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384B1 - 밀봉형 케이블 통로 - Google Patents

밀봉형 케이블 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384B1
KR102503384B1 KR1020197033493A KR20197033493A KR102503384B1 KR 102503384 B1 KR102503384 B1 KR 102503384B1 KR 1020197033493 A KR1020197033493 A KR 1020197033493A KR 20197033493 A KR20197033493 A KR 20197033493A KR 102503384 B1 KR102503384 B1 KR 10250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seal
sleeve
transit
bas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879A (ko
Inventor
미햐엘 아인배히터
Original Assignee
록스텍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스텍 아베 filed Critical 록스텍 아베
Publication of KR2019013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를 격벽을 통해 밀봉형 방식으로 인도하기 위한 트랜싯에 관한 것이다. 트랜싯은 슬리브(1) 및 슬리브(1)의 중심 관통 개구 내부에 수용되기 위한 밀봉부(2)를 포함한다. 밀봉부(2)는 베이스 부분(7),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를 포함하고, 전방 체결구 및 후방 체결구(9, 10)는 베이스 부분(7)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은 압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전방 체결구 및 후방 체결구(9, 10)는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을 압축하기 위해 서로를 향해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압축은 나사형 핀(19) 및 너트(11)를 협력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 체결구(13)는 밀봉부(2)의 전방 체결구(9)와 베이스 부분(7) 사이에 배치되고, 나사형 핀(19) 중 하나 상에 수용된다.

Description

밀봉형 케이블 통로
본 발명은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를 격벽을 통해 밀봉형 방식으로 인도하기 위한 트랜싯(transit) 또는 리드-스루(lead-through)에 관한 것이다.
많은 상이한 상황에서,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는 일종의 격벽을 밀봉형 방식으로 통과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의 일 예는 탱크인데, 케이블은 어떠한 누출도 야기하지 않고 탱크의 벽을 통과해야 한다. 탱크를 위한 이러한 트랜싯은 종종 탱크 경계 조립체로서 지칭되고 본 출원에 일 예로서 도시된다.
본 발명은 주로 탱크 경계 조립체로서 개발되었지만,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것이 다른 영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트랜싯은 파이프 및 와이어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밀봉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탱크뿐만 아니라 많은 유형의 격벽, 예컨대 선박의 벌크헤드 및 캐비넷의 벽, 테크니컬 쉘터(technical shelter), 접속함 및 기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싯은 많은 상이한 산업 환경, 예컨대 해양, 연안, 자동차, 원격 통신, 발전 및 배전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유형의 트랜싯 또는 리드-스루에 대한 추가 요구는 이들이 케이블 교체를 허용해야 하고, 개량이 가능해야 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격벽의 일 측면으로부터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밀봉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슬리브에 대해 밀봉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억제하는 것이다. 밀봉부 및 슬리브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를 위한 트랜싯을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밀봉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부 시트는 밀봉부의 나머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슬리브 및 슬리브 내부에 수용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를 위한 트랜싯이 제공된다. 슬리브는 밀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 관통 개구를 갖는다. 밀봉부는 중심 부분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전방 체결구 및 후방 체결구를 갖는 압축 가능한 베이스 부분을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체결구는 밀봉부의 베이스 부분을 압축하도록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밀봉부는 전방 체결구와 밀봉부의 베이스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체결구를 갖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체결구는 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트랜싯은 탱크 경계 조립체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이점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이해할 때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동봉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이하에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싯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랜싯의 단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이전 도면의 트랜싯의 일부를 형성하는 밀봉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대향 방향에서 취한 도 4의 밀봉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밀봉부의 단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축방향", "반경방향", "종방향"이라는 표현 및 유사한 표현은 트랜싯의 중심에 수용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의 관점이다.
본 발명의 트랜싯은 2개의 주요 부분, 슬리브(1) 및 밀봉부(2)를 포함한다. 밀봉부(2)는 슬리브(1) 내부에 수용되어야 한다.
슬리브(1)는 슬리브(1)의 외부 상에 돌출되는 원주방향 플랜지(3)를 갖는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플랜지(3)는 슬리브(1)의 대략 중간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가 외부 플랜지를 갖지 않는다. 슬리브(1)는 밀봉부(2)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개구를 갖는다. 슬리브(1)의 내부에는, 원주방향 내부 홈(4)이 슬리브(1)의 단부 부분(5)과 중심 부분(6) 사이에서 슬리브(1)의 양 단부 각각에 배열된다. 따라서, 슬리브(1)의 양 단부 각각에는 단부 부분(5)이 있다. 슬리브(1)의 각 단부 부분(5)의 내경은 슬리브(1)의 각 내부 홈(4)의 내경보다 더 작지만, 슬리브(1)의 중심 부분(6)의 내경보다는 더 크다. 슬리브(1)의 중심 부분(6)의 내경은 슬리브(1)의 각 내부 홈(4)의 내경보다 더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1)의 일 단부에만 내부 홈(4)이 있다.
밀봉부(2)는 베이스 부분(7)을 갖는다. 베이스 부분(7)은 내부 관통 개구를 갖는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다수의 박리 가능한 시트(8)가 베이스 부분(7)의 관통 개구의 내벽에 배치된다. 베이스 부분(7) 및 시트(8) 모두는 압축 가능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다. 밀봉부(2)는 양 단부에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를 갖는다.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 모두는 내경 및 외경을 갖는 일반적인 고리 형상을 갖는다. 다수의 나사형 핀(19)이 전방 체결구(9) 및 베이스 부분(7)의 개구를 통과하여 배열된다. 각 나사형 핀(19)은 후방 체결구(10)의 개구(18)에 고정된다. 후방 체결구(10)의 개구(18)로의 나사형 핀(19)의 고정은 보통 용접으로 이루어진다. 각 나사형 핀(19)의 단부는 전방 체결구(9) 외부로 돌출되고, 너트(11)가 나사산에 의해 나사형 핀(19)의 각 돌출 단부에 수용된다. 나사형 핀(19)과 너트(11) 사이의 협력에 의해,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는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베이스 부분(7)은 종방향으로 압축된다. 종방향 압축에 의해, 베이스 부분(7)은 반경방향으로, 내향 및 외향 모두로 확장될 것이다. 전방 체결구(9)는 외경 상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전방 체결구(9)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출 부분(12)을 갖는다. 2개의 리세스(15)는 전방 체결구(9)의 내경 상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장방형 관통 개구(16)는 전방 체결구(9)의 각 돌출 부분(12)에 배치된다.
2개의 회전 체결구(13)가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과 전방 체결구(9) 사이에 배치된다. 각 회전 체결구(13)는 밀봉부(2)의 나사형 핀(19)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다. 나사형 핀(19)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는 회전 체결구(13)의 일 단부에 배치된다. 각 회전 체결구(13)는 밀봉부(2)의 중심과 대면하는 회전 체결구(13)의 부분을 따라 축방향 돌출부(14)를 갖는 만곡 형상을 갖는다. 축방향 돌출부(14)는 나사형 핀(19)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회전 체결구(13)의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 배치된다. 각 회전 체결구(13)의 축방향 돌출부(14)는 회전 체결구(13)의 후퇴 위치에서 전방 체결구(9)의 내경 상의 리세스(15) 중 하나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축방향 돌출부(14)에 의해, 회전 체결구(13)는 손으로 원하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부(2)는 전방 체결구(9) 및 베이스 부분(7)의 4개의 개구 내에 각각 수용되는 4개의 나사형 핀(19)을 갖는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개수의 나사형 핀(19) 및 대응 개구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나사형 핀(19)의 개수는 종종 밀봉부의 치수를 따르고 보통 4개와 14개 사이에서 변한다.
보통 밀봉부(2)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밀봉부(2)는 중심 평면을 따라 나누어진다. 밀봉부(2)가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는 이미 설치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부분(7),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의 각각은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밀봉부(2)의 관통 개구는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의 각 절반 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밀봉부의 베이스 부분(7)의 각각의 절반 상의 홈은 일 단부에서 다른 단부로 연장되고 박리 가능한 시트(8)를 수용한다. 하나의 회전 체결구(13)는 밀봉부(2)의 각 절반 내에 수용된다. 베이스 부분(7)의 각 절반은 내부에 박리 가능한 시트(8)가 배치되는 중심 홈을 갖는다. 전방 체결구(9)의 각 절반은 전방 체결구(9)의 다른 절반과 대면하는 측면의 중심에 리세스(17)를 갖는다. 리세스(17)는 전방 체결구(9)의 2개의 절반의 리세스(17)가 만나는 곳에 장방향 개구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사용 시에, 슬리브(1)는 탱크 벽 또는 다른 격벽의 개구 내에 배치되어야 하고 슬리브(1)의 플랜지(3)는 탱크 벽 또는 다른 격벽에 용접되어야 한다. 슬리브가 어떠한 외부 플랜지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슬리브는 탱크 벽 또는 다른 격벽에 직접적으로 용접된다.
사용 시에, 전방 체결구(9)의 돌출 부분(12)은 슬리브(1)의 내부 홈(4) 중 하나 내에 수용되어야 한다. 전방 체결구(9)의 외경은, 양 측면에 배치되는 돌출 부분(12)을 포함하면, 슬리브(1)의 단부 부분(5) 및 중심 부분(6)의 각각의 내경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전방 체결구(9)가 슬리브(1)의 내부 홈(4) 중 하나 내에 수용될 때, 전방 체결구(9)의 축방향 이동 그리고 따라서 밀봉부(2)의 이와 같은 이동이 억제된다.
후방 체결구(10)의 외경은 슬리브(1)의 단부 부분(5) 및 중심 부분(6)의 각각의 내경보다 더 작다. 따라서, 후방 체결구(10)는 슬리브(1)의 관통 개구 내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의 각 절반은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지만,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은 보통 단일편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가 대칭이고 양 단부에 내부 홈(4)을 갖기 때문에, 밀봉부(2)는 슬리브(1)의 임의의 단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일 단부에만 내부 홈(4)을 갖는 슬리브(1)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밀봉부를 삽입할 때 밀봉부(2)의 배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밀봉부(2)의 배향은 밀봉부(2)의 전방 체결구(9)가 하나의 내부 홈만 갖는 슬리브(1)의 내부 홈(4)에 배치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의 트랜싯의 밀봉부(2)는 트랜싯의 슬리브(1)를 수용하는 격벽의 일 측면으로부터 설치 및 조작될 수 있다.
사용 시에, 슬리브(1)는 일종의 격벽의 개구 내에 배치되고, 그 다음, 보통 슬리브(1) 플랜지(3)에서 상기 격벽에 용접된다. 슬리브(1)가 격벽 내에서 제 자리에 있는 경우,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는 슬리브(1)를 통해 라우팅된다. 그 다음, 밀봉부(2)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 주위에 배치되어야 한다. 밀봉부(2)의 내경을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의 외경에 적응시키기 위해, 적절한 수의 시트(8)가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의 각각의 절반의 홈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다음, 밀봉부(2)의 제1 절반은 슬리브(1) 내로 삽입되고,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는 밀봉부(2)의 상기 절반의 홈 내에 배치된다. 밀봉부(2)의 상기 제1 절반은 후방 체결구(10)를 갖는 단부로 슬리브(1) 내로 밀어 넣어진다. 밀봉부(2)의 삽입된 절반의 너트(11)는 완전히 조여지지 않고, 전방 체결구(9) 및 회전 체결구(13)의 이동을 허용하지만 기울어지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그 다음, 밀봉부(2)의 다른 제2 절반은 슬리브(1) 내로 삽입되고, 밀봉부(2)의 제2 절반의 홈 내에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를 갖도록 배치된다. 또한, 밀봉부(1)의 제2 절반은 후방 체결구(10)를 갖는 단부로 슬리브(1) 내로 삽입된다. 밀봉부(2)의 제2 절반의 삽입 시, 이의 너트(11)는 전방 체결구(9)를 기울어지게 하기에 충분히 느슨하다. 삽입 시, 전방 체결구(9)의 돌출 부분(12)은 전방 체결구(9)를 기울어지게 하면서 슬리브(1)의 단부에 닿을 것이다. 기울어진 전방 체결구(9)는, 그 다음, 슬리브(1)의 내부 홈(4) 내로 삽입되고, 그로 인해 전방 체결구(9)의 2개의 부분은 슬리브(1)의 내부 홈(4) 내에서 서로를 로킹하면서 그들의 의도된 위치에 있게 된다. 밀봉부(2)의 제2 절반의 너트(11)는, 그 다음, 밀봉부(2)의 제1 절반의 너트(11)와 동일한 정도로 조여져서 회전 체결구(13)의 조정을 허용한다.
회전 체결구(13) 각각을 수용하는 나사형 핀(19) 상의 너트(11)가 완전히 조여지기 전에, 각 회전 체결구(13)는 축방향 돌출부(14)가 밀봉부(2)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와 맞닿는 위치로 회전된다. 그 위치에서, 각 회전 체결구(13)는 밀봉부(2)의 시트(8)의 단부를 커버할 것이다. 너트(11)가 조여질 때, 각 회전 체결구(13)는 밀봉부(2)의 전방 체결구(9)와 베이스 부분(7) 사이에서 가압됨으로써 축방향 돌출부(14)가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와 맞닿는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전방 체결구(9)의 돌출 부분(12)이 슬리브(1)의 내부 홈(4)의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너트(11)가 조여진다. 너트(11)가 조여짐에 따라,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는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을 압축하면서 서로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은 축방향으로 압축됨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것이고, 밀봉부(2)의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에 대해 내향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슬리브(1)의 관통 개구의 내벽에 대해 외향으로 가압될 것이다.
전방 체결구(9)의 개구(16) 및 리세스(17)는 밀봉부(2)의 제거(un-installation)에 사용된다. 밀봉부(2)를 제거하기 위해, 너트(11)가 우선 느슨해진다.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다른 적절한 도구가, 그 다음, 리세스(17)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전방 체결구(9)의 다른 절반의 상부에 있는 전방 체결구(9)의 일 절반을 기울어지게 한다. 그 다음, 도구는 전방 체결구(9)의 기울어진 절반을 밀봉부(2)의 중심 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개구(16)에 삽입될 수 있다. 밀봉부(2)의 일 절반은, 그 다음, 슬리브(1) 외부로 자유롭게 인출될 것이다. 그 다음, 밀봉부(2)의 다른 절반도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슬리브(1) 및 슬리브(1) 내에 수용되기 위한 밀봉부(2)를 포함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와이어를 위한 트랜싯이며,
    슬리브(1)는 중심 관통 개구를 갖고, 밀봉부(2)는 베이스 부분(7),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를 포함하며,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는 베이스 부분(7)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은 압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밀봉부(2)는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가 베이스 부분(7)을 압축하면서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트랜싯에 있어서,
    밀봉부(2)는, 후방 체결구(10)에 고정되고 베이스 부분(7) 및 전방 체결구(9)의 개구를 통과하는 나사형 핀(19)을 포함하고, 너트(11)가 전방 체결구(9) 외부로 돌출되는 각 나사형 핀(19)의 일 단부 상에 수용되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체결구(13)는 회전 체결구(13)의 개구가 나사형 핀(19) 중 하나 상에 배치되도록 밀봉부(2)의 전방 체결구(9)와 베이스 부분(7)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체결구(13)는 나사형 핀(19) 상에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싯.
  2. 제1항에 있어서, 각 회전 체결구(13)는 밀봉부(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4)를 갖고, 돌출부(14)는 회전 체결구(13)를 수용하는 나사형 핀(19)에 원격인 단부에 배치되며, 각 회전 체결구(13)의 돌출부(14)는 밀봉부(2)의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블에 대해 맞닿도록 배열되는, 트랜싯.
  3. 제2항에 있어서, 전방 체결구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체결구(13)의 돌출부(14)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15)를 내주 상에 갖는, 트랜싯.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1)는 슬리브(1)의 일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홈(4)을 갖고, 내부 홈(4)은 전방 체결구(9)의 하나 이상의 돌출 부분(12)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트랜싯.
  5. 제4항에 있어서, 전방 체결구(9)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2개의 돌출 부분(12)을 갖는, 트랜싯.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 전방 체결구(9) 및 후방 체결구(10)는 각각 2개의 분리된 동일한 부분을 포함하는, 트랜싯.
  7. 제6항에 있어서,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의 각 절반은 베이스 부분(7)의 절반의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연장되는 중심 홈을 갖고, 다수의 박리 가능한 시트가 중심 홈 내에 배치되며,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의 각각의 절반의 홈에 의해 관통 개구가 밀봉부(2) 내에 형성되는, 트랜싯.
  8. 제6항에 있어서, 전방 체결구(9)의 각 부분은 전방 체결구(9)의 다른 부분과 대면하는 에지 상에 리세스(17)를 가지고, 그로 인해 전방 체결구(9)가 베이스 부분(7)에 체결될 때 2개의 개구가 형성되는, 트랜싯.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1)는 튜브 형상 및 외주 상에 플랜지(3)를 갖고, 플랜지는 슬리브(1)의 중심 주위에 배치되는, 트랜싯.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부(2)의 베이스 부분(7)은 튜브 형상을 갖는, 트랜싯.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랜싯은 탱크 경계 조립체로서 사용되는, 트랜싯.
KR1020197033493A 2017-04-18 2018-04-17 밀봉형 케이블 통로 KR102503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6787.6A EP3392988B1 (en) 2017-04-18 2017-04-18 Sealed cable passage
EP17166787.6 2017-04-18
PCT/EP2018/059723 WO2018192901A1 (en) 2017-04-18 2018-04-17 Sealed cable pas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879A KR20190137879A (ko) 2019-12-11
KR102503384B1 true KR102503384B1 (ko) 2023-02-28

Family

ID=5857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493A KR102503384B1 (ko) 2017-04-18 2018-04-17 밀봉형 케이블 통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063414B2 (ko)
EP (1) EP3392988B1 (ko)
KR (1) KR102503384B1 (ko)
CN (1) CN110546838B (ko)
RU (1) RU2756303C2 (ko)
WO (1) WO2018192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2988B1 (en) * 2017-04-18 2021-05-26 Roxtec AB Sealed cable passage
ES2952369T3 (es) 2018-05-09 2023-10-31 Afl Telecommunications Llc Cierres a tope y bases para los mismos
SE543123C2 (en) * 2019-02-06 2020-10-13 Roxtec Ab Transition for an optical fiber cable
CN109921372B (zh) * 2019-02-21 2020-06-05 深圳市泰士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管道密闭模块
US10996414B1 (en) 2020-03-23 2021-05-04 Afl Telecommunications Llc Butt closures and bases therefor
SE545692C2 (en) * 2020-06-02 2023-12-05 Roxtec Ab Combination of split plate and sleeve, and a sleeve
KR102563816B1 (ko) * 2021-08-18 2023-08-09 한국원자력연구원 레이저 절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057A (ja) 2004-11-29 2006-06-15 Doi Seisakusho:Kk ケーブル用導管の防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24049U (de) * 1960-04-16 1960-12-29 Standard Elektrik Lorenz Ag Laengsgeteilte verbindungs- und abzweigmuffen fuer fernmeldekabel mit isolierung und mantel aus kunststoff.
US4267401A (en) * 1978-07-03 1981-05-12 Wilkinson William L Seal plug
GB8712519D0 (en) * 1987-05-28 1987-07-01 Lycab Ab Transit for cables
US5087795A (en) * 1990-05-24 1992-02-11 Berger Industries, Inc. Strain relief liquid tight electrical connector
JPH09312177A (ja) * 1996-05-23 1997-12-02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防水用グロメット、防水用グロメットの装着構造、及びその装着方法
CH691878A5 (de) * 1996-08-09 2001-11-15 Hanspeter Gubelmann Pressringvorrichtung.
EP1003261B1 (de) * 1998-11-18 2008-11-05 CCS Technology, Inc. Dichtungseinlage für Kabelgarnituren
FR2813653B1 (fr) * 2000-09-04 2002-11-15 Capri Codec Sa Presse-etoupe a fixation rapide
DE102004040293B3 (de) * 2004-08-19 2006-03-30 Airbus Deutschland Gmbh Montageteil für eine flüssigkeitsdichte Kabeldurchführung
ES2328612T3 (es) * 2006-08-25 2009-11-16 Beele Eng Bv Sistema para sellar de manera dinamica al menos una conduccion a traves de la cual se extiende una tuberia o cable.
SE534047C2 (sv) * 2009-02-04 2011-04-12 Roxtec Ab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med del som indikerar kompression
SE533818C2 (sv) * 2009-02-04 2011-01-25 Roxtec Ab Excentrisk del av en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EP2355283A1 (en) * 2010-01-29 2011-08-10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Cable sealing device, cable termination and attaching device
DE102010037463A1 (de) * 2010-09-10 2012-03-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Rahmen eines Kabeleinführungssystems und Kabeltülle hierfür
US8686289B2 (en) * 2011-07-14 2014-04-01 Channell Commercial Corporation Sealing mechanism and method for drop cable splice enclosures
CN202384650U (zh) * 2011-09-30 2012-08-15 烙克赛克有限公司 密封装置
US8979557B2 (en) * 2011-11-10 2015-03-17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Liquid-tight conduit fitting with grounding element
GB2509727A (en) * 2013-01-10 2014-07-16 Hubbell Ltd Gland assembly preventing over-tightening and/or preventing loosening
US10483734B2 (en) * 2013-11-19 2019-11-19 Fortune Industries International, Inc. Quick lock system for joining and aligning tubes, conduits and junction boxes
CN104836187B (zh) * 2015-05-18 2017-04-1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一种用于水密电线对接密封的固线防护装置
KR20170001363A (ko) * 2015-06-26 2017-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격벽 관통용 파이프 결합 어셈블리
EP3392988B1 (en) * 2017-04-18 2021-05-26 Roxtec AB Sealed cable pass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057A (ja) 2004-11-29 2006-06-15 Doi Seisakusho:Kk ケーブル用導管の防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2988B1 (en) 2021-05-26
RU2019134167A (ru) 2021-05-18
US20210296874A1 (en) 2021-09-23
WO2018192901A1 (en) 2018-10-25
US11063414B2 (en) 2021-07-13
CN110546838A (zh) 2019-12-06
US11611202B2 (en) 2023-03-21
CN110546838B (zh) 2021-04-13
EP3392988A1 (en) 2018-10-24
KR20190137879A (ko) 2019-12-11
US20210143624A1 (en) 2021-05-13
RU2019134167A3 (ko) 2021-07-27
RU2756303C2 (ru)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384B1 (ko) 밀봉형 케이블 통로
EP3271981B1 (en) Seal
US3801131A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for securing conduits to junction boxes
JP4276234B2 (ja) ケーブル挿入及びパイプ貫通用スリーブ
WO2016089290A1 (en) Fire stop
JP7412359B2 (ja) シールおよび外径エキステンダを備えるリードスルー
US20220403934A1 (en) Seal with different compressions
CN107532754B (zh) 穿引系统的楔
JP2018198513A (ja) 管路口防水装置及びシール部材
US20240125411A1 (en) Round seal
CN114761720B (zh) 具有不同的压缩的密封件
KR200484663Y1 (ko) 클램프 장치
JP2024017000A (ja) 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