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707B1 -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707B1
KR102501707B1 KR1020160139884A KR20160139884A KR102501707B1 KR 102501707 B1 KR102501707 B1 KR 102501707B1 KR 1020160139884 A KR1020160139884 A KR 1020160139884A KR 20160139884 A KR20160139884 A KR 20160139884A KR 102501707 B1 KR102501707 B1 KR 102501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frame
link arm
locking mechanism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483A (ko
Inventor
강동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60139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7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프레임과 시트 레일 사이의 좌우 양측부위에 위치하는 링크아암에 각각 록킹기구를 설치하여 시트 쿠션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듀얼록크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충돌 및 추돌사고의 발생시 시트 프레임의 비틀림을 최소화하여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는 시트의 쿠션 프레임(10)과 좌우측 시트 레일(12)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아암(14),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 사이의 선회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레일(12)에 대한 상기 링크아암(14)의 선회각도를 구속하는 록킹기구(16),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 사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토션바아(18), 및 상기 록킹기구(16)에 의한 잠금상태를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릴리스 레버(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Passive height adjusting device for seat}
본 발명은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쿠션 프레임과 시트 레일 사이의 양측부위에 설치되어 듀얼록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실내에 설치되는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각종 부가설비를 구비하는 바, 일례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시트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 및 시트의 등받이에 대한 기울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시트의 높낮이를 탑승자의 체형에 맞춰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도 제안되었다. 이러한 높이 조절장치는 시트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를 이용하여 조작되고 외부의 동력을 시트 쿠션의 링크수단에 전달함으로써, 시트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종래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는 크게 수동식(패시브 타입)과 펌핑식(액티브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는 데,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의 경우 시트 프레임 중에서 도어를 향한 외측부위에 한정하여 설치됨에 따라, 충돌 및 추돌 사고의 발생시 시트 프레임의 과도한 변형을 유발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또한, 펌핑식 높이 조절장치는 등록특허 제10-11177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오목한 곡면 또는 평면 형상의 캠면을 다수로 형성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이 내주면 중심부에 삽입되는 클러치 드럼, 상기 입력축의 캠면과 상기 클러치 드럼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다수의 계합자를 구비하여 상기 입력축의 회전 토크를 상기 클러치 드럼으로 전달하는 토크전달부, 상기 입력축에 연동하여 상기 토크전달부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클러치 드럼과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종동되는 출력부재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펌핑식 높이 조절장치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을 위한 조작 횟수도 과다(최대 28회)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7794호의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트의 쿠션 프레임과 시트 레일 사이의 좌우 양측부위에 위치하는 링크아암에 각각 록킹기구를 설치하여 시트 쿠션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듀얼록크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충돌 및 추돌사고의 발생시 시트 프레임의 비틀림을 최소화하여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트 쿠션 프레임의 좌우 양측부위에 각각 링크아암과 록킹기구를 설치하고, 록킹기구의 잠금상태를 일측에 배치되는 릴리스 레버의 조작을 통해 해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트의 높이 조절을 위한 장치의 구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프레임, 상기 쿠션 프레임을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측 시트 레일,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시트 레일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아암,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링크아암 사이의 선회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레일에 대한 상기 링크아암의 선회각도를 구속하는 록킹기구,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링크아암 사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토션바아, 및 상기 록킹기구에 의한 잠금상태를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릴리스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쿠션 프레임은 상기 링크아암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토션바아는 상기 쿠션 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링크아암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쿠션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비틀림 발생부, 타단부가 상기 링크아암에 고정되는 제2비틀림 발생부, 및 상기 제1비틀림 발생부와 상기 제2비틀림 발생부 사이를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비틀림 발생부와 상기 제2비틀림 발생부는 각각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링크아암에 대해 나란하게 절곡되고, 상기 제1비틀림 발생부와 상기 제2비틀림 발생부의 자유단부는 각각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링크아암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링크아암은 상기 토션바아의 제2비틀림 발생부와의 결합을 위한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 쿠션 프레임에 고정되는 홀더 플레이트, 상기 링크아암에 고정되는 섹터 투스, 상기 홀더 플레이트와 상기 섹터 투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내치부와 치결합되어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섹터 투스의 회전방향 위치를 단속하는 폴 투스, 상기 폴 투스에 대해 반경방향 작동력을 제공하는 캠, 상기 홀더 플레이트와 상기 캠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캠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 및 상기 캠에 회전방향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릴리스 레버와 연동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프레임과 좌우측에 위치한 시트 레일 사이에 양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링크아암에 대해 선회각도를 인위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록킹기구를 각각 설치하여 듀얼록크 기능을 갖추게 함으로써 시트 레일에 대한 쿠션 프레임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충돌 및 추돌 사고의 발생시 시트의 프레임에 대한 비틀림 변형을 최소화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트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충돌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시트의 펌핑식 높이 조절장치와 비교할 때 쿠션 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에 필요로 하는 조작 횟수를 크게 줄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작 또는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경제적 이점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에서 주요 구성부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록킹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록킹기구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는 듀얼록크 기능을 갖춘 것으로, 시트의 쿠션 프레임(10),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하부에서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는 한 쌍의 좌우측 시트 레일(12),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좌우측 시트 레일(12)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좌우측 링크아암(14),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 사이의 선회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레일(12)에 대한 상기 링크아암(14)의 선회각도를 구속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높낮이를 탑승자의 임의대로 조절하는 록킹기구(16),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 사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토션바아(18), 및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 사이의 선회지점에서 상기 록킹기구(16)에 의한 잠금상태를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릴리스 레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쿠션 프레임(10)은 시트의 백 프레임(22)과 조립되는 것으로, 외부에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안착시키는 쿠션부(미도시)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쿠션 프레임(10)은 상기 토션바아(18)의 일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10a)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 레일(12)은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쿠션 프레임(10)을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링크아암(14)은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시트 레일(12)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좌우 양측부위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링크아암(14)은 상기 시트 레일(12)에 대한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위치에 따라 선회각도를 종속적으로 달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아암(14)은 상기 토션바아(18)의 타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슬롯(14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링크아암(14)은 상기 슬롯(14a)을 중심으로 일단부에 상기 록킹기구(16)의 섹터 투스(32)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14b)과, 타단부에 상기 시트 레일(12)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14c)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기구(16)는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 사이의 선회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시트 레일(12)에 대한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쿠션 프레임(10)에 대한 상기 링크아암(14)의 선회각도를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록킹기구(16)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 프레임(10)에 대해 용접으로 고정되는 홀더 플레이트(30), 상기 링크아암(14)에 대해 용접으로 고정되는 섹터 투스(32), 상기 홀더 플레이트(30)와 섹터 투스(3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섹터 투스(32)의 내측면에서 전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내치부(33)와 치결합되어 상기 홀더 플레이트(30)에 대한 상기 섹터 투스(32)의 회전방향 위치를 단속하도록 외치부(35)를 갖추고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30)에 대해 방사상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다수의 폴 투스(34), 상기 폴 투스(34)에 대해 반경방향 작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섹터 투스(32)의 내치부(33)와 상기 폴 투스(34)의 외치부(35) 사이의 치결합을 유도하는 캠(36), 상기 홀더 플레이트(30)와 상기 캠(3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캠(36)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8), 상기 홀더 플레이트(30)와 상기 섹터 투스(32) 사이의 조립부위 외주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을 유지하는 가이드 링(40), 및 상기 캠(36)에 회전방향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릴리스 레버(20)와 연동하는 회전축(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42)의 외주에는 파이프 형태의 중공형 구조물(44)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42)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록킹기구(16)는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적용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구성 및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토션바아(18)는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 사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쿠션 프레임(10)에 고정되면서 타단부가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링크아암(1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션바아(18)는 상기 쿠션 프레임(10)에 대해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비틀림 발생부(18a), 상기 링크아암(14)에 대해 타단부가 고정되는 제2비틀림 발생부(18b), 및 상기 제1비틀림 발생부(18a)와 상기 제2비틀림 발생부(18b) 사이를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장부(18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토션바아(18)의 제1비틀림 발생부(18a)와 제2비틀림 발생부(18b)는 각각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1비틀림 발생부(18a)와 상기 제2비틀림 발생부(18b)의 자유단부는 각각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토션바아(18)의 제2비틀림 발생부(18b)는 상기 링크아암(14)의 슬롯(14a)과의 결합을 위해 이중 절곡부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션바아(18)는 상기 시트 레일(12)에 대한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상기 쿠션 프레임(10)을 복원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즉 상기 토션바아(18)는 상기 록킹기구(16)에 의해 상기 링크아암(14)의 선회가 구속될 경우에는 비틀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링크아암(14)의 구속이 해제되면 비틀림 방향의 복원력을 발휘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10)을 수직방향을 들어 올리게 된다.
상기 릴리스 레버(20)는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 사이의 선회지점에서 상기 회전축(42)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릴리스 레버(20)의 선회에 따라 종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축(42)의 회전을 매개로 상기 록킹기구(16)에 의한 잠금상태는 유지되거나 또는 반대로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릴리스 레버(20)의 자유단부에는 복원력의 제공을 위한 릴리스 스프링(22)이 설치되는 바, 상기 릴리스 스프링(22)은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릴리스 레버(2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릴리스 레버(20)의 선회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때에는 상기 릴리스 레버(20)를 조작하여 상기 섹터 투스(32)의 내치부(33)와 상기 폴 투스(34)의 외치부(35) 사이의 치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록킹기구(16)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쿠션 프레임(10)에 대해 탑승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링크아암(14)의 선회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토션바아(18)는 링크아암(14)의 선회에 따라 비틀림 상태로 전환된다.
이어, 상기 릴리스 레버(20)의 조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록킹기구(16)는 해제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되므로, 상기 링크아암(14)의 선회각도는 구속되고, 이를 통해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높이는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높이를 원래의 상태로 높이고자 할 때에는 상기 릴리스 레버(2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록킹기구(16)를 해제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상기 토션바아(18)의 비틀림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크아암(14)은 원래의 상태로 선회되므로 상기 쿠션 프레임(10)은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쿠션 프레임(10)에 대해 탑승자의 하중은 제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프레임(10)과 좌우측에 위치한 시트 레일(12) 사이에 양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링크아암(14)에 대해 선회각도를 인위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록킹기구(16)를 설치하여 쿠션 프레임(10)에 높낮이 조절을 위한 듀얼록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 레일(12)에 대한 상기 쿠션 프레임(10)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돌 및 추돌 사고의 발생시 시트의 프레임에 대한 비틀림 변형을 최소화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트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충돌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시트의 펌핑식 높이 조절장치와 비교할 때 쿠션 프레임(10)의 높낮이 조절에 필요로 하는 조작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고,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작 또는 구성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쿠션 프레임 12-시트 레일
14-링크아암 16-록킹기구
18-토션바아 20-릴리스 레버
30-홀더 플레이트 32-섹터 투스
34-폴 투스 36-캠
38-리턴 스프링 40-가이드 링
42-회전축

Claims (7)

  1. 시트의 쿠션 프레임(10);
    상기 쿠션 프레임(10)을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측 시트 레일(12);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좌우측 시트 레일(12)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아암(14);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링크아암(14) 사이의 선회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트 레일(12)에 대한 상기 링크아암(14)의 선회각도를 구속하는 록킹기구(16);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 사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토션바아(18); 및
    상기 록킹기구(16)에 의한 잠금상태를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릴리스 레버(20)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바아(18)는 상기 쿠션 프레임(1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링크아암(14)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 프레임(10)은 상기 링크아암(14)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10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아(18)는,
    일단부가 상기 쿠션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제1비틀림 발생부(18a);
    타단부가 상기 링크아암(14)에 고정되는 제2비틀림 발생부(18b); 및
    상기 제1비틀림 발생부(18a)와 상기 제2비틀림 발생부(18b) 사이를 가로방향으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장부(18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비틀림 발생부(18a)와 상기 제2비틀림 발생부(18b)는 각각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에 대해 나란하게 절곡되고, 상기 제1비틀림 발생부(18a)와 상기 제2비틀림 발생부(18b)의 자유단부는 각각 상기 쿠션 프레임(10)과 상기 링크아암(14)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링크아암(14)은 상기 토션바아(18)의 제2비틀림 발생부(18b)와의 결합을 위한 슬롯(14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16)는,
    상기 쿠션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홀더 플레이트(30);
    상기 링크아암(14)에 고정되는 섹터 투스(32);
    상기 홀더 플레이트(30)와 상기 섹터 투스(3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 플레이트(30)의 내치부(33)와 치결합되는 외치부(35)를 갖춘 폴 투스(34);
    상기 폴 투스(34)에 대해 반경방향 작동력을 제공하는 캠(36);
    상기 홀더 플레이트(30)와 상기 캠(3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캠(36)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38); 및
    상기 캠(36)에 회전방향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릴리스 레버(20)와 연동하는 회전축(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KR1020160139884A 2016-10-26 2016-10-26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KR102501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84A KR102501707B1 (ko) 2016-10-26 2016-10-26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84A KR102501707B1 (ko) 2016-10-26 2016-10-26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83A KR20180045483A (ko) 2018-05-04
KR102501707B1 true KR102501707B1 (ko) 2023-02-21

Family

ID=6219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884A KR102501707B1 (ko) 2016-10-26 2016-10-26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7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794B1 (ko) * 2010-05-03 2012-03-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283124B1 (ko) * 2011-12-22 2013-07-05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150712B1 (ko) * 2014-03-31 2020-09-03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83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94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083650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1356136B1 (ko) 차량용 시트 백 래치
RU2684959C2 (ru) Посадо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EP1905640A2 (en) Seat device for vehicle
WO2010084911A1 (ja) 乗物用シート
EP2823993A1 (en)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5604535B2 (ja) 特に自動車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
JP4528041B2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WO2012011544A1 (ja) 乗物用シート
KR10212981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
JP2008514250A (ja) 2つの部品、特に、自動車の座席の傾斜を相互に関して調整するために第1装着部分と第2装着部分をロックおよびロック解除する装置
JP6750471B2 (ja) 乗物用シート
US10040376B2 (en) Seat frame
KR102501707B1 (ko) 시트의 수동식 높이 조절장치
KR101592758B1 (ko)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2332907B1 (ko)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KR102201315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US20220363170A1 (en) Foldable vehicle seat
KR10063602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KR101107985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JP6520532B2 (ja) 乗物用シート
US10173569B2 (en)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664066B1 (ko)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유닛
KR20180086606A (ko) 암레스트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