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840B1 -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840B1
KR102501840B1 KR1020210090098A KR20210090098A KR102501840B1 KR 102501840 B1 KR102501840 B1 KR 102501840B1 KR 1020210090098 A KR1020210090098 A KR 1020210090098A KR 20210090098 A KR20210090098 A KR 20210090098A KR 102501840 B1 KR102501840 B1 KR 10250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otation
rotation center
vehicle body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9560A (ko
Inventor
김지웅
문성목
김화중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8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30In-whee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 B60G2204/83022Mechanical using cables, wire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4Pitch; Nose d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동 또는 인휠구동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한 다이브(Dive) 현상 및 리프트(Lift) 현상을 방지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것이다. 구성은 일단 부분에 아암 회전중심부가 구비되고, 타 일단 부분에 인휠 구동장치에 결합, 고정되는 휠 회전중심부가 구비되어 독립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제어아암과, 상기 제어아암의 아암 회전중심부를 관통하여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 회전 조인트와 상기 휠 회전중심부를 관통하여 인휠 구동장치에 결합되는 인휠 회전 조인트로 구성되는 회전 조인트와,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와 휠 회전중심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제동 또는 인휠 구동시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한 제어아암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는 차체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차체 회전 조인트와의 결합을 위한 회전축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휠 회전중심부는 차륜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인휠 구동 회전 조인트와의 결합을 위한 회전축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Suspension for Inwheel System Vehicle}
본 발명은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동 또는 인휠구동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한 다이브(Dive) 현상 및 리프트(Lift) 현상을 방지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휠 시스템은 전기 모터가 엔진룸이 아닌 차륜의 휠 안으로 장착되어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각 휠에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휠 안에 모터를 장착하여 모터의 동력을 직접 차륜에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인휠 시스템은 휠 내부라는 제한된 공간 내에 구동 모터와 제동 부품 그리고 현가 부품을 조합하여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휠 시스템의 개발 동향 자동차에 인휠 모터를 사용하면 구동계를 컴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어 차량 중량을 최소화하고 차량레이아웃이나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 골격의 최적화를 통해 충돌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최적화된 질량 배분으로 운동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실내 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인휠 시스템에 리딩암(Leading arm) 또는 트레일링암(Trailing arm) 형식의 현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인휠 시스템의 구동 회전방향이 제어암(140)의 회전방향과 일치함으로써 리딩암 또는 트레일링암에 회전운동을 유발시킨다. 여기에서 리딩암 현가장치는 그 제어암의 회전방향이 차륜(170)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며 차체측에 부착된 회전조인트가 차륜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방식이며, 트레일링암 현가장치는 반대로 그 제어암의 회전방향이 차륜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며 차체측에 부착된 회전조인트가 차륜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방식의 현가장치를 일컫는다.
여기서, 종래의 트레일링암 형식의 현가장치의 경우 휠 회전중심체 및 암 회전중심체가 따로 구성되지 않고 제어암이 단독으로 구성되어 제동장치 또는 인휠구동장치가 장착됨으로써 제동력이나 구동력이 제어암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이에 따라 제어암의 회전운동을 유발하여 현가장치의 압축 또는 인장 방향의 운동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 리딩암(Leading arm) 또는 트레일링암(Trailing arm) 형식의 현가장치를 사용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은 전륜 현가장치가 압축되고 후륜 현가장치는 인장되는 경우 전방부로 무게 중심의 쏠림현상인 다이브(Dive) 현상과, 전륜 현가장치는 인장되고 후륜 현가장치는 압축되어 차량 후방부로 무게 중심의 쏠림 현상인 리프트(Lift) 현상이 발생하여 전/후륜 사이의 바퀴 하중의 편차를 일으켜 제동력 또는 구동력의 저하를 일으키고 이에 따라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구동력은 인휠 시스템의 구동회전력에 의해 발생되며 제동력은 인휠 시스템의 회생제동과 같은 제동회전력이 발생하거나 제동 시스템의 제동회전력에 의해 발생된다.
공개번호 제10-2012-013660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딩암(Leading arm) 또는 트레일링암(Trailing arm) 형식 현가장치를 사용하는 차량 샤시 시스템에 대한 안티다이브(Anti-Dive) / 안티리프트(Anti-Lift)를 통해 제동 또는 인휠 구동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한 현가장치의 다이브(Dive) 현상 및 리프트(Lift) 현상을 방지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 부분에 아암 회전중심부가 구비되고, 타 일단 부분에 인휠 구동장치에 결합, 고정되는 휠 회전중심부가 구비되어 독립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제어아암과, 상기 제어아암의 아암 회전중심부를 관통하여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 회전 조인트와 상기 휠 회전중심부를 관통하여 인휠 구동장치에 결합되는 인휠 회전 조인트로 구성되는 회전 조인트와,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와 휠 회전중심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제동 또는 인휠 구동시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한 제어아암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는 차체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차체 회전 조인트와의 결합을 위한 회전축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휠 회전중심부는 차륜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인휠 구동 회전 조인트와의 결합을 위한 회전축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 회전 조인트는 차체와 연결되어 차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인휠 회전 조인트는 인휠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차륜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동장치와 차륜으로부터 발생하는 제동력을 차체로 전달하거나, 인휠 구동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구동력을 차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아암의 휠 회전중심부 상부에는 댐퍼의 일단이 결합, 형성되고, 상기 댐퍼의 타 일단은 차체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제어암의 회전을 방지하여 다이브 및 리프트 현상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다이브 및 리프트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구동력 및 제동력의 효율적인 전달이 가능함에 따라 안정적인 차량 가감속 주행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의 구성과 종래의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의 구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의 제동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의 인휠 구동시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100)는 제어아암(110)과 회전 조인트(120) 및 연결부재(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아암(110)은 일단 부분에 차체(미도시)에 결합, 고정되는 아암 회전중심부(111)가 구비되고, 타 일단 부분에 인휠 구동장치(150)에 결합, 고정되는 휠 회전중심부(112)가 구비되어 독립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111)는 차체(미도시)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차체 회전 조인트(121)와의 결합을 위한 회전축 결합구멍(111a)이 형성된다.
상기 휠 회전중심부(112)는 차륜(16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인휠 구동 회전 조인트(122)와의 결합을 위한 회전축 결합구멍(112a)이 형성된다.
또,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111)와 휠 회전중심부(112)는 외주면으로 체인 스프로킷(chain sprocket)이나 벨트 풀리(belt pulley) 또는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111)와 휠 회전중심부(112)는 상기 연결부재(130)와 연결을 위한 체인 스프로킷(chain sprocket)이나 벨트 풀리(belt pulley) 또는 고리 등을 형성하여 연결부재(13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동력전달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제동 또는 인휠 구동시 발생하는 반발력(반발토크)에 의한 제어아암(110)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조인트(120)는 상기 제어아암(110)의 아암 회전중심부(111)를 관통하여 차체(미도시)에 결합되는 차체 회전 조인트(121)와, 상기 휠 회전중심부(112)를 관통하여 인휠 구동장치(150)에 결합되는 인휠 회전 조인트(122)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조인트(120)는 상기 제어아암(110)의 아암 회전중심부(111)에 형성된 회전축 결합구멍(111a)을 관통하여 차체(미도시)에 결합되는 차체 회전 조인트(121)와, 상기 휠 회전중심부(112)의 회전축 결합구멍(112a)을 관통하여 인휠 구동장치(150)에 결합되는 인휠 회전 조인트(1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암 회전중심부(111)와 휠 회전중심부(112)는 제어암암(110)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회전축 결합구멍(111a)을 통해 결합되는 차체 회전 조인트(121)는 차체와 연결되어 차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아암(110)이 회전력을 받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결합구멍(112a)을 통해 결합되는 인휠 회전 조인트(122)는 인휠 구동장치(150)와 연결되어 차륜(16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아암(110)이 회전력을 받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다시말해, 차체에 고정 결합되는 암 회전중심부(111)를 구비하는 제어아암(110)은 차체 회전 조인트(121)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아암(110)에 구비되는 휠 회전중심부(112)는 인휠 회전 조인트(122)에 의해 인휠 구동장치(150)가 고정 연결되어 구동 회전력을 차륜(160)에 발생시키며, 또한 휠 회전중심부(112)에 제동장치(170)도 연결되어 차륜(160)의 제동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아암(110)은 차체 회전 조인트(121)와, 인휠 회전 조인트(122)에 의해 차체와 인휠 구동장치(150)에 대해 독립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기구적 연결 구성을 가지게 되므로 차체와 노면의 수직방향 진동에 대하여 독립적인 현가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111)와 휠 회전중심부(112)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제동 또는 인휠 구동시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한 제어아암(110)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130)는 아암 회전중심부(111)와 휠 회전중심부(112)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동장치(170)와 차륜(160)으로부터 발생하는 제동력을 차체로 전달하거나, 인휠 구동장치(150)로부터 발생하는 구동력을 차체로 전달하여 제어아암(110)이 회전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동장치(170)와 차륜(160)으로부터 발생하는 제동력을 아암 회전중심부(111)와 휠 회전중심부(1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통해 차체로 전달하며, 인휠 구동장치(150)의 구동력 또한 휠 회전중심부(112)와 차륜(160) 사이에서 작용-반작용의 원리로 구동력의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회전반력이 연결부재(130)로 연결된 암 회전중심부(111)를 통해 차체로 직접 전달되어 제어아암(110)이 회전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티다이브 또는 안티리프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제동장치(170)의 제동력과 인휠 구동장치(150)에 의한 구동력은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휠 회전중심부(112)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상기 연결부재(130)에 의해 차체와 고정되어 제어아암(110)의 회전운동을 억제하게 되는 원리이다.
또, 상기 연결부재(130)는 체인(chain)이나 벨트(belt) 또는 링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재(130)는 아암 회전중심부(111)와 휠 회전중심부(112)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체인 스프로킷(chain sprocket)이나 벨트 풀리(belt pulley) 또는 고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체인(chain)이나 벨트(belt) 또는 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100)는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탄성력과 탄성 복귀력을 통해 승차감을 만들어 주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스프링의 연속적인 탄성력과 탄성 복귀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댐퍼(14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아암(110)의 휠 회전중심부(112) 상부에는 현가 스프링(suspension spring)을 구비하는 댐퍼(140)의 일단이 결합, 형성되고, 상기 댐퍼(140)의 타 일단은 차체(미도시)에 결합, 형성되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100)는 인휠 구동장치(15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륜 구동방식의 경우, 인휠 구동장치(150)가 전륜에 설치되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100)도 전륜 측에 설치하고, 후륜 구동방식의 경우, 인휠 구동장치(150)가 후륜에 설치되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100)도 후륜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이브 현상은 전륜 현가장치는 압축되고 후륜 현가장치는 인장되는 경우 전방부로 무게중심의 쏠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리프트 현상은 다이브 현상과 반대로 전륜은 인장되고 후륜은 압축되어 차량 후방부로 무게중심의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다이브 및 리프트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차량 전/후륜 사이의 바퀴 하중의 편차를 일으켜 제동력(df) 또는 구동력(df)의 저하를 일으키고 이에 따른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 안정성에 큰 악영향을 끼친다.
그리고, 상기 현가장치(100)의 일측으로는 인휠 구동장치(150)와, 차륜(160) 및 제동장치(170)가 결합된다.
상기 인휠 구동장치(150)는 구동신호 입력부, 인휠모터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신호 입력부는 주변 제어장치로부터 구동신호 및 구동 해제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에 제공한다.
상기 인휠모터 구동부는 인버터를 통해 3상의 구동전류를 인휠모터에 인가하여 인휠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구동신호 입력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인휠모터 구동부를 통해 전기적 제어방식으로 인휠모터의 상(相)을 쇼트시켜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인휠 구동장치(150)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동장치(brake system)(170)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거나 주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부품 중 하나인 캘리퍼(미도시)는 휠 회전중심체에 고정되게 설치하고, 제동신호 발생시 디스크(미도시)를 가압하는 브레이크 패드(미도시)를 고정하여 전기모터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현가장치(100)를 구비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미도시)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운행하게 되면 제동 또는 인휠 구동시 트레일링암 또는 리딩암 현가장치(100)에서 반발력(반발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먼저 제동동작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아암(110)은 제동장치(170)와 휠 및 타이어로 이루어지는 차륜(160)으로부터 발생한 제동력(df)을 연결부재(130)를 통해 차체로 전달한다.
즉, 인휠 시스템 차량의 제동장치(170)에서 발생된 제동 회전력(bft)은 차륜(160)을 통해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동력(bf)을 발생시키고, 이 제동 회전력(bft)은 제어아암(110)의 휠 회전중심부(11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휠 회전중심부(112)와 암 회전중심부(111)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130)에 인장력(ten)을 일으키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30)의 인장력(ten)은 차체로 전달되어 차체에 고정된 암 회전중심부(11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발 회전력(ret)를 발생시킴으로써 제어아암(110)의 회전운동을 억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아암(110)의 휠 회전중심부(112)와 암 회전중심부(111)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재(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멘트 평형 조건에 따라 구동시 발생하는 다이브 및 리프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력을 만들어 주게 된다.
따라서,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의 다이브(Dive) 현상 및 리프트(Lift)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인휠 구동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휠 구동장치(150)는 제어아암(110)의 휠 회전중심부(112)에 회전력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인휠모터가 장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이는 제동력 방향과 반대로 작용한다.
즉, 상기 인휠 구동장치(150)에서 발생된 구동 회전력(dft)은 휠 회전중심부(11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휠-타이어로 이루어지는 차륜(160)을 통해 구동력(df)을 발생시키고 연결부재(130)에 인장력(ten)을 생성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30)의 인장력(ten)은 제어아암(110)을 통해 차체로 전달되어 차체에 고정된 암 회전중심부(1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발 회전력(ret)을 발생시킴으로써 제어아암(110)의 회전운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아암(110)의 휠 회전중심부(112)와 암 회전중심부(111)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멘트 평형 조건에 따라 구동시 발생하는 다이브 및 리프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력을 만들어 주게 된다.
따라서,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의 다이브(Dive) 현상 및 리프트(Lift)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동장치(170)의 제동력(bf)과 인휠 구동장치(150)에 의한 구동력(df)은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제어아암(110)의 휠 회전중심부(112)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상기 연결부재(130)에 의해 차체와 고정되어 회전운동을 억제하게 되는 원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작용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트레일링함 또는 리딩암 현가장치에서 제동 또는 인휠 구동시 발생하는 반발 토크에 의한 제어함의 회전 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110 : 제어아암
111 : 암 회전중심부 111a : 회전축 결합구멍
112 : 휠 회전중심부 112a : 회전축 결합구멍
120 : 회전 조인트 121 : 차체 회전 조인트
122 : 인휠 회전 조인트 130 : 연결부재
140 : 댐퍼 150 : 인휠 구동장치
160 : 차륜 170 : 제동장치

Claims (8)

  1. 삭제
  2. 일단 부분에 아암 회전중심부가 구비되고, 타 일단 부분에 인휠 구동장치에 결합, 고정되는 휠 회전중심부가 구비되어 독립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제어아암과, 상기 제어아암의 아암 회전중심부를 관통하여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 회전 조인트와 상기 휠 회전중심부를 관통하여 인휠 구동장치에 결합되는 인휠 회전 조인트로 구성되는 회전 조인트와,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와 휠 회전중심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제동 또는 인휠 구동시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한 제어아암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 회전중심부는 차체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차체 회전 조인트와의 결합을 위한 회전축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휠 회전중심부는 차륜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인휠 구동 회전 조인트와의 결합을 위한 회전축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회전 조인트는 차체와 연결되어 차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인휠 회전 조인트는 인휠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차륜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동장치와 차륜으로부터 발생하는 제동력을 차체로 전달하거나, 인휠 구동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구동력을 차체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아암의 휠 회전중심부 상부에는 댐퍼의 일단이 결합, 형성되고, 상기 댐퍼의 타 일단은 차체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8. 삭제
KR1020210090098A 2021-07-09 2021-07-09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KR10250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098A KR102501840B1 (ko) 2021-07-09 2021-07-09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098A KR102501840B1 (ko) 2021-07-09 2021-07-09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560A KR20230009560A (ko) 2023-01-17
KR102501840B1 true KR102501840B1 (ko) 2023-02-20

Family

ID=8511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098A KR102501840B1 (ko) 2021-07-09 2021-07-09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8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081B1 (ko) 2010-04-20 2011-08-29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인휠 모터가 설치된 휠어셈블리 장치
CN106114669A (zh) * 2016-07-29 2016-11-16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摇臂轮式地面无人平台
CN207328032U (zh) * 2017-07-25 2018-05-08 内蒙古科技大学 一种新型机器车底盘避震结构
JP2019511412A (ja) 2016-03-10 2019-04-25 エレクトラメカニカ ヴィーク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サスペンション揺動アームのためのテンショ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48B1 (ko) 2011-06-09 2013-04-19 김영렬 인휠 모터 구동 전기자동차의 승차감 향상장치
KR101541848B1 (ko) * 2012-11-12 2015-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휠 모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081B1 (ko) 2010-04-20 2011-08-29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인휠 모터가 설치된 휠어셈블리 장치
JP2019511412A (ja) 2016-03-10 2019-04-25 エレクトラメカニカ ヴィーク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サスペンション揺動アームのためのテンショナ
CN106114669A (zh) * 2016-07-29 2016-11-16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摇臂轮式地面无人平台
CN207328032U (zh) * 2017-07-25 2018-05-08 内蒙古科技大学 一种新型机器车底盘避震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560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8116B2 (ja) 電動機付き車両
CN109664933B (zh) 用于轮毂电机车辆的转向系统
KR100932414B1 (ko) 자동차용 구동륜 구조물
JP4965131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
JP4113506B2 (ja) 車輪支持装置
EP2964474B1 (en) Suspension structure and driv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JP4782198B2 (ja) 車両用駆動装置
WO2005115789A1 (ja) 車輪支持装置
CN101370680A (zh) 轮内马达系统
JP2005289324A (ja) 後輪補助駆動用モータ付車輌
WO2005097533A1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JP4844407B2 (ja) 走行装置
WO2012133245A1 (ja) インホイルモータ装置
WO2006030532A1 (ja) 電気自動車の駆動装置
WO2019151131A1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用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2501840B1 (ko) 인휠 시스템 차량용 현가장치
JP2007196697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WO2019207985A1 (ja) 駆動ユニット支持装置
JP4312078B2 (ja) 電動輪
CN209972451U (zh) 单轨走行装置和单轨车辆
JP2007168481A (ja) 電気自動車用動的吸振装置
WO2024024137A1 (ja) 台車
JP2007106151A (ja) 車輪装置
JP2023174060A (ja) 車体挙動制御装置
JP4407645B2 (ja) モータ付車両のリジッ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