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421B1 -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421B1
KR102503421B1 KR1020220113104A KR20220113104A KR102503421B1 KR 102503421 B1 KR102503421 B1 KR 102503421B1 KR 1020220113104 A KR1020220113104 A KR 1020220113104A KR 20220113104 A KR20220113104 A KR 20220113104A KR 102503421 B1 KR102503421 B1 KR 10250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ase
unit
dead bol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수
정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정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정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102022011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8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 E05B35/1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with master and pass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8Hasp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물쇠를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되 제1 스프링에 의해 도어틀의 데드볼트홈에 삽입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며, 내측으로는 가동홀과 제1 고리부 결합홈을 포함하는 데드볼트부와, 데드볼트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레버부와, 제 1, 2 고리부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마스터키부와 상기 마스터키부에 연결되어 마스터키부의 회전시 같이 회전운동하는 회전링크와 제2 고리부의 슬라이딩블록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회전링크의 회전시 상, 하 직선운동을 하여 제2 고리부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가동부재로 구성된 작동부로 이루어져 있어, 제1, 2 고리부에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해제가 필요하거나 또는 개별사물함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열쇠분실, 또는 장기간 연락되지 않거나 또는 개별 사물함의 주인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물쇠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자물쇠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자물쇠를 제1, 2 고리부에서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여 기존의 자물쇠를 절단하여 제거하면서 발생하는 시간, 비용 및 자물쇠 제거시 발생할 수 있는 사물함과 도어의 파손 방지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Locking device that can remove the lock from the door in case of emergency release}
본 발명은 시건된 개인용 자물쇠를 비상시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원래 상태로 돌릴 수 있는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도서관, 대합실, 스포츠 시설물 등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사용자의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개별 로킹장치가 구비된 사물함(보관함) 설치물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개인용 사물함(보관함)은 타인으로부터 그 물품이 보호되도록 개인별 자물쇠로 잠금 설정을 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에 로킹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로킹장치로서 개폐도어에 로킹용 고리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로킹용 고리의 자물쇠를 채워 개인 사용자가 보관함의 잠금 상태를 유지 혹은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보관함 관리에 있어 개인별 사용자가 자신에게 배정된 보관함의 열쇠를 분실한 경우 열쇠 수리공을 부르기 전까지는 사물함에 보관중인 물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개인별 사용자가 특수한 자물쇠를 사용한 경우에는 보관함의 개폐 도어를 해체하거나 파손하여야 하는 등 보관함 관리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725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로킹본체에 레버와 제1가동편을 및 자물쇠 고정편을 포함하는 제1작동부와 마스터키를 통해 제1작동부의 잠금설정과 무관하게 로커를 이동시키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평상시 사용자가 제1작동부의 자물쇠 고정편에 자물쇠를 채워 도어의 록킹상태를 유지하다가 자물쇠를 열지 못하는 특별한 사정 발생시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 1) KR 10-0947251 B1 비상 해제수단을 구비하는 도어의 로킹장치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은 도어의 로킹상태를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임시로 개방할 수 있는 역할만 수행한다.
즉, 사물함 등의 자물쇠의 분실 또는 사용자가 자물쇠를 잠가놓은 상태에서 이를 해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다른 사람의 자물쇠를 사용하게 위해서는 여전히 자물쇠를 제거하기 위해 이를 전문도구를 이용해 이를 절단하거나 사물함의 도어를 파손 또는 제거 및 교체하는 등의 행위를 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는 제1, 2 고리부에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해제가 필요하거나 또는 개별사물함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열쇠분실, 또는 장기간 연락되지 않거나 또는 개별 사물함의 주인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물쇠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자물쇠를 제거할 수 있는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자물쇠를 제1, 2 고리부에서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여 기존의 자물쇠를 절단하여 제거하면서 발생하는 시간, 비용 및 자물쇠 제거시 발생할 수 있는 사물함과 도어의 파손 방지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제1, 2 고리부에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 도어의 잠금해제가 필요하거나 또는 개별사물함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열쇠분실, 또는 장기간 연락되지 않거나 또는 개별 사물함의 주인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물쇠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자물쇠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자물쇠를 제1, 2 고리부에서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여 기존의 자물쇠를 절단하여 제거하면서 발생하는 시간, 비용 및 자물쇠 제거시 발생할 수 있는 사물함과 도어의 파손 방지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 2 고리부에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케이스(11, 12, 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1)는 제일 전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내측으로 노출홀(1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2 케이스(12)는 상술한 제1 케이스(11)의 후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전면에는 힌지홀(12a)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고리부 노출홀(12b)이 형서되어 있으며, 후면으로는 제2 스프링 결합부(12c)와 가이드홀(12d) 및 제2 고리부 결합홀(12e)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3 케이스(13)는 제2 케이스(12)의 후측에 배치되어 제1 케이스(11)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데드볼트부 슬라이딩홈(13a)과 데드볼트 삽탈홀(13b)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데드볼트부(20)는 상술한 케이스(10)의 내측에 결합되어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데드볼트부(20)는 케이스(10) 내에 배치되어 제1 스프링(S1)에 의해 도어틀(도면에 미도시)의 데드볼트홈(도면에 미도시)에 삽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드볼트(21)와 상기 데드볼트(21)의 측면으로 연장된 몸체의 내측으로는 관통된 형태의 가동홀(22)과 상기 가동홀(22)이 형성된 위치에 가동홀(22)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진 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고리부 결합홈(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0)를 구성하는 제3 케이스(13a)의 데드볼트부 슬라이딩홈(13a)에 데드볼트부(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되, 제3 케이스(13)의 데드볼트부 슬라이딩홈(13a)에서 연장되어 측면으로 타공된 데드볼트 삽탈홀(13b)을 통해 데드볼트부(20)의 데드볼트(21)가 삽탈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레버부(30)는 케이스(10)를 구성하는 제2 케이스(12)의 힌지홀(12a)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한쌍의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축(31) 사이에 형성되는 레버(32)와 상기 힌지축(31)의 일측에 결합하여 데드볼트부(20)를 구성하는 가동홀(22)에 배치되어 데드볼트부(20)를 가동시키는 작동바(33)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제1 고리부(40)는 상기 데드볼트부(20)를 구성하는 제1 고리부 결합홈(23)에 결합되는 고정블록(41)과 상기 고정블록(41)의 일측으로 자물쇠(O)가 걸리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공간(42)이 형성된 제1 걸림홀(43)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제2 고리부(50)는 상술한 케이스(10)를 구성하는 제2 케이스(12)의 제2 고리부 결합홀(12e)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블록(5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51)의 일측으로는 제1 고리부(40)의 제1 걸림홀(43)의 개방공간(4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52)을 형성하고있는 한쌍의 걸림편(53)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제2 스프링(S2)은 제2 고리부(50) 및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제2 고리부(50)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스프링(S2)은 케이스(10)를 구성하는 제2 케이스(12)의 제2 스프링 결합부(12c)에 결합되는 텐션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작동부(60)는 제1, 2 고리부(40, 50)에 자물쇠(O)가 결합된 상태에서 자물쇠(O)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작동부(60)는 케이스(10)에 결합되는 마스터키부(61)와 상기 마스터키부(61)에 연결되어 마스터키부(61)의 회전시 같이 회전운동하는 회전링크(62)와 제2 고리부(50)의 슬라이딩블록(51)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전링크(62)의 회전시 상, 하 직선운동을 하여 제2 고리부(5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가동부재(63)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술한 작동부(60)를 구성하는 가동부재(63)의 작동편(63a)은 회전링크(62)가 배치되는 회전공간(63aa)과 상기 회전공간(63aa)의 하측으로는 마스터키부(61)가 잠금상태일 때에 회전링크(62)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63ab)을 형성하고, 회전공간(63aa)의 상측으로는 마스터키부(61)가 열림 상태일 때에 회전링크(62)와 접촉하는 제2 접촉면(63ac)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100)는 통상적인 도어는 물론, 학교, 도서관, 대합실, 스포츠 시설물 등의 개별보관함의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100)는 제1, 2 고리부(40, 50)에 자물쇠(O)를 채우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레버부(30)의 레버(32)를 이용하여 데드볼트부(20)를 작동시켜 데드볼트(21)가 도어틀의 데드볼트홈에서 삽탈되도록 하여 도어의 닫힘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의 데드볼트부(20)는 제1 스프링(S1)에 의해 케이스(10)를 구성하는 제3 케이스(13)의 데드볼트 삽탈홀(13b)에서 도어틀의 데드볼트홈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부(30)를 작동시키게 되면 데드볼트부(20)의 가동홀(22)에 결합된 레버부(30)의 작동바(33)의 작동에 의해 데드볼트부(20)가 제1 스프링(S1)의 탄성력과 반대방향 즉,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작동부(60)의 마스터키부(61)는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작동편(63a)의 제어편(63b)은 제2 고리부(50)의 슬라이딩블록(51)과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여 제2 고리부(5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제1 고리부(40)의 제1 걸림홀(43) 중 개방공간(42)이 제2 고리부(50)의 이격공간(52) 내에 배치되어 개방공간(42)을 걸림편(53)이 막을 수 있도록 하여 제1 걸림홀(43)과 걸림편(53)을 통해 자물쇠(O)가 걸릴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스프링(S2)은 제2 고리부(50)의 슬라이딩블록(51)과 케이스(10)를 구성하는 제2 케이스(12)의 제2 스프링 결합부(12c)에 결합되어 제2 고리부(20)가 자물쇠(O)가 걸릴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술한 제1, 2 고리부(40, 50)의 제1 걸림홀(43) 및 걸림편(53)에 자물쇠(O)를 채우게 되면 사용자가 레버부(30)를 작동시키더라도 데드볼트부(20)는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데드볼트부(20)에 제1 고리부(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자물쇠(O)를 채우게 되면 자물쇠(O)에 의해 제1 고리부(40)의 가동이 제한되어 결국 데드볼트부(20)의 작동도 제한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물쇠(O)의 열쇠를 분실하거나, 해당 사물함의 개별 사용자가 장기간 연락되지 않거나 또는 사물함의 경우 사용자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전 사용자가 자물쇠(O)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도어의 잠금 해제는 물론, 자물쇠(O)를 제거하여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일 때에 제1, 2 고리부(40, 50)에서 자물쇠(O)를 제거함으로써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음은 물론, 사물함일 경우에는 해당 자물쇠(O)를 손쉽게 제거하여 자물쇠(O) 제거를 위헤 자물쇠(O)를 쇠톱이나 기타 장비를 이용해 절단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여 자물쇠(O) 제거시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및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자물쇠(O)를 제거하는 과정은 관리자가 작동부(60)를 구성하는 마스터키부(61)에 마스터키(도면에 미도시)를 꽂은 후 회전시키게 되면, 마스터키부(61)에 연결된 회전링크(6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링크(62)는 가동부재(63)를 구성하는 작동편(63a)의 회전공간(63aa)에서 이동하여 제2 접촐면(63ac)과 맞닿아 가동부재(63)를 상측방향으로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고리부(50)의 슬라이딩운동을 제한하였던 가동부재(63)가 제거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2 고리부(50)를 제1 고리부(40)가 형성된 반대방향, 즉, 제1 고리부(40)의 개방공간(42)이 개방될 수 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개방공간(42)을 통해 자물쇠(O)를 제거한다.
이때에, 사용자가 제2 고리부(50)에 가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제2 스프링(S2)에 의해 제2 고리부(50)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2 고리부(40, 50)에 채워진 자물쇠가 제거됨에 따라 사용자는 레버부(30)를 통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 : 케이스
11 : 제1 케이스
11a : 노출홀
12 : 제2 케이스
12a : 힌지홀 12b : 고리부 노출홀 12c : 제2 스프링 결합부
12d : 가이드홈 12e : 제2 고리부 결합홀
13 : 제3 케이스
13a : 데드볼트부 슬라이딩홈 13b : 데드볼트 삽탈홀
20 : 데드볼트부
21 : 데드볼트 22 : 가동홀 23 : 제1 고리부 결합홈
S1 : 제1 스프링 S2 : 제2 스프링
30 : 레버부
31 : 힌지축 32 : 레버 33 : 작동바
40 : 제1 고리부
41 : 고정블록 42 : 개방공간 43 : 제1 걸림홀
50 : 제2 고리부
51 : 슬라이딩블록 52 : 이격공간 53 : 걸림편
60 : 작동부
61 : 마스터키부 62 : 회전링크
63 : 가동부재
63a : 작동편 63aa : 회전공간 63ab : 제1 접촉면 63ac : 제2 접촉면
63b : 제어편
100 :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Claims (4)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되 제1 스프링에 의해 도어틀의 데드볼트홈에 삽입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데드볼트의 측면으로 연장된 몸체의 내측으로는 관통되어 형성된 가동홀과 상기 가동홀이 형성된 위치에 가동홀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진 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고리부 결합홈을 포함하는 데드볼트부;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한쌍의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 사이에 형성되는 레버와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데드볼트부를 구성하는 가동홀에 배치되어 데드볼트부를 가동시키는 작동바로 이루어져 데드볼트부를 구동시키는 레버부;
    상기 데드볼트부를 구성하는 제1 고리부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으로 자물쇠가 걸리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공간이 포함된 제1 걸림홀으로 이루어진 제1 고리부;
    상기 케이스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일측으로는 상기 제1 고리부의 제1 걸림홀에 형성된 개방공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한쌍의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제2 고리부;
    상기 제2 고리부 및 케이스에 결합되어 제2 고리부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마스터키부와 상기 마스터키부에 연결되어 마스터키부의 회전시 같이 회전운동하는 회전링크와 제2 고리부의 슬라이딩블록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회전링크의 회전시 상, 하 직선운동을 하여 제2 고리부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가동부재로 구성된 작동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측에 형성되며, 레버부와 제1, 2 고리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홀을 포함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후측에 배치되며, 레버부의 힌지축이 결합할 수 있는 힌지홀을 형성하고, 제1, 2 고리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고리부 노출홀을 형성하며, 후면으로는 제2 스프링이 결합하는 제2 스프링 결합부와 작동부의 가동부재가 상, 하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 및 제2 고리부의 슬라이딩블록이 결합되는 제2 고리부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후측에 결합하며 내측으로 데드볼트부 슬라이딩홈 및 데드볼트 삽탈홀을 포함하는 제3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를 구성하는 가동부재는 회전링크와 접촉하는 작동편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편의 하측으로는 제2 고리부의 슬라이딩블록과 맞닿아 제2 고리부의 슬라이딩운동을 제어하는 제어편을 포함하는 가동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의 작동편은 회전링크가 배치되는 회전공간과 상기 회전공간의 하측으로는 마스터키부가 잠금상태일 때에 회전링크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형성하고, 회전공간의 상측으로는 마스터키부가 열림 상태일 때에 회전링크와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KR1020220113104A 2022-09-06 2022-09-06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KR10250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104A KR102503421B1 (ko) 2022-09-06 2022-09-06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104A KR102503421B1 (ko) 2022-09-06 2022-09-06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421B1 true KR102503421B1 (ko) 2023-02-24

Family

ID=8533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104A KR102503421B1 (ko) 2022-09-06 2022-09-06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544B1 (ko) * 2024-01-02 2024-04-23 사단법인 한국장애인고용창출협회 파손없이 비상해제가 가능한 가구용 록킹장치
KR102663528B1 (ko) 2023-10-11 2024-05-03 주식회사 네오퍼스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1762436B1 (ko) * 2017-05-18 2017-07-2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1762436B1 (ko) * 2017-05-18 2017-07-2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528B1 (ko) 2023-10-11 2024-05-03 주식회사 네오퍼스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
KR102659544B1 (ko) * 2024-01-02 2024-04-23 사단법인 한국장애인고용창출협회 파손없이 비상해제가 가능한 가구용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421B1 (ko) 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
US5193371A (en) Magnet card type lock
US5791174A (en) Paddle handle locks
US5305623A (en) Key operated, combination changing, lock
GB2334546A (en) Lock cylinder with drive disconnection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US4942748A (en) Security mechanism for telephone paystations
KR102659544B1 (ko) 파손없이 비상해제가 가능한 가구용 록킹장치
JPWO2006022240A1 (ja) かばんの錠装置
US20210355710A1 (en)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for a swing door
JP2007186934A (ja) 扉の施錠装置
KR102480081B1 (ko) 자물쇠 고리 슬라이딩형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404749B1 (ko) 레버형 도어록
JP3809636B2 (ja) 錠装置
CA3132807A1 (en) Key capture lock
KR102276666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3408572B2 (ja) 開閉操作装置
KR102457673B1 (ko) 선로 전환기의 커버 잠금 장치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KR102663528B1 (ko)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
JP4879721B2 (ja) 扉の施錠装置
JP3110980U (ja) シリンダー錠装置
JP4234668B2 (ja) 両開き扉
JPH09317281A (ja) 家具における扉のロック装置
KR0139219Y1 (ko) 전자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