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228B1 -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228B1
KR102500228B1 KR1020220056758A KR20220056758A KR102500228B1 KR 102500228 B1 KR102500228 B1 KR 102500228B1 KR 1020220056758 A KR1020220056758 A KR 1020220056758A KR 20220056758 A KR20220056758 A KR 20220056758A KR 102500228 B1 KR102500228 B1 KR 102500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hentication
lock
termi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엽
장형철
Original Assignee
조원엽
씨소 주식회사
장형철
(주)에스오에이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엽, 씨소 주식회사, 장형철, (주)에스오에이텔레콤 filed Critical 조원엽
Priority to KR102022005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절차의 간단성 및 편리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현장 작업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은 잠금 보드에 자물쇠를 체결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작업 절차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격리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격리잠금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장치(10)와,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고, 상기 관리장치(10)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되며, 프록시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잠금장치(3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20) 및,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고, 자물쇠와 열쇠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고, 인증정보에 의해 자물쇠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잠금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관리자 및 작업자는 단말기(20)에 의해 인식되는 인증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관리장치(10)는 작업자에 대한 인증이 단말기(20)를 통해 완료된 후에 잠금장치에 대하여 인증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ISOLATION LOCKING SYSTEM USING NETWORK}
본 발명은 격리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잠금절차의 간단성 및 편리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현장 작업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격리잠금 시스템(ILS: Isolation and Locking System)이 점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격리잠금 시스템은 다중안전 시스템이나 스마트 안전 시스템으로도 지칭된다. 기계나 설비에 대한 점검, 수리, 교체 등의 관리작업 시에는 다양한 유형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관리작업 중에 설비가 불시에 기동됨으로 인하여 발생된다. 따라서 안전사고의 확실한 방지를 위해서는 작업 중에는 기계나 설비를 에너지원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계나 설비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작업 현장이 넓고 관리작업에 많은 작업자가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작업자의 각각의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담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격리잠금 시스템은 기계나 설비에 대한 관리작업 시에 작업 현장을 에너지원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격리시켜 작업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격리잠금 시스템은 그 시스템이 적용되는 작업장의 에너지원의 개수가 1개인 경우를 개별잠금 시스템, 에너지원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를 그룹잠금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도 한다.
격리잠금 시스템은 기계나 설비에 대한 관리작업이 현재 진행상태에 있는 지의 여부를 작업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그 확인 수단으로서 잠금장치, 예컨대 자물쇠를 이용한다. 도 1은 현재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격리잠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격리잠금 시스템은 그룹 잠금용 보드(GIB: Group Isolation Board)(1)와 다수의 자물쇠(2: 2-1, 2-2, …, 2-n)를 구비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GIB(1)에는 자물쇠(2)를 거치하거나 채우기 위한 걸이 또는 고리가 구비된다. 관리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작업 관리자는 기계나 설비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차단한 후 작업 현장에 작업자를 투입하게 된다. 작업자는 각각 자물쇠(2)를 휴대한다. 일부 적용 예에서 자물쇠(2)는 작업 종류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설정된다. 작업자는 작업에 투입되기에 앞서 GIB(1)에 자신의 자물쇠(2)를 걸어서 채운다. 그리고 작업이 종료된 작업자는 작업장에서 이탈한 후 GIB(1)에서 자신의 자물쇠(2)를 회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 작업이 모두 종료되면 GIB(1)에는 자물쇠(2)가 남아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작업 관리자는 GIB(1) 상의 자물쇠(2)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기계나 설비에 대해 에너지 공급을 재개하게 된다.
상기한 격리잠금 시스템은 작업과정에 따른 일체의 잠금 및 확인절차가 모두 작업자의 수작업과 인지 감각에 의존하여 실행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수가 증가되거나 다수의 작업이 병행해서 진행되는 경우 작업 절차에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오류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증가된다.
최근에 격리잠금 시스템에 IT(Information and communcation Technology)를 접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5365호(명칭: 스마트 안전 잠금 시스템)에는 작업 현장에 대한 잠금수단으로서 스마트 자물쇠와 다수의 스마트키를 적용하여 잠금절차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도모하도록 된 격리잠금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4-0028312호(명칭: 다수의 객체를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공개특허 제10-2016-0115563호(명칭: 스마트 자물쇠), 등록특허 제10-1595726호(명칭: 스마트키 시스템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 등록특허 제10-1617707호(명칭: 자물쇠 시스템의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시스템) 등에는 스마트키를 이용한 잠금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잠금절차의 단순화 및 편의성을 제고하면서도 관리작업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을 제공함에 주된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영자 및 관리자가 작업 현장에 대한 관리를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은 잠금 보드에 자물쇠를 체결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작업 절차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격리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격리잠금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장치와,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고, 상기 관리장치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되며, 프록시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잠금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고, 자물쇠와 열쇠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고, 인증정보에 의해 자물쇠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와, 운영자를 위한 운영자 단말기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현장 작업을 위한 관리자 및 작업자 정보와 잠금장치를 위한 인증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한 작업 관리자 인증기능과 작업자에 대한 인증기능 및 잠금장치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및 해제기능을 구비하고, 관리자 및 작업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는 인증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관리장치는 작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후에 잠금장치에 대하여 제1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수단이 바코드 또는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수단이 NFC 기능이 구비된 ID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작업 관리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작업 관리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작업 관리자에 대한 작업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 정보에는 작업장의 위치정보와 작업 일자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단말기를 통한 작업자 인증 시간 및 위치가 작업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인증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잠금장치의 위치정보와 작업장의 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인증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인증정보의 송출에 앞서 단말기를 통해 이전 작업 절차에 대한 완료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촬상 정보의 업로드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인증정보의 송출 후에 단말기를 통해 잠금 보드에 대한 자물쇠의 체결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촬상 정보의 업로드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작업자에 대한 인증 절차가 단일의 단말기를 통해 실행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수효과 무관하게 작업 현장에 대한 격리 및 잠금 절차를 단일의 단말기와 잠금 장치를 통해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에 대한 정보가 관리장치에 의해 관리되고, 작업자에 대한 인증 처리는 관리장치와 단말기의 연동을 통해서 실행된다. 그리고 잠금장치에 대한 인증정보의 송출은 모든 작업자에 대한 인증 처리가 완료된 후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현장에 대한 격리 및 잠금 절차가 매우 단순화 되고, 작업자의 확인 오류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 관리자와 작업자에 대한 관리와, 이들이 수행해야할 작업에 대한 관리가 네트워크를 통해 일괄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실행되므로 전체적인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격리잠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도 1에서 잠금장치(30)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 관리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는 도 4에서 운영자 단말기(13)를 통해 제공되는 스케쥴 설정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도면.
도 6은 단말기(20)를 통해 작업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각 절차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격리잠금 시스템은 관리장치(10)와 단말기(20) 및 잠금장치(30)를 구비한다. 그리고 관리장치(10)와 단말기(20)는 예컨대 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결합되고, 단말기(20)와 잠금장치(30)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결합된다.
도 3은 상기 잠금장치(30)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잠금장치(30)는 주지된 것이다. 잠금장치(30)는 자물쇠(31)와 열쇠부(32)를 구비한다. 자물쇠(31)는 몸체(311)를 구비하고, 몸체(31)에는 자물쇠 고리(312)와 열쇠구멍(313)이 구비된다. 열쇠구멍(313)은 자물쇠(31)에 열쇠부(32)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잠금장치(30)는 예컨대 불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기능과, 그러한 통신을 위한 페어링 또는 페어링 해제 프로세스 기능,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기능, 잠금장치(30)의 사용에 따른 이력 정보의 저장 및 공유 기능을 구비한다. 잠금장치(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정보를 제공한 상태에서 열쇠부(32)를 이용하여 자물쇠(31)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다.
단말기(20)는 잠금장치(30)와 함께 작업 관리자에게 제공된다. 단말기(30)로서는 스마트 폰,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무선 인터넷과 블루투스 등의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단말기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20)로서 스마트 폰을 채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말기(20)에는 프록시(proxy)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단말기(20), 즉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관리장치(10)와 연동하여 작업 관리자에 대한 인증기능과, 작업 관리자에 대한 작업 정보 제공기능, 작업자 정보 제공 및 인증기능, 잠금장치(30)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및 해제기능을 구비하고, 이들 기능의 적절한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 터치패널을 통해 선택 가능한 메뉴화면을 포함한다.
관리장치(1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 및 관리한다. 도 4는 관리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관리장치(10)는 관리서버(11)와 데이터베이스(12) 및 운영자 단말기(13)를 구비한다. 이들은 LAN(Local Area Network)(14)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관리장치(10)에는 허브 및/또는 라우터가 구비되거나, 이들 장치와 결합된다. 관리서버(11)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 및 관리한다. 관리서버(11)에는 전체 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구비된다. 관리 프로그램은 작업자 및 작업 관리자에 대한 정보 관리, 격리잠금이 요구되는 작업 정보 관리, 잠금장치(30)와 관련된 정보 관리, 격리잠금 작업 관리, 격리잠금 작업에 대한 이력 및 통계 정보 관리 및 운영자를 위한 UI 제공기능 등을 수행한다. 관리서버(11)에 의한 관리 및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2)는 관리서버(11)의 관리 및 제어동작에 수반되는 각종 데이터와 격리잠금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운영자 단말기(13)는 시스템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운영자를 위한 것이다. 운영자 단말기(13)는 관리서버(11)와 연동하여 운영자를 위한 각종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운영자는 격리잠금 작업에 투입되는 작업 관리자와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이들에 대한 등록처리를 실행한다. 작업 관리자와 작업자의 정보에는 이름과 소속 등의 인적사항 정보와 더불어 해당 작업자의 인증에 필요한 인증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인증정보로서는 지문 등의 생체인식정보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작업자에 대한 등록처리는 격리잠금 작업을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격리잠금 작업의 등록 및 관리는 스케쥴 설정화면을 통해 실행한다. 도 5는 스케쥴 설정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스케쥴 설정화면에는 사용자, 즉 작업 관리자를 등록하기 위한 작업 관리자 등록 메뉴(51)와, 해당 작업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작업정보 등록 메뉴(52),작업정보 등록 메뉴(52)를 통해 등록이 완료된 작업을 활성화 하기 위한 스케쥴 적용 메뉴(52) 및 작업에 투입된 잠금장치(30)의 로그 정보 등을 조회하기 위한 로그 읽기 메뉴(54)가 포함된다. 상기 작업정보 등록 메뉴(52)의 선택을 통해 운영자가 등록하게 되는 작업정보에는 작업장의 위치 등을 포함하는 작업장 정보와, 작업내용, 작업에 투입될 작업자 정보, 작업일자 및 시간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도 5에서 키 ID는 작업에 투입된 잠금장치(30)가 관리장치(10)와 연결되면 자동으로 등록 및 표시되고, 그 연결 상태에서 운영자는 로그 읽기 메뉴(54)를 통해 잠금장치(30)의 로그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된다.
기계나 설비에 대한 관리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작업 관리자는 단말기(20)와 잠금장치(30)를 휴대하여 작업장에 가게 된다. 이때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게 되는 단말기(20)와 잠금장치(30)는 특정되지 않는다. 작업 관리자는 다수의 단말기(20)와 잠금장치(30)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휴대하게 된다. 작업 관리자는 단말기(20)의 전원을 턴온하여 단말기(20)를 작동시킨 후 잠금장치(30)와 네트워크 페어링, 예컨대 블루투스 페어링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페어링은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는 관리서버(11)와 연동하여 관리작업의 격리잠금 절차를 적절하게 실행 및 관리하게 된다. 단말기(20)는 관리작업의 절차에 따라 적절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6은 단말기(20)를 통해 작업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각 절차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적으로 단말기(20)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관리자에 대한 인증처리를 요구하게 된다. 작업 관리자와 작업자에 대한 인증처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작업 관리자와 작업자는 관리작업에 참여하는 경우 자신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수단을 휴대하게 된다. 인증수단으로서는 QR 코드나 바코드가 구비되는 사원증이나, NFC(Near Field Communcation) 기능이 구비된 ID 카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바림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인증수단으로서는 NFC 기능과 더불어 지문인식기능이 구비된 ID 카드가 채용된다. 이하에서는 작업 관리자와 작업자에 대한 인증수단으로서 NFC 기능과 지문인식 기능이 구비된 ID 카드를 채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작업 관리자가 도 6a의 단말기에 대해 자신의 ID 카드를 태그하게 되면, 단말기(20)는 수신된 작업 관리자 정보를 관리서버(11)로 제공한다. 관리서버(11)는 데이터베이스(12)를 조회하여 해당 작업 관리자가 정상적인 작업 관리자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작업 관리자에게 할당된 작업 리스트 정보를 단말기(20)로 제공하게 된다. 도 6b는 단말기(20)에 표시되는 작업 리스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에서 작업 리스트 정보에는 작업 관리자의 이름(21a)과 해당 작업 관리자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 리스트(21b)가 포함된다.
작업 관리자가 도 6b의 메뉴에서 현재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 항목을 선택하면, 관리서버(11)는 선택된 관리작업의 수행 날짜와 수행 시간 등을 확인하여 해당 작업이 정상적인 작업인지를 판정하게 된다. 또한, 이때 관리서버(11)는 단말기(20)의 GPS 정보를 확인하여 작업 관리자가 정상적인 작업 현장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11)는 작업 관리자가 선택한 관리작업에 대한 작업 내용 정보를 단말기(20)로 제공하게 된다. 도 6c는 단말기(20)에 표시되는 작업 내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에서 작업 내용 정보에는 작업 장소, 작업 시간 및 작업 내용 등의 작업 관련 정보(22a)와 작업 시작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뉴(22b) 및, 해당 작업에 투입되는 작업자 리스트(22c)가 포함된다.
작업 관리자는 작업 시작 메뉴(22b)를 선택하기에 앞서 관리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기계나 설비, 즉 작업 현장을 에너지원으로부터 차단하는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관리서버(11)는 작업 관리자가 작업 시작 메뉴(22b)를 선택하게 되면 작업 현장이 에너지원으로부터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촬상 정보의 업로드를 요구할 수 있다. 작업 관리자가 작업 시작 메뉴(22)를 선택하게 되면, 관리서버(11)는 작업자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자 인증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도 6d는 단말기(20)에 표시되는 작업자 인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작업자 인증 화면에는 관리자가 인증을 실행할 작업자를 선택하기 위한 작업자 선택 메뉴(23)가 구비된다. 작업자에 대한 인증은 관리자가 작업자 선택 메뉴(23)에서 인증할 작업자를 선정하고, 해당 작업자가 자신의 ID 카드를 단말기(20)에 태그하는 절차를 통해 수행된다. 또한, 이때 관리서버(11)는 인증이 완료된 작업자에 대해서는 인증이 종료되었음을 표시함으로써 작업 관리자가 인증 해야할 작업자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관리서버(11)는 작업자에 대한 인증이 종료되면, 단말기(20)를 제어하여 잠금장치(30)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처리, 즉 단말기(20)의 프록시에 대한 잠금장치(30)의 로그인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프록시 페어링이 완료되면, 관리서버(11)는 잠금장치(11)에 대해 자물쇠(31)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인증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 관리자는 자물쇠(31)에 열쇠부(32)를 결합하고 자물쇠(31)를 GIB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11)는 잠금장치(30)로 인증정보를 송출한 후에는 단말기(20)를 통해 작업 관리자에게 잠금장치(30)의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촬상정보의 업로드를 요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관리서버(11)는 잠금장치(30)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이 완료되면, 잠금장치(30)에 대해 GPS 정보를 요구하여 해당 잠금장치(30)가 정상적인 작업 현장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인증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관리작업이 종료되면, 작업 관리자는 잠금장치(30)에 대한 해제처리을 실행하게 된다. 잠금장치(30)의 해제처리는 상술한 잠금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즉, 관리자가 도 6b의 작업 리스트 메뉴에서 해제처리를 원하는 작업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관리서버(11)는 도 6d의 작업자 인증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모든 작업자에 대한 인증처리가 종료되면, 관리서버(11)는 잠금장치(30)에 대해 인증정보를 송출함으로써 작업 관리자가 열쇠부(32)를 이용하여 GIB로부터 자물쇠(31)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서버(11)는 단말기(20)를 제어하여 잠금장치(30)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을 해제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기계나 설비에 대한 관리작업에 작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작업의 절차성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일체의 작업 현장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관리장치, 11: 관리서버,
12: 데이터베이스, 13: 운영자 단말기,
14: LAN, 20: 단말기,
30: 잠금장치, 31: 자물쇠,
32: 열쇠부, 40: 네트워크,
311: 몸체, 312: 자물쇠 고리,
313: 열쇠구멍.

Claims (10)

  1. 잠금 보드에 자물쇠를 체결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작업 절차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격리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격리잠금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장치와,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고, 상기 관리장치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되며, 프록시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잠금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고, 자물쇠와 열쇠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고, 인증정보에 의해 자물쇠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잠금장치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와, 운영자를 위한 운영자 단말기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현장 작업을 위한 관리자 및 작업자 정보와 잠금장치를 위한 인증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한 작업 관리자 인증기능과 작업자에 대한 인증기능 및 잠금장치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및 해제기능을 구비하고,
    작업 관리자 및 작업자에게 각각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는 인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장치는 작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후에 잠금장치에 대하여 제1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이 바코드 또는 QR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이 NFC 기능이 구비된 ID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작업 관리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작업 관리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작업 관리자에 대한 작업 정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정보에는 작업장의 위치정보와 작업 일자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단말기를 통한 작업자 인증 시간 및 위치가 작업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인증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잠금장치의 위치정보와 작업장의 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제1 인증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인증정보의 송출에 앞서 단말기를 통해 이전 작업 절차에 대한 완료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촬상 정보의 업로드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인증정보의 송출 후에 단말기를 통해 잠금 보드에 대한 자물쇠의 체결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촬상 정보의 업로드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KR1020220056758A 2022-05-09 2022-05-09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KR102500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758A KR102500228B1 (ko) 2022-05-09 2022-05-09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758A KR102500228B1 (ko) 2022-05-09 2022-05-09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228B1 true KR102500228B1 (ko) 2023-02-16

Family

ID=8532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758A KR102500228B1 (ko) 2022-05-09 2022-05-09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2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365B1 (ko) * 2017-07-21 2017-12-07 주식회사 알투람 스마트 안전 잠금 시스템
KR102073032B1 (ko) * 2019-05-13 2020-02-04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무인 하수 종말 처리장의 시설물 점검 시스템
KR102301478B1 (ko) * 2021-03-26 2021-09-10 이현우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KR102308222B1 (ko) * 2019-10-07 2021-09-30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비 인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365B1 (ko) * 2017-07-21 2017-12-07 주식회사 알투람 스마트 안전 잠금 시스템
KR102073032B1 (ko) * 2019-05-13 2020-02-04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무인 하수 종말 처리장의 시설물 점검 시스템
KR102308222B1 (ko) * 2019-10-07 2021-09-30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비 인증 시스템
KR102301478B1 (ko) * 2021-03-26 2021-09-10 이현우 스마트 시건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건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시건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24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access rights and verification
EP3803811B1 (en) Lockou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with multi-keyholder electronic locking devices
US7530113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a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
CN107464314A (zh) 能够实现维修的无钥匙车辆系统
CN110023223A (zh) 配置对电梯控制系统的访问权限
US200601955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equipment inspection and maintenance data
US10964141B2 (en) Internet-of-things (IoT) enabled lock with management platform processing
US20100077451A1 (en) Mobile terminal, working device, data managemen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111042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keyholder digital lockout
CN105956451A (zh) 用于塔机、施工升降机的身份识别方法及装置
CN107369234B (zh) 一种开锁方法及系统
JP4698481B2 (ja) 作業者管理方法、これに用いる情報処理装置及び作業者端末、プログラム
JP2005188199A (ja) ネットワーク鍵管理システム及び鍵管理サーバ
KR102351250B1 (ko) 건설 현장 관리 방법
KR10250022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KR20040041906A (ko) 공장자동화설비를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3966233B2 (ja) 端末利用認証システム
JP5030528B2 (ja) 運用保守管理装置
KR102232062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 설치되는 복수의 캐비닛의 도어락 잠금 제어 시스템
CN112365012A (zh) 石化工艺生产检修作业的安全管控方法及系统、存储介质
KR20230168921A (ko) 작업 관리 시스템
JP2014240587A (ja) キー提供システム
JP2017107575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866846B (zh) 数据识别方法及相关装置
WO2023166723A1 (ja) 認証システム並びに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