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880B1 -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880B1
KR102501880B1 KR1020180006998A KR20180006998A KR102501880B1 KR 102501880 B1 KR102501880 B1 KR 102501880B1 KR 1020180006998 A KR1020180006998 A KR 1020180006998A KR 20180006998 A KR20180006998 A KR 20180006998A KR 102501880 B1 KR102501880 B1 KR 10250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ransfer conveyor
conveyor belt
transf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656A (ko
Inventor
송석근
Original Assignee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8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공항수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을 구비하는 공항수하물용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인가되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를 연장하기 위한 제 2 아이들로울러(510)와; 사이 제 2 아이들로울러(510)를 통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가 방향전환되어 연결되는 제 2 연장벨트(520); 상기 제 2 연장벨트(520)의 장력을 로드셀(531)과 연동하여 측정하기 위한 장력측정 로울러(530); 및 상기 장력측정 로울러(530)에서 측정된 장력을 Kgf단위로 표시하는 장력표시수단(540);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에서 필요한 장력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된 장력의 수치값을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교체시기 및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 Realtime Tension Measurig Device of Moving Conveyor System }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에서 필요한 장력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된 장력의 수치값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에 설치되는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은 출국시 공항의 체크인 카운터 데스크에서 여객의 수하물을 적재하거나 입국시 공항수하물의 이송방향을 변경시켜 수하물을 회전시키는 케로셀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송컨베이어벨트의 경우에 수하물의 양과 하중에 따라 이송컨베이어 벨트에 가해지는 장력에 변동이 생기면 슬립현상이 방지하거나 과도한 장력으로 인해 구동모터가 과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성하며 공항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벨트는 초기 설치시 전체적인 높이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설치높이가 고정되어 설치될 경우에, 출국을 위한 체크인 카운터 데스크에서는 여객이 수하물을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적재하는 경우 일정 높이로 수하물을 들어올려야 하는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높이를 너무 높게 하면 상당한 무게의 수하물을 들어올려 적재해야 하기 때문에 여객의 편의성이 저하되고, 이송컨베이어벨트의 높이를 너무 낮추게 되면 반대로 승무원이 중량태그를 부착할 경우에 허리를 과도하게 굽혀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어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국시 수하물을 회전시키는 케로셀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를 구성하며 둘 이상의 이송로와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설치높이가 고정되는 경우에, 이송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되는 공항별로 둘 이상의 이송로가 연결되는 지점의 높이가 다를 경우에 이송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컨베이어프레임을 추가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공급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조절함으로써 공항수하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공항수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벨트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효율 및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적용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KR 10-2014-0015300호(공개일 2014.02.0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에서 필요한 장력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된 장력의 수치값을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교체시기 및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공항수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을 구비하는 공항수하물용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인가되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를 연장하기 위한 제 2 아이들로울러(510)와; 사이 제 2 아이들로울러(510)를 통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가 방향전환되어 연결되는 제 2 연장벨트(520); 상기 제 2 연장벨트(520)의 장력을 로드셀(531)과 연동하여 측정하기 위한 장력측정 로울러(530); 및 상기 장력측정 로울러(530)에서 측정된 장력을 Kgf단위로 표시하는 장력표시수단(5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력측정 로울러(530)는, 장력측정 회전축(530a)의 일단이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장형의 장력조절홀(120a)에 수평으로 유동 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는,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공항수하물의 하중과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인가되는 장력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400)는, 이송컨베이어벨트(210)를 연장하기 위한 제 1 아이들로울러(410)와; 사이 제 1 아이들로울러(410)를 통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가 방향전환되어 연결되는 제 1 연장벨트(420); 및 상기 제 1 연장벨트(420)의 장력을 스크류 조절 방식으로 조절하는 장력조절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430)는, 상기 제 1 연장벨트(420)를 지지하며 회전 이송시키는 장력조절로울러(431)와; 상기 장력조절로울러(431)의 회전축(431a)이 외측면에 고정결합되며 길이방향 내측 중심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게 관통하는 스크류 관통홀(432a)을 구비하는 장력조절 가이드(432)와; 상기 장력조절 가이드(432)의 스크류 관통홀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봉형상의 장력조절 스크류(433); 및 상기 장력조절 스크류(433)의 일단과 커플러(434a)로 결합되고 온오프제어에 의해 상기 장력조절 스크류(433)를 동작시키는 장력조절 서보머터(43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승하강 시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이송컨베이어 벨트에 공항수하물을 전달할 수 있는 높이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서 상기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는, 공항수하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평면을 제공하는 이송컨베이어 벨트(210);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의 내측면 길이방향 양단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구동모터로 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해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로울러부(22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복수개의 로울러부(220)를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의 내측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의 승하강 동작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독립적으로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컨베이어 프레임(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는, 전체적으로 'Y' 자 형상을 갖는 몸체가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하부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310)와; 상단이 상기 지지부(310)의 하부와 고정결합되고 하단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봉형상의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의 하단을 신축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 수용부(330)와; 상기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와 직교하며 일정한 기어비를 가지며 접촉하는 회전축을 구성하는 웜기어부재(340); 및 상기 웜기어부재(3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서보모터(3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0)는, 'Y' 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측 양끝단에 일단은 컨베이어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홀(110a,110b)에 끼움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핀(3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에서 필요한 장력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된 장력의 수치값을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교체시기 및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공항수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일정한 장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 벨트 구동시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과도한 장력으로 인한 구동모터의 과열 및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항수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의 높이를 웜기어를 이용해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수하물의 이송 방향이 변경되는 지점이나 여객의 수하물을 적재하기 위한 지점의 이송경로에 위치하는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높이에 차이가 있더라도 별도 제작없이 동일한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해 다양한 환경의 공항에 적용이 가능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세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세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500)와 이송컨베이어용 장력조절장치(4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항수하물의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500)를 구비할 수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500)는, 제 2 아이들로울러(510), 제 2 연장벨트(520), 장력측정 로울러(530), 및 장력표시수단(54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아이들로울러(51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를 연장하기 위하여 방향전환을 위한 것으로 앞서 상술한 제 1 아이들로울러(4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벨트(520)는, 상기 제 2 아이들로울러(510)를 통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가 방향전환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측정 로울러(530)는, 상기 제 2 연장벨트(520)의 장력을 로드셀(531)과 연동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표시수단(540)은, 상기 장력측정 로울러(530)에서 측정된 장력을 Kgf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력측정 로울러(53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400)의 장력조절부(430)를 구성하는 장력조절로울러(431)의 위치와 연동하는 장력측정 회전축(530a)의 일단이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장형의 장력조절홀(120a)에 수평으로 유동 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력측정로울러(530)가 로드셀(531)에 장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위치가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장력측정 회전축(530a)의 일단이 움직이기 위한 장력조절홀(120a)을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공항수하물의 하중과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인가되는 장력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400)는, 제 1 아이들로울러(410), 제 1 연장벨트(420), 및 장력조절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아이들로울러(41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후술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210)를 연장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을 전환하여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벨트(420)는, 상기 제 1 아이들로울러(410)를 통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가 방향전환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430)는, 상기 제 1 연장벨트(420)의 장력을 스크류 조절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부(4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로울러(431), 장력조절 가이드(432), 장력조절 스크류(433), 및 장력조절 서보모터(434)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장력조절로울러(431)는, 상기 제 1 연장벨트(420)를 지지하며 회전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 가이드(432)는, 상기 장력조절로울러(431)의 회전축(431a)이 외측면에 고정결합되며 길이방향 내측 중심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게 관통하는 스크류 관통홀(432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 스크류(433)는, 상기 장력조절 가이드(432)의 스크류 관통홀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 서보머터(434)는, 상기 장력조절 스크류(433)의 일단과 커플러(434a)로 결합되고 온오프제어에 의해 상기 장력조절 스크류(4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은, 하우징(100),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 및 하부프레임(1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공항수하물을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출국시 공항의 체크인 카운터 데스크에서 여객의 수하물을 적재하거나 입국시 공항수하물의 이송방향을 변경시켜 수하물을 회전시키는 케로셀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승하강 시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이송컨베이어 벨트에 공항수하물을 전달할 수 있는 높이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및 타측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서 상기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는, 공항수하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평면을 제공하는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의 내측면 길이방향 양단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구동모터로 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해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로울러부(22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복수개의 로울러부(220)를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의 내측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의 승하강 동작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독립적으로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컨베이어 프레임(2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는, 지지부(310), 높이조절용 스크류 부재(320), 스크류 수용부(330), 웜기어부재(340), 및 서보모터(350)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310)는, 전체적으로 'Y' 자 형상을 갖는 몸체가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하부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는, 상단이 상기 지지부(310)의 하부와 고정결합되고 하단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수용부(33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의 하단을 신축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웜기어부재(340)는,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와 직교하며 일정한 기어비를 가지며 접촉하는 회전축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보모터(350)는, 상기 웜기어부재(34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310)는, 'Y' 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측 양끝단에 컨베이어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홀(110a,110b)에 끼움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핀(311)을 구비할 수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보모터(350)가 구동하여 상기 웜기어부재(34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웜기어부재(340)가 일정한 기어비로 높이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와 접촉하면서 동작하면, 상기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의 하단이 상기 스크류 수용부(330)를 통해 신축조절됨으로써,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프레임(2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서 상술한 한 쌍의 지지홀(110a, 110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하나만 높이 조절이 될 경우 일측 지지홀(110a)만 장홀로 형성될 수 있고, 양측 모두가 높이 조절이 될 경우에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측 지지홀(110a)과 타측 지지홀(110b) 모두 장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홀(110a,110b)구성으로 인해 컨베이어 프레임(230)의 높이가 조절될 경우에 결합핀(311)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공항수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는 컨베이어 프레임의 높이를 웜기어를 이용해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수하물의 이송 방향이 변경되는 지점이나 여객의 수하물을 적재하기 위한 지점의 이송경로에 위치하는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높이에 차이가 있더라도 별도 제작없이 동일한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해 다양한 환경의 공항에 적용이 가능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공항수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일정한 장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 벨트 구동시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과도한 장력으로 인한 구동모터의 과열 및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에서 필요한 장력측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된 장력의 수치값을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교체시기 및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하부프레임
100 : 하우징
110a,110b : 지지홀
120a: 장력조절홀
200 : 이송컨베이어벨트부
210 : 이송컨베이어 벨트
220 : 로울러부
230 : 컨베이어 프레임
300 :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
310 : 지지부
311 : 결합핀
320 :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
330 : 스크류 수용부
340 : 웜기어부재
350 : 서보모터
400 :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
410 : 제 1 아이들오울러
420 : 제 1 연장벨트
430 : 장력조절부
431 : 장력조절로울러
431a: 회전축
432 : 장력조절가이드
432a: 스크류관통홀
433 : 장력조절 스크류
434 : 장력조절 서보모터
434a: 커플러
500 :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
510 : 제 2 아이들로울러
520 : 제 2 연장벨트
530 : 장력측정 로울러
530a: 장력측정 회전축
540 : 장력표시수단

Claims (9)

  1.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공항수하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를 구비하는 공항수하물용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의 이송컨베이어벨트(210)에 인가되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 장력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를 연장하기 위한 제 2 아이들로울러(510)와;
    상기 제 2 아이들로울러(510)를 통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가 방향전환되어 연결되는 제 2 연장벨트(520);
    상기 제 2 연장벨트(520)의 장력을 로드셀(531)과 연동하여 측정하기 위한 장력측정 로울러(530);
    상기 장력측정 로울러(530)에서 측정된 장력을 Kgf단위로 표시하는 장력표시수단(54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을 자동으로 승하강 시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이송컨베이어 벨트에 공항수하물을 전달할 수 있는 높이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는,
    전체적으로 'Y' 자 형상을 갖는 몸체가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하부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컨베이어 프레임(230)을 지지하는 지지부(310)와;
    상단이 상기 지지부(310)의 하부와 고정결합되고 하단 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봉형상의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의 하단을 신축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 수용부(330)와;
    상기 높이 조절용 스크류 부재(320)와 직교하며 일정한 기어비를 가지며 접촉하는 회전축을 구성하는 웜기어부재(340); 및
    상기 웜기어부재(3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서보모터(350);를 구비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측정 로울러(530)는,
    장력측정 회전축(530a)의 일단이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장형의 장력조절홀(120a)에 수평으로 유동 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공항수하물의 하중과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에 인가되는 장력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4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 장력조절장치(400)는,
    이송컨베이어벨트(210)를 연장하기 위한 제 1 아이들로울러(410)와;
    사이 제 1 아이들로울러(410)를 통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210)가 방향전환되어 연결되는 제 1 연장벨트(420); 및
    상기 제 1 연장벨트(420)의 장력을 스크류 조절 방식으로 조절하는 장력조절부(4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430)는,
    상기 제 1 연장벨트(420)를 지지하며 회전 이송시키는 장력조절로울러(431)와;
    상기 장력조절로울러(431)의 회전축(431a)이 외측면에 고정결합되며 길이방향 내측 중심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게 관통하는 스크류 관통홀(432a)을 구비하는 장력조절 가이드(432)와;
    상기 장력조절 가이드(432)의 스크류 관통홀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봉형상의 장력조절 스크류(433); 및
    상기 장력조절 스크류(433)의 일단과 커플러(434a)로 결합되고 온오프제어에 의해 상기 장력조절 스크류(433)를 동작시키는 장력조절 서보머터(4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서 상기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부(200)는,
    공항수하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평면을 제공하는 이송컨베이어 벨트(210);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의 내측면 길이방향 양단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구동모터로 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해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로울러부(22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복수개의 로울러부(220)를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210)의 내측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 높이조절장치(300)의 승하강 동작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독립적으로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2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10)는,
    'Y' 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측 양끝단에 일단은 컨베이어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홀(110a,110b)에 끼움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핀(3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KR1020180006998A 2018-01-19 2018-01-19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KR102501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98A KR102501880B1 (ko) 2018-01-19 2018-01-19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98A KR102501880B1 (ko) 2018-01-19 2018-01-19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656A KR20190088656A (ko) 2019-07-29
KR102501880B1 true KR102501880B1 (ko) 2023-02-21

Family

ID=6748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998A KR102501880B1 (ko) 2018-01-19 2018-01-19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9371A (zh) * 2019-09-16 2019-12-20 江苏伊诺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胶带传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228B1 (ko) * 2000-12-22 2003-03-28 (주)디케이에스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KR100836985B1 (ko) * 2006-09-25 2008-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EP2640642A4 (en) 2011-01-21 2017-07-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handling baggage within airport and system thereof
KR101444909B1 (ko) * 2013-01-28 2014-10-02 김기훈 화물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656A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015B1 (ko) 높이 및 장력 조절이 가능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KR102501879B1 (ko) 이송컨베이어용 장력조절장치
US9809388B2 (en) Cross belt slat sorter
US7871231B2 (en) Vertical carrying apparatus
CN103159000A (zh) 随动导向式环形导轨送料装置
KR101220913B1 (ko) 사행방지장치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KR101425122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의 호이스트 유닛
JP7284827B2 (ja) トラバーサ、ベースユニット及び移動ユニット
KR102501880B1 (ko) 이송컨베이어용 실시간 장력측정장치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CN113104487A (zh) 一种流水线装置
CN101516587B (zh) 用于生产和/或处理板的设备
KR102501881B1 (ko) 구동모터용 냉각장치를 구비한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16623B1 (ko) 스케일 컨베이어 장치
US9061831B1 (en) Conveyor belt aligning apparatus
CN205328524U (zh) 一种新型上货装置
CN114394395A (zh) 一种输送系统及输送方法
CN108439252B (zh) 一种agv举升装置
KR101194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CN205328519U (zh) 一种新型上货装置
KR20200126658A (ko) 롤러 컨베이어 장치
KR101759162B1 (ko) 단위 모듈식 컨베이어 장치
KR100265249B1 (ko) 롤제품의마킹장치
CN205328523U (zh) 一种新型上货装置
KR20150136370A (ko) 벨트절개 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