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627B1 -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 - Google Patents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627B1
KR100689627B1 KR1020050126577A KR20050126577A KR100689627B1 KR 100689627 B1 KR100689627 B1 KR 100689627B1 KR 1020050126577 A KR1020050126577 A KR 1020050126577A KR 20050126577 A KR20050126577 A KR 20050126577A KR 100689627 B1 KR100689627 B1 KR 100689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ig
bone
r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병환
Original Assignee
위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병환 filed Critical 위병환
Priority to KR102005012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5/00Making 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by inserting loops into a base material
    • D05C15/02Rooting of hair in doll heads 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발의 제조방법과 그 가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머리카락을 꼬아 골조사에 체결하는 방식이 아닌 골조사를 꼬아 머리카락과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여 머리카락이 골조사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며, 별도의 커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바람이 잘 통하게 하는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조사를 꼬아 머리카락을 체결하는 방식을 취하기에 머리카락이 골조사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차단한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골조사의 외주면을 타고 머리카락이 이동할 여지가 없어서, 별도의 커버에 골조사를 몰딩할 필요가 없어, 제조방법이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머리카락이 결합된 골조사를, 머리카락이 빠진 부분에 머리카락과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기에 보다 자연스러운 머리를 표현할 수가 있으며, 그에 따라 가발과 두피와의 사이에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여 땀이 찰 우려도 없고, 피부병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골조사, 고리, 자유단, 머리카락, 코, 커버 등

Description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The wig and product method of a wig}
도 1은 종래의 골조사에 머리카락이 꼬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골조사가 커버에 몰딩되어 심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가발을 제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가발을 제작하는 단계를 도 3과는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도 3과 도 4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가발을 사람의 머리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골조사 11; 고리
12; 자유단 13; 코
20; 머리카락
본 발명은 가발의 제조방법과 그 가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머리카락을 꼬아 골조사에 체결하는 방식이 아닌 골조사를 꼬아 머리카락과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여 머리카락이 골조사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며, 별도의 커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바람이 잘 통하게 하는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이란 자신의 치장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그럼 본 발명의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러한 가발의 일반적인 특징과 그 근원을 살펴본다.
먼저 서양의 가발의 역사부터 살펴보면, 서양에서는 분장용이나 장식품으로, 또는 위엄을 나타내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가발은 BC 30세기경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장식과 동시에 머리를 햇빛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재료로서 가장 질이 좋은 것으로는 머리털을 사용하였으며 양모(羊毛)나 종려(棕櫚)잎의 섬유 등을 대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색깔은 검정색을 가장 많이 썼고, BC 12세기경에 와서는 빨강·파랑·초록 등 여러 가지 색깔이 나왔다.
고대 이집트의 가발은 대개 밀랍 등으로 굳힌 컬(curl)과 변발로 만들어 낸 것이 많았고, 남녀가 함께 사용하였으며, 남성은 자기 머리를 깎고 사용하였으며 여성은 자기 머리 위에 가발을 썼다.
또한 고대 로마에서 남성은 변장과 대머리를 감추기 위하여 가발을 쓰는 정도였고, 여성의 경우에는 머리모양과 색이 다양화되면서 가발이 이용되었다.
그리고 13세기에는 일반화하여, 변발이나 아이론으로 머리를 곱슬곱슬하게 하거나 웨이브를 한 것이 유행하였으나, 그 후에는 16세기경부터 부분 가발을 위주 로 하여 유행되기 시작하여, 17세기 초에는 프랑스 궁전에서도 가발이 유행되었고, 17세기 후반에는 전유럽에 보급되었다.
이때의 재료는 말이나 양의 털을 사용했으며, 여성의 경우는 주로 부분가발이나 붙임털을 썼으나, 남성의 경우는 가발이 대유행하였고 부채와 같이 끝이 넓어진 가발(full bottomed wig)이 대표적인 것이었다.
18세기에는 주머니가발·결발(結髮)·피그테일(pigtail) 등 새로운 양식이 생기고, 17세기에 시작되었던 회색·블론드색 등의 가루를 뿌리는 것도 더욱 유행되었다.
19세기 후반에도 프랑스에서는 여성의 가발이 대유행이었고, 제2차세계대전 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인모(人毛)나 화학섬유의 가발, 또 헤어 피스(hair piece)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반하여 우리 나라(대한민국)의 가발의 발전형태를 살펴보면, 머리숱이 적은 여인들이 다리(머리숱을 많아 보이게 하려고 덧넣는 딴머리)를 달아 쪽을 찐 것이 가발의 시초이며 《삼국사기》에서 머리에 관련된 기사를 볼 수 있다.
신라 성덕왕 때 당(唐)나라에 사신을 보내는 편에 다리를 예물로 가져 가게 한 기록이 있고, 경문왕 때도 당나라에 가는 사신이 다리를 가지고 갔다는 기록이 있다.
또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 볼 수 있는 여인도(女人圖)의 머리 모양은 그것이 다리를 이용한 얹은머리라고 고증되고 있다.
조선시대 정조(正祖) 때에는 머리 모양을 크게 꾸미는 것이 유행하여, 다리값이 금값처럼 비싸져서, 다리를 사용하는 것을 국법으로 제한하였다고 한다.
현대의 가발의 사용은 개화기 이후 서양식 연극과 무용·오페라 등에서 극중 인물의 분장을 위해 시작되었는데, 그 뒤 숱이 적거나 대머리인 남자들이나 일부 여성들 사이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가발이 보편화된 것은 1960년대 이후의 일로, 당시 전세계적인 가발을 이용한 머리 모양의 유행과 더불어 패션상품으로 가발이 등장하여 197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가발은 1960년대까지는 인모(人毛)로만 만들어졌으나, 그 뒤 합성섬유가 개발되어 관리와 손질이 편한 아크릴제 섬유가 이용되었다.
이렇게 오랜 전통을 가진 가발은 현재 머리가 부분적으로 없는 대머리를 가진 이들이 그 부끄러움을 가리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가발의 제조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가발이란 도 1에서 보이듯, 골조사를 두고, 그 골조사의 외주면에 머리카락을 묶어 사용한다.
이때 상기 머리카락은 인모를 사용하거나 인조의 머리카락을 사용하는데, 중요한 점은 머리카락을 상기 골조사의 외주면에 묶어 체결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조가발은 도시된 도 1에서처럼, 그 단면이 원형인 골조사(1)의 외주면에 머리카락(2)이 묶인 상태이기에 상기 골조사(1)의 외주면을 타고 이리 저리 이동한 소지가 많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가발에는 커버(3)를 형성하여 그 커버(3)에 상기 머리카락(2)이 묶인 골조사(1)를 몰딩시키는 것이다.
즉, 우선 부분 가발의 경우, 머리카락(2)이 심어져야 할 부분의 머리 골격의 본을 뜬다.
그리고 그 머리의 골격과 외형상이 동일한 형태가 갖추어진 도 2에서 보이는 커버(3)를 제작하고, 이 커버(3)의 상면에 선 제작된 머리카락(2)을 몰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3)에 몰딩된 골조사(1)에 묶어놓은 머리카락(2)은 이동을 하지 않고 그 위치를 고수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발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머리카락(2)이 커버(3)에 몰딩되어 이동하는 현상은 막았지만, 커버(3)가 머리에 씌워진 상태에서는 통풍이 되지 않아, 커버(3)와 머리부분과의 면접부위에서 많은 땀이 차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땀은 간지러움을 유발시키고, 많은 피부병과 비듬을 양산하고 있다.
따라서 가발을 사용하는 자들에게는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가발의 제조방법과 그 가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머리카락을 꼬아 골조사에 체결하는 방식이 아닌 골조사를 꼬아 머리카락과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여 머리카락이 골조사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며, 별도의 커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바람이 잘 통하게 하는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골조사의 일측을 고정하고, 꼬아서 그 끝단에 고리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사의 타측인 자유단을 잡고 상기 고리의 내부로 집어넣는 단계와; 상기 고리로 집어 넣어진 골조사를 타측으로 빼내어 코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골조사의 코에 머리카락을 집어넣는 단계와; 상기 골조사의 자유단부를 잡아당겨 상기 코고리가 머리카락을 견고하게 묶을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통해 골조사에 다수의 머리카락을 묶어 가발을 형성시키는 가발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머리카락을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인조 머리카락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된 제조방법들을 통해 제조된 그 가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발의 제조방법과 그 가발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가발의 제조시 머리카락을 묶어 골조사에 체결하는 방식이 아니고, 골조사를 꼬아 머리카락을 묶어주는 방식을 취했다는 점과, 그에 따라 골조사의 외주면을 타고 머리카락이 이동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그에 따라 별도의 커버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는 점 및 통풍이 잘되어 가발의 착용시 발생되어온 간지러움과 땀이 차는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제1단계: 골조사(10)의 일측을 고정하고, 꼬아서 그 끝단에 고리(11)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도 3의 첫번째 도면에서처럼, 긴 형태의 골조사(10)를 준비하되, 그 골조사(10)의 지름은 심어질 머리카락(20)의 지름과 유사하거나 더욱 작은 형태의 것으로 준비를 한다.
그리고 그 골조사(10)의 일측은 고정시키고 타측은 자유단(12)으로 형성시켜 적당한 부위를 꼬아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골조사(10)의 상부로 도시된 것처럼 고리부(11)가 형성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단계: 상기 골조사(10)의 타측인 자유단(12)을 잡고 상기 고리(11)의 내부로 집어 넣는 단계를 거친다.
즉, 상기 골조사(10)가 꼬여서 그 고리(11)를 형성하고 있다면, 도시된 도면에서 좌측인 자유단(12)부를 코바늘로 잡고 상기 고리(11)의 내부로 넣어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자유단(12)부를 상기 고리(11)의 상부에서 하부로 집어 넣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만일 상기 고리(11)의 하부에서 상부로 빼주는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아무튼 본 발명의 제2단계에서는 상기 고리(11)의 내부에 상기 자유단(12)부를 넣어 주는 과정이 중심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단계: 상기 고리(11)로 집어 넣어진 골조사(10)를 타측으로 빼내어 코(13)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즉, 상기 고리(11)로 자유단(12)부를 집어 넣게 되면 상기 골조사(10)의 자유단(12)부도 겹쳐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리(11)의 외부로 빠져나온 골조사(10)도 역시 고리형태의 코(13)를 형성하게 된다.
이 코(13)가 본 발명에서는 아주 중요한 요부가 된다.
또한 다음으로 제4단계: 상기 골조사(10)의 코(13)에 머리카락(20)을 집어넣는 단계를 거친다.
즉, 상기 골조사(10)의 자유단(12)부를 이용하여 코(13)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코(13)에 머리카락을 집어 넣게 되는데, 이때 상기 머리카락(20)은 한번 접어 하나의 머리카락(20)이 가발에서는 2가닥의 머리카락(20)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도시된 도 2에서는 상기 코(13)에 집어 넣어진 머리카락(20)을 1바퀴 돌려 꼬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머리카락(20)을 집어넣은 상태와 도시된 도 2처럼 머리카락(20)을 돌려 꼬은 상태로 집어넣은 상태도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제5단계: 상기 골조사(10)의 자유단(12)부를 잡아당겨 상기 코고리(40)가 머리카락(20)을 견고하게 묶을 수 있게 하는 단계를 거치며 완성된다.
즉, 상기 코(13)에 끼워진 머리카락(20)을 상기 골조사(10)를 통해 결합시키 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유단(12)을 잡고 당겨주게 되면, 상기 골조사(10)는 꼬이게 되고, 상기 코고리(40)에 넣어진 머리카락(20)을 잡아 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골조사(10)는 머리카락(20)을 묵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에 종래의 가발에서 발생된 문제점인 머리카락(20)이 골조사(10)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물론 이러한 과정 즉, 골조사(10)를 통해 머리카락(20)을 묶는 과정을 계속해서 수행하여 골조사(1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머리카락(20)이 묶이게 되면 가발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면 도시된 도 5에서처럼, 가발을 착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두피에 가져간 상태에서 머리카락(20)이 없는 속이 빈 곳에 위치시키고, 그 외부로 존재하는 머리카락(20)에 상기 골조사(10)를 묶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머리카락(20)이 심어진 다수의 골조사(10)를 준비하여 좌로방향으로, 세로방향으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묶어주게 되면 본 발명의 가발을 머리에 착용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커버(3)가 필요치 않으며, 직접 머리카락(20)을 두피에 심는 결과를 가져와 종래 두피와 커버(3)의 면접부위에서 발생되는 땀이 없게 된다.
즉, 두피와 커버(3) 간에 공기의 통풍이 원활하여 두피가 머리에 난 것처럼 편안하고 간편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의 상기 제1단계에서는, 꼬아 고리(11)를 형성시킬 때 1번 내지 3번 골조사(10)를 꼬아 고리(11)를 형성시키는 것이 활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상기 골조사(10)를 꼬아 고리를 형성하되, 1번을 꼬는 상태로 고리(11)를 제작할 수도 있고, 도 4에서처럼 2번을 꼬아 고리(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3번을 꼬은 상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꼬는 과정은 상기 골조사(10)가 꼬아져 상기 머리카락(20)을 묶을 때 보다 견고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3번 이상의 꼬는 과정은 그 제작의 과정을 번거롭게 할 소지가 많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4단계에서는 상기 코(13)에 집어 넣어진 머리카락(20)을 1번 내지 3번 감은 후 코(13)에 묶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머리카락(20)을 상기 코(13)에 집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자유단(12)부를 잡아당겨 코(13)에 묶이게 하는 실시예로 체결할 수 있으며,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상기 머리카락(20)을 한 바퀴 돌려놓은 상태에서 자유단(12)부를 잡아당겨 묶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상기 머리카락(20)을 두 바퀴 돌려놓은 상태에서 자유단(12)부를 잡아당겨 묶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머리카락(20)을 세 바퀴 돌려 골조사(10)에 결합시키는 방식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머리카락(20)을 돌리는 횟수를 높이면 높일수록 더욱 확실한 체결을 유지할 수는 있지만, 그 횟수가 너무 많으면 제조공정이 까다롭고, 그에 따라 제작되는 생산량이 줄어들 소지가 많기에 적당한 횟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4단계에서 사용되는 머리카락(20)을,
사람의 머리카락(20)인 인모나 인조 머리카락이 모두 사용되어 가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발에 있어서, 상기 전술된 모든 제조방법들을 통해 제조된 그 가발도 본 발명의 청구대상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은 골조사를 꼬아 머리카락을 체결하는 방식을 취하기에 머리카락이 골조사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차단한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골조사의 외주면을 타고 머리카락이 이동할 여지가 없어서, 별도의 커버에 골조사를 몰딩할 필요가 없어, 제조방법이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머리카락이 결합된 골조사를, 머리카락이 빠진 부분에 머리카락과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기에 보다 자연스러운 머리를 표현할 수가 있으며, 그에 따라 가발과 두피와의 사이에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여 땀이 찰 우려도 없고, 피부병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Claims (5)

  1. 가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 골조사(10)의 일측을 고정하고, 꼬아서 그 끝단에 고리(11)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제2단계: 상기 골조사(10)의 타측인 자유단(12)을 잡고 상기 고리(11)의 내부로 집어 넣는 단계와;
    제3단계: 상기 고리(11)로 집어 넣어진 골조사(10)를 타측으로 빼내어 코(13)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제4단계: 상기 골조사(10)의 코(13)에 머리카락(20)을 집어넣는 단계와;
    제5단계: 상기 골조사(10)의 자유단(12)부를 잡아당겨 상기 코고리(40)가 머리카락(20)을 견고하게 묶을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통해 골조사(10)에 다수의 머리카락(20)을 묶어 가발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는,
    꼬아 고리(11)를 형성시킬 때 1번 내지 3번 골조사(10)를 꼬아 고리(11)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 있어서,
    상기 코(13)에 집어 넣어진 머리카락(20)을 1번 내지 3번 감은 후 코(13)에 묶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 있어서,
    사용되는 머리카락(20)은,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인조 머리카락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제조방법.
  5. 가발에 있어서,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의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제작된 가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KR1020050126577A 2005-12-21 2005-12-21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 KR100689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77A KR100689627B1 (ko) 2005-12-21 2005-12-21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77A KR100689627B1 (ko) 2005-12-21 2005-12-21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627B1 true KR100689627B1 (ko) 2007-03-08

Family

ID=3810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577A KR100689627B1 (ko) 2005-12-21 2005-12-21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6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384B1 (ko) * 2009-10-15 2012-03-23 고한수 가발 제조방법
KR101203758B1 (ko) 2009-10-16 2012-11-21 (주)하이모 골조사 원사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및 상기 가발 제조방법 의해 제조된 가발
KR20160082298A (ko) 2014-12-30 2016-07-08 (주)이지쓰위그 8부/9부 가발 및 그 제조방법
KR102222428B1 (ko) 2019-10-31 2021-03-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 기반 난연성 흑색 가발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384B1 (ko) * 2009-10-15 2012-03-23 고한수 가발 제조방법
KR101203758B1 (ko) 2009-10-16 2012-11-21 (주)하이모 골조사 원사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및 상기 가발 제조방법 의해 제조된 가발
KR20160082298A (ko) 2014-12-30 2016-07-08 (주)이지쓰위그 8부/9부 가발 및 그 제조방법
KR102222428B1 (ko) 2019-10-31 2021-03-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 기반 난연성 흑색 가발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8190A1 (en) Ornamental hairpie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89627B1 (ko) 가발 제조방법과 그 가발
KR101533909B1 (ko) 붙임머리와 붙임머리 제조 및 시술 방법
CN105708021B (zh) 一种假发的编织工艺
KR100700320B1 (ko) 매듭을 이용한 붙힘머리 식모 방법
JP4883584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KR20150044666A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TWM623813U (zh) 人工髮束
JP2005325508A (ja) 自毛活用型かつら
KR102049017B1 (ko) 전통 머리형상 적용대상 제품의 쪽머리 형성방법
KR101173096B1 (ko) 미용용 붙임머리
KR20130001419A (ko) 부분 가발
KR102331216B1 (ko) 가발용 헤어 캡 및 이를 구비한 가발
KR101321214B1 (ko) 붙임머리 제조방법
JP4841187B2 (ja) ドレッドヘア用増毛体
KR101180368B1 (ko) 붙임머리 시술방법
KR102500538B1 (ko)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KR101151852B1 (ko) 가발 부착용 매듭 형성실, 상기 가발 부착용 매듭 형성실의 제조방법 및 상기 가발 부착용 매듭 형성실을 사용한 가발 부착방법
KR102024287B1 (ko) 실결합체를 이용한 붙임 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6443B1 (ko) 탈모 커버 피스
KR101090966B1 (ko)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US20230292868A1 (en) Wrappable dreadlock
KR102027557B1 (ko) 매듭이 형성된 열수축성 튜브 고정형 붙임 머리
US20150359281A1 (en) Weave Apparatus
KR100267076B1 (ko) 가발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