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222B1 - 장비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비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222B1
KR102308222B1 KR1020190124167A KR20190124167A KR102308222B1 KR 102308222 B1 KR102308222 B1 KR 102308222B1 KR 1020190124167 A KR1020190124167 A KR 1020190124167A KR 20190124167 A KR20190124167 A KR 20190124167A KR 102308222 B1 KR102308222 B1 KR 102308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recognition means
recognition
authentic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434A (ko
Inventor
도재범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2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비 인증 시스템으로서, 특정 사업장 내에 배치 및 설치되는 다수의 장비에 각각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내장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의 통신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인식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인식정보를 통해 해당 인식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판단된 유효성 여부에 따라 해당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인식수단을 통한 인식정보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장비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여 유효하게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해당 장비를 취급, 사용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인증에 대한 프로세스를 시스템화시킴으로써, 위험 작업에 대한 절차, 제도적 정립이 구현됨은 물론 장비 사용에 기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비를 이용하는 특정 작업에 대한 스케쥴 DB를 통해 1회성의 인증 만으로 연속적으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작업 스케쥴에 따른 장비의 위치 정보 및 작업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필요할 경우 추가 인증을 요구함으로써 산업안전 문화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비 인증 시스템{Equipment Authent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장비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사업장 내에 배치 설치되는 다수의 장비에 인식수단을 각각 설치하고, 인식수단을 통해 획득된 인식정보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해당 장비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여 유효하게 등록된 사용자만이 해당 장비를 취급,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험 작업에 대한 절차, 제도적 정립이 구현됨은 물론 장비 사용에 기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비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상에 설치되는 위험장비, 고가장비 등에 대해서는 기업에서 담당 직원과 책임 관리자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접근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제한은 현실적으로는 사내 복무 규정이나 관리 대장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물리적인 수단으로 보조하더라도 해당 구역에 보안 직원을 배치하거나 자물쇠를 걸어두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는 누군가 허가받지 않는 사람이 이들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관리자가 그 사실을 곧바로 알아채지 못하며 심지어 담당 직원이 면밀하게 점검하지 않는다면 영원히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위험장비, 고가장비 등에 대한 보안 관리가 불완전하였으며, 사람들이 규정대로 행동할 때에는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규정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나타나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무기력한 것이었다.
이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3743호(2015.02.16. 공고, 산업장비용 사용자 인증장치)가 있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산업장비용 사용자 인증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제한이 필요한 산업장비에 부착 또는 설치하여 지문인식을 통한 사용자의 통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지문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장치의 장치적 구성만을 기재하고 있을 뿐, 인증 신호의 전송 및 인증 신호의 유효성 판단, 장치 제어 등의 시스템 및 동작 프로세스에 대한 구성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3743호(2015.02.16. 공고, 산업장비용 사용자 인증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인식수단을 통한 인식정보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장비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여 유효하게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해당 장비를 취급, 사용하는 것을 구현한 장비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비 인증에 대한 프로세스를 시스템화시킴으로써, 위험 작업에 대한 절차, 제도적 정립이 구현됨은 물론 장비 사용에 기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건설/플랜트 등의 대형 사업장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는 장비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장비를 이용하는 특정 작업에 대한 스케쥴 DB를 통해 1회성의 인증 만으로 연속적으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스케쥴에 따른 장비의 위치 정보 및 작업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필요할 경우 추가 인증을 요구함으로써 산업안전 문화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장비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사업장 내에 배치 및 설치되는 다수의 장비에 각각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내장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의 통신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인식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인식정보를 통해 해당 인식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판단된 유효성 여부에 따라 해당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장비 인증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수단은 사용자의 지문 또는 홍체를 인식하는 생체인식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기 발급된 식별인자를 인식하는 인식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인자는 인증카드에 내장되거나 인쇄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또는 NFC칩 또는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되거나 출력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또는 NFC칩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수단은 설치된 해당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해당 장비의 전원공급부 또는 구동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해당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정보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인식수단의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인식수단이 설치된 각 장비에 대한 사용권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DB; 상기 인식수단이 설치된 각 장비에 대한 작업 스케쥴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DB;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인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판단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인식수단을 통한 인식정보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장비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여 유효하게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해당 장비를 취급, 사용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인증에 대한 프로세스를 시스템화시킴으로써, 위험 작업에 대한 절차, 제도적 정립이 구현됨은 물론 장비 사용에 기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비를 이용하는 특정 작업에 대한 스케쥴 DB를 통해 1회성의 인증 만으로 연속적으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작업 스케쥴에 따른 장비의 위치 정보 및 작업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필요할 경우 추가 인증을 요구함으로써 산업안전 문화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 인증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 인증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비 인증 시스템은, 인식수단(10) 및 관리서버(20)를 포함한다.
인식수단(10)은 특정 사업장 내에 배치 및 설치되는 다수의 장비에 각각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구성으로 장비의 사용자의 신체 또는 소유하는 인증카드를 인식하여 후술할 관리서버(20)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장비는 여러 종류의 장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에서와 같이, 건설 사업장에 배치되는 고소작업대, 그라인더, 고속절삭기, 용접기 등의 장비로서, 사용자의 숙련성이 요구되는 위험 장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숙련성이 요구되는 위험 장비에 상기 인식수단(10)을 설치하고 이를 관리서버(20)에서 인증 및 모니터링함으로써 해당 장비의 안전한 사용과 관리를 구현한다.
한편, 상기 인식수단(10)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11)는 사용자의 지문 또는 홍체를 인식하는 생체인식센서 또는 관리서버(20)로부터 기 발급된 식별인자를 인식하는 스캐너 등과 같은 인식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11)가 생체인식센서로 마련될 경우, 인식수단(10)은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한 정보(지문, 홍체 등)를 인식하여 관리서버(2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관리서버(20)는 전송된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내부의 각 장비에 대한 사용권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DB(23)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센서(11)가 인식센서로 마련될 경우, 인식수단(10)은 관리서버(20)로부터 기 발급된 식별인자를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식별인자는 인증카드에 내장되거나 인쇄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또는 NFC칩 또는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되거나 출력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또는 NFC칩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인식수단(10)은 상기 인식된 식별인자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관리서버(20)는 전송된 식별인자를 획득하여 내부의 각 장비에 대한 사용권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DB(23)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10)은 설치된 해당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상기 관리서버(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하는 구동제어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부(13)는 인식수단(10)이 설치된 장비의 시동 및 구동을 인증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면, 해당 장비의 전원공급부 또는 구동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시동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특정 장비일 경우 구동제어부(13)는 장비의 시동은 허용하지만 구동 구성(실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관리서버(20)에 의한 각 장비의 원격 제어가 구현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인식수단(10)은 상기 해당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정보감지부(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감지부(15)는 GPS모듈 등과 같이 설치 장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관리서버(2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관리서버(20)는 위치정보감지부(15)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장비의 운용 상태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게 된다.
관리서버(20)는 상기 인식수단(10)의 통신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인식수단(10)으로부터 전송된 인식정보를 통해 해당 인식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판단된 유효성 여부에 따라 해당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20)는, 상기 인식수단(10)의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21); 상기 인식수단(10)이 설치된 각 장비에 대한 사용권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DB(23); 상기 인식수단(10)이 설치된 각 장비에 대한 작업 스케쥴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DB(25); 및 상기 통신부(21)로부터 수신된 인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판단부(27);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 DB(23)는 인식수단(10)으로부터 전송된 인식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참조되며, 관리자에 의해 인증 DB(23)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장비에 대한 사용권한에 대한 관련 정보로는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자격증 정보, 경력 정보, 근무 기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쥴DB(25)는 인식수단(10)의 위치정보감지부(15)에서 전송된 장비의 운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참조되며, 상기 각 장비에 대한 작업 스케쥴에 대한 관련 정보는 해당일에 해당 장비가 운용되어야 하는 구동 예상 시간, 이동 스케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인증판단부(27)는 통신부(21)로부터 수신된 인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스케쥴DB(25)를 참조하여 해당 장비에 대한 운용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해당 장비의 연속적인 구동 허용 여부를 다시 한번 검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인증판단부(27)는 상기 인식정보를 통해 특정 장비의 활성화 여부를 1차적으로 결정하고, 이후 진행되는 장비의 운용 현황에 따라 특정 장비의 활성화 여부를 2차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지문을 통한 인증이 완료되어 고소작업대의 활성화가 1차적으로 결정된다. 이후 인증판단부(27)는 상기 위치정보감지부(15)를 통해 수신된 장비의 운용 현황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스케쥴DB(25)를 참조하여 스케쥴DB(25) 내에 허용된 작업일 경우 연속적인 활성화를 지원하며, 운용 정보가 스케쥴DB(25)의 허용 범위를 초과할 경우, 관리자 및 작업자에게 알림 및 일정 시간 이내의 장비에 대한 인식정보를 통한 재인증 또는 해당 장비의 비활성화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재인증 또는 장비의 비활성화 동작을 통해 관리서버(20)는 장비 사용자에게 작업 스케쥴에 따른 정해진 시간의 휴식을 부여하는 부가적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DB(23) 및 인증판단부(27)의 동작에 의해 해당 장비의 1차적 인증을 통해 장비 구동을 지원하며, 스케쥴DB(25) 및 인증판단부(27)의 동작에 의해 2차적 인증을 통해 장비 구동을 지원함으로써 작업 운용 관리와 1회성의 인증을 통한 특정 장비의 연속 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비 인증 시스템은, 인식수단을 통한 인식정보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장비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여 유효하게 등록된 사용자에 한하여 해당 장비를 취급, 사용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인증에 대한 프로세스를 시스템화시킴으로써, 위험 작업에 대한 절차, 제도적 정립이 구현됨은 물론 장비 사용에 기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비를 이용하는 특정 작업에 대한 스케쥴 DB를 통해 1회성의 인증 만으로 연속적으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작업 스케쥴에 따른 장비의 위치 정보 및 작업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필요할 경우 추가 인증을 요구함으로써 산업안전 문화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인식수단
11 : 센서 13 : 구동제어부
15 : 위치정보감지부
20 : 관리서버
21 : 통신부 23 : 인증DB
25 : 스케쥴DB 27 : 인증판단부

Claims (8)

  1. 특정 사업장 내에 배치 및 설치되는 다수의 장비에 각각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내장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의 통신모듈과 연동되며, 상기 인식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인식정보를 통해 해당 인식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판단된 유효성 여부에 따라 해당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인식수단은 설치된 해당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해당 장비의 전원공급부 또는 구동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장비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선택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해당 장비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정보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인식수단의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인식수단이 설치된 각 장비에 대한 사용권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DB, 상기 인식수단이 설치된 각 장비에 대한 작업 스케쥴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쥴DB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인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판단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각 장비에 대한 사용권한에 대한 관련 정보, 상기 각 장비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각 장비에 대한 작업 스케쥴에 대한 관련 정보가 모두 인증되는 경우에만 해당 장비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해당 장비의 활성화가 제어되었더라도 상기 각 장비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각 장비에 대한 작업 스케쥴에 대한 관련 정보에 따라 다시 인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인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사용자의 지문 또는 홍체를 인식하는 생체인식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인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기 발급된 식별인자를 인식하는 인식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인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인자는 인증카드에 내장되거나 인쇄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또는 NFC칩 또는 이동통신단말에 내장되거나 출력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또는 NFC칩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인증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24167A 2019-10-07 2019-10-07 장비 인증 시스템 KR10230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67A KR102308222B1 (ko) 2019-10-07 2019-10-07 장비 인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67A KR102308222B1 (ko) 2019-10-07 2019-10-07 장비 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434A KR20210041434A (ko) 2021-04-15
KR102308222B1 true KR102308222B1 (ko) 2021-09-30

Family

ID=7544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167A KR102308222B1 (ko) 2019-10-07 2019-10-07 장비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228B1 (ko) * 2022-05-09 2023-02-16 조원엽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KR102507442B1 (ko) * 2021-12-16 2023-03-09 박영란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271B1 (ko) * 2021-11-24 2022-08-08 주식회사 가보테크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KR102429277B1 (ko) * 2021-11-24 2022-08-08 주식회사 가보테크 전기차 충전소가 구비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6433A (ja) * 2009-09-30 2011-04-14 Hitachi Ltd 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
JP2012243046A (ja) * 2011-05-19 2012-12-10 Yaskawa Electric Corp 生産設備システムおよび自動設備システム
KR101868589B1 (ko) * 2018-03-30 2018-06-18 옥타코 주식회사 접근통제형 장비를 위한 생체인증 로그데이터의 블록체인 공유 기반의 액세스 보안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743B1 (ko) 2014-02-19 2015-02-1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산업장비용 사용자 인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6433A (ja) * 2009-09-30 2011-04-14 Hitachi Ltd 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
JP2012243046A (ja) * 2011-05-19 2012-12-10 Yaskawa Electric Corp 生産設備システムおよび自動設備システム
KR101868589B1 (ko) * 2018-03-30 2018-06-18 옥타코 주식회사 접근통제형 장비를 위한 생체인증 로그데이터의 블록체인 공유 기반의 액세스 보안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42B1 (ko) * 2021-12-16 2023-03-09 박영란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00228B1 (ko) * 2022-05-09 2023-02-16 조원엽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434A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222B1 (ko) 장비 인증 시스템
EP2192560B1 (en) Access control
CN104167040B (zh) 一种电子锁的远程控制方法及系统
CN102742243B (zh) 检查用于ied的配置修改的方法及装置
US10257707B2 (en) Method for safe access to a field device
US202003390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keyholder digital lockout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90075116A1 (en) Edge server and management server
US8628330B2 (en) Safety system for equipment
CN109426719B (zh) 设备验证管理方法及验证管理系统
RU271841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контроля доступа к потенциально опасному оборудованию
ES2953868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de monitorización de un desarrollo de un trabajo
JP2006221255A (ja) 操作権限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10803644B2 (en) Safety system
KR20210006199A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전력 설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847511B1 (ko) 특정 작업자를 인식하는 전동 공구
CN102880821A (zh) 计算机自动安全防护和节能系统及方法
CN112923817A (zh) 一种电子雷管起爆安全系统及其起爆方法
KR10250022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CN109845301A (zh) 用于加工食品和包装产品的机器
KR102068783B1 (ko) 인체통신을 이용한 전신주 작업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115512A (ko) IoT 기반 스마트 지게차 연동 물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282750A (ja) 自動ドアの開閉制御システム
US11989277B2 (en) Access authorization by means of personal access module
KR102530533B1 (ko) 스마트키를 활용한 건설기계의 시동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