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537B1 - 대수머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수머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537B1
KR102500537B1 KR1020220139168A KR20220139168A KR102500537B1 KR 102500537 B1 KR102500537 B1 KR 102500537B1 KR 1020220139168 A KR1020220139168 A KR 1020220139168A KR 20220139168 A KR20220139168 A KR 20220139168A KR 102500537 B1 KR102500537 B1 KR 102500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hair
manufacturing
gach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주 filed Critical 이영주
Priority to KR102022013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93Hair accessories connected to a head covering, e.g. scar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로 이루어지는 기본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본틀의 상측에 인모 또는 가모를 이용하여 상부가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를 횡방향으로 둘러 감싸는 상부댕기띠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의 하측으로 하부가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와 하부가체의 접한 부위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하부댕기띠를 형성하는 단계; 및 후방측으로 상기 하부가체와 상부가체를 연결하는 형태로 하부댕기머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수머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수머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traditional faux hair big head}
본 발명은 대수머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과정으로 제조가 이루어지며 각 구성들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통 형태를 복원한 대수머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수는 조선시대 왕비가 대례복에 하던 삼각형의 머리모양이다.
대수는 머리를 덮는 가발처럼 형태를 만들어 머리에 쓰도록 한 것으로, 위가 높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넓게 퍼지는 삼각형 모양이다.
어깨까지 펼쳐진 머리의 양쪽 끝에는 봉황비녀를 꽂아 좌우로 팽팽하게 뻗치도록 하였고, 뒤쪽으로는 머리카락을 비녀에 말아 꺾어 올려 뒤통수에 연결하였다. 정수리에는 머리를 크게 꾸미기 위해 덧넣어 사용하는 땋은 머리인 위체圍를 올렸다. 위체 아래쪽은 옥판 형태가 연이어 달린마리삭금댕기로 둘러 감싸고 금댕기 뒤쪽에는 여덟 가닥으로 만든 댕기를 드리웠다. 이마 쪽 중앙에 진주동곳과 용비녀를 꽂고 나비떨잠, 둥근떨잠과 각종 비녀로 체발을 고정시켰으며, 가장 위쪽 중앙에는 큰 옥판 형태의 장잠長簪을 꽂아 머리장식을 완성하였다. 대수를 만드는 데는 많은 양의 체발이 필요하였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보면 체발을 공납하는 지역은 함경도와제주도였으며, 지역별로 준비할 수량이 지정되어 있었다.
가례에 사용된 체발의 수는 인조장렬후 가례(1638년) 때 68단 다섯 개, 숙종인현후 가례(1681년) 때 48단 다섯 개였다가 영조英祖 대를 기준으로 10단 규모로 감소되었다.
현존하는 유물로 유일하게 1922년 영친왕비(英親王妃)가 순종을 배알할 때 착용하였던 대수가 있다.
영친왕비 대수의가체는 흑각잠(黑角簪)으로 임시 고정되어 있으며, 흰색·홍색 종이에 '원잠(圓簪), 큰민잠(大金簪), 소민잠(小金簪), 소용잠(小龍簪), 후봉잠(後鳳簪), 마리삭 금당기'와 같은 수식품들의 이름을 써서 해당 위치에 꽂아 두었다. 그리고, 대수와 함께 보존된장신구를 살펴보면, 비녀로는 진주장잠, 용잠, 후봉잠, 대봉잠, 매죽잠, 매죽초롱잠, 진주죽잠, 백옥영락초롱잠, 가란잠, 백옥호도잠, 비취매조초롱잠, 진주매죽잠, 산호매화잠, 모란문오두잠, 비취민잠, 오두잠이가 있고 꽂이는 봉황꽂이, 산호꽂이가 있다.
그 외 진주동곳과 백옥떨잠, 백옥나비떨잠, 그리고 백옥판이 부착된 마리삭금댕기(대요)가 있다. 이들 장식물은 색지色紙와 보자기로 감싸 화려한 직물로 장식된 장신구 상자에 보관하였다.
순정효황후, 영친왕비, 의친왕비, 이건 부인 마츠다이라 요시코의 사진에서 대수 착용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이러한 대수머리를 발굴하고 개발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 제조되는 대수머리는 제조방법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아 제작자의 기술 및 경험에 의해 각기 다른 과정과 재료로 제작되었으며, 이에 따라 전통방식에 충실하면서도 효율적이고 내구성을 가지는 대수머리 개발방법이 필요하였다.
등록특허 제10-214408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통적인 대수머리에 가까우면서 효율적 제조가 이루어지되 제조가 완료된 대수머리가 내구성을 갖추도록 하는 대수머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나무로 이루어지는 기본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본틀의 상측에 인모 또는 가모를 이용하여 상부가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를 횡방향으로 둘러 감싸는 상부댕기띠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의 하측으로 하부가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와 하부가체의 접한 부위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하부댕기띠를 형성하는 단계; 및 후방측으로 상기 하부가체와 상부가체를 연결하는 형태로 하부댕기머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수머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댕기머리는 상기 하부가체의 하단부가 말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가체를 횡방향으로 둘러 감싸는 상부댕기띠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복수 개의 비녀를 설치한 후, 상기 상부가체의 하측으로 하부가체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 제조방법에 의하면, 대수머리를 제조하는 전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식물을 제조과정중에 미리 설치하여 후속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인모 또는 가모를 말아 감싸는 방식으로 하부댕기머리를 고정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대수머리 형태 유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내구성 증대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 제조방법에 따라 대수머리가 제작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대수머리의 후방측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대수머리의 전방측 사진;
도 15는 대수머리의 전방 양측부 하부가체를 이루는 가모 또는 인모에 탄성스트링이 적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6은 상기 도 15에 도시된 탄성스트링을 구비한 가모 또는 인모가 적용된 하부가체를 이용한 대수머리의 전방측 사진; 및
도 17은 다른 형태의 대수머리 기초 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 제조방법의 요부 순서도이며,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가 제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 제조방법은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대수머리의 기초 뼈대를 이루는 기본틀(110)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틀(110)은 가벼우면서 통기성이 뛰어나고 항균/탈취 성능을 가지는 대나무가 직조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본틀(1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대수머리의 사용자 머리가 내부에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가 소정 캡 형태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기본틀(110)은 교차되는 직조부위에 소정 틈이 형성된 상태로 직조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상부가체나 하부가체 일부가 억지끼움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본틀(110)은 내측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는 스탠드(1)에 가고정된 상태로 얹혀짐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대수머리 제작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하에서는 상기 스탠드 구조는 생략하여 도시 및 설명한다.
다음으로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기본틀(110)의 상측에 인모 또는 가모를 이용하여 상부가체(12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먼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가체(120)는 인모나 가모로 이루어진 모다발을 열십자로 배치시킨 후 모다발이 교차된 중앙부를 기본틀(110)에 본딩재 등을 이용 결합시킨 후에 모다발을 풀어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기본틀(110)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어 감싸는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필요 시 소정 본딩재(126)를 인모나 가모 일부 또는 일정 위치에 적용하여 기본틀(110)에 상부가체(120)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펼쳐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댕기띠(122)를 상부가체(120) 대략 중앙부를 수평으로 둘러 감싸는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댕기띠(122)는 인모나 가모를 길이방향으로 꼬아서 댕기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며, 상기 상부댕기띠(122)는 상기 상부가체(120) 상부 기 설정 위치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댕기띠(122)는 상부가체(120)에 본딩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며, 비녀(124)와 같은 별도의 장식물을 이용 상부가체(120)는 물론 기본틀(110)에 동시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댕기띠(122)의 결합 시 상기 비녀(124) 복수 개를 상기 상부가체(120)에 끼움결합이나 본딩재 등을 이용 결합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비녀(124)는 상당한 크기와 무게를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미리 기 설정 개수의 비녀를 상부가체(120)에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대수머리 전체적으로 무게를 균등하게 기배분하여 놓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당한 중량을 지니는 비녀를 이용 전체적으로 무게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최종 완성된 대수머리의 무게 배치 전체적으로 평형을 이루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비녀(124) 설치와 더불어 소정 동물 등의 형태를 이루는 장식물(128)을 상부가체(120)에 필요 위치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장식물(128)은 상부가체(120)에 꽂아지는 핀부가 적용되되 상기 핀부 단부에 실리콘과 같은 열에 의하여 용융되는 가열본딩재(188)가 적용되도록 하여 장식물(128)을 꽂은 후 드라이기 등을 이용 가열시키어 가열본딩재(188)가 용융되었다가 응고되면서 상부가체(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본딩재(188)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는 검은색이나 짙은색으로 변색되는 시온안료가 적용되어 가열본딩재(188)의 용융 정도나 적절 온도인지를 파악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가체(120) 하측으로 하부가체(130)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하부가체(130)는 상기 상부가체(120) 둘레를 덮어 감싸는 결합띠(132)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띠(132) 하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인모 또는 가모가 촘촘하게 배치된 형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결합띠(132)를 상기 상부가체(120)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후방측으로부터 본딩재 등을 이용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띠(132)도 인모나 가모를 이용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천재질로 이루어진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체(130)는 상기 상부가체(120)의 후방측과 측부를 덮어 감싸되 대수머리를 전방에서 볼 때 정면측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길이로 제작된다.
다음으로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가체(120)와 하부가체(130) 결합부위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하부댕기띠(138)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하부댕기띠(138)는 전술한 상부댕기띠(122)와 같이 댕기머리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가체(120)와 하부가체(130) 사이에 결합되며 양부재의 결합을 위하여 별도의 결합핀이나 본딩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후방댕기머리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Ω" 형태로 이루어지는 후방댕기머리(140)를 상기 상부가체(120)와 하부가체(130)를 연결하는 형태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댕기머리(1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하부가체(130)의 인모나 가모 하단부 일정 영역이 각각 상기 후방댕기머리(140)를 말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후방댕기머리(140)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하부가체(130)가 후방댕기머리(140)를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투명한 본딩재가 추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댕기머리(140)의 하측으로는 도시된 것처럼, 보조댕기머리(190)가 매달린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보조댕기머리(190)는 본딩재나 매듭 또는 인모나 가모를 이용 후방댕기머리(140)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댕기머리(140)의 상부는 상기 상부가체(120)에 매듭 등을 이용 보조적으로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별도의 장식물을 대수머리의 다양한 위치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에 적용되는 장식물로는 장잠, 소민잠, 소룡잠, 원잠, 후봉잠, 진주잠, 대금잠, 큰민잠, 옥선봉잠, 선봉잠, 마리삭 금당기, 댕기 등이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대수머리를 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최종 완성된 대수머리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수머리 제조방법에 의하면, 대수머리를 제조하는 전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식물을 제조 과정중에 미리 설치하여 후속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인모 또는 가모를 말아 감싸는 방식으로 하부댕기머리를 고정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대수머리 형태 유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내구성 증대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15는 대수머리의 전방 양측부 하부가체를 이루는 가모 또는 인모에 탄성스트링이 적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상기 도 15에 도시된 탄성스트링을 구비한 가모 또는 인모가 적용된 하부가체를 이용한 대수머리의 전방측 사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하부가체(130)의 전방측에 배치된 가모 또는 인모 복수 개는 내부에 탄성스트링(180)이 적용되되 상기 탄성스트링(180) 외측을 가모나 인모가 말아 감싸어 덮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스트링(180)은 얇은 철사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검정색으로 코팅된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모와 인모(130)가 상기 탄성스트링(180)을 감싼 후에는 가열하여 가모나 인모가 탄성스트링(180)과 일체화된 형태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열적 가공 이외에 본딩재를 적용하여 양부재가 접착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부에 탄성스트링(180)이 적용된 경우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전방측 하부가체(130)를 양측으로 소정 각도 벌려진 형태로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시야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되 전통적인 대수가모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며 효율적인 하부가체 형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무리단계로서 상기 상부가체(120)를 둘러감싸는 댕기머리(198) 또는 장식띠를 적용한 후 중앙부측에 진주잠(196)을 적용하게 된다.
도 17은 다른 형태의 대수머리 기초 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1)의 상단에 기본틀(110)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가압체(2)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가압체(2) 단부에는 안전돌기부(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틀(110) 내측에는 보조틀(114)이 내설되되 상기 기본틀(110)과 보조틀(114) 사이로 끼움재(112)가 삽입된다.
상기 끼움재(112)는 전술한 장실물 등을 기본틀(110) 내부까지 삽입 시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룬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끼움재는 통풍을 위하여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틀(114) 하부에는 결합림부(118)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림부(118)가 상기 기본틀(110) 하부 내주면에 결합되게 되되, 가열에 의하여 용융되어 결합되는 재질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기본틀
120: 상부가체
122: 상부댕기띠
124: 비녀
128: 장식물
130: 하부가체
138: 하부댕기띠
140: 하부댕기머리

Claims (3)

  1. 대나무로 이루어지는 기본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본틀의 상측에 인모 또는 가모를 이용하여 상부가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를 횡방향으로 둘러 감싸는 상부댕기띠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에 장식물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의 하측으로 하부가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가체와 하부가체의 접한 부위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하부댕기띠를 형성하는 단계; 및
    후방측으로 상기 하부가체와 상부가체를 연결하는 형태로 하부댕기머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물은 상기 상부가체에 꽂아지는 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부 단부에는 열에 의하여 용융됨과 동시에 온도에 따라 색이 변색되는 시온안료가 포함된 가열본딩재가 적용되되,
    상기 장식물은 상기 가열본딩재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상기 상부가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대수머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댕기머리는 상기 하부가체의 하단부가 말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대수머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체를 횡방향으로 둘러 감싸는 상부댕기띠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복수 개의 비녀를 설치한 후, 상기 상부가체의 하측으로 하부가체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대수머리 제조방법.
KR1020220139168A 2022-10-26 2022-10-26 대수머리 제조방법 KR102500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168A KR102500537B1 (ko) 2022-10-26 2022-10-26 대수머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168A KR102500537B1 (ko) 2022-10-26 2022-10-26 대수머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537B1 true KR102500537B1 (ko) 2023-02-16

Family

ID=8532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168A KR102500537B1 (ko) 2022-10-26 2022-10-26 대수머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556A (ko) * 2010-09-15 2012-03-23 박예란 가체머리
KR101948793B1 (ko) * 2017-12-29 2019-06-03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통 가발
KR102144085B1 (ko) 2019-09-19 2020-08-12 변옥자 전통가체 대수머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556A (ko) * 2010-09-15 2012-03-23 박예란 가체머리
KR101948793B1 (ko) * 2017-12-29 2019-06-03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통 가발
KR102144085B1 (ko) 2019-09-19 2020-08-12 변옥자 전통가체 대수머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708A (en) Kit and process for creating a hair bun
US6830054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hairpiece and device resulting therefrom
US20080257369A1 (en) Removable and Resuable Hair Extension
KR101589416B1 (ko) 모발을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US20070221240A1 (en) Multi-user adjust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US11540574B2 (en) Hair extension and manufacturing and attaching method of the same
US20150034112A1 (en) Shera - The Interchangeable Wig
US20160015107A1 (en) Hair extensions and topp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90241241A1 (en) Configurable headgear
US20070199571A1 (en) Detachable hairpie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144085B1 (ko) 전통가체 대수머리의 제조방법
US20140290682A1 (en) Apparatus for adorning wearer and associated methods
KR102500537B1 (ko) 대수머리 제조방법
US20140311518A1 (en) Pony Tail Wrap
JP2020041230A (ja) まつげエクステンション用人工毛の装着方法、まつげエクステンション用のキット及びまつげエクステンション用人工毛
US10952483B2 (en) Head covering and protector with coiffured appearence
US20190261714A1 (en) Fit cap
KR102500538B1 (ko) 대수형 선녀머리 제조방법
KR102049017B1 (ko) 전통 머리형상 적용대상 제품의 쪽머리 형성방법
KR102066027B1 (ko) 속눈썹 연장 시술방법
KR20130001419A (ko) 부분 가발
US20180116323A1 (en) Method of styling hair using an ornamental hair device
KR101128096B1 (ko) 독립구조의 식모라인을 갖는 반 가발
KR200482133Y1 (ko) 인조속눈썹 패키지
JP6643021B2 (ja) かつら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