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921A - 작업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921A
KR20230168921A KR1020220069813A KR20220069813A KR20230168921A KR 20230168921 A KR20230168921 A KR 20230168921A KR 1020220069813 A KR1020220069813 A KR 1020220069813A KR 20220069813 A KR20220069813 A KR 20220069813A KR 20230168921 A KR20230168921 A KR 20230168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work
worker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엽
장형철
Original Assignee
조원엽
씨소 주식회사
장형철
(주)에스오에이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엽, 씨소 주식회사, 장형철, (주)에스오에이텔레콤 filed Critical 조원엽
Priority to KR102022006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921A/ko
Publication of KR2023016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시설이나 설비에 대해 보안성과 작업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작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은 이산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기능을 구비하고, 관리시설의 보안을 위한 잠금 부재(11)와,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키 부재(12)를 구비하는 잠금 장치(1)와, 상기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장치(20),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고 상기 관리장치에 대해 작업 스케쥴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30) 및, 작업자가 휴대하고 상기 관리장치(20)와 제2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해서 결합되며, 프록시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1)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작업자 단말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리장치(20)는 상기 작업 스케쥴 정보와 작업자에 대한 인증결과에 근거해서 상기 잠금장치(1)에 대하여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 관리 시스템{WORK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시설이나 설비에 대해 보안성과 작업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작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고도화 되면서 사회를 유지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시설이나 설비의 양과 종류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설비로서는 통신이나 가스, 전기 등의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설비, CCTV 등의 보안 시스템을 위한 설비, 신호등을 포함하는 교통 시스템을 위한 설비, 화재 등 각종 재해에 대한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설비 등 매우 다양하다. 국가적으로 중요한 시설이나 설비의 경우에는 안전시설이나 보안시설로서 지정되어 특별하게 관리된다. 그러나 상당부분의 시설이나 설비는 그것이 중요한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안전이나 보안으로부터 배제된다. 예를 들어 신호등을 관리하거나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의 경우에는 신호등과 인접한 교차로 등에 설치되고, 전기의 공급 및 분배를 위한 배전반이나 광케이블 등의 통신선로를 위한 단자함의 경우에는 사용자 수나 사용자와의 선로 길이를 고려하여 민가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관리시설의 경우에는 그 수효가 매우 많기 때문에 시설의 안정성 보다는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관리된다. 이들은 단순히 함체를 통해 외형적으로 보호되고, 함체에는 별도의 보안장치가 생략된다.
상기한 관리시설에 잠금장치 등의 보안기능을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상기한 관리시설은 기본적으로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고, 수시로 점검 및 관리 작업이 실행되며, 작업자의 수효도 매우 많다. 보안기능은 필수적으로 보안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 수단이 요구된다. 잠금 및 해제 수단은 보안 수단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잠금 및 해제 수단으로서는 자물쇠 등의 잠금수단을 물리적인 방법이나 전자적인 방법으로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키 또는 암호키가 될 수 있고, 그 밖에 다른 적절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다수의 작업자에 대해 잠금 및 해제 수단을 제공하거나 회수하는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시설의 보안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다.
한편, 최근에는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보안장치에 대한 잠금 및 해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 및 시스템이 소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8312호(명칭: 다수의 객체를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공개특허 제10-2016-0115563호(명칭: 스마트 자물쇠), 등록특허 제10-1595726호(명칭: 스마트키 시스템의 도어 잠금 해제 장치), 등록특허 제10-1617707호(명칭: 자물쇠 시스템의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시스템) 등에는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스마트키와 잠금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 및 시스템의 경우에도 넓은 지역에 걸쳐 분산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시설이나 설비에 대해 보안성과 작업성을 제공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넓은 지역에 분산적으로 설치되는 설비 또는 시설에 대해 보안성과 작업성을 동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작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설비 또는 시설에 대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은 이산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설은 물리적으로 외부와 차단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고,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잠금 부재와, 제1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키 부재를 구비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장치와,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고, 상기 관리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되며, 제1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작업자가 휴대하고, 상기 관리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결합되며, 프록시와 제2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작업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리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와, 운영자를 위한 운영자 단말기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관리시설에 구비되는 잠금 부재 아이디와, 작업자가 휴대하는 키 부재 아이디,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스케쥴 정보, 상기 잠금 부재를 위한 제1 인증정보 및, 작업자의 인증을 위한 제2 인증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1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작업 스케쥴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자 인증기능과 상기 잠금장치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및 해제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작업 스케쥴 정보와 작업자에 대한 인증결과에 근거해서 상기 잠금장치에 대하여 제1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 인증은 바코드 또는 QR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 인증이 NFC 기능이 구비된 ID 카드를 통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 스케쥴 정보는 작업자 이름, 작업 일자, 작업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제1 인증정보의 제공시에 관리시설의 위치정보와 작업자의 위치정보가 상호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제1 인증정보의 제공시에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내용의 업로드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시설과 해당 관리시설에 구비되는 잠금 부재를 상호 대응시켜 등록하기 위한 관리용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용 단말기는 상기 관리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결합되고, 프록시와 제3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장치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장치는 관리자에 의해 작업 스케쥴 정보가 등록되면, 등록된 작업 스케쥴 정보를 해당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넓은 지역에 이산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관리설비에 대해 잠금 부재가 제공된다. 따라서 관리시설에 대한 보안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시설에 설치되는 잠금 부재는 관리시설 정보와 함께 관리장치에 의해 관리되고, 관리장치는 해당 관리시설의 작업 스케쥴 정보에 근거해서 감금 부재의 해제를 위한 인증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 스케쥴 정보에는 작업자 정보와, 작업자 인증정보, 작업 일자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작업자에게는 작업자 단말기가 제공되고, 작업자 단말기는 작업자 인증기능과 잠금장치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기능이 구비된다.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를 가지고 관리시설에 가서 자신을 인증하는 것만으로 관리시설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리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부재에 의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리장치에 작업 스케쥴 정보를 등록하는 것만으로 다수의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관리의 효율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잠금장치(1)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잠금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관리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작업자 단말기(40)를 통해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각 절차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넓은 지역에 이산적으로 설치 또는 배치된 복수의 설비나 시설에 적용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설비나 시설은 각각 물리적으로 외부와 차단된 공간부를 구비하고, 그 공간부 내부에는 관리가 요구되는 장비가 구비된다. 공간부는 허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장비에 접근하는 것을 외형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공간부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에 의해 차폐 또는 개방된다. 상기 공간부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함체일 수 있고, 기타 다른 적절한 재질로 구성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공간부 내부에 배치되는 장비는 특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설비나 시설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신호등을 관리하거나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나, 전기의 공급 및 분배를 위한 배전반, 광케이블 등의 통신선로를 위한 단자함, 자동차의 과속이나 신호 위반 등을 감시하기 위한 시설함 등 작업자의 관리가 요구되는 일체의 것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설 또는 설비를 관리시설로서 총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관리시설이라 함은 공간부와 그 공간부 내부에 구비되는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해될 것이다.
관리시설에는 보안을 위해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잠금장치는 잠금 부재와 키 부재를 구비한다. 잠금 부재는 관리 시설에 설치되는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거나 도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키 부재는 잠금 부재를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에 의해 휴대된다. 본 발명에서 잠금장치는 네트워크 접속 기능, 즉 통신 기능이 구비된 것이 채용된다. 잠금장치로서는 바람직하게 스마트 잠금장치가 채용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잠금장치(1)로서, 관리설비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잠금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잠금장치(1)는 주지된 것이다. 잠금장치(1)는 잠금 부재 및 키 부재로서 자물쇠(11)와 열쇠부(12)를 구비한다. 열쇠부(112)는 스마트키로서 지칭되기도 한다. 자물쇠(11)는 몸체(111)를 구비하고, 몸체(111)에는 자물쇠 고리(112)와 열쇠구멍(113)이 구비된다. 열쇠구멍(113)은 자물쇠(11)에 열쇠부(12)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잠금장치(1)는 예컨대 불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기능과, 그러한 통신을 위한 페어링 또는 페어링 해제 프로세스 기능,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기능, 잠금장치(1)의 사용에 따른 이력 정보의 저장 및 공유 기능을 구비한다. 잠금장치(1)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정보를 제공한 상태에서 열쇠부(12)를 이용하여 자물쇠(11)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잠금장치는 특정되지 않는다. 잠금장치로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한 잠금수단을 바람직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b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잠금장치의 다른 예로서, 관리설비에 잠금 부재(62)가 고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관리설비는 공간부로서 함체(60)를 구비한다. 함체(60)에는 개폐가 가능하게 도어(61)가 설치되고, 도어(61)에는 그 개폐를 단속하기 위한 잠금 부재(62)가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잠금 부재(62)에는 키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물리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열쇠구멍(621)과, 열쇠구멍(621)을 보호하기 위한 덮개(622)가 마련된다. 본 예에서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잠금 부재 및 키 부재는 잠금 부재(62)가 함체(6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a에 나타낸 구성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작업 관리 시스템은 관리장치(20)와, 작업 관리자를 위한 관리자 단말기(30: 30-1…30-n) 및, 작업자를 이한 작업자 단말기(40: 40-1…40-n)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은 상호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해 결합된다. 도면에서 관리자 단말기(30)와 작업자 단말기(40)는 동일한 네트워크(50)를 통해서 관리장치(40)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서 관리장치(2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30)는 관리장치(20)와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는 유선망을 통해서 결합되고, 작업자 단말기(40)와 관리장치(20)는 무선망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관리장치(20)와 관리자 단말기(30) 및 작업자 단말기(40)와의 물리적, 논리적 네트워크는 특정되지 않는다.
관리장치(2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 및 관리한다. 도 3은 관리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관리장치(20)는 관리서버(21)와 데이터베이스(22) 및 운영자 단말기(23)를 구비한다. 이들은 LAN(24)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관리장치(20)에는 허브 및/또는 라우터가 구비되거나, 이들 장치와 결합된다.
관리서버(21)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 및 관리한다. 관리서버(21)에는 전체 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구비된다. 관리 프로그램은 작업 관리자와 작업자에 대한 정보 관리, 관리시설에 대한 정보 관리,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정보 관리, 잠금장치(1), 즉 도 1에서 자물쇠(11)와 열쇠부(12)와 관련된 정보 관리, 관리시설에 대한 관리 작업의 이력 및 통계 정보 관리 및, 운영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제공기능 등을 수행한다. 관리서버(11)에 의한 관리 및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2)는 관리서버(11)의 관리 및 제어동작에 수반되는 각종 데이터와 관리시설의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2)에는 관리시설에 대한 정보, 작업 관리자 정보, 작업자 정보 및, 잠금장치(1), 즉 자물쇠(11)와 열쇠부(12)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2)에는 관리시설에 대하여 수행하여야 할 작업 관련 정보와, 이전에 수행되었던 작업 이력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자물쇠 정보와 열쇠부 정보에는 각각의 식별정보, 즉 아이디(ID, Identifier)가 포함되고, 특히 자물쇠 정보에는 해당 자물쇠(11)를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인증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자물쇠(11)에 대해 사용가능한 열쇠부(12)는 특정되지 않고, 복수의 것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자물쇠(11)와 열쇠부(12)에 대한 정보는 개별적으로 관리된다.
작업자 정보에는 예컨대 작업자의 이름, 나이, 연락처, 주소, 이메일 주소 등의 인적사항 정보와 더불어, 해당 작업자의 인증정보가 포함된다. 인증정보는 해당 작업자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작업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증정보로서는 지문,·얼굴,·정맥,·홍채 등의 생체정보가 채용될 수 있다.
관리자 정보에는 작업자 정보와 마찬가지로 관리자의 인적사항 정보와 더불어 인증정보가 포함된다. 관리자를 위한 인증정보는 관리자가 네트워크(50)를 통해 관리장치(20)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관리자를 위한 인증정보로서는 바람직하게 ID와 패스워드가 채용된다.
관리시설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해당 관리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자물쇠 정보, 즉 자물쇠 ID가 포함된다. 또한 관리시설 정보에는 관리시설의 위치정보와 해당 관리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관리시설의 위치정보에는 바람직하게 GPS 정보가 포함된다.
운영자 단말기(23)는 시스템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운영자를 위한 것이다. 운영자 단말기(23)는 관리서버(21)와 연동하여 운영자를 위한 각종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운영자는 단말기(23)를 통해 시스템 전체를 관리함과 더불어, 상기한 데이터베이스(12)의 각종 정보, 즉 관리시설에 대한 정보, 작업 관리자 정보, 작업자 정보 및, 잠금장치(1)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한다.
도 2에서 관리자 단말기(30)는 관리자가 네트워크(50)를 통해서 관리장치(20)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관리장치(20)로서는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유무선을 통해 네트워크(50)에 접속가능한 통신 단말기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관리장치(20)로서는 스마트 폰이 채용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에는 관리장치(20)와의 연동을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관리장치(20)에 대한 접속 기능을 구비하고, 관리장치(20)와 연동하여 관리자에게 각종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관리자 단말기(30)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작업자의 작업 내용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이 포함된다. 관리자가 메뉴화면에서 작업 스케쥴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관리장치(21)는 데이터베이스(22)를 조회하여 해당 관리자가 관리하는 관리시설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관리자는 관리시설 정보로부터 작업을 진행할 관리시설을 선택할 수 있다. 관리자가 관리시설을 선택하면, 관리장치(21)는 단말기(30)와 연동하여 해당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작업설정 화면을 제공한다. 관리자는 작업설정 화면을 통해 해당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일자와 작업시간 및 작업자를 선정하고, 작업 내용을 입력하게 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관리장치(20)와 연동하여 관리자에게 작업시설에 대한 정보, 예컨대 작업시설의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기 위한 시설관리 메뉴와,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상태를 조회할 수 있는 작업점검 메뉴, 관리시설에 대한 이전의 작업 내용을 조회하기 위한 작업조회 메뉴, 작업자에게 제공된 열쇠부(12)를 관리하기 위한 열쇠관리 메뉴, 각 작업자에게 부과된 작업 내용을 조회할 수 있는 작업자 관리 메뉴 등을 제공하게 된다.
도 2에서 작업자 단말기(40)는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를 위한 것이다. 작업자는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자 단말기(40)와 열쇠부(12)를 휴대하게 된다. 작업자 단말기(40)로서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무선 인터넷과 블루투스 등의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단말기가 채용된다. 작업자 단말기(40)로서는 바람직하게 스마트 폰이 채용된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40)로서는 태블릿 컴퓨터나, 개인 정보 단말기가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작업자 단말기(40)가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작업자 단말기(40)에는 프록시(proxy)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작업자 단말기(40), 즉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관리장치(20)와 연동하여 작업자에 대한 인증기능과, 작업 정보 제공기능, 잠금장치(1)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및 해제기능을 구비하고, 이들 기능의 적절한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 터치패널을 통해 선택 가능한 메뉴화면을 포함한다.
작업자에 대한 인증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작업자는 관리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자신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수단을 휴대하게 된다. 인증수단으로서는 QR 코드나 바코드가 구비되는 사원증이나, NFC(Near Field Communcation) 기능이 구비된 ID 카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인증수단으로서는 NFC 기능과 더불어 지문인식기능이 구비된 ID 카드가 채용된다. 물론. 작업자 단말기(40)에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인증수단을 판독하기 위한 적절한 판독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판독수단으로서는 카메라나 NFC 통신모듈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작업자에 대한 인증수단으로서 NFC 기능이 구비된 ID 카드를 채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를 통해 관리장치(20)에 접속한 후,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내용을 입력 및 등록하게 된다.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작업 관련 내용은 관리서버(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관리자가 등록한 작업관련 내용은 관리서버(21)에 의해 해당 작업자에게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 정보로서 제공된다.
작업자는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자 단말기(40) 및 열쇠부(12)와 더불어 인증수단, 예컨대 ID 카드를 휴대하게 된다. 작업자는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에 앞서 작업자 단말기(4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기(40)와 열쇠부(12)와의 네트워크 페어링, 예컨대 블루투스 페어링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페어링은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작업자 단말기(40)는 우선적으로 관리장치(20)를 통해 열쇠부(12)의 ID를 조회하여 해당 열쇠부(12)가 정상적인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관리서버(21)와 연동하여 관리작업에 따른 일련의 절차를 적절하게 실행 및 관리하게 된다. 작업자 단말기(40)는 관리작업의 절차에 따라 적절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4는 작업자 단말기(40)를 통해 작업자에게 제공되는 각 절차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작업자 단말기(40)는 우선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에 대해 인증처리를 요구하게 된다. 작업자가 도 4a의 단말기(40)에 대해 자신의 ID 카드를 태그하게 되면, 단말기(40)는 수신된 작업자 정보를 관리서버(21)로 제공한다. 관리서버(21)는 데이터베이스(22)를 조회하여 해당 작업자가 정상적인 작업자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작업자에게 할당된 작업 리스트 정보를 단말기(40)로 제공하게 된다. 도 4b는 단말기(40)에 표시되는 작업 리스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에서 작업 리스트 정보에는 작업자의 이름(41a)과 해당 작업자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 리스트(41b)가 포함된다.
작업자가 도 4b의 메뉴에서 현재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 항목을 선택하면, 관리서버(21)는 선택된 관리작업의 수행 날짜와 수행 시간 등을 확인하여 해당 작업이 정상적인 작업인지를 판정하게 된다. 또한, 이때 관리서버(21)는 단말기(40)의 GPS 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정상적인 작업 현장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21)는 작업 관리자가 선택한 관리작업에 대한 작업 내용 정보를 작업자 단말기(40)로 제공하게 된다. 도 4c는 작업자 단말기(40)에 표시되는 작업 내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에서 작업 내용 정보에는 관리시설의 이름이나 위치 등의 관리시설 정보(42a)와, 작업 시간 및 작업 내용 등의 작업 관련 정보(42b), 작업 시작과 완료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뉴(42c, 42d)가 포함된다.
작업자가 도 4c의 메뉴 화면에서 작업시작 메뉴(42c)를 선택하게 되면, 관리서버(21)는 작업자 단말기(40)를 제어하여 열쇠부(12)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처리, 즉 작업자 단말기(40)의 프록시에 대한 열쇠부(12)의 로그인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프록시 페어링이 완료되면, 관리서버(21)는 열쇠부(12)에 대해 자물쇠(11)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인증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자물쇠(11)에 열쇠부(12)를 결합하고 자물쇠(1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관리시설에 대한 관리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관리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관리시설에 다시 자물쇠(11)를 체결하게 된다. 자물쇠(11)의 잠금처리는 상술한 해제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즉,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기(4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실행과 인증처리를 종료하고 도 4c의 메뉴 화면에서 작업완료 메뉴(42d)를 선택하게 되면, 관리서버(21)는 작업자 단말기(40)와 열쇠부(12)와의 프록시 페어링을 실행하고 열쇠부(12)에 대해 자물쇠(11)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인증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열쇠부(12)를 이용하여 관리시설에 자물쇠(11)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관리서버(21)는 열쇠부(12)에 대한 인증정보의 송출에 앞서 작업자에게 해당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내용의 입력을 요구하거나, 관련된 인증 사진의 업로드를 요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1)는 관리시설에 자물쇠(11)가 잠금상태로 설정된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진 정보의 업로드를 요구할 수 있다. 관리서버(21)는 자물쇠(11)에 대한 잠금처리가 완료되면, 단말기(40)를 제어하여 열쇠부(12)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서버(21)는 데이터베이스(22)에 작업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처리를 종료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에서 작업 관리 시스템에는 관리시설의 위치 정보와, 해당 관리시설에 설치되는 자물쇠(11)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별도의 관리용 단말기가 구비될 수 있다. 관리용 단말기는 바람직하게 스마트 폰이 채용될 수 있다. 관리용 단말기는 상술한 작업자 단말기(40)와 마찬가지로 프록시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관리장치(2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기능과, 잠금장치(1)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및 해제기능 및, 이들 기능의 적절한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관리용 단말기는 작업 관리자나 운영자에게 제공된다, 관리자나 운영자는 상술한 작업자에 의한 작업 절차와 마찬가지로 인증절차를 통해 관리시설에 자물쇠(11)를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서버(21)는 그때 체결되는 자물쇠 ID와 그 GPS 정보를 관리시설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작업자 단말기(40)와 열쇠부(12)가 예컨대 블루투스 등의 근거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작업자 단말기(40)와 열쇠부(12)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40)와 열쇠부(12)와의 통신 결합은 열쇠부(12)의 제품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될 것이다.
1: 잠금장치, 11: 자물쇠,
12: 열쇠부, 20: 관리장치,
21: 관리서버, 22: 데이터베이스,
23: 운영자 단말기, 24: LAN,
111: 몸체,112: 자물쇠 고리,
113: 열쇠구멍.

Claims (9)

  1. 이산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을 관리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설은 물리적으로 외부와 차단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고,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잠금 부재와, 제1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키 부재를 구비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관리장치와,
    작업 관리자가 휴대하고, 상기 관리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되며, 제1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작업자가 휴대하고, 상기 관리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결합되며, 프록시와 제2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작업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리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와, 운영자를 위한 운영자 단말기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관리시설에 구비되는 잠금 부재의 아이디와, 작업자가 휴대하는 키 부재의 아이디,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스케쥴 정보, 상기 잠금 부재를 위한 제1 인증정보 및, 작업자의 인증을 위한 제2 인증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1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작업 스케쥴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자 인증기능과 상기 잠금장치에 대한 프록시 페어링 및 해제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작업 스케쥴 정보와 작업자에 대한 인증결과에 근거해서 상기 잠금장치에 대하여 제1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인증은 바코드 또는 QR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인증이 NFC 기능이 구비된 ID 카드를 통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스케쥴 정보는 작업자 이름, 작업 일자, 작업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제1 인증정보의 제공시에 관리시설의 위치정보와 작업자의 위치정보가 상호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제1 인증정보의 제공시에 관리시설에 대한 작업 내용의 업로드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설과 해당 관리시설에 구비되는 잠금 부재를 상호 대응시켜 등록하기 위한 관리용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용 단말기는 상기 관리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결합되고, 프록시와 제3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장치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관리자에 의해 작업 스케쥴 정보가 등록되면, 등록된 작업 스케쥴 정보를 해당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KR1020220069813A 2022-06-08 2022-06-08 작업 관리 시스템 KR20230168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13A KR20230168921A (ko) 2022-06-08 2022-06-08 작업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813A KR20230168921A (ko) 2022-06-08 2022-06-08 작업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921A true KR20230168921A (ko) 2023-12-15

Family

ID=8912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813A KR20230168921A (ko) 2022-06-08 2022-06-08 작업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9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24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access rights and verification
US71454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 control in an electronic locking system
US10614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ed encrypted combination over-locks from a remote location
EP3188082B1 (en) Safety lockout systems and methods
US7861314B2 (en) Interactive key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ccess to secured locations
EP1621944A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a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
EP3452994B1 (en) Virtual panel for access control system
KR20120031866A (ko) 입퇴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438585B2 (en) Trusted vendor access
US7840010B2 (en) Interactive security control system with conflict checking
JP4373314B2 (ja) 生体情報を用いる認証システム
CN109684854A (zh) 一种适用于企业管理信息系统的底层数据加密方法
CN112734248A (zh) 一种房地产智能管理系统
JP4812371B2 (ja) 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認証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装置
JP3834056B1 (ja) 認証システム、リーダ・ライタ装置及び保管庫
JP2004120257A (ja) 錠管理システム及び錠管理方法
KR20230168921A (ko) 작업 관리 시스템
US10200858B2 (en) Distributed management system for security of remote assets
US11715339B1 (en) Electronic lockbox with key retainer subassembly
WO2018218297A1 (en)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and methods
JP2007126889A (ja) 貸出管理装置
KR10250022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격리잠금 시스템
JP5979431B2 (ja) 情報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408528B1 (ko)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US11971973B2 (en) Uilization control system, use permit issuance device, uiliz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