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174B1 -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174B1
KR102501174B1 KR1020220134613A KR20220134613A KR102501174B1 KR 102501174 B1 KR102501174 B1 KR 102501174B1 KR 1020220134613 A KR1020220134613 A KR 1020220134613A KR 20220134613 A KR20220134613 A KR 20220134613A KR 102501174 B1 KR102501174 B1 KR 102501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topper
container
brush ro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형
Original Assignee
박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형 filed Critical 박준형
Priority to KR102022013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액(藥液)이 담기는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는, 약액(藥液)이 담기는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이며, 상기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용기 내 담긴 약액이 용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중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러쉬봉부 및 상기 브러쉬봉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셀이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표면장력으로 인해 약액이 소정량만큼 묻어 환부에 약액을 도포하는 것이 가능한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 상기 브러쉬봉부 및 상기 브러쉬부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MEDICINE BOTTLE LID WITH BRUSH, BRUSH ROD AND CAP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은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액(藥液)이 담기는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약국 또는 병원에서 판매되는 각종 액체형 약물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에 담겨져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 특히 적정량씩 환부에 도포할 필요가 있는 약액(藥液)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약액을 도포할 수 있도록 약봉이 내장된 용기를 사용한다. 일예로 베타딘, 포비돈, 요오드팅크 등의 상품명으로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진 소독약은 약병의 마개에 약봉이 부착되어 있어서 환자의 사용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약병은 약액을 담는 용기와, 용기의 개구부를 막는 마개를 포함하며, 마개의 중심에는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브러쉬봉이 결합되고, 브러쉬봉의 최하단에는 브러쉬가 형성된다.
종래의 용기 마개는 약액이 담기는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약액을 용도에 맞게 사용하고자 할 때 용기 마개를 열면 약액이 액체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브러쉬봉 및 브러쉬에 소정량만큼 묻어 있어 이를 환부에 도포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별도로 약솜 또는 탈지면을 준비하지 않고서도 쉽게 약액을 도포할 수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이 브러쉬봉 등을 포함하는 용기 마개는 약액을 환부에 도포할 때 약솜 등이 필요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약액의 침습성 및 점착성으로 인해 브러쉬봉과 용기 마개 간 결합지점에 약액이 쉽게 고착될 수 있어 브러쉬봉과 용기 마개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애초에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용기 마개에 부착시켰던 브러쉬봉이 도리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703호 (2003년10월01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는, 약액(藥液)이 담기는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이며, 상기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용기 내 담긴 약액이 용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중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러쉬봉부 및 상기 브러쉬봉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셀이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표면장력으로 인해 약액이 소정량만큼 묻어 환부에 약액을 도포하는 것이 가능한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봉부 및 상기 브러쉬부의 경계에는, 경계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러쉬봉부는 상기 경계부에서 상부를 향해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 상기 브러쉬봉부 및 상기 브러쉬부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부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브러쉬부를 통해 약액을 환부에 도포할 때, 상기 브러쉬부가 쉽게 휘어지도록 내측을 향해 소정깊이 함몰된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는, 상기 경계부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브러쉬봉부는, 상기 마개부에서 상기 브러쉬부를 향해 내측으로 소정깊이 내입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에 묻은 약액은 상기 홈부를 따라 쉽게 상기 브러쉬부를 향해 하향 이동한다.
상기 마개부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슬립방지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인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에 따르면, 약액의 침습성 및/또는 점착성에도 불구하고 브러쉬봉과 마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의 일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부가 소정각도로 휘어진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가 브러쉬부에 결합된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100)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100)의 일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부(30)가 소정각도로 휘어진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100)(이하, ‘용기 마개(100)’라 함)는, 도 1을 참조하면, 약액(藥液)이 담기는 용기(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세하게는 용기(1)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측면을 둘러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마개부(10)의 내측면을 둘러 형성되어 개구부와 마개부(10)는 서로 회전하여 나사산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10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용기(1)의 개구부와 결합되는 마개부(10), 마개부(10)의 중심측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브러쉬봉부(20) 및 브러쉬봉부(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약액을 환부에 도포하는 브러쉬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개부(10), 브러쉬봉부(20) 및 브러쉬부(30)는 공지된 사출 성형기(射出成形機, injection molding machine)를 통해 일체로 사출성형(射出成形, injection molding)되어 형성된다. 즉, 마개부(10), 브러쉬봉부(20) 및 브러쉬부(30)는 모두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일체로 사출성형된 용기 마개(100)의 각 구성은, 일 실시예로서,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마개부(10), 브러쉬봉부(20) 및 브러쉬부(30)의 형태와 두께에 따라 그 유연한 정도가 각각 조절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특히 브러쉬부(30)를 가장 얇게 형성하여 약액을 환부에 도포할 때, 브러쉬부(30)가 소정각도로 휘어지도록 하여 환부 상 약액의 도포가 쉽도록 한다.
마개부(10)의 내측면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용기(1)의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마개부(10)는 용기(1)의 상부, 즉 개구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용기(1) 내 담긴 약액이 용기(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개부(10)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슬립방지돌기(11)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슬립방지돌기(11)는 사용자가 마개부(10)의 외측면을 쥐고 용기(1)의 개구부에서 마개부(10)를 회전시킬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브러쉬봉부(20)는 마개부(10)의 하측면의 중심측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브러쉬봉부(20)는, 일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인 직사각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러쉬봉부(20)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는 각각 도면의 도시상 상하방향으로, 즉 마개부(10)에서 브러쉬부(30)를 향해 내측으로 소정깊이 내입된 홈부(21)가 형성된다. 홈부(21)를 포함하는 브러쉬봉부(20)의 외면은, 용기 마개(100)가 용기(1)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용기(1) 내부를 밀폐하였을 때, 약액의 표면장력에 의해 약액이 묻는다. 약액을 용도에 맞게 사용하고자 용기 마개(100)를 열면 홈부(21)에 묻은 약액은 홈부(21)를 따라 쉽게 브러쉬부(30)를 향해 하향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마개(100)가 용기(1) 상에서 회전하여 용기(1) 내부공간을 개방하였을 때 홈부(21)를 따라 하향 이동한 약액은 브러쉬부(30)로 쉽게 이동할 수 있어 약액을 환부에 도포할 때 더 많은 약액을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브러쉬봉부(20)를 제조할 때 소비되는 소재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브러쉬부(30)는 브러쉬봉부(20)의 하부에 형성된다. 브러쉬부(30)에는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셀(31)이 각각 형성되며,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3 by 3의 격자형상을 이룬다. 각 셀(31)의 내부공간에는 약액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약액이 소정량만큼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는 브러쉬부(30)의 각 셀(31) 내 포함된 약액을 환부에 도포한다.
브러쉬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쉬봉부(20)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진다. 한편, 브러쉬봉부(20) 및 브러쉬부(30)의 경계에는 경계부(23)가 형성된다. 브러쉬봉부(20)는, 도 3을 참조하면, 경계부(23)를 기준으로 상부를 향해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브러쉬부(30)를 통해 환부에 약액을 도포할 때, 도 4를 참조하면, 더 얇게 형성된 브러쉬부(30)는 쉽게 휘어져 환부에 접하는 브러쉬부(30)의 일면 또는 타면이 면적이 더 넓어진다. 반면 브러쉬봉부(20)는 브러쉬부(30)보다 더 두꺼워 쉽게 휘어지지 않는다.
또한 브러쉬부(30)의 양 측면에는 각각 브러쉬부(30)를 통해 약액을 환부에 도포할 때 브러쉬부(30)가 더욱 쉽게 휘어지도록 내측을 향해 소정깊이 함몰된 형상의 함몰부(33)가 형성된다. 이때 함몰부(33)는 경계부(23)보다 하부에 형성되어 약액을 도포할 때 브러쉬봉부(20)는 쉽게 휘어지지 않고 브러쉬부(30)만이 쉽게 휘어지도록 한다. 브러쉬봉부(20)가 쉽게 휘어지지 않아 사용자는 브러쉬부(30)의 휘어짐 정도를 더욱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000)가 브러쉬부(30)에 결합된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000) 및 탄성부재(1000)의 각 구성은 실리콘 고무 (Silicone 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축성, 유연성 및/또는 내열성이 있는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000)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00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연통되고 외부를 향해 개방된다. 브러쉬부(30)는 탄성부재(1000)의 타단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후, 탄성부재(1000)와 결합된다.
탄성부재(1000)의 일단부(도 5의 도시상 최하단부)는 약액이 도포되는 환부와 접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브러쉬부(30)에 형성된 각 셀을 직접 환부에 접하여 약액을 도포하는 것이 아닌, 탄성부재(1000)의 일단부를 환부에 찍는 방식으로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물론 탄성부재(1000)가 결합된 브러쉬부(30)는 여전히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약액을 환부에 도포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000)가 결합된 용기 마개(100)를 환부와 직각 방향을 유지한 채 찍어 도포하고, 적은 양의 약액을 도포할 때에는 브러쉬부(30)가 소정각도로 휘어지도록 힘을 조절하여 환부와 탄성부재(1000)의 일단부가 접하는 면적을 조절하여 적은 양의 약액을 도포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 : 용기
10 : 마개부
11 : 슬립방지돌기
20 : 브러쉬봉부
21 : 홈부
23 : 경계부
30 : 브러쉬부
31 : 셀
33 : 함몰부
100 :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1000 : 탄성부재

Claims (5)

  1. 약액(藥液)이 담기는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용기 내 담긴 약액이 용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중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러쉬봉부; 및
    상기 브러쉬봉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셀이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표면장력으로 인해 약액이 소정량만큼 묻어 환부에 약액을 도포하는 것이 가능한 브러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봉부 및 상기 브러쉬부의 경계에는, 경계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러쉬봉부는 상기 경계부에서 상부를 향해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 상기 브러쉬봉부 및 상기 브러쉬부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되,
    상기 브러쉬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브러쉬부를 통해 약액을 환부에 도포할 때, 상기 브러쉬부가 쉽게 휘어지도록 내측을 향해 소정깊이 함몰된 형상의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경계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봉부는,
    상기 마개부에서 상기 브러쉬부를 향해 내측으로 소정깊이 내입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에 묻은 약액은, 상기 홈부를 따라 쉽게 상기 브러쉬부를 향해 하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슬립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KR1020220134613A 2022-10-19 2022-10-19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KR10250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13A KR102501174B1 (ko) 2022-10-19 2022-10-19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13A KR102501174B1 (ko) 2022-10-19 2022-10-19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174B1 true KR102501174B1 (ko) 2023-02-16

Family

ID=8532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613A KR102501174B1 (ko) 2022-10-19 2022-10-19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1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731A (ja) * 1999-11-05 2001-05-15 Shiseido Co Ltd ヘラ付きキャップ
KR200328703Y1 (ko) 2003-06-14 2003-10-01 신도공업 주식회사 약액 누설 차단효과가 뛰어난 약병용 용기조립체
KR20180016584A (ko) * 2015-06-19 2018-02-14 로레알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JP2020182736A (ja) * 2019-05-09 2020-11-12 松田栄株式会社 液状体塗付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731A (ja) * 1999-11-05 2001-05-15 Shiseido Co Ltd ヘラ付きキャップ
KR200328703Y1 (ko) 2003-06-14 2003-10-01 신도공업 주식회사 약액 누설 차단효과가 뛰어난 약병용 용기조립체
KR20180016584A (ko) * 2015-06-19 2018-02-14 로레알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JP2020182736A (ja) * 2019-05-09 2020-11-12 松田栄株式会社 液状体塗付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110B2 (en) Capping device for disinfecting medical container
JP3907553B2 (ja) 化粧製品などの製品の収容及び分配のための装置
KR940011443B1 (ko) 약품용 패키지
US8944710B2 (en) Container for a plurality of disposable applicators comprising a reservoir for a substance to be applied
BRPI0807839A2 (pt) " contentor revedável para armazenar elementos de teste sensíveis à umidade ".
WO1989005695A1 (en) Liquid applicator
US9987474B2 (en) Antiseptic swab
US20070170190A1 (en) Pinching seal for airtight containers
US20210387777A1 (en) Cosmetic bottle
KR102501174B1 (ko) 브러쉬, 브러쉬봉 및 마개가 일체로 형성된 용기 마개
EP3546386A1 (en) Flip-top cap for dispensing a flowable dental substance
KR102177457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스포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BR212015026213Y1 (pt) Garrafa de infusão ou armazenamento
US6394987B1 (en) Portable disinfectant apparatus
ATE505323T1 (de) Behälter für medizinische flüssigkeiten mit hoher wasserdampfsperre
BR112014002460B1 (pt) tampão antigota para um frasco deformável com tampa móvel automática e de alta estanqueidade
MXPA04005275A (es) Montaje de cartucho de medicamento y remate adaptador.
EA034159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дозирования
US11963803B2 (en) Ommaya reservoir tray for installation of intraventricular chemotherapy and/or aspiration of cerebrospinal fluid for diagnostic purposes
KR100916540B1 (ko) 액체용 소분용기
CN101596150A (zh) 皮肤外用剂及盛装该皮肤外用剂的一次性容器
KR20160041560A (ko) 수분증발 방지구조가 적용된 리필용 습윤 화장품 용기
KR200328703Y1 (ko) 약액 누설 차단효과가 뛰어난 약병용 용기조립체
KR102360508B1 (ko) 소독액과 스패츌러가 내장된 액상 용기
KR200493643Y1 (ko) 파우치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