라켓
126 : 제2 결합 보강판 128 : 제1 결합 보강판
128A : 난간 확장부 128B : 보강리브
400 : 난간 410 : 기둥
420 : 난간대 130 : 각관
130A : 지지단 130B : 장공
130C : 보강단 800 : 데크로드
810 : 데크재 820 : 우산형 클립
810 : 데크재 820 : 우산형 클립
830 : 고정나사 840 : 체결판
842 : 판스프링
Claims (10)
- 옹벽, 교량 또는 도로의 수직면에 시공되어 인도를 확장시키기 위한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로서,
상기 수직면에 결합되는 각각의 앵커판재;
폐도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한쪽이 상기 앵커판재와 일체화되는 지점부와, 상기 지점부의 반대쪽에서 V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지지부로 이루어진 V형 거더;
상기 제1,2 지지부에 마련되는 난간; 및
상기 V형 거더의 상면에 시공되는 데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V형 거더의 제1,2 지지부의 단부는 이웃한 V형 거더의 제1,2 지지부와 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V형 거더는,
상기 제1,2 지지부의 단부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제1,2 지지부의 단부에 일체화 되는 제1,2 마감판;
수평단의 양쪽은 상기 제1,2 지지부의 단부 상면에 각각 지지되고 수직단의 양쪽은 상기 제1,2 마감판에 각각 지지되는 마감 브라켓;
상기 제1 마감판에 대응되는 상기 수직단의 한쪽 바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체결볼트들에 의해 상기 제1 마감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 브라켓의 일단과 함께 상기 제1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보강판; 및
상기 제2 마감판에 대응되는 상기 수직단의 반대쪽 바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 체결볼트들에 의해 상기 제2 마감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 브라켓의 타단과 함께 상기 제2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보강판은,
상기 난간의 기둥을 보행로의 바깥쪽에 배치하여 보행로가 확장되도록 상단에서 바깥쪽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난간 확장부; 및 상기 제1 결합 보강판과 상기 난간 확장부를 지지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는,
상기 V형 거더의 상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결합되는 각관;
천연목재로 이루어져 상기 각관의 상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데크재; 및
상기 데크재를 간접적으로 상기 각관에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우산형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형 클립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각관의 상면에 안착되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단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각각 만곡지게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변형공간을 각각 형성하면서 자체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데크재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면서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가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각관의 내부에 마련되는 체결판에 체결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각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은,
상기 고정나사의 체결시 탄성을 발생시켜 상기 체결판을 탄력 지지하여 상기 고정나사의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한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관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부를 관통한 상기 고정나사가 상기 체결판에 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장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양쪽 지지단 일부가 하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보강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결된 배출홈이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7921A KR102503929B1 (ko) | 2022-04-19 | 2022-04-19 |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7921A KR102503929B1 (ko) | 2022-04-19 | 2022-04-19 |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3929B1 true KR102503929B1 (ko) | 2023-03-22 |
Family
ID=8600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7921A KR102503929B1 (ko) | 2022-04-19 | 2022-04-19 |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392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2708B1 (ko) * | 2024-03-04 | 2024-09-04 | 주식회사 에이치티 | 모듈형 데크를 이용한 데크 시스템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7756U (ja) * | 1996-11-14 | 1997-05-20 | 友和産業株式会社 | ルーバー取付け具 |
KR101447143B1 (ko) | 2012-09-27 | 2014-10-06 | 장유배 |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 |
KR101534833B1 (ko) | 2014-05-12 | 2015-07-08 | 주식회사 이진 |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1664785B1 (ko) * | 2016-01-26 | 2016-10-11 | 주식회사다우스 | 캔틸레버 구조를 응용한 확장형 인도교 |
KR20160141987A (ko) * | 2015-06-02 | 2016-12-12 | 주식회사 포스코 | 거더 구조물 |
KR101708671B1 (ko) * | 2016-07-13 | 2017-02-22 | 휴인 주식회사 |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데크로드 구조물 |
KR101769884B1 (ko) * | 2017-03-20 | 2017-08-30 | 주식회사 임성 |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
KR101833784B1 (ko) * | 2017-04-27 | 2018-03-02 | (주)우진기술단 |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원형고정브라켓을 이용한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KR101884657B1 (ko) * | 2018-02-21 | 2018-08-02 |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 클립을 이용한 조립식 데크 |
KR20210070527A (ko) * | 2019-12-05 | 2021-06-15 | (주) 나무들 | 이탈착식 데크로드 |
-
2022
- 2022-04-19 KR KR1020220047921A patent/KR102503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7756U (ja) * | 1996-11-14 | 1997-05-20 | 友和産業株式会社 | ルーバー取付け具 |
KR101447143B1 (ko) | 2012-09-27 | 2014-10-06 | 장유배 |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 |
KR101534833B1 (ko) | 2014-05-12 | 2015-07-08 | 주식회사 이진 |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
KR20160141987A (ko) * | 2015-06-02 | 2016-12-12 | 주식회사 포스코 | 거더 구조물 |
KR101664785B1 (ko) * | 2016-01-26 | 2016-10-11 | 주식회사다우스 | 캔틸레버 구조를 응용한 확장형 인도교 |
KR101708671B1 (ko) * | 2016-07-13 | 2017-02-22 | 휴인 주식회사 |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데크로드 구조물 |
KR101769884B1 (ko) * | 2017-03-20 | 2017-08-30 | 주식회사 임성 |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
KR101833784B1 (ko) * | 2017-04-27 | 2018-03-02 | (주)우진기술단 |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원형고정브라켓을 이용한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KR101884657B1 (ko) * | 2018-02-21 | 2018-08-02 |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 클립을 이용한 조립식 데크 |
KR20210070527A (ko) * | 2019-12-05 | 2021-06-15 | (주) 나무들 | 이탈착식 데크로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2708B1 (ko) * | 2024-03-04 | 2024-09-04 | 주식회사 에이치티 | 모듈형 데크를 이용한 데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6347B1 (ko) | 응력증대수단이 구비된 확장형 더블웹 켄틸레버 | |
KR101203978B1 (ko) | 교량의 상부 구조물 | |
KR101065633B1 (ko) |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강관 트러스 보 | |
KR102503929B1 (ko) | V형 캔틸레버 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도교 | |
KR101634589B1 (ko) | 변단면 하부케이싱콘크리트를 구비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 |
JP2011006944A (ja) | 橋梁構造 | |
KR102489913B1 (ko) | 보행공간 확장 구조를 갖는 진동 저감형 거더 | |
KR102489911B1 (ko) | 기둥 보강캡이 설치된 진동 저감형 지주식 인도교 | |
KR101170631B1 (ko) | 도로의 캔틸레버식 확장 구조 | |
KR20160113917A (ko) | 자전거 통행용 연속 교량 | |
KR100871831B1 (ko) | 휨 하중이 미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설 교량 및 그제작 공법 | |
KR101833784B1 (ko) |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원형고정브라켓을 이용한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
WO2006065041A1 (en) |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 |
KR100767145B1 (ko) |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 |
KR102347886B1 (ko) | 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 |
KR100881700B1 (ko) | 장 경간용 피피씨 거더를 이용한 조립식 라멘교 시공방법 | |
KR20200013911A (ko)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124537B1 (ko) | 트러스형 합성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589063B1 (ko) | 노치부정착빔을 이용하여 제작된 psc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94370B1 (ko) |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 빔 거더 | |
JP3394519B2 (ja) | 高架橋のコンクリート連続アーチ構造 | |
KR101929885B1 (ko) | 강재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102521778B1 (ko) | 파일 보강캡이 구비된 지주식 인도교 | |
KR20160063682A (ko) | 상부 중공형 단면을 가지는 강합성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다경간 연속구조 | |
KR100458046B1 (ko) | 합성형 거더교의 중간지점부 연속화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