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004B1 - 벨트 전동 기구 - Google Patents

벨트 전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004B1
KR102502004B1 KR1020210050381A KR20210050381A KR102502004B1 KR 102502004 B1 KR102502004 B1 KR 102502004B1 KR 1020210050381 A KR1020210050381 A KR 1020210050381A KR 20210050381 A KR20210050381 A KR 20210050381A KR 102502004 B1 KR102502004 B1 KR 102502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air
pulleys
meander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146A (ko
Inventor
타무라 에이키
Original Assignee
미쓰보 시베루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 시베루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 시베루토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227Belt conveyors for vertical convey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 전동 기구는, 적어도 하나가 톱니 풀리인,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한 쌍의 풀리와, 한 쌍의 풀리에 걸리고, 또한, 톱니 풀리와 맞물림 가능한 톱니부를 가지고, 한 쌍의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와, 벨트의 사행을 억제 가능한 사행 억제기구를 구비하고, 사행 억제 기구는, 벨트의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각각의 축 방향이 벨트의 벨트 두께 방향과 평행이 되는 한 쌍의 롤러와, 한 쌍의 롤러를 회전 자재로 지지하고, 또한, 벨트 두께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롤러 및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벨트 전동 기구{BELT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본 발명은 벨트 전동 기구(Belt 傳動 機構)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벨트 전동 기구로서, 반송물을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 운반 장치에 이용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승강 운반 장치에 있어서의 벨트 전동 기구에서는 상방 및 하방으로 배치된 톱니 풀리와, 톱니 풀리에 맞물리게 되는 톱니 벨트를 이용하여, 톱니 풀리 중의 구동 풀리를 회전ㆍ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톱니 벨트에 고정된 하대(荷台)에 실린 반송물을 상하로 승강시키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벨트 전동기구로서, 약제 등을 탑재한 버킷의 입출고를 행하는 자동 창고용으로 이용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자동 창고용의 벨트 전동 기구에서는, 버킷을 적치한 가동대(可動台)를 연결한 벨트를 상하 방향을 따라 구동시키는 것으로, 가동대를 상하 이동시키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개2017-215038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개1994-316308호 공보
그런데, 이런 종류의 벨트 전동 기구에 있어서는, 얼라인먼트(풀리 끼리의 위치 어긋남)가 생긴 상태에서 벨트를 주행시키면, 벨트는 직진성이 흐트러져 벨트 폭 방향으로 사행(蛇行)(치우침)한다. 특히, 반송물이 중량물인 경우나, 고속으로 이송하는 경우 등, 부하가 높은 조건에서 긴거리를 이송시키면, 사행이 현저하게 발생한다. 더욱이, 벨트가 뒤틀려 풀리의 플랜지 부분(鍔部)에 올라타려고 하는 것으로, 벨트에 과도한 장력이 걸려, 벨트가 풀리에서 일탈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얼라인먼트를을 정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지만, 이 조정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것 같은 자동 창고용 벨트 전동 기구 중에는, 반송물의 반송 거리가 2m 이상 되는 긴 스팬의 사양이 존재한다. 일례를 들면, 건물과 일체로 된 빌딩식 자동 창고용으로 사용되는 벨트 전동 기구의 경우에는, 반송물의 수직 방향의 반송 거리가 20m 이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반송물의 반송 거리가 긴 롱 스팬 사양의 벨트 전동기구에서는, 한 쌍의 풀리의 축간 거리가 긴(긴 경우 25m 정도) 때문에, 얼라인먼트의 조정은 곤란하다. 따라서, 한 쌍의 풀리 사이에 허용할 수 있는 정도의 위치 어긋남(미스얼라인먼트)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벨트의 사행을 억제 가능한 벨트 전동 기구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풀리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고, 또한, 벨트 풀리로부터의 일탈을 억제 가능한 벨트 전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벨트 전동 기구는, 적어도 하나가 톱니 풀리인,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한 쌍의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걸리고, 또한, 상기 톱니 풀리와 맞물림 가능한 톱니부(齒部)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사행을 억제 가능한 사행 억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사행 억제 기구는, 상기 벨트의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각각의 축 방향이 상기 벨트의 벨트 두께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회전 자재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벨트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행 억제 기구의 한 쌍의 롤러에 의해, 벨트의 벨트 폭 방향의 이동이 억제된다. 더욱이, 한 쌍의 가이드에 의해 벨트의 벨트 두께 방향의 이동도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풀리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고, 또한, 벨트의 풀리로부터의 일탈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벨트 전동 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풀리의 축간 거리가 2m 이상이어도 좋다. 한 쌍의 풀리의 축간 거리가 길면, 이들 풀리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정도(精度) 좋게 조정하는 것은 어렵고, 벨트의 사행이나 벨트의 풀리로부터의 일탈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풀리 사이의 위치 어긋남이 정도 좋게 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행 억제 기구에 의해,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고, 또한, 벨트의 풀리로부터의 일탈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벨트 전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는 반송물이 적치되는 하대가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하대에 반송물이 적치되는 경우에는, 부하가 높아지고, 벨트의 사행이 현저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사행 억제 기구에 의해,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고, 또한, 벨트의 풀리로부터의 일탈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벨트 전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사행 억제 기구는, 상기 하대의 이동 범위의 외부, 또한, 상기 한 쌍의 풀리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행 억제 기구가 풀리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벨트의 벨트 폭 방향 및 벨트 두께 방향으로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사행 억제 기구와 하대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벨트 전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하대는, 상기 벨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풀리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벨트 부분 중 일방 측의 벨트 부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사행 억제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일방 측의 벨트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하대가 장착된 측의 벨트 부분은, 반송물에 걸리는 관성력의 영향으로 심하게 요동하기 쉬워진다. 여기에서, 사행 억제 기구의 한 쌍의 롤러를, 하대가 장착된 측의 벨트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하대가 장착된 측의 벨트 부분의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벨트 전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외주면끼리의 상기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소 롤러 간격은, 상기 벨트의 벨트 폭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톱니 풀리의 톱니 폭보다도 작아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벨트의 주행 중에 있어서의, 한 쌍의 롤러와 벨트와의 접촉을 저감하면서, 벨트의 벨트 폭 방향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벨트 전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각각은, 상기 벨트를 향하여 돌출되는 볼록부(凸部)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벨트 두께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상기 벨트와 겹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상기 볼록부끼리의 상기 벨트 두께 방향의 최소 간격은, 상기 벨트의 벨트 두께보다도 크고,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상기 벨트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도 작아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벨트의 주행 중에 있어서의, 한 쌍의 가이드와 벨트와의 접촉을 저감하면서, 벨트의 벨트 두께 방향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벨트 전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풀리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는, 상기 한 쌍의 풀리의 순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승강 회전하여도 좋다. 한 쌍의 풀리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 강체 지지의 관점으로부터, 풀리 사이의 어긋남을 정도 좋게 조정하는 것은 어렵고, 벨트의 사행이나 벨트의 풀리로부터의 일탈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풀리 사이의 위치 어긋남이 정도 좋게 조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사행 억제 기구에 의해,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고, 또한, 벨트의 톱니 풀리로부터의 일탈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풀리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고, 또한, 벨트의 풀리로부터의 일탈을 억제할 수 있다.
[도1] 벨트 승강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2] 벨트 승강 장치 부분 측면도이다.
[도3] 벨트 승강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4] 사행 억제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5] 사행 억제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6] 사행 억제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7] 변형 예에 관계되는 벨트 승강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벨트 전동 기구(1)를 벨트 승강 장치(100)에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승강 장치(100)는, 반송물 M을 상하 방향으로 반송하는 장치이다. 벨트 승강 장치(100)의 반송물 M의 반송 거리는, 2m 이상이다.
벨트 승강 장치(100)는, 벨트 전동기구(1)와 하대(10)을 구비하고 있다.
벨트 전동 기구(1)는, 4 개의 풀리(2a~2d)와, 2 개의 벨트(3a, 3b)와, 2 개의 사행 억제 기구(4a, 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1의 지면 앞 측을 벨트 승강 장치(100)의 "전방", 지면을 향하는 측을 벨트 승강 장치(100)의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 도1에 나타내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벨트 승강 장치(10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이하,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어를 적의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풀리(2a~2d)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풀리(2)"로 총칭한다. 벨트(3a, 3b)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벨트(3)"라고 총칭한다. 사행 억제 기구(4a, 4b)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행 억제 기구(4)"로 총칭한다.
4 개의 풀리(2)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한 톱니 풀리이고, 그의 축 방향이 전후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풀리(2a, 2b)는, 쌍을 이루고 있으며, 풀리(2a)는 풀리(2b)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풀리(2c, 2d)는, 쌍을 이루고 있으며 풀리(2c)는 풀리(2d)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벨트 전동 기구(1)은, 상하 방향으로 이간된 2 쌍의 풀리(2)를 구비하고 있다. 또, 풀리(2a) 및 풀리(2c)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병설되어 있으며, 그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다. 풀리(2b) 및 풀리(2d)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병설되어 있으며, 그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다.
또, 풀리(2a) 및 풀리(2b)의 축간 거리 D, 및 풀리(2c) 및 풀리(2d)의 축간 거리 D는 모두 같은 거리이다. 또, 축간 거리 D는, 2m~25m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5m~25m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 개의 풀리(2)는, 각각,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반형의 풀리 본체부(20)와 한 쌍의 플랜지부(21)를 갖고 있다. 풀리 본체부(20)는, 벨트(3)가 감겨 걸린다. 풀리 본체부(20)의 외주면에는, 전후 방향(풀리 본체부(2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톱니부(20a)는 풀리 본체부(20)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랜지부(21)는, 풀리 본체부(20)의 축 방향 양단에 각각 접속되고, 원반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플랜지부(21)는, 풀리 본체부(20)와 동축 상에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1)의 외경은, 풀리 본체부(20)의 외경보다도 크다. 이것에 의해, 벨트(3)가 풀리 본체부(20)에 감겨 걸린 상태에서, 벨트(3)가 풀리 본체부(20)로부터 일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개의 벨트(3)는, 서로 동일 구성을 한 무단상(無端狀)의 톱니 벨트(전동 벨트)이다. 벨트(3)는, 복수의 심선과, 복수의 심선을 매설한 등면부(背面部)와, 복수의 톱니부(齒部)를 포함하는 벨트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벨트(3)의 복수의 톱니부는, 벨트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톱니부는, 벨트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벨트(3)의 복수의 톱니부는, 풀리(2)의 톱니부(20a)와 맞물림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벨트(3)는, 이하의 요건을 만족하고 있다.
ㆍ 벨트 폭 = 10~200mm
ㆍ 벨트 전체 두께 = 2~18mm
ㆍ 등면부의 두께 = 0.8~6mm
ㆍ 각 톱니부의 높이 = 1.2~8mm
ㆍ 톱니부의 피치 = 5~30mm
ㆍ 각 심선의 직경 = 0.4~2.6mm
ㆍ 각 심선의 강력 = 0.15~8kN
ㆍ 심선의 피치 = 1.0~3.7mm
ㆍ 심선의 간격 = 0.4~1.4mm (각 간격의 합계치는 벨트 폭의 13~36 %)
ㆍ 벨트 폭 1mm 당의 벨트 강력 = 0.10kN 이상, 2.60kN 이하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벨트(3)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요건을 만족하고 있다.
ㆍ 벨트 폭 = 10~200mm
ㆍ 벨트 전체 두께 = 2~14mm
ㆍ 등면부의 두께 = 2~4mm
ㆍ 각 톱니부의 높이 = 2.5~6.1mm
ㆍ 톱니부의 피치 = 8~20mm
ㆍ 각 심선의 직경 = 0.9~2.5mm
ㆍ 각 심선의 강력 = 1.0~7.5kN
ㆍ 심선의 피치 = 2.0~3.2mm
ㆍ 심선의 간격 = 0.7~1.1mm (각 간격의 합계치는 벨트 폭의 13~36 %)
ㆍ 벨트 폭 1mm 당의 벨트 강력 = 0.50kN 이상, 2.30kN 이하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4 개의 풀리(2)의 축 방향은 전후 방향과 평행이기 때문에, 각 벨트(3)의 벨트 폭 방향은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되고, 각 벨트(3)의 벨트 두께 방향은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또 각 벨트(3)의 벨트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벨트(3)(톱니 벨트)의 구성 자체는 공지의 것(예를 들면, 일본 특개2018-185044호 공보 참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3a)는, 한 쌍의 풀리(2a, 2b)에 걸리고, 벨트(3b)는 한 쌍의 풀리(2c, 2d)에 걸려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풀리(2a, 2b) 및 한 쌍의 풀리(2c, 2d)의 축간 거리 D는 모두 2m 이상이기 때문에 이 풀리(2)에 걸리는 벨트(3)의 길이는, 벨트 폭 W(도2 참조)에 비해 매우 길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벨트(3)는, 폭이 좁고(細幅) 스팬이 긴 벨트이다.
또, 벨트(3a)의, 한 쌍의 풀리(2a, 2b)의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벨트 부분(30a, 30b) 중, 좌측의 벨트 부분(30b)에는, 하대(10)가 고정되는 고정구(35)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벨트(3b)의, 한 쌍의 풀리(2c, 2d)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벨트 부분(31a, 31b) 중, 우측의 벨트 부분(31a)에는, 하대(10)가 고정되는 고정구(36)가 설치되어 있다.
풀리(2b)는,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구동원)에 의해 순회전 구동 및 역회전 구동된다. 풀리(2b)가 회전 구동하면, 나머지 3 개의 풀리(2a, 2c, 2d)가 2 개의 벨트(3) 및 하대(10)을 통해 동기 구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풀리(2b)가 구동 풀리이며, 나머지 3 개의 풀리(2a, 2c, 2d)가 종동 풀리이다.
하대(10)는, 평판형의 대(台)이며, 그의 우단부가 고정구(35)를 통해 벨트(3a)에 고정되고, 또한 그의 좌단부가 고정구(36)를 통해 벨트(3b)에 고정되어 있다. 하대(10)의 상면에는, 반송 대상의 반송물 M이 적치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하대(10)에 반송물 M을 적치한 상태에서, 풀리(2b)를 순회전 구동 또는 역회전 구동하면, 2 개의 벨트(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회전하고, 그 결과로서 반송물 M이 상하로 승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벨트 승강 장치(100)에서는, 반송물 M을 양쪽 지지 상태에서 승강 반송 가능하다.
그런데, 벨트 전동 기구(1)에 있어서, 얼라인먼트(한 쌍의 풀리(2)끼리의 위치 어긋남)가 생긴 상태에서 벨트(3)를 주행시키면, 벨트(3)은 직진성이 흐트러져 벨트 폭 방향으로 사행한다. 특히, 반송물 M이 중량물인 경우나,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등, 부하가 높은 조건에서 긴 거리를 이송시키면, 사행이 현저하게 발생한다. 또, 축간 거리 D가 5m~25m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등, 축간 거리 D가 긴 경우에는, 벨트(3)의 사행도 크게 되기 쉽다. 더욱이 벨트(3)가 뒤틀려 풀리(2)의 플랜지부(21)에 올라타려고 하는 것으로, 벨트(3)에 과잉의 장력이 걸려, 벨트(3)가 풀리(2)로부터 일탈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벨트(2)의 사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얼라인먼트를 정도 좋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벨트 전동기구(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풀리(2)의 축간 거리 D가 길기(긴 경우 25m 정도) 때문에, 얼라인먼트의 조정은 곤란하다. 또한, 한 쌍의 풀리(2)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강체 지지의 관점으로부터, 얼라인먼트 조정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벨트 전동기구(1)는, 벨트(3)의 사행을 억제하기 위한 2 개의 사행 억제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사행 억제 기구(4)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행 억제 기구(4a)는, 벨트(3a)의 사행을 억제하기 위한 기구이며, 벨트(3)를 승강 회전시킬 때에 하대(1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범위 R의 외측, 또한 풀리(2)와 접촉하지 않는(간섭하지 않는), 풀리(2b)의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행 억제 기구(4a)는, 이동 범위 R의 하단과, 풀리(2b)의 상단 사이의 범위 N 중, 해당 범위 N의 중앙 C보다도 풀리(2b) 측에 배치되어 있다.
사행 억제 기구(4b)는, 벨트(3b)의 사행을 억제하기 위한 기구이며, 이동 범위 R의 외측, 또한 풀리(2)와 접촉하지 않는, 풀리(2d)의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행 억제 기구(4b)는 이동 범위 R의 하단과, 풀리(2d)의 상단 사이의 범위 N 중, 해당 범위 N의 중앙 C보다도 풀리(2d)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1~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행 억제 기구(4)는, 각각 한 쌍의 롤러(40), 및 한 쌍의 가이드(45)를 구비하고 있다. 사행 억제 기구(4)는, 바닥에 공지의 수단으로 계지(繫止)된 지지 부재(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50)는, 벨트 승강 장치(100)의 본체 등에 계지되어 되어 있어도 좋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40)는, 벨트(3)의 벨트 폭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 벨트(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각각의 축 방향이 벨트(3)의 벨트 두께 방향(좌우 방향)과 평행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행 억제 기구(4a)의 한 쌍의 롤러(40)는, 벨트(3a)에 있어서의 벨트 부분(30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사행 억제 기구(4b)의 한 쌍의 롤러(40)는, 벨트(3b)에 있어서의 벨트 부분(31a)을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이와 같이 사행 억제 기구(4) 각각의 한 쌍의 롤러(40)는, 벨트(3)에 있어서의 하대(10)가 고정되는 벨트 부분(30b, 31a)을 사이에 두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4~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40)는, 각각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롤러(40)는, 중공이나 제거(lightening)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롤러(40)의 재질은, 수지이며, 예를 들면, 저마찰계수의 불소 수지나 폴리 아세탈 등이 호적하게 이용된다. 변형 예로서, 롤러(40)의 재질은, 강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이어도 좋다.
도2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40)는, 그의 외주면끼리의 최소 간격인 롤러 간격 I가, 벨트(3)의 벨트 폭 W보다도 크고, 또한 풀리(2)의 톱니부(20a)의 톱니 폭 X(풀리 본체부(20)의 벨트 폭 방향의 폭)보다도 작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간격 I는 톱니 폭 X보다 작고, 벨트 폭 W보다 2mm 이상 크게 (풀리(2)의 정지 시에, 한 쌍의 롤러(40) 각각과 벨트(3)와의 사이의 각 간격이 1mm 이상 크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40)의 축 방향(벨트 두께 방향)의 두께 Z는, 적어도 벨트(3)의 벨트 두께 G보다도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또, 롤러(40)의 롤러 지름에 관하여는, 사행 억제 기구(4)의 전체 사이즈나, 하대(10)의 반송을 저해하지 않도록 컴팩트성(compact性)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롤러(40)에 있어서는, 다음의 요건을 만족하고 있다.
ㆍ롤러의 지름 = 30~60mm
ㆍ롤러의 축 방향의 두께 = 5~20mm
도1~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45)는, 벨트 두께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롤러(40) 및 벨트(3)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45)는, 축받이(軸受)(49)을 통해 한 쌍의 롤러(40)를 회전 자재로 지지한다.
가이드(45)의 재질은 수지이며, 예를 들면, 저마찰계수의 불소 수지, 폴리 아세탈 등이 호적하게 이용된다. 변형 예로서, 가이드(45)의 재질은, 강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이어도 좋다.
또, 한 쌍의 가이드(45)는, 각각, 거의 볼록형의 판재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가이드(45)는, 각각, 평판형의 평판부(45a)와 평판부(45a)로부터 벨트(3)을 향해 돌출하는 판형의 볼록부(45b)를 갖는다. 볼록부(45b)는, 벨트 두께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벨트(3)와 겹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평판부(45a)의 상하 방향의 길이와, 볼록부(45b)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같다. 한편, 평판부(45a)의 벨트 폭 방향의 길이는, 볼록부(45b)의 벨트 폭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 상세하게는, 평판부(45a)의 벨트 폭 방향의 길이는, 한 쌍의 롤러(40)의 축간 거리보다도 길다. 볼록부(45b)의 벨트 폭 방향의 길이는, 한 쌍의 롤러(40)의 롤러 간격 I보다도 짧다. 또, 평판부(45a)는, 축받이(49)을 통해 한 쌍의 롤러(40)를 회전 자재로 지지한다.
볼록부(45b)에 있어서의, 벨트(3)과 대향하는 대향면과 상면과의 능선부, 및 당해 대향면과 하면과의 능선부는 각각 모서리 처리(모따기)되어 만곡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3)가 볼록부(45b)에 접촉했을 때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45)는, 볼록부(45b)끼리의 벨트 두께 방향의 최소 간격 H가, 벨트(3)의 벨트 두께 G보다도 크고, 롤러(40)의 두께 Z보다도 작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가이드(45)는, 최소 간격 H가 벨트 두께 G보다 2mm 이상 크게 (풀리(2)의 정지 시에, 한 쌍의 가이드(45) 각각과 벨트(3)와의 사이의 각 간격이 1mm 이상 크게)되고, 롤러(40)의 두께 Z보다도 작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45)의 사이즈에 관하여는, 사행 억제 기구(4)의 전체 사이즈나, 하대(10)의 반송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 컴팩트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또한, 사행 억제 기구(4)는, 한 쌍의 가이드(45)를, 공구 등을 사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풀리(2)에 벨트(3)가 걸린 상태에서도, 덧붙임으로 사행 억제 기구(4)를 벨트(3)에 대하여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축받이(49)는, 롤러(40)가 회전할 수 있으면 좋고, 구름 축받이, 미끄럼 축받이, 자기 축받이, 유체 축받이 등 공지의 축받이를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사행 억제 기구(4)에 의해, 벨트(3)의 사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벨트(3)의 주행 중에 있어서, 벨트(3)가 벨트 폭 방향으로 이동(요동)한 경우에는, 벨트(3)는 한 쌍의 롤러(40) 중의 이동 방향 하류 측의 롤러(40)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벨트 폭 방향으로 가일층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로서, 벨트(3)가 벨트 폭 방향으로 크게 사행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벨트(3)가 롤러(40)에 접촉했을 때에는, 롤러(40)는 당해 접촉에 의해 회전한다. 이 때문에, 벨트(3)과 롤러(4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벨트(3)의 주행 중에 있어서, 벨트(3)가 벨트 두께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벨트(3)는, 한 쌍의 가이드(45) 중의 이동 방향 하류 측의 가이드(45)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벨트 두께 방향으로의 가일층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로서, 벨트(3)가 벨트 두께 방향으로 크게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풀리(2)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사행 억제 기구(4)에 의해, 벨트(3)의 사행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벨트(3)의 풀리(2)로부터의 일탈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축간 거리 D가 5m~25m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등, 축간 거리 D가 길고, 벨트(3)의 사행이 크게 되기 쉬운 조건에 있었다고 하여도, 사행 억제 기구(4)에 의해, 벨트(3)의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행 억제 기구(4a)는, 하대(1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범위 R의 외측, 또한 풀리(2)와 접촉하지 않는, 풀리(2b)의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고, 사행 억제 기구(4b)는. 이동 범위 R의 외측, 또한 풀리(2)와 접촉하지 않는, 풀리(2d)의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행 억제 기구(4)와 하대(10)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사행 억제 기구(4)는, 벨트(3)의 상태(품질)에 의하지 않고, 벨트(3)의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의 벨트(3)는, 전주에 걸친 형상이 일정하지 않고, 부위에 따라 고르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벨트(3)의 벨트 폭 방향의 양단은, 제조 상, 커터로 소정 폭으로 절단된 절단부로 되는데, 예를 들어 직선적으로 절단되어 있어도, 벨트 자체의 재료 특성으로부터 벨트 폭 방향으로 미소하게 수축한다. 그 결과, 벨트(3)는 그의 직선성이 흐트러져 미소하게 커브 형상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둘레 길이가 큰 벨트(3)일수록, 이 직선성의 흐트러짐이 현저하게 되기 쉽다. 이와 같은 벨트(3)의 형상적인 직선성의 흐트러짐이 크면, 사행 정도도 커진다.
여기서, 사행 억제 기구(4)가 벨트(3)의 사행을 억제하는 원리는, 사행 억제 기구(4)와, 풀리(2)의 2 점이, 주행하는 벨트(3)의 지지점(2점 지지)으로 되고, 벨트(3)의, 벨트 폭 방향 및 벨트 두께 방향으로의 요동을 강제적으로 억제하는(로크하는) 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이 때, 2 개의 지지점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벨트(3)의 요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행 억제 기구(4)가 풀리(2)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2 개의 지지점의 거리가 가깝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3)의 상태가, 형상적인 직선성의 흐트러짐이 큰 상태였다고 하여도, 사행 억제 기구(4)에 의해 벨트(3)의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하대(10)가 설치된 측의 벨트 부분(30b, 31a)은, 반송물 M에 걸리는 관성력의 영향으로 심하게 요동하기 쉽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사행 억제 기구(4a, 4b)에 있어서의 한 쌍의 롤러(40)는, 벨트(3)에 있어서의 하대(10)가 고정된 벨트 부분(30b, 31a)를 각각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대(10)가 설치된 벨트 부분(30b, 31a)의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벨트(3)의 풀리(2)로부터 일탈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다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롤러(40)의 롤러 간격 I는, 벨트 폭 (W)보다도 크고, 또한 톱니 폭 X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벨트(3)의 주행 중에 있어서의, 한 쌍의 롤러(40)와 벨트(3)와의 접촉을 저감하면서, 벨트(3)가 벨트 폭 방향으로 사행할 때의, 벨트(3)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가일층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45)의 볼록부(45b)끼리의 벨트 두께 방향의 최소 간격 H가 벨트 두께 G보다도 크고, 롤러(40)의 두께 Z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벨트(3)의 주행 중에 있어서의, 한 쌍의 가이드(45)와 벨트(3)와의 접촉을 저감하면서, 벨트(3)가 벨트 두께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벨트(3)의 벨트 두께 방향으로의 가일층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하의 수단도 알려져 있다. 즉, 한 쌍의 풀리 사이의 거의 전체 범위에 걸쳐 벨트의 자세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마련하는 수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수단에서는, 한 쌍의 풀리 사이의 특히 중앙 부근에 있어서, 벨트가 크게 흔들린 경우에, 하대가 가이드 레일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긴 스팬의 벨트 전동 기구에 적용하면, 가이드 레일이 장대하게 되기 때문에, 고비용이 된다.
또, 벨트 전동기구에, 사행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게 한 텐션 풀리를 마련하는 수단(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5-249092호 공보)도 알려져 있지만, 이 수단에서는, 텐션 풀리를 마련하는 것으로, 벨트 전동기구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아진다. 게다가, 이 수단을 적용할 수 있는 벨트 전동기구는, 스팬이 짧은 벨트 전동기구이며,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긴 스팬의 벨트 전동기구에 있어서는, 텐션 풀리만으로는 충분하게 벨트의 사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본 실시 형태의 사행 억제 기구(4)에서는, 이들 수단는 달리, 복잡하고 고비용이 드는 것도 아닌 간소한 기구로, 또한 벨트(3)의 스팬에 관계없이, 벨트(3)의 사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에 기재한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4 개의 풀리(2) 중 2 개의 풀리(2b, 2d) 각각의 근방에 사행 억제 기구가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4 개의 풀리 각각의 근방에 사행 억제 기구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벨트의 사행 억제의 신뢰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 벨트에 하대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벨트가 걸리는 한 쌍의 풀리의 축간 거리는, 2m 미만 이어도 좋고, 25m보다 길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4 개의 풀리 전부가 톱니 풀리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풀리 중 한쪽의 풀리(종동 풀리)는, 평풀리이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3)는, 전체 둘레에 걸쳐 톱니부가 형성된 톱니 벨트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풀리인 톱니 풀리에 맞물림 가능한 톱니부를 적어도 갖는 벨트이면 좋다. 즉, 종동 풀리에 감겨 걸리는 부분이나, 풀리를 통하지 않는 벨트 부분은 맞물림 전동일 필요는 없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평벨트나 V 벨트 등의 마찰 전동 벨트를 조합한 벨트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롤러(40)는, 축받이(49)을 통해 한 쌍의 가이드(45)에 회전 자재로 지지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가이드 중 한 쪽의 가이드에 롤러의 심봉(心棒)이 서 있고, 다른 쪽의 가이드가 당해 심봉을 삽통 또는 감합하기 위한, 삽통공 또는 오목부(凹部)를 갖는다면, 한 쌍의 가이드는, 한 쌍의 롤러를 축받이 없이도 회전 자재로 지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45)는 거의 볼록형의 판재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행 중의 벨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벨트의 두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와 형태이면 좋다. 예를 들면, 한 쌍의 가이드는, 벨트와 접촉하는 부분이 롤러(회전하는 원통체)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벨트와 가이드 사이의 마찰을 보다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승강 장치(100)에서는, 반송물 M을 양쪽 지지 상태에서 승강 반송하는 장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내는 벨트 승강 장치(200)와 같이, 반송물 M을 한쪽 지지 상태에서 승강 반송하는 장치이어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벨트 승강 장치(200)가 구비하는 벨트 전동기구(201)는, 한 쌍의 풀리(2)와, 이 한 쌍의 풀리(2)에 걸리는 하나의 벨트(3)와, 벨트(3)의 사행을 억제하는 하나의 사행 억제 기구(4)을 구비하고 있다. 벨트(3)의 벨트 부분(30a)에는 고정구(35)를 통해 하대(10)가 고정되어 있다. 하대(10)는, 그 우단부만이 고정부(35)를 통해 벨트(3)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하대(10)에 반송물 M을 적치한 상태에서, 풀리(2b)를 순회전 구동 또는 역회전 구동하면, 하나의 벨트(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회전하고, 그 결과로서 반송물 M이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또한, 하대(10)의 좌단부 측을 가이드 레일 등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전동기구(1)를 벨트 승강 장치(100)에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트 전동 기구를 다른 장치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벨트 전동기구를, 반송물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벨트 전동 기구의 한 쌍의 풀리는, 수평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이들 한 쌍의 풀리에 걸리는 벨트는, 풀리의 회전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수평 방향의 반송 거리가 긴 반송 장치의 경우에는, 벨트에 있어서의 한 쌍의 풀리 사이에 있는 벨트 부분은, 자중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휘기 쉽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는, 벨트 전동기구는, 사행 억제 기구에 더하여, 휨을 억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벨트 전동 기구는, 한 쌍의 풀리가 순회전 및 역회전의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벨트에 사행(요동)이 생겨 풀리에 침입하면(감겨 걸리면), 그 영향으로 벨트가 풀리의 플랜지부와 충돌한다든지, 올라탄다든지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구성의 경우에는, 사행 억제 기구의 한 쌍의 롤러는, 벨트에 있어서의 풀리에 침입하는 측의 벨트 부분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20년 4월 28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20-079092 및 2021년 4월 7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21-65393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1 벨트 전동 기구
2 풀리
3 벨트
4 사행 억제 기구
40 롤러
45 가이드
45b 볼록부

Claims (9)

  1. 적어도 하나가 톱니 풀리인,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한 쌍의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걸리고, 또한, 상기 톱니 풀리와 맞물림 가능한 톱니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사행을 억제 가능한 사행 억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사행 억제 기구는,
    상기 벨트의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각각의 축 방향이 상기 벨트의 벨트 두께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회전 자재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벨트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풀리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는, 상기 한 쌍의 풀리의 순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승강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 기구.
  2. 적어도 하나가 톱니 풀리인,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한 쌍의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걸리고, 또한, 상기 톱니 풀리와 맞물림 가능한 톱니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사행을 억제 가능한 사행 억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사행 억제 기구는,
    상기 벨트의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각각의 축 방향이 상기 벨트의 벨트 두께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회전 자재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벨트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각각은, 상기 벨트를 향하여 돌출되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벨트 두께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상기 벨트와 겹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상기 볼록부끼리의 상기 벨트 두께 방향의 최소 간격은, 상기 벨트의 벨트 두께보다도 크고, 상기 롤러의 상기 벨트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는, 반송물이 적치되는 하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는, 반송물이 적치되는 하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기구.
  5. 적어도 하나가 톱니 풀리인,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한 쌍의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걸리고, 또한, 상기 톱니 풀리와 맞물림 가능한 톱니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사행을 억제 가능한 사행 억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사행 억제 기구는,
    상기 벨트의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각각의 축 방향이 상기 벨트의 벨트 두께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회전 자재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벨트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상기 벨트에는, 반송물이 적치되는 하대가 고정되고, 또한,
    상기 사행 억제기구는, 상기 하대의 이동 범위의 외측, 또한, 상기 한 쌍의 풀리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기구.
  6. 적어도 하나가 톱니 풀리인,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한 쌍의 풀리,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걸리고, 또한, 상기 톱니 풀리와 맞물림 가능한 톱니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풀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사행을 억제 가능한 사행 억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사행 억제 기구는,
    상기 벨트의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각각의 축 방향이 상기 벨트의 벨트 두께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회전 자재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벨트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상기 벨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풀리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벨트 부분 중 일방 측의 벨트 부분에, 반송물이 적치되는 하대가 고정되고, 또한,
    상기 사행 억제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일방 측의 벨트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풀리의 축간 거리가 2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기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외주면끼리의 상기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소 롤러 간격은, 상기 벨트의 벨트 폭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톱니 풀리의 톱니 폭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외주면끼리의 상기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최소 롤러 간격은, 상기 벨트의 벨트 폭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톱니 풀리의 톱니 폭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전동기구.
KR1020210050381A 2020-04-28 2021-04-19 벨트 전동 기구 KR102502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9092 2020-04-28
JP2020079092 2020-04-28
JP2021065393A JP7007508B2 (ja) 2020-04-28 2021-04-07 ベルト伝動機構
JPJP-P-2021-065393 2021-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146A KR20210133146A (ko) 2021-11-05
KR102502004B1 true KR102502004B1 (ko) 2023-02-23

Family

ID=7830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381A KR102502004B1 (ko) 2020-04-28 2021-04-19 벨트 전동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07508B2 (ko)
KR (1) KR102502004B1 (ko)
TW (1) TWI799838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5044A (ja) * 2017-04-24 2018-11-22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き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44Y2 (ja) * 1990-08-23 1995-05-01 株式会社椿本バルクシステム コンベヤベルト案内装置を有する撒物揚搬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H04117815U (ja) * 1991-04-02 1992-10-21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蛇行防止装置
JPH06316308A (ja) 1993-05-07 1994-11-15 Toshiba Eng Co Ltd 自動倉庫用移載装置
TWM291834U (en) * 2005-11-09 2006-06-11 Systrow Co Ltd Music playing device with voice control statement decoder
TWM425113U (en) * 2011-08-17 2012-03-21 Jing Fu Machinery Ind Co Ltd Friction type baggage turntable device
JP6553674B2 (ja) 2016-05-25 2019-07-31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き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436700B (zh) * 2018-10-22 2021-01-08 武汉纺织大学 一种细纱管输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5044A (ja) * 2017-04-24 2018-11-22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き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75690A (ja) 2021-11-04
KR20210133146A (ko) 2021-11-05
TWI799838B (zh) 2023-04-21
TW202146309A (zh) 2021-12-16
JP7007508B2 (ja)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389B2 (en) Conveyor
US8985310B2 (en) Sorting conveyor
SU1272972A3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ержателей с боковыми поверхност ми,расположенными параллельно к направлению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 сборочных машин
KR100511175B1 (ko) 화물이송장치용컨베이어
EP2644538B1 (en) A conveyor
KR10128177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EP0286637B1 (en) Arrangement in a belt conveyor
AU685409B2 (en) Hose belt conveyor, and drive assembly therefor
KR101462684B1 (ko) 상품운반장치
JP6804978B2 (ja) 通路形成装置
KR102502004B1 (ko) 벨트 전동 기구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KR102676835B1 (ko) 커브 컨베이어
EP0385711A2 (en) Variable-speed pallet conveyor
US3799326A (en) Cable haulage installation
JPH08104411A (ja) スラットコンベヤにおけるチェーン支持装置
JP2016128305A (ja) 搬送装置
JP4795321B2 (ja) 荷送込み装置
JP2006327740A (ja) 急傾斜型ベルトコンベヤ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AU2021101877A4 (en) A multi-plane dynamic return belt tracker
KR102463286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가이드장치
JP2918823B2 (ja) 重量物搬送装置
KR101482277B1 (ko)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벨트 지지 장치
JP2023019587A (ja) コンベヤ及び規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