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538B1 -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538B1
KR102500538B1 KR1020220148840A KR20220148840A KR102500538B1 KR 102500538 B1 KR102500538 B1 KR 102500538B1 KR 1020220148840 A KR1020220148840 A KR 1020220148840A KR 20220148840 A KR20220148840 A KR 20220148840A KR 102500538 B1 KR102500538 B1 KR 10250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asic frame
stage
fair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술생
Original Assignee
오술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술생 filed Critical 오술생
Priority to KR102022014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4Hair pieces
    • A41G5/0053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93Hair accessories connected to a head covering, e.g. scar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구된 기둥 형태의 1단기본틀과,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라운드진 삿갓 형태의 2단기본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2단기본틀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1단기본틀을 준비한 후 상기 2단기본틀에 결합하여 기본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본틀 외부면에 인모나 가모를 이용 외부띠머리덮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2단기본틀의 내부면과 상기 관통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1단기본틀의 내부면에 인모나 가모를 이용 외부띠머리덮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1단기본틀의 내부면에 데코천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1단기본틀의 상부 개구부에 십자형태의 교차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상부띠댕기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1단기본틀의 상부 개구부 후방측으로 보조선녀댕기머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1단기본틀의 후방측 양측 대칭으로 한 쌍의 메인선녀댕기머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traditional fairy hair of big head}
본 발명은 대수머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과정으로 제조과정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들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통 형태를 복원한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수는 머리를 덮는 가발처럼 형태를 만들어 머리에 쓰도록 한 것으로, 위가 높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넓게 퍼지는 삼각형 모양이다.
어깨까지 펼쳐진 머리의 양쪽 끝에는 봉황비녀를 꽂아 좌우로 팽팽하게 뻗치도록 하였고, 뒤쪽으로는 머리카락을 비녀에 말아 꺾어 올려 뒤통수에 연결하였다.
그리고, 정수리에는 머리를 크게 꾸미기 위해 덧넣어 사용하는 땋은 머리인 위체圍를 올렸다. 위체 아래쪽은 옥판 형태가 연이어 달린마리삭금댕기로 둘러 감싸고 금댕기 뒤쪽에는 여덟 가닥으로 만든 댕기를 드리웠다.
이마 쪽 중앙에 진주동곳과 용비녀를 꽂고 나비떨잠, 둥근떨잠과 각종 비녀로 체발을 고정시켰으며, 가장 위쪽 중앙에는 큰 옥판 형태의 장잠長簪을 꽂아 머리장식을 완성하였다.
대수를 만드는 데는 많은 양의 체발이 필요하였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보면 체발을 공납하는 지역은 함경도와제주도였으며, 지역별로 준비할 수량이 지정되어 있었다. 가례에 사용된 체발의 수는 인조장렬후 가례(1638년) 때 68단 다섯 개, 숙종인현후 가례(1681년) 때 48단 다섯 개였다가 영조英祖 대를 기준으로 10단 규모로 감소되었다.
현존하는 유물로 유일하게 1922년 영친왕비(英親王妃)가 순종을 배알할 때 착용하였던 대수가 있다.
그리고 대수머리의 한 형태로서 선녀머리가 있는데 이와 같은 대수형 선녀머리는 헤어스타일의 하나로 머리 위 좌우에 두 개의 고리를 만든 머리 모양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선녀머리는 본래 명나라시대까지 중국 여성들이 했던 헤어스타일이었지만 명나라 시기 중국의 영향권하에 있었던 조선에도 전파되었다.
옛 일본의 머리 매는 방법의 한 가지인 "치고와(稚?輪)"가 이와 유사하다.
한국에서는 떠구지머리라고 해서 궁중에서 높으신 분이 중요 행사 때 하는데, 나무로 깎아서 고리를 만들고, 비녀 2개가 들어갈 구멍을 뚫어놓는 형태. 드라마 궁에서 신채경과 이신이 합궁할 때 이것을 쓰고 나온다.
한반도 한정으로 몽골계 풍습인 가체와 이것이 조합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갖기도 한다.
한편, 최근 이러한 대수형 선녀머리를 발굴하고 개발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 제조되는 대수형 선녀머리는 제조방법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아 제작자의 기술 및 경험에 의해 각기 다른 과정과 재료로 제작되었으며, 이에 따라 전통방식에 충실하면서도 효율적이고 내구성을 가지는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를 위한 방법이 필요하였다.
등록특허 제10-214408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전통방식에 따른 대수형 선녀머리에 가까우면서 표준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져 효율적이고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조가 완료된 대수형 선녀머리의 구성들이 내구성을 가지고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구된 통 형태의 1단기본틀과,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라운드진 삿갓 형태의 2단기본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2단기본틀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1단기본틀을 상기 2단기본틀에 결합하여 기본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본틀 외부면에 인모나 가모를 이용 외부띠머리덮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2단기본틀의 내부면과 상기 관통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1단기본틀의 내부면에 인모나 가모를 이용 외부띠머리덮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1단기본틀의 내부면에 데코천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1단기본틀의 상부 개구부에 십자형태의 교차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상부띠댕기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1단기본틀의 상부 개구부 후방측으로 보조선녀댕기머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1단기본틀의 후방측 양측 대칭으로 한 쌍의 메인선녀댕기머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틀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복수 개의 횡비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틀 전방측 상부에 상부중앙비녀를 설치하되, 상기 상부중앙비녀는 전방 하측에 가열 시 용융되는 본딩재가 적용되고, 상기 상부중앙비녀는 상기 기본틀 관통부 내측에 상기 본딩재를 이용 열적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에 의하면, 대수형 선녀머리를 제조하는 과정이 효율적이고 유기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수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녀와 같은 장식물을 제조과정중에 미리 설치하여 무게 중심 등을 잡는 효과를 가져온 후 후속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 제조과정이 편리하고 서로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전체적인 대수형 선녀머리의 형태 유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부착된 구조물들의 견고한 결합 및 내구성 증대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1단기본틀과 2단기본틀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1단기본틀과 2단기본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1단기본틀과 2단기본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기본틀에 외부띠머리덮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상부띠댕기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에서 보조선녀댕기머리가 설치된 모습을 후방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6에 적용된 보조선녀댕기머리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7에서 메인선녀댕기머리가 설치된 모습을 후방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에서 횡비녀가 설치된 모습을 전방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서 다양한 비녀 및 장식물들이 설치된 모습을 전방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동물형 장식물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횡비녀의 단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형 선녀머리가 완성된 모습을 전방측에서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의 요부 순서도이며, 도 2 내지 도 7,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녀머리가 제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은 먼저, 기본틀(108)을 준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틀(108)은 1단기본틀(101)과 2단기본틀(103)로 이루어진다.
상기 1단기본틀(101)은 상하부가 개구되고 중공부(102)가 형성된 전체적으로 대략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1단기본틀(101)의 하부 개구된 부위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부위를 이룬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하부가 직경이 동일한 드럼 형태로 이루어진 1단기본틀(101)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이 편리하도록 상기 1단기본틀(101)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더 크게 이루어지거나 측면상 소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2단기본틀(103)은 상부 중심부에 관통부(105)가 형성된 전체적으로 측면상 라운드진 삿갓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1단기본틀(101)의 상부가 상기 2단기본틀(103)의 외부로 기 설정 길이 노출되면서 상기 2단기본틀(103)의 관통부(105)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2단기본틀(103) 측부 길이(L1)보다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설치되는 상기 1단기본틀(101)의 하부길이(L2)가 더 길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2단기본틀(103)의 하측으로 상기 1단기본틀(101)의 하부가 소정 길이 노출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1단기본틀(101)과 2단기본틀(103)의 결합은 실리콘이나 공지된 다양한 본딩재를 이용 결합하게 되며, 상기 각 기본틀(101, 103)은 대나무가 직조된 형태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경량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습기 배출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여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기본틀(108) 외부면에 인모나 가모를 이용 외부띠머리덮개(111, 113)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외부띠머리덮개(111, 113)는 상기 1단기본틀(101)에 수행되는 1단외부띠머리덮개(113)와, 상기 2단기본틀(103)에 수행되는 2단외부띠머리덮개(111)로 이루어지되 상기 1단외부띠머리덮개(113)와 2단외부띠머리덮개(111)는 일체형으로 한 번에 인모나 가모를 이용 자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외부띠머리덮개(111, 113)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기본틀(108) 외부면에 소정 본딩재를 이용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부띠머리덮개(111, 113)와 동일한 형태로 상기 1단기본틀(101) 내부면에도 외부띠머리덮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2단기본틀(103) 상측 내부에도 외부띠머리덮개를 형성한다.
다음으로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2단기본틀(103)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1단기본틀(101)의 내부면에 데코천(미도시)을 부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심미적 느낌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기본틀(108)을 머리에 착용 시 착용감을 좋게 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데코천은 노랑색이나 보라색과 같은 색상을 가지는 무명천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틀(108) 즉 상기 2단기본틀(103)의 상부 개구부에 십자형태로 교차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상부띠댕기(122)를 부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띠댕기(122)는 철사와 같은 상당 길이를 가지는 심부의 외부를 인모나 가모로 댕기 형태로 따서 내부 심부가 은폐되도록 덮어 씌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띠댕기(122)를 외력을 가하여 소정 절곡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기본틀(108) 상부 관통부에 평면상 복수 개가 서로 교차되게 절곡된 형태로 설치되며 본딩재 또는 상부띠댕기(122)와 기본틀(108) 상부가 인모나 가모를 이용 결합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단기본틀(103)의 상부 개구부 후방측으로 보조선녀댕기머리(133)를 부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보조선녀댕기머리(133)는, 도 8에서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의 탄성체(133a) 외부를 인모나 가모(133b)가 내부 탄성체(133a)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둘러 감싼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보조선녀댕기머리(133)는 소정 탄성을 가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굴곡된 형태로 상기 기본틀(108) 상부 외부띠머리덮개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33a)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스폰지 등이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1단기본틀(103)의 후방측 양측 대칭으로 한 쌍의 메인선녀댕기머리(138)를 부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메인선녀댕기머리(138)는 상기 보조선녀댕기머리(133)보다 상당히 큰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보조선녀댕기머리(133)와 마찬가지로 내부 탄성체를 인모가 가모가 외부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선녀댕기머리(138)는 상기 1단기본틀(103) 외부면을 덮어 감싸는 외부띠머리덮개(113) 외측에 댕기머리로 이루어지되 관 형태로 메인선녀댕기머리(138)의 단부를 덮어 감싸는 결합띠머리(128)를 이용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띠머리덮개(113) 상측으로 상당 길이를 가지는 횡비녀(147)를 복수 개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기 횡비녀(147)를 적절 위치 및 양측 대칭으로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선녀머리의 중심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상당한 중량을 지니는 비녀를 이용 전체적으로 무게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최종 완성된 대수형 선녀머리의 무게 배치 전체적으로 평형을 이루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부중앙비녀(155)와 다양한 장식물(162, 167)들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상부중앙비녀(155)는 전방 하측에 가열 시 용융되는 본딩재가 적용되고, 상기 상부중앙비녀(155)를 상기 외부띠머리덮개(133) 상측 관통부 내부 전방측에 드라이기 등을 이용 상기 본딩재를 가열 열적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중앙비녀(155)는 상기 외부띠머리덮개(133) 상측 관통부 전방측에 별도 본딩재를 이용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물은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나 상기 외부띠머리덮개(133) 상측에 동물 모양을 본뜬 구조물 장식물(162)이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보석과 같은 구조물이 적용된 브로치 형태의 장식물(167)이 외부띠머리덮개(111, 113)의 둘레부를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동물 형태의 장식물(162)은 하측에 핀부(164)가 구비되되 상기 핀부(164) 하단부에는 가열본딩재(164b)가 적용되도록 하여 장식물(162)을 제2외부띠머리덮개(113) 상부에 꽂은 후 드라이기 등을 이용 가열시키어 가열본딩재(164b)가 용융되었다가 응고되면서 상부가체(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핀부(164)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핀부(16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마다 시온안료가 적용된 지시띠(164a)가 적용되어 상기 지시띠(164a)의 색변화를 이용 가열본딩재(164b)의 용융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열본딩재(164b)로부터 최대 이격된 지시띠(164a)까지 색변화 가 이루어졌는지를 이용 충분하게 가열되었는지의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횡비녀(147)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로드부(147a) 양단측에 용모양의 헤드부(147b)가 스크류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부(147a)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서로 다른 무게를 가지는 중량편(147d)이 선택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헤드부(147b)를 스크류 형태로 회전시키어 로드부(14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횡비녀(147)의 양측 무게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부(147a) 단부에는 지시부(147c)가 구비되어 헤드부(147b)가 과도하게 로드부(147a) 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최종 완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형 선녀머리는 도 14 사진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에 의하면, 대수형 선녀머리를 제조하는 과정이 효율적이고 유기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수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녀와 같은 장식물을 제조과정중에 미리 설치하여 무게 중심 등을 잡는 효과를 가져온 후 후속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 제조과정이 편리하고 서로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전체적인 대수형 선녀머리의 형태 유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부착된 구조물들의 견고한 결합 및 내구성 증대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단기본틀
103: 2단기본틀
108: 기본틀
111, 113: 외부띠머리덮개
122: 상부띠댕기
133: 보조선녀댕기머리
138: 메인선녀댕기머리
147; 횡비녀

Claims (3)

  1. 상하부가 개구된 통 형태의 1단기본틀과,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라운드진 삿갓 형태의 2단기본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2단기본틀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1단기본틀을 상기 2단기본틀에 결합하여 기본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본틀 외부면에 인모나 가모를 이용 외부띠머리덮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2단기본틀의 내부면과 상기 관통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1단기본틀의 내부면에 인모나 가모를 이용 외부띠머리덮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1단기본틀의 내부면에 데코천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1단기본틀의 상부 개구부에 십자형태의 교차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상부띠댕기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1단기본틀의 상부 개구부 후방측으로 보조선녀댕기머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1단기본틀의 후방측 양측 대칭으로 한 쌍의 메인선녀댕기머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틀 전방측 상부에 상부중앙비녀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중앙비녀는 전방 하측에 가열 시 용융되는 본딩재가 적용되고, 상기 기본틀 관통부 내측에 상기 본딩재를 이용 열적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틀 상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복수 개의 횡비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틀 외부면에 상기 외부띠머리덮개는 본딩재를 이용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KR1020220148840A 2022-11-09 2022-11-09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KR10250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840A KR102500538B1 (ko) 2022-11-09 2022-11-09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840A KR102500538B1 (ko) 2022-11-09 2022-11-09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538B1 true KR102500538B1 (ko) 2023-02-16

Family

ID=8532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840A KR102500538B1 (ko) 2022-11-09 2022-11-09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556A (ko) * 2010-09-15 2012-03-23 박예란 가체머리
KR102144085B1 (ko) 2019-09-19 2020-08-12 변옥자 전통가체 대수머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556A (ko) * 2010-09-15 2012-03-23 박예란 가체머리
KR102144085B1 (ko) 2019-09-19 2020-08-12 변옥자 전통가체 대수머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4059A (en) Hair styling implement and method
US6047708A (en) Kit and process for creating a hair bun
KR101156773B1 (ko) 손수하기 식의 제거가능하고 재사용가능한 두발 연장물
US5388598A (en) Hair restraint
CN100518560C (zh) 利用使用者自身头发的假发套及制作该假发套的方法
CN101098638B (zh) 头发延伸装置
US20070221240A1 (en) Multi-user adjust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080257369A1 (en) Removable and Resuable Hair Extension
US20200196730A1 (en) Headband and/or hair accessory for restraining, controlling and drying user's wet hair
US20150034112A1 (en) Shera - The Interchangeable Wig
KR101966834B1 (ko) 붙임 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144085B1 (ko) 전통가체 대수머리의 제조방법
KR102500538B1 (ko)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US20070221239A1 (en) Multi-style, reconfigur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US20190261714A1 (en) Fit cap
KR100689627B1 (ko)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
US20060141900A1 (en) Weavee doll
KR102500537B1 (ko) 대수머리 제조방법
US20180116323A1 (en) Method of styling hair using an ornamental hair device
CA2130393C (en) Hair styling implement and method
US20070227549A1 (en) Reconfigurable fastener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JP5379319B1 (ja) 造花及びその造花が含まれている造花装飾体
KR101191508B1 (ko) 헤어장신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