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288B1 - 물품 반송 장치 및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장치 및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288B1
KR102501288B1 KR1020180061005A KR20180061005A KR102501288B1 KR 102501288 B1 KR102501288 B1 KR 102501288B1 KR 1020180061005 A KR1020180061005 A KR 1020180061005A KR 20180061005 A KR20180061005 A KR 20180061005A KR 102501288 B1 KR102501288 B1 KR 10250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ticle
product
unit
car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442A (ko
Inventor
히데야스 하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13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65G29/02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for inclined or vertical trans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arranged to keep the load-carriers horizontally during at least a part of the conveyor r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7/20Mountings for rollers or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Abstract

물품 반송 장치는 복수의 지지체와,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체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회전체와, 지지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지지 회전체의 위상에 따르지 않고 복수의 지지체를 각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키는 자세 유지 기구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지지체에 물품을 반입하는 물품 반입부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지지체로부터 물품을 반출하는 물품 반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장치 및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APPARATUS AND 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 반송(搬送) 장치 및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물품의 피킹을 행하는 피킹 스테이션 등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8713899호 명세서(특허문헌 1)에는, 피킹용으로 이용되는, 승강 기구[elevator assembly(26)]를 구비한 물품 반송 장치[container-handling mechanism(22)]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장치 아래쪽으로 공급되는 상품 수납 용기[container(T)]가 승강 기구에 의해 장치 위쪽으로 상승되고, 그 상승 위치에서 필요한 상품의 피킹이 행해지고, 그 후, 남은 상품 수납 용기가 물품 반출부[extractor mechanism(32)]로부터 반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상품 수납 용기를 승강 기구에의해 일단 상승시키면, 피킹 및 상품 수납 용기의 반출 후, 승강 기구를 다시 강하시키는 것을 기다린 후가 아니면, 다음의 상품 수납 용기를 수취할 수 없다. 그러므로, 반송 효율이 불량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승강 기구의 승강 구동 시에는, 상기 승강 기구와 간섭하지 않도록 물품 반출부의 받아건넴부[extractor assembly(32)]를 타이밍 양호하게 피킹 위치[pick area(23)]로부터 인퇴시키지 않으면 안 되고, 구조면 및 제어면의 양쪽 면에서 복잡한 장치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독일국 특허발명 제102013104423호 명세서(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 버킷식 물품 반송 장치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복수의 지지체[Zinkenaufnahmen(16)]의 각각이, 이축(異軸) 배치된 한 쌍의 지지 회전체[Rotoren(14)]에 의해 회전축을 비켜 놓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지지체에 덜컹거림이 생기기 쉽고, 내구성이 뒤떨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구조면 및 제어면의 양쪽 면에서 간이한 장치 구성이고, 반송 효율이 양호하고, 내구성에도 뛰어난 물품 반송 장치의 실현이 기대된다.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는,
물품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체와,
단일의 주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주축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등간격이고 또한 서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는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회전체와,
상기 지지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지지 회전체의 위상에 따르지 않고 복수의 상기 지지체를 각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키는 자세 유지 기구와,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체에 물품을 반입하는 물품 반입부와,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위치와는 상이한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물품을 반출하는 물품 반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구동부에서 지지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지지 회전체에 지지된 복수의 지지체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여, 각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승강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품 반송 장치에 비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제어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에서의 물품 반입부로부터 지지체로의 물품의 반입과, 제2 위치에서의 지지체로부터 물품 반출부로의 물품의 반출을 동일한 지지 회전체의 회전 구동에 의해 행할 수 있으므로,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지지체는, 단일의 주축 주위로 회전하는 한 쌍의 지지 회전체에 의해 지지되고, 각각 단일의 부축(副軸) 주위로 회전 가능하므로, 덜컹거림이 생기기 어려워 내구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구조면 및 제어면의 양쪽 면에서 간이한 장치 구성이며, 반송 효율이 양호하고, 내구성에도 뛰어난 물품 반송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의 추가의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이하의 예시적이고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물품 반송 설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물품 반송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자세 유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자세 유지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자세 유지 기구의 동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물품 반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다른 태양(態樣)의 자세 유지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태양의 물품 반송 설비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물품 반송 장치 및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킹 설비에 갖추어진 물품 반송 장치(1) 및 물품 반송 설비(100)를 예로서 설명한다. 피킹 설비는, 출하해야 할 상품(G)의 종별 및 수량을 지정하는 피킹 오더에 기초하여, 보관용 용기(C)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동 창고로부터 출고되어 오는 특정 종별의 상품(G) 중에서 지정 수량을 순차 취출하여, 출하용 용기(C)에 투입하기 위한 설비이다. 물품 반송 장치(1) 및 물품 반송 설비(100)는, 물품으로서의 용기(C)[빈 용기 또는 상품(G)이 수납되어 있는 용기로서, 보관용 용기(Cs)와 출하용 용기(Co)를 포함함]를 반송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00)는 물품 반송 장치(1)를 2개 나란한 상태로 포함하고 있다. 제1 물품 반송 장치(1)는 보관용 용기(Cs)를 반송하고, 제2 물품 반송 장치(1)는 출하용 용기(Co)를 반송한다. 이들 물품 반송 장치(1)는 복수의 지지체(20)와, 지지 회전체(30)와, 기대(基臺)(40)와, 구동부(50)와, 자세 유지 기구(60)와, 물품 반입부(70)와, 물품 반출부(80)와, 물품 조작부(90)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지지체(20), 지지 회전체(30), 기대(40) 및 자세 유지 기구(60)는 프레임 케이스(11) 내에 수납되어 있다. 구동부(50) 및 물품 조작부(90)는 프레임 케이스(11) 밖에 설치되어 있다. 물품 반입부(70) 및 물품 반출부(80)는 프레임 케이스(11)의 내외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케이스(11)에는 상부 개구를 덮도록 커버(15)가 장착되어 있다. 작업자는 커버(15)의 개구부(16)를 통하여, 지지체(20)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C)에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1)는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지지체(20)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지지체(20)는 용기(C)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고, 일단(一端) 개방형 바구니형 몸통(basket-like body)(버킷)(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20)는 평면에서 볼 때, 전체로서 직사각형을 나타내는 바닥부(22)와, 바닥부(22)의 세 방면을 덮도록 설치된 측벽부(24)를 갖는다. 바닥부(22)는 빗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22)는, 후술하는 지지 회전체(30)의 회전축인 주축 A의 축방향(이하, 단지 「축방향」이라고 함)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빗살(comb teeth)(23)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24)는, 바닥부(22)에 있어서의 빗살(23)의 개방단(23a) 이외의 연결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부분(배판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측벽부(24)는, 배판부의 양단으로부터 빗살(23)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굴곡되어 서로 대향하는 부분(한 쌍의 측판부)을 가지고 있다. 측벽부(24)는, 평면에서 볼 때 ㄷ자형(네모진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24)의 한 쌍의 측판부에는, 회전축(25)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지지체(20)는 양측의 회전축(25)에서, 지지 회전체(30)에 의해 회전 가능(자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회전체(30)는, 복수의 위치(본 예에서는 3군데)에서 지지체(20)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단일의 주축 A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 회전체(30)에 있어서의 각 지지체(20)의 지지 위치는, 주축 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등간격이고 또한 서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지지 회전체(30)는 주축 A에 대하여 직교하는 원형상의 중앙판부(31)과, 주위 방향으로 균등해지는 위치에 중앙판부(3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암부(32)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 회전체(30)는, 각 암부(32)의 선단부 부근에서, 대응하는 지지체(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 회전체(30)는 중앙판부(31) 및 암부(32)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2개 1세트로 구비하고 있고, 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지지체(20)를 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중앙판부(31)는 각각의 중심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연결축(33)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연결축(33)은 한 쌍의 중앙판부(31)를 관통하여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대(40)는 지지 회전체(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기대(40)는, 프레임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고, 베이스부(41)와, 이 베이스부(41)로부터 세워 설치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42)를 갖는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42)는 한 쌍의 중앙판부(31)에 대하여 축방향에 있어서의 양쪽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 프레임체(42)의 상면에는, 축받이부(43)가 고정되어 있다. 축받이부(43)는 한 쌍의 중앙판부(31)의 양쪽 외측에서 연결축(33)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대(40)가 「비회전 부재」에 상당한다.
구동부(50)는 지지 회전체(30)를 회전 구동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부(50)는 구동력원으로서의 구동 모터(51)를 주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50)는, 구동 모터(51)의 회전을 변속(예를 들면, 감속)하여 연결축(33)에 전달시키기 위한 변속기(52)를 더 가지고 있다. 다만, 변속기(52)를 가지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구동 모터(51)의 회전이 직접(동일한 속도인 채로) 연결축(33)에 전달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구동부(50)는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구동과 일시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지지 회전체(30)는 특정 위상에서만 일시 정지하고, 그 이외의 위상에서는 계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특정 위상은, 지지 회전체(30)에 지지된 3개의 지지체(20) 중 하나가 물품 반입부(70)의 하류 측 단부에 대향하고, 다른 하나가 물품 반출부(80)의 상류 측 단부에 상대하고, 나머지 하나가 물품 조작부(90)[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커버(15)의 개구부(16) ; 도 1 참조]에 향하는 상태로 되는 위상(회전 위치)이다. 본 예와 같이 3개의 지지체(20)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지지된 구성에서는, 120°(=360°/3)마다 회전에 의해 특정 위상이 나타나게 되고, 이 경우, 구동부(50)는 120°의 회전 구동과 그 후의 일시 정지를 반복한다.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1)는 회전식이므로, 지지 회전체(30)에 복수의 지지체(20)를 고정 지지한 경우에는, 지지 회전체(30)의 회전에 수반하여 지지체(20)의 방향이 반전되고, 용기(C)[및 상품(G)]가 낙하해 버린다. 이 때문에, 물품 반송 장치(1)에는, 지지 회전체(30)의 위상에 따르지 않고 복수의 지지체(20)를 각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키는 자세 유지 기구(60)가 포함되어 있다. 자세 유지 기구(60)는 비회전 부재인 기대(40)에 대하여(다르게 표현하면, 연직 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지지체(20)를 각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킨다. 자세 유지 기구(60)는 지지 회전체(30)의 회전을 외부로 끄집어내고, 그 끄집어낸 회전을 기초로 하여,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각 지지체(20)를 적극적으로 회전(자전)시킴으로써, 각 지지체(20)를 일정 자세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일정 자세」란, 물품 반송 장치(1)의 외부로부터 본 경우의 방향 및 기울기가 항상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세 유지 기구(60)는 고정 기어(61)와, 가동 기어(62)와, 구동 풀리(63)와, 피(被)구동 풀리(64)와, 제1 유동 풀리(idling pulley)(65)와, 제2 유동 풀리(66)와, 전동 벨트(67)를 가지고 있다. 고정 기어(61)는 주축 A과 동축(同軸)으로 되도록 기대(40)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기어(61)는, 예를 들면 통형(筒形)의 연결 부재를 통하여, 기대(40)를 구성하는 지지 프레임체(42)의 상면에 고정된 축받이부(43)의 지지 회전체(30)의 중앙판부(31) 측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기어(61)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공을 가지고 있고, 이 중심공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지지 회전체(30)의 연결축(33)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기어(61)와 지지 회전체(30)는 별체이고, 지지 회전체(30)가 회전해도, 비회전 부재인 기대(40)에 고정된 고정 기어(61)는 회전하지 않는다.
가동 기어(62)는, 지지 회전체(30)[구체적으로는 중앙판부(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동 기어(62)는, 외부에서 볼 때 회전하는 지지 회전체(30)와 함께 회전(공전)하고, 또한 지지 회전체(30)로부터 볼 때 회전(자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 기어(62)는 기대(40)에 고정된 고정 기어(61)와 맞물리도록, 중앙판부(31)에 있어서의 주축 A의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가동 기어(62)는 어느 하나의 암부(32)와 동일한 주위 방향의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가동 기어(62)는 상기 암부(32)의 근원 부근에 지지되어 있다. 가동 기어(62)의 톱니수는 고정 기어(61)의 톱니수와 같은 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지 회전체(30)가 회전하면, 고정 기어(61)에 맞물려 있는 가동 기어(62)는,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각도와 같은 각도만큼 자전한다.
구동 풀리(63)는 가동 기어(62)와 일체적으로 자전하도록 상기 가동 기어(62)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풀리(63)는 가동 기어(62)와 동축에, 상기 가동 기어(62)의 중앙판부(31) 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회전체(30)가 회전하면, 가동 기어(6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 풀리(63)는,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각도와 같은 각도만큼 자전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동 풀리(63)는, 외주면에 요철(주위 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열된 오목부와 볼록부)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풀리(63)가 「구동 부재」에 상당한다.
피구동 풀리(64)는 각 지지체(20)에 대응시켜 3개 설치되어 있다. 피구동 풀리(64)는 각각, 지지 회전체(30)[구체적으로는 각 암부(32)의 선단부 부근)에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구동 풀리(64)의 외경은 구동 풀리(63)의 외경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피구동 풀리(64)는, 대응하는 지지체(20)의 회전축(25)에 연결되어 있다. 피구동 풀리(64)가 회전(자전)하면, 대응하는 지지체(20)도 피구동 풀리(64)와 함께 회전(자전)한다. 본 실시형태의 피구동 풀리(64)는, 외주면에 요철(주위 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열된 오목부와 볼록부)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구동 풀리(64)가 「피구동 부재」에 상당한다.
유동 풀리(65, 66)는 각각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유동 풀리(65, 66)는 각각, 지지 회전체(30)[구체적으로는 중앙판부(31)]에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유동 풀리(65)의 각각은, 가동 기어(62)와 동일한 주위 방향의 위치에 있는 암부(32) 이외의 나머지 2개의 암부(32)의 근원 부근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유동 풀리(66)의 각각은, 가동 기어(62)와 동일한 주위 방향의 위치에 있는 암부(32)와, 나머지 2개의 암부(32) 각각과의 사이로 되는 주위 방향의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동 풀리(65, 66)는, 외주면에 요철(주위 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열된 오목부와 볼록부)을 가지고 있다.
전동 벨트(67)는, 구동 풀리(63)와 복수의 피구동 풀리(64)에 걸쳐 감겨 있다. 또한, 전동 벨트(67)는, 복수의 제1 유동 풀리(65)와 복수의 제2 유동 풀리(66)에도 걸쳐 감겨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동 벨트(67)는, 양면에 요철(연장 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열된 오목부와 볼록부)을 가지고 있다. 전동 벨트(67)는, 일방측(一方側)의 면에서 각 피구동 풀리(64) 및 각각의 제1 유동 풀리(65)에 감겨 있고, 또한 타방측(他方側)의 면에서 구동 풀리(63) 및 각각의 제2 유동 풀리(66)에 감겨 있다. 전동 벨트(67)는 구동 풀리(63)와 복수의 피구동 풀리(64)에 걸쳐 감기면서, 유동 풀리(65, 66)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대략 각 암부(32)의 형상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동 풀리(65, 66)는 전동 벨트(67)에 장력을 부여한다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벨트(67)가 「구동 전달 부재」에 상당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제1 유동 풀리(65)에 의해 방향 전환된 전동 벨트(67)는, 주축 A[연결축(33)]에 대하여 각각의 제1 유동 풀리(65)와는 반대 측에서 구동 풀리(63)에 감겨 있다. 그러므로, 구동 풀리(63)와 전동 벨트(67)의 실제의 걸어맞춤 범위가 넓게 확보되어 있고[도 5의 예에서, 구동 풀리(63)에 있어서의 중심각 180°의 범위로 걸어맞춤], 전동 벨트(67)의 톱니의 튐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전동 벨트(67)가 마모되었을 때는, 주축 A의 외측으로부터(구동축을 떼어내지 않고) 전동 벨트(67)를 교환할 수 있고, 유지보수성이 양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회전체(30)가 회전하면, 가동 기어(62) 및 그것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구동 풀리(63)는,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각도와 같은 각도만큼 자전한다. 그렇게 하면, 구동 풀리(63)에 감긴 전동 벨트(67)를 통하여, 각 피구동 풀리(64)는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자전한다. 이 때, 구동 풀리(63)의 외경과 피구동 풀리(64)의 외경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피구동 풀리(64)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각 지지체(20)는,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각도와 같은 각도만큼 자전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자세 유지 기구(6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회전체(30)의 위상에 따르지 않고 복수의 지지체(20)를 각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각 피구동 풀리(64)와, 각각에 대응하는 지지체(20)의 회전축(25)은, 마찰식 체결 요소[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쓰바키모토 체인(Tsubakimoto Chain Co.) 제조의 「파워 록(등록상표」]을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지지체(20)의 자세(수평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자세 유지 기구(60)에 의해 그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다. 각 지지체(20)의 자세는, 후술하는 피킹 작업의 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각 지지체(20)의 수평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예를 들면 1°∼45°이면 되고, 그 중에서도 10°∼15°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각 지지체(20)는 경사지지 않고 수평 자세로 유지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2개의 물품 반송 장치(1)를 옆으로 나란히 한 상태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물품 반송 장치(1)에 있어서, 구동부(50) 및 자세 유지 기구(60)를,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물품 반송 장치(1)의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물품 반송 장치(1)에 있어서의 기대(4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체(42) 중 일방[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물품 반송 장치(1) 측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체(42)]끼리가 공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회전체(30)가 회전했을 때의 각 지지체(20)의 회전 궤적에 있어서, 제1 위치 P1, 제2 위치 P2 및 제3 위치 P3의 3개의 설정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제1 위치 P1, 제2 위치 P2 및 제3 위치 P3은, 서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중심각이 120°)으로 되고, 또한 지지 회전체(30)가 특정 위상에 있는 상태에서 3개의 지지체(20)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은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제1 위치 P1, 제3 위치 P3 및 제2 위치 P2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위치 P2와 제3 위치 P3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위치 P1은, 이들 제2 위치 P2 및 제3 위치 P3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1 위치 P1와 제2 위치 P2가 동일한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3 위치 P3는, 이들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보다 프레임 케이스(11)의 앞판(12)(도 1을 참조)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물품 반입부(70)는, 제1 위치 P1에 위치하는 지지체(20)에 용기(C)를 반입한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입부(70)는 자동 창고(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연장되는 반입 컨베이어(71)와, 그 반입 컨베이어(71)의 하류 측의 단부로서 제1 위치 P1에 있는 지지체(20)와의 사이에서 용기(C)의 받아건넴을 행하는 개소에 설치된 인도(引渡) 컨베이어(72)를 갖는다. 반입 컨베이어(71)는 롤러 컨베이어, 벨트 콘베이어 및 체인 컨베이어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인도 컨베이어(72)는, 주축 A의 축방향의 복수 위치에 나뉘어 설치된 복수열의 벨트 콘베이어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들 복수열의 벨트 콘베이어의 각각은 "빗살"로 볼 수 있고, 이런 의미에서 인도 컨베이어(72)는 빗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도 컨베이어(72)를 구성하는 각각의 열은, 축방향에 있어서의 지지체(20)의 바닥부(22)의 빗살(23)의 복수의 간극(間隙)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인도 컨베이어(72)를 구성하는 하나의 벨트 콘베이어와, 지지체(20)의 바닥부(22)의 하나의 빗살(23)이, 축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지지체(20)와 인도 컨베이어(72)가 전체로서 축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영역에 설치되면서, 지지체(20)의 빗살(23)과 인도 컨베이어(72)를 구성하는 각각의 열과의 설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지지 회전체(30)가 회전했을 때, 지지체(20)와 인도 컨베이어(72)가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도 컨베이어(72)가 물품 반입부(70)의 「받아건넴부」에 상당한다.
인도 컨베이어(72)는 정상 상태에 있어서, 반입 컨베이어(71) 측의 단부로부터 지지체(20) 측의 단부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로 아래쪽으로 되도록 경사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인도 컨베이어(72)는, 지지체(20)의 바닥부(22)와 같은 정도의 기울기로 경사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도 컨베이어(72)는 그 정상 상태로부터, 반입 컨베이어(71)와의 경계부 부근에 설치진 틸트 축(73)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경동(傾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물품 반입부(70)로부터 용기(C)가 반입되어 지지체(20)에 이송탑재(移載)되면, 지지 회전체(30)가 회전했을 때, 지지체(20) 상에 지지된 용기(C)와 인도 컨베이어(72)가 간섭해 버린다. 인도 컨베이어(72)를 아래쪽을 향하여 일시적으로 경동시킴으로써(도 7의 중단을 참조), 그와 같은 간섭을 회피하여, 지지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라 용기(C)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인도 컨베이어(72)는 용기(C)가 통과한 후, 다시 정상 상태로 되돌려진다.
물품 반출부(80)는 물품 반입부(70)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출부(80)는 평면에서 볼 때 물품 반입부(70)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물품 반출부(80)는, 제2 위치 P2에 위치하는 지지체(20)로부터 용기(C)를 반출한다. 물품 반출부(80)는, 자동 창고(도시하지 않음)까지 연장되는 반출 컨베이어(81)와, 그 반출 컨베이어(81)의 상류 측 단부로서 제2 위치 P2에 있는 지지체(20)와의 사이에서 용기(C)의 받아건넴을 행하는 개소에 설치된 수취 컨베이어(82)를 갖는다. 반출 컨베이어(81)는 반입 컨베이어(71)와 마찬가지로, 롤러 컨베이어, 벨트 콘베이어 및 체인 컨베이어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수취 컨베이어(82)는 인도 컨베이어(72)와 마찬가지로, 주축 A의 축방향의 복수 위치에 나뉘어 설치된 복수열의 벨트 콘베이어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들 복수열의 벨트 콘베이어의 각각은 "빗살"로 볼 수 있고, 이런 의미에서, 수취 컨베이어(82)도 빗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취 컨베이어(82)를 구성하는 각각의 열은, 축방향에 있어서의 지지체(20)의 바닥부(22)의 빗살(23)의 복수의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수취 컨베이어(82)를 구성하는 하나의 벨트 콘베이어와, 지지체(20)의 바닥부(22)의 하나의 빗살(23)이, 축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지지체(20)와 수취 컨베이어(82)가 전체로서 축방향에 있어서의 동일한 영역에 설치되면서, 지지체(20)의 빗살(23)과 수취 컨베이어(82)를 구성하는 각각의 열과의 설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지지 회전체(30)가 회전했을 때, 지지체(20)와 수취 컨베이어(82)가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취 컨베이어(82)가 물품 반출부(80)의 「받아건넴부」에 상당한다.
수취 컨베이어(82)도, 반출 컨베이어(81) 측의 단부로부터 지지체(20) 측의 단부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로 아래쪽으로 되도록 경사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수취 컨베이어(82)는, 지지체(20)의 바닥부(22)나 인도 컨베이어(72)의 기울기보다 작은 기울기로 경사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수취 컨베이어(82)를 완만한 경사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지지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라 용기(C)를 수취 컨베이어(82)에 자동적으로 이송탑재할 때, 수취 컨베이어(82)에 대하여 용기(C)를 연착륙시킬 수 있다(도 7의 하단을 참조).
물품 조작부(90)는, 제3 위치 P3에 위치하는 지지체(20)에 지지된 용기(C)에 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개소이다. 여기에서, 「용기(C)에 대한 조작」은, 예를 들면, 용기(C)가 보관용 용기(Cs)인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보관용 용기(Cs)로부터의 상품(G)의 취출이고, 용기(C)가 출하용 용기(Co)인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출하용 용기(Co)로의 상품(G)의 적재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옆으로 나란한 상태의 2개의 물품 반송 장치(1) 중 한쪽이 보관용 용기(Cs)를 반송하고, 다른 쪽이 출하용 용기(Co)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물품 조작부(90)에 있어서, 보관용 용기(Cs)로부터 취출한 상품(G)을 출하용 용기(Co)에 실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피킹 작업은, 작업자가 행하는 것으로 되어도 되고, 로봇 암 등에 의해 자동화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가 사람의 손으로 피킹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조작부(90)에는 작업대(91)와, 모니터(92)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대(91)는, 피킹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받침대이고, 천판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모니터(92)는, 출하해야 할 상품(G)의 종별 및 수량을 지정하는 피킹 오더를 표시한다. 모니터(92)는, 예를 들면 터치패널로 구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각 보관용 용기(Cs)로부터 필요한 개수의 상품(G)을 취출한 후에 모니터(92)(터치패널)에 표시된 투입 완료 버튼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지지 회전체(30)를 120°만 회전시키고, 다른 종별의 상품(G)을 수납한 새로운 보관용 용기(Cs)를 물품 조작부(90)에 공급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100)에서는, 제1 위치 P1에서의 물품 반입부(70)로부터 지지체(20)로의 보관용 용기(Cs)의 반입과, 제3 위치 P3에서의 피킹 작업과, 제2 위치 P2에서의 지지체(20)로부터 물품 반출부(80)로의 보관용 용기(Cs)의 반출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도 7의 상단을 참조). 즉, 각 위치 P1∼P3에 지지체(20)가 위치하고 있는 특정 위상에서, 제3 위치 P3에 있는 지지체(20) 상에 지지된 보관용 용기(Cs)로부터의 피킹 작업이 행해지고, 그것과 같은 타이밍에서, 제1 위치 P1에 있는 지지체(20)에 물품 반입부(70)로부터 보관용 용기(Cs)가 반입되고, 또한 제2 위치 P2에 있는 지지체(20)로부터 물품 반출부(80)로 보관용 용기(Cs)가 반출되어 간다.
그 종별의 상품(G)의 피킹 작업이 완료되어 모니터(92)(터치패널)를 터치 조작하면, 물품 반입부(70)의 인도 컨베이어(72)가 아래쪽으로 경동하고, 또한 그 상태에서 지지 회전체(30)가 120°회전하고, 그 후 정지한다. 그렇게 하면, 다른 종별의 상품(G)을 수납한 새로운 보관용 용기(Cs)가 물품 조작부(90)에 공급되어, 상기 종별의 상품(G)의 피킹 작업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와 같은 타이밍에서, 전(前)공정에서의 피킹 작업에 의해 남은 상품(G)을 수납한 보관용 용기(Cs)가 물품 반출부(80)의 수취 컨베이어(82)에 주고받아지고, 그 후 반출되어 간다. 제1 위치 P1에 있는 지지체(20)는 빈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거기에 새로운 보관용 용기(Cs)가 물품 반입부(70)로부터 반입된다.
이것을 순차 반복함으로써, 복수 종별의 상품(G)을 각각 필요한 개수씩 취출하여 출하용 용기(Co)에 혼재(混載)할 수 있다. 특정의 출하처로의 상품(G)의 채워 넣기가 완료되면, 출하용 용기(Co)용의 물품 반송 장치(1)의 지지 회전체(30)를 120° 회전시키고, 채워넣기가 완료된 출하용 용기(Co)를 물품 반출부(80)로부터 반출시키고, 또한 물품 반입부(70)로부터 새로운 출하용 용기(Co)를 반입하면 된다.
[기타의 실시형태]
(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입부(70)가 물품 반출부(80)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품 반출부(80)가 물품 반입부(70)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지지 회전체(30)의 회전 방향은, 상기의 실시형태와는 역방향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품 반출부(80)의 수취 컨베이어(82)가, 아래쪽을 향하여 경동 가능하게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2)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체(20)를 구성하는 바구니형 몸통(21)의 바닥부(22)가 빗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구니형 몸통(21)의 바닥부(22)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물품 반입부(70)의 인도 컨베이어(72)나 물품 반출부(80)의 수취 컨베이어(82)는 모두, 지지 회전체(30)가 회전했을 때의 지지체(20)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경동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면 된다.
(3)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유지 기구(60)가, 전동 벨트(67)의 일방측의 면이 감기는 제1 유동 풀리(65)와 전동 벨트(67)의 타방측의 면이 감기는 제2 유동 풀리(66)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세 유지 기구(60)가 유동 풀리로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유동 풀리(66)에 상당하는 것만을 가지고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동 기어(62) 및 구동 풀리(63)는, 2개의 암부(32)의 사이로 되는 주위 방향의 위치에 지지되고, 구동 풀리(63), 2개의 제2 유동 풀리(66) 및 3개의 암부(32)의 총 6개의 요소가, 주위 방향으로 분산되어(바람직하게는 균등하게) 배치된다.
(4)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자세 유지 기구(60)가, 고정 기어(61)에 맞물리는 가동 기어(62)와 일체 회전하는 구동 풀리(63)와, 피구동 풀리(64)와, 이들에 감긴 전동 벨트(67)를 가지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정 기어(61)에 맞물리는 가동 기어(62)와 일체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켓과, 피구동 스프로켓과, 이들에 감긴 전동 체인을 가지고 자세 유지 기구(60)가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구동 스프로켓이 「구동 부재」에 상당하고, 피구동 스프로켓이 「피구동 부재」에 상당하고, 전동 체인이 「구동 전달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자세 유지 기구(60)는, 지지 회전체(30)의 위상에 따르지 않고 복수의 지지체(20)를 각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으면, 예를 들면 중력을 이용한 기구 등, 어떠한 구조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5)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기어(61)의 톱니수와 가동 기어(62)의 톱니수가 같은 수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구동 풀리(63)의 외경과 피구동 풀리(64)의 외경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기어비[고정 기어(61)의 톱니수에 대한 가동 기어(62)의 톱니수의 비]와 풀리비[구동 풀리(63)의 외경에 대한 피구동 풀리(64)의 외경 비교]의 곱이 「1」로 된다는 제약 조건 하에, 각 기어(61, 62)의 톱니수나 각 풀리(63, 64)의 외경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6)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피킹 작업에 의해 하나의 출하용 용기(Co)로의 상품(G)의 채워넣기를 행하는 싱글 피킹 시스템을 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킹 작업에 의해 복수 개의 출하용 용기(Co)로의 상품(G)의 채워넣기를 병행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한 멀티 피킹 시스템에도,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1)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멀티 피킹 시스템에서는, 물품 반송 장치(1)의 양옆에, 출하용 용기(Co)를 지지하는 출하용 용기 지지부(96)가 설치된다. 물품 반송 장치(1)에 의해 반송되어 온 보관용 용기(Cs)로부터 상품(G)이 취출되고, 출하용 용기 지지부(96)에 지지된 복수의 출하용 용기(Co)의 각각에, 필요 개수의 상품(G)이 실린다. 채워넣기 완료된 출하용 용기(Co)는, 자동으로 또는 작업자의 수동으로 출하용 컨베이어(98)에 탑재된 후, 상기 출하용 컨베이어(98)에 의해 출하장으로 반송되어 간다. 그리고, 피킹 설비에 있어서, 싱글 피킹 시스템과 멀티 피킹 시스템이 병용되어도 된다.
(7)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위치 P1에서의 물품 반입부(70)로부터 지지체(20)로의 보관용 용기(Cs)의 반입과, 제3 위치 P3에서의 피킹 작업과, 제2 위치 P2에서의 지지체(20)로부터 물품 반출부(80)로의 보관용 용기(Cs)의 반출이 행해지는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물품 반송 장치(1)는, 예를 들면 제1 위치 P1에서의 물품 반입부(70)로부터 지지체(20)로의 보관용 용기(Cs)의 반입과, 제2 위치 P2에서의 지지체(20)로부터 물품 반출부(80)로의 보관용 용기(Cs)의 반출만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회전식의 단순한 이송탑재 장치라도 된다. 또는, 지지체(20)를 4개 포함하고, 제4 위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품 종별(바코드나 IC 태그 등)의 판독 등의 별도의 공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8) 전술한 각 실시형태(상기의 실시형태 및 기타의 실시형태를 포함함 ; 이하 동일)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개변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개요]
이상을 정리하면,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각 구성을 포함한다.
물품 반송 장치로서,
물품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체와,
단일의 주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주축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등간격이고 또한 서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는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회전체와,
상기 지지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지지 회전체의 위상에 따르지 않고 복수의 상기 지지체를 각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키는 자세 유지 기구와,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체에 물품을 반입하는 물품 반입부와,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위치와는 상이한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물품을 반출하는 물품 반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구동부에서 지지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지지 회전체에 지지된 복수의 지지체의 주위 방향 위치를 변경하여, 각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승강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품 반송 장치에 비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제어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에서의 물품 반입부로부터 지지체로의 물품의 반입과, 제2 위치에서의 지지체로부터 물품 반출부로의 물품의 반출을 동일한 지지 회전체의 회전 구동에 의해 행할 수 있으므로,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지지체는, 단일의 주축 주위로 회전하는 한 쌍의 지지 회전체에 의해 지지되고, 각각 단일의 부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므로, 덜컹거림이 생기기 어려워 내구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구조면 및 제어면의 양쪽 면에서 간이한 장치 구성이며, 반송 효율이 양호하고, 내구성에도 뛰어난 물품 반송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지지체가 적어도 3개 구비되고,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와는 상이한 제3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체에 지지된 물품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물품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가, 상기 지지 회전체가 특정 위상에 있는 상태에서의 3개의 상기 지지체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위치에서의 물품 반입부로부터 지지체로의 물품의 반입과, 제2 위치에서의 지지체로부터 물품 반출부로의 물품의 반출과, 제3 위치에서의 물품에 대한 조작을 시기적으로 중복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효율에 더하여, 물품의 조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물품에 대한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상품이 수납된 용기로부터 필요 개수의 상품을 취출하는 "피킹 조작"을 예시할 수 있고, 이 경우, 피킹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회전 구동과 상기 특정 위상에서의 일시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동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 회전체의 회전을 특정 위상에서 일시 정지시키고 있는 동안에, 제1 위치에서의 물품 반입부로부터 지지체로의 물품의 반입, 제2 위치에서의 지지체로부터 물품 반출부로의 물품의 반출 및 제3 위치에서의 물품에 대한 조작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지지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입부로부터 반입되어 온 물품을 지지체에서 받고, 지지 회전체를 회전시켜 물품의 조작에 제공하고, 또한 지지 회전체를 회전시켜 조작 후의 물품을 지지체로부터 물품 반출부에 반출한다는 사이클을 바람직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효율 및 물품 조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지지체가 빗살형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있어서의 빗살의 개방단 이외의 연결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측벽부를 가지는 일단 개방형의 바구니형 몸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물품 반입부 및 상기 물품 반출부는, 상기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받아건넴을 행하는 개소에, 빗살형의 받아건넴부를 가지고,
상기 주축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체의 상기 바닥부의 빗살의 복수의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품 반입부 및 상기 물품 반출부의 각각의 상기 받아건넴부의 빗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 회전체가 회전했을 때 지지체의 바닥부의 빗살과 물품 반입부 및 물품 반출부의 각각의 받아건넴부의 빗살이 간섭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지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지지체와 회전 방향에 따른 물품 반입부 및 물품 반출부의 어느 쪽인가의 받아건넴부와의 사이에서, 빗살의 엇갈림을 이용하여, 물품의 받아건넴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도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물품 반입부와 상기 물품 반출부가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배치되고,
상기 물품 반입부 및 상기 물품 반출부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쪽의 상기 받아건넴부가, 아래쪽을 향하여 경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체에 물품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 회전체가 회전했을 때, 물품 반입부 및 물품 반출부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쪽의 받아건넴부가 경동함으로써, 상기 받아건넴부와 물품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 장치의 내부에서의 물품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아래쪽으로 원래 존재하는 공간의 일부를 이용하여 하방 측의 받아건넴부를 경동시킴으로써,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일 태양으로서,
상기 자세 유지 기구가,
상기 지지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비회전 부재에 상기 주축과 동축으로 되도록 고정된 고정 기어와,
상기 고정 기어에 맞물리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 회전체에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 회전체와 함께 공전하는 가동 기어와,
상기 가동 기어와 일체적으로 자전하도록 상기 가동 기어에 연결된 구동 부재와,
복수의 상기 지지체의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와 복수의 상기 피구동 부재에 걸쳐 감긴 구동 전달 부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 회전체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그에 연동하여, 복수의 지지체의 각각을 지지 회전체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자전시킬 수 있다. 각 지지체의 역방향으로의 자전에 의해 지지 회전체의 회전을 말소시켜, 장치의 외부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각 지지체의 자세를, 지지 회전체의 위상에 따르지 않고 각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물품 반송 설비로서,
전술한 각 구성의 물품 반송 장치를 2개 옆으로 나란한 상태로 포함하고,
각각의 물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물품 반송 장치 측과는 반대 측에 자세 유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2개의 물품 반송 장치를 가깝게 하여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2개의 물품 반송 장치를 병렬 배치하는 경우에, 설비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 및 물품 반송 설비는, 전술한 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발휘할 수 있으면 된다.
1 : 물품 반송 장치
20 : 지지체
21 : 바구니형 몸통
22 : 바닥부
23 : 빗살
24 : 측벽부
25 : 회전축
30 : 지지 회전체
40 : 기대(비회전 부재)
50 : 구동부
60 : 자세 유지 기구
61 : 고정 기어
62 : 가동 기어
63 : 구동 풀리(구동 부재)
64 : 피구동 풀리(피구동 부재)
67 : 전동 벨트(구동 전달 부재)
70 : 물품 반입부
72 : 인도 컨베이어(받아건넴부)
80 : 물품 반출부
82 : 수취 컨베이어(받아건넴부)
90 : 물품 조작부
100 : 물품 반송 설비
C : 용기(물품)
Cs : 보관용 용기
Co : 출하용 용기
P1 : 제1 위치
P2 : 제2 위치
P3 : 제3 위치
A : 주축

Claims (8)

  1. 물품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체;
    단일의 주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주축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등간격이고 또한 서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는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회전체;
    상기 지지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지지 회전체의 위상에 따르지 않고 복수의 상기 지지체를 각각 일정 자세로 유지시키는 자세 유지 기구;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체에 물품을 반입하는 물품 반입부; 및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위치와는 상이한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물품을 반출하는 물품 반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가, 빗살형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있어서의 빗살의 개방단 이외의 연결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측벽부를 가지는 일단(一端) 개방형의 바구니형 몸통(basket-like body)으로 구성되고,
    상기 물품 반입부 및 상기 물품 반출부는, 상기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받아건넴을 행하는 개소에, 빗살형의 받아건넴부를 가지고,
    상기 주축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체의 상기 바닥부의 빗살의 복수의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물품 반입부 및 상기 물품 반출부의 각각의 상기 받아건넴부의 빗살(comb teeth)이 배치되고,
    상기 물품 반입부와 상기 물품 반출부가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배치되고,
    상기 물품 반입부 및 상기 물품 반출부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쪽의 상기 받아건넴부가, 아래쪽을 향하여 경동(傾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搬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적어도 3개 구비되고,
    상기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와는 다른 제3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체에 지지된 물품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물품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가, 상기 지지 회전체가 특정 위상에 있는 상태에서의 3개의 상기 지지체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회전 구동과 상기 특정 위상에서의 일시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동작을 행하는, 물품 반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유지 기구가,
    상기 지지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비회전 부재에 상기 주축과 동축으로 되도록 고정된 고정 기어;
    상기 고정 기어에 맞물리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 회전체에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지지 회전체와 함께 공전하는 가동 기어;
    상기 가동 기어와 일체적으로 자전하도록 상기 가동 기어에 연결된 구동 부재;
    복수의 상기 지지체의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被)구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와 복수의 상기 피구동 부재에 걸쳐 감긴 구동 전달 부재
    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 장치.
  6. 제1항에 기재된 물품 반송 장치를 2개 옆으로 나란한 상태로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물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상기 물품 반송 장치의 측과는 반대 측에 상기 자세 유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7. 삭제
  8. 삭제
KR1020180061005A 2017-05-30 2018-05-29 물품 반송 장치 및 물품 반송 설비 KR102501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6893A JP6780588B2 (ja) 2017-05-30 2017-05-30 物品搬送装置及び物品搬送設備
JPJP-P-2017-106893 201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42A KR20180131442A (ko) 2018-12-10
KR102501288B1 true KR102501288B1 (ko) 2023-02-16

Family

ID=6248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005A KR102501288B1 (ko) 2017-05-30 2018-05-29 물품 반송 장치 및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21616B2 (ko)
EP (2) EP3812316B1 (ko)
JP (1) JP6780588B2 (ko)
KR (1) KR102501288B1 (ko)
CN (2) CN108974760B (ko)
DK (2) DK3812316T3 (ko)
ES (2) ES2902745T3 (ko)
PT (2) PT3812316T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0588B2 (ja) * 2017-05-30 2020-11-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及び物品搬送設備
US10829313B2 (en) * 2018-08-02 2020-11-10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Goods to operator workstation
KR102174171B1 (ko) * 2018-12-28 2020-11-0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물품 박스 공급 장치용 이송 배출 유닛
KR102246221B1 (ko) * 2018-12-28 2021-04-29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물품 박스 공급 장치
US10988326B2 (en) * 2019-05-09 2021-04-27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Load assist system
US11639266B2 (en) * 2021-03-10 2023-05-02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Goods to operator workstation
CN116945473B (zh) * 2023-08-04 2024-02-23 河源市皓吉达通讯器材有限公司 一种多层金属嵌入成型产品制备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8686A1 (de) 1989-03-11 1990-09-26 Stiegler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Übergeben von fortlaufend aus einer flexiblen Materialbahn hergestellten Abschnitten
DE102009000897A1 (de) * 2009-02-16 2010-08-19 F.Ee Gmbh Automation Behälterwechselvorrichtung
DE102013104423A1 (de) * 2013-04-30 2014-10-30 SSI Schäfer Noell GmbH Lager- und Systemtechnik Senkrechtförderer und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von Stückgütern
US20150037130A1 (en) * 2010-10-15 2015-02-05 Gianfranco Galimberti Device for forming packs of plastic bags
JP2015199562A (ja) 2014-04-04 2015-11-12 株式会社ダイフク ピッキング設備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008A (en) * 1901-03-28 1902-04-08 Henry F Palmer Revolving show stand or rack.
US2856254A (en) * 1957-09-30 1958-10-14 Diebold Inc Rotary filing appliance
GB938227A (en) * 1960-01-01 1963-10-02 American Mach & Foundry Cigarette making machine
US3343691A (en) * 1964-10-26 1967-09-26 Globe Union Inc Panel counting and separating apparatus
GB1252089A (ko) * 1969-12-01 1971-11-03
US6102647A (en) * 1998-06-26 2000-08-15 Intel Corporation Cart for transferring objects
JP2007217079A (ja) * 2006-02-14 2007-08-30 Asyst Shinko Inc ターンテーブル
EP2536649B1 (en) 2010-02-19 2016-05-25 Dematic Corp. Goods-to-person picking station and picking method
JP6780588B2 (ja) * 2017-05-30 2020-11-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及び物品搬送設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8686A1 (de) 1989-03-11 1990-09-26 Stiegler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Übergeben von fortlaufend aus einer flexiblen Materialbahn hergestellten Abschnitten
DE102009000897A1 (de) * 2009-02-16 2010-08-19 F.Ee Gmbh Automation Behälterwechselvorrichtung
US20150037130A1 (en) * 2010-10-15 2015-02-05 Gianfranco Galimberti Device for forming packs of plastic bags
DE102013104423A1 (de) * 2013-04-30 2014-10-30 SSI Schäfer Noell GmbH Lager- und Systemtechnik Senkrechtförderer und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von Stückgütern
JP2015199562A (ja) 2014-04-04 2015-11-12 株式会社ダイフク ピッキング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88267B (zh) 2023-06-20
EP3812316A1 (en) 2021-04-28
KR20180131442A (ko) 2018-12-10
DK3409621T3 (da) 2022-02-28
CN108974760B (zh) 2021-09-14
PT3409621T (pt) 2021-12-28
US10421616B2 (en) 2019-09-24
EP3812316B1 (en) 2022-08-10
EP3409621B1 (en) 2021-11-24
ES2926514T3 (es) 2022-10-26
JP2018203392A (ja) 2018-12-27
ES2902745T3 (es) 2022-03-29
CN108974760A (zh) 2018-12-11
PT3812316T (pt) 2022-09-28
CN113788267A (zh) 2021-12-14
DK3812316T3 (da) 2022-10-17
US20180346254A1 (en) 2018-12-06
EP3409621A1 (en) 2018-12-05
JP6780588B2 (ja)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288B1 (ko) 물품 반송 장치 및 물품 반송 설비
US8997438B1 (en) Case packing system having robotic pick and place mechanism and dual dump bins
US7644558B1 (en) Robotic case packing system
US20080008568A1 (en) Automated Stocking And Retrieval System
US20080160599A1 (en) Unit For Processing Microbiological Samples
KR101956713B1 (ko) 타워형 물품 정렬 보관장치
US6854588B1 (en) Tray conveyor/loading system
JP2002080007A (ja) 長尺根菜類の箱詰め機構及び該機構を用いた長尺根菜類の箱詰め装置
CN215853255U (zh) 物料箱转运系统
CN113602725B (zh) 一种料箱出入库系统
JPH02123020A (ja) スパイラル揚重機
JP4088882B2 (ja) 物品搬送装置
CN214568222U (zh) 一种转盘式自动装柜装置
JP2001122442A (ja) 容器反転装置
JPH09110155A (ja) 昇降機用搬出入装置及びパレット
JPH09226932A (ja) 垂直搬送装置
JP2016088628A (ja) 物品移載装置
CN115818071A (zh) 物料箱转运系统
WO1985003058A1 (en) Continuous conveyor apparatus
JP2004359424A (ja) 物品移載装置
JP4835510B2 (ja) 物品移載装置
JPS62121113A (ja) 回転棚に対する入出庫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118832A (ja) コンテナ搬送システム
JPH09156725A (ja) 搬送装置およびピッキング設備
JP2003300602A (ja) 昇降式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