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528B1 -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8528B1 KR102408528B1 KR1020200164571A KR20200164571A KR102408528B1 KR 102408528 B1 KR102408528 B1 KR 102408528B1 KR 1020200164571 A KR1020200164571 A KR 1020200164571A KR 20200164571 A KR20200164571 A KR 20200164571A KR 102408528 B1 KR102408528 B1 KR 102408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thentication
- authentication data
- user
- data
- tas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group commun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방법이 개시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 및 제3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제3 디바이스를 이용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통해 제1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획득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3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통해 제2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제한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과 관련된다.
사용자 인증에는 ID/Password 인증, 이메일 인증, 지문 인증, 홍채 인증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근래에는 사용자의 생체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증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에게 간편하고 빠른 인증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 인증은 특정 장소에의 출입, 결제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서의 출입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은 특정 장소에 설치된 디바이스(예: 지문인식 도어락, 지문인식 사무실 출입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설치된 디바이스 내에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그 디바이스는 저장된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 목적을 위하여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그 인증을 운영하는 회사의 서버에 의하여 인증이 수행된다. 그리고 그 서버에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서버는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데이터(이하,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밀접적으로 연관된 데이터이다.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가 휴대한 디바이스에 보관되거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외부 장치에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디바이스나 외부 장치가 도난당할 경우 인증 데이터가 유출될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인증 데이터가 생체 데이터인 경우, ID, Password방식처럼 사용자가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인증 데이터가 영구히 노출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인증 데이터가 기업에 의하여 운영되는 외부 서버에 의하여 보관되는 경우 비교적 안전하게 보관되지만, 여전히 해킹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서버에 의한 인증은 유, 무선 네트워크가 제한된 환경에서는 인증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네트워크가 제한된 환경에서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 데이터의 도난 위험을 최소화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 및 제3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제3 디바이스를 이용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통해 제1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획득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3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통해 제2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성공 플래그 값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및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태그 입력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인증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의 태그 입력의 발생에 응답하여, 수신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와 관련된 인증 성공의 플래그 값을 수신하고, 상기 플래그 값의 수신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유, 무선 네트워크가 제한된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인증 장치의 분실, 파손으로 인한 인증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록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과정이 포함된 사용자 인증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무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에에 따른 근무 지원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근무 지원 서비스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11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 화면의 예시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록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과정이 포함된 사용자 인증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무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에에 따른 근무 지원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근무 지원 서비스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11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 화면의 예시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증 방법은 특정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은 등록 디바이스(100), 사용자 디바이스(200), 인증 디바이스(300), 및 서버(4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0)란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인증 데이터는 예를 들어, 지문 데이터, 홍채 데이터, 안면(face) 데이터와 같이 각각의 사람들마다 가지는 고유의 신체적 특성들로부터 획득되는 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란 인증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소유하는 디바이스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소지하고, 인증이 필요할 때에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란 특정 장소에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설치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인증 디바이스(300)는 인증이 요구되는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접근 권한, 출입 권한 등을 인증해야하는 장소가 복수 개인 경우, 각 장소마다 인증 디바이스(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운영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서버(400)는 인증할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결정하거나, 인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수행해야하는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400)는 등록 디바이스(100),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또는 인증 디바이스(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록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등록 디바이스(100)는 통신 회로(105),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인증 정보 획들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등록 디바이스(100)의 동직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서버(400)와 통신 회로(105)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105)는 근거리 통신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0)는 통신 회로(105)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20)는 사용자 및 태스크 정보(121)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및 태스크 정보(121)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서비스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 인증 데이터, 이름, 카테고리 와 같은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및 태스크 정보(121)는 인증 서비스를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태스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태스크 정보는 예를 들어, 태스크 식별 정보, 이름,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는 관리자 정보(123)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방법의 수행이 특정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인증 시작 이전에 관리자 인증이 선행될 수 있다. 관리자 정보(123)는 관리자 인증에 필요한 관리자 식별 정보, 권한 정보, 인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및 태스크 정보(121), 관리자 정보(123)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10)의 동작은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인증 정보 획득 모듈(130)은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인증 데이터가 지문인 경우, 인증 정보 획득 모듈(130)은 지문 인식 센서일 수 있다. 인증 데이터가 홍채인 경우, 인증 정보 획득 모듈(130)은 홍채 인식 센서일 수 있다. 인증 데이터가 안면(Face)인 경우, 인증 정보 획득 모듈(130)은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인증 정보 획득 모듈(130)은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공지의 장치, 또는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통신 회로(205),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디스플레이(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동직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등록 디바이스(100), 인증 디바이스(300), 및 서버(400)와 통신 회로(205)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205)는 근거리 통신 모듈(NF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통신 회로(105)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등록 디바이스(100) 및 인증 디바이스(300)와 인증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220)는 인증 데이터(221), 태스크 정보(223)를 저장할 수 있다. 인증 데이터(221)는 인증 대상인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인증 데이터(221)는 등록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획득되어 전송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인증 데이터(221)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소지자의 생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지문 데이터, 홍채 데이터, 안면 데이터, 심박수 데이터 등 특정인을 식별할 수 있는 생체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데이터(223)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과정이 끝나면 인증 데이터(223)는 삭제될 수 있다.
태스크 정보(223)는 예를 들어, 태스크 식별 정보, 태스크 이름, 인증 디바이스(300)와 연관 정보,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200)와 연관 정보란, 인증이 수행된 인증 디바이스(200)에 따라 특정 태스크가 실행되도록 미리 저장된 맵핑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장소에 설치된 인증 디바이스(200)들이 있는 경우, 각각의 장소에 대해서 실행될 태스크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인증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받고, 상기 식별 정보에 맵핑된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인증 데이터(221), 태스크 정보(223)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210)의 동작은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23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인증 모듈과 태스크 실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태스크는 사용자 인증을 전제로 실행되는 태스크일 수 있다. 실행 화면의 예시들은 도 11a 내지 11d를 통하여 후술 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디바이스(300)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인증 디바이스(300)는 통신 회로(305),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인증 정보 획들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인증 디바이스(300)의 동직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 서버(400)와 통신 회로(305)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105)는 근거리 통신 모듈(NF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는 통신 회로(305)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인증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증 정보 획득 모듈(330)은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인증 정보 획득 모듈(330)은 등록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인증 정보 획득 모듈(130)로 참조될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0)와 인증 디바이스(300)는 서로 연동되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인증 정보 획득 모듈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320)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321)와 인증 데이터(323)를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 식별 정보(321)는 인증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 인증 디바이스(300)가 설치된 공간의 식별 정보, 또는 인증 디바이스(300)의 용도에 대한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디바이스 식별 정보(321)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321)를 기초로 실행할 태스크를 결정할 수 있다.
인증 데이터(323)는 사용자 인증 서비스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에 저장되는 인증 데이터(323)는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과정이 끝나면 인증 데이터(323)는 삭제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사용자 증명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디바이스 식별 정보(321) 및 인증 데이터(323)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310)의 동작은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상술 된 등록 디바이스(100),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인증 디바이스(300)는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현 및 설계된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디바이스의 각각의 프로세서(110, 210, 310)의 동작들은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디바이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은 각각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하여 구현 및 설계된 각각 다른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400)는 통신 회로(405), 프로세서(410), 메모리(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서버(4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400)는 통신 회로(405)를 통하여 등록 디바이스(100),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또는 인증 디바이스(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400)는 메모리(420)에 태스크 정보(421)와 사용자 정보(423)을 저장할 수 있다. 태스크 정보(421)는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태스크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태스크 정보(421)는 태스크 식별 정보, 태스크 이름, 태스크에 접근 권한이 있는 사용자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423)는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통하여 인증을 수행할 대상인 사용자에 관한 정보이다. 사용자 인증 서비스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이름, 사용자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태스크 생성 프로그램(425)을 저장할 수 있다. 태스크 생성 프로그램(425)은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태스크를 생성하도록 구현 및 설계된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서비스는 각각의 디바이스(100, 200, 300)에 설치된 프로그램과 서버(400)에 설치된 태스크 생성 프로그램(425)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서비스는 특정 태스크에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인증과 상기 태스크의 수행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시는 도 9 내지 11d를 통하여 후술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등록 디바이스(100),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인증 디바이스(300)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610 단계에서, 상기 등록 디바이스(100)가 인증 정보 획득 모듈(130)을 통해 제1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인증 데이터는 인증 대상의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상기 등록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획득한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송신할 수 있다. 태그 입력이란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등록 디바이스(100)에 근거리 통신(NFC) 모듈의 커버리지 내에 접근하였을 때,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발생되는 태그 입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0)는 태그 입력이 발생했을 때, 단계 610에서 획득한 제1 인증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등록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디바이스(200)사이의 태그 입력이 발생한 후에, 등록 디바이스(100)가 제1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동작 610 관련). 이 때 태그 입력은 등록 디바이스(100)에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로그인 하는 행위에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등록 디바이스(100)는 로그인된 사용자에 대해 인증 데이터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에는 등록 디바이스(100)에 인증 데이터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630 단계에서, 인증 디바이스(30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인증 디바이스(300)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인증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640 단계에서, 인증 디바이스(300)는 인증 정보 획득 모듈(330)을 통해 제2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인증 데이터는 단계 630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태그 입력을 수행한 사용자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인증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다. 640 단계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인증 디바이스(300)로의 인증 데이터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650에서, 인증 디바이스(300)는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인증 데이터는 등록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획득된 인증 데이터이고, 제2 인증 데이터는 인증 디바이스(300)에 의하여 획득된 인증 데이터이다. 따라서 인증 디바이스(300)는 단계 610에서 획득된 인증 데이터와 단계 650에서 획득된 인증 데이터의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등록 디바이스(100)는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에 설치되고, 사용자 인증 서비스의 관리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디바이스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등록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획득된 인증 데이터는 정당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필요하고, 신뢰 가능한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디바이스(300)에 접근한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인증 데이터와 등록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획득된 인증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실제 권한을 가진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인증 디바이스(300)는 네트워크가 제한된 환경(예: 군사 시설 내부 통제 구역 출입, 개발 도상국의 중요 창고)에서 동작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군사 시설 내부의 통제구역에 대한 출입 권한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 도 6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구역에 출입 권한을 가진 군인은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휴대하고, 특정 구역에 설치된 인증 디바이스(300)를 통해 출입 권한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환경이 제한되더라도 등록 디바이스(100), 사용자 디바이스(200), 인증 디바이스(30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근거리 통신 모듈(예: 도 2의 통신 회로(105), 도 3의 통신 회로(205), 도 4의 통신 회로(305))에 의하여 이루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인증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통제 구역에 유, 무선 네트워크 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라도 인증 디바이스(300)의 설치만으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해진다.
단계 650의 인증이 성공하면, 단계 660에서 인증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성공 플래그 값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70에서 인증 디바이스(300)는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및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 과정에서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인증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인증 디바이스(300)의 도난, 파손과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인증 데이터의 유출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방법은 서버(400), 등록 디바이스(100), 사용자 디바이스(200), 및 인증 디바이스(300)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특정 태스크에 대해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는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태스크를 생성할 때, 태스크 정보(태스크 식별 정보)와 상기 태스크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태스크에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400)는 메모리(420)에 저장된 태스크 생성 프로그램(425)을 구동 시킴으로써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400)는 태스크 정보(421), 사용자 정보(423)에 기초하여 태스크 정보와 상기 태스크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결정하고, 이를 등록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태스크에 대한 인증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관리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705). 예를 들어, 등록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획득된 인증 데이터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미리 지정된 관리자가 존재할 수 있다. 관리자는 서버(400)에 의하여 미리 지정된 사용자일 수 있다.
관리자 인증은 다른 사용자 인증과 마찬가지로 인증 정보 획득 모듈(130)에 의하여 관리자로부터 획득한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디바이스(100)는 관리자 정보(123)에 미리 저장된 관리자의 인증 데이터와 획득된 인증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관리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인증이 성공하면, 생성된 태스크와 연관된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707). 예를 들어, 등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예: 이름, ID)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태스크와 연관된 정보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동작 705에서 관리자 인증을 수행한 관리자가 동작 707 인증 데이터를 입력할 사람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인지 확인하게 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등록 디바이스(100)사이의 태그 입력이 발생하면(709), 등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제1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711). 동작 711에서, 상기 태그 입력의 발생에 응답하여 등록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제1 인증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태그 입력의 발생에 응답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등록 디바이스(100)에 제1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711과 동작 713 사이에, 사용자는 인증 디바이스(300)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한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인증 디바이스(300)에 근접하도록 배치하고, 두 디바이스 사이의 태그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인증 디바이스(300)사이의 태그 입력이 발생하면(713),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인증 디바이스(300)로 제1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715). 동작 715에서, 상기 태그 입력의 발생에 응답하여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인증 디바이스(300)로 제1 인증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태그 입력의 발생에 응답하여 인증 디바이스(300)가 등록 디바이스(200)에 제1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휴대한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 획득 모듈(330)을 통해 제2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717). 이 때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인증 데이터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예: 도 11b의 화면(1150)). 인증 디바이스(300)는 제1 인증 데이터와 제2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719).
인증 디바이스(300)는 제1 인증 데이터와 제2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성공 플래그 값을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송신할 수 있다(721). 이 때, 인증 디바이스(300)는 인증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를 성공 플래그 값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고유 ID, 인증 디바이스(300)의 설치 장소의 코드 번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인증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예: 도 11c의 화면(1160)).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입력 요청 이벤트에 응답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성공에 따른 태스크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근무 일지 작성의 태스크)는 도 9 내지 도 11d를 통하여 후술 된다.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성공 플래그 값을 수신하면 태스크를 실행할 수 있다(725). 상기 태스크는 서버(400)에 의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태스크는 수신된 인증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인증 프로그램(225)을 통해 인증 디바이스(300)의 식별 정보와 맵핑되어 저장된 태스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맵핑 정보는 태스크 정보(223)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태스크 정보(223)는 서버(400)에 의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고, 서버(400)의 태스크 정보(421)와 동기화될 수 있다.
태스크 수행이 완료되면,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태스크 실행 결과 및 관련 데이터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727). 태스크 실행 결과는 태스크의 성공 플래그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태스크 실행 동안 입력되거나 발생된 데이터가 관련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태스크 실행 결과는 태스크의 실패 플래그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태스크 에러 코드나 실행되는 동안 발생된 데이터가 관련 데이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등록 디바이스(100)를 통해 인증 데이터를 1회 등록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인증 데이터를 휴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인증 디바이스(300)가 필요한 경우(예: 복수의 구역에 대한 출입 자격 인증)라도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200)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구역에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방식은 인증 디바이스(300)에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고, 이 방식에 의하면 여러 개의 인증 디바이스(300)에 모두 인증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하므로 번거롭게 되고, 인증 데이터에 대한 도난의 위함이 높아진다. 1회의 인증 데이터 등록만으로 여러 인증 디바이스(300)에 인증이 가능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인증 데이터를 휴대할 수 있어 편리성과 경제성, 보안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과정이 포함된 사용자 인증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7과 중복되는 동작은 도 7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서버(400)는 태스크를 생성할 때, 상기 태스크에 대한 암호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801). 동작 801은 도 7의 동작 701에 대응될 수 있다. 서버(400)가 태스크 정보와 상기 태스크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결정할 때, 암호화 정보도 함께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암호화 정보는 RSA 암호화 방식에 의하여 생성된 한 쌍의 공개키 및 개인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는 생성된 공개 키를 등록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803). 서버(400)는 생성된 개인 키를 인증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805).
동작 807, 동작 809는 각각 도 7의 동작 705, 동작 707에 대응될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0)는 제1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면, 수신된 공개 키를 이용하여 제1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811). 등록 디바이스(100)가 인증 데이터를 획득한 직후에 그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이후 인증 데이터는 암호화된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 보안성이 높아질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디바이스(200) 사이의 태그 입력이 발생하면(813), 등록 디바이스(100)는 암호화된 제1 인증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815).
사용자 디바이스(200)와 인증 디바이스(300)사이의 태그 입력이 발생하면(817), 사용자 디바이스(200)는 인증 디바이스(300)로 암호화된 제1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819). 인증 디바이스(300)는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330)을 통하여 제2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821)(도 7의 동작 717에 대응됨). 인증 디바이스(300)는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제1 인증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동작 801에서 서버(400)가 암호화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암호화 정보의 유효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400)는 공개키나 개인키를 전송할 때, 상기 유효 기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인증 디바이스(300)가 유,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회로(305)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개인키는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관리자에 의하여 직접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디바이스(300)는 복호화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개인키의 유효기간을 체크할 수 있다. 상기 개인키의 유효기간이 경과된 경우 인증 디바이스(300)는 암호화된 제1 인증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없다. 이 경우 인증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암호화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또는 서버(400)에 암호화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인증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 카테고리별로 서로 다른 암호화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카테고리는 직급이나(회사에 속한 사용자 그룹의 경우), 계급(군대에 속한 사용자 그룹의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회사에서 사원들에게 할당되는 암호화 정보와 임원들에게 할당되는 암호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811의 암호화 과정에서 사용자의 카테고리별로 서로 다른 공개키로 암호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작 823의 복호화 과정에서 사용자의 카테고리 별로 서로 다른 개인키로 복호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카테고리 별로 서로 다른 태스크가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카테고리 별로 서로 다른 태스크에 대한 실행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0)는 복호화된 제1 인증 데이터와 제2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825). 이후 동작 827 내지 833은 도 7의 동작 721 내지 727에 대응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증은 복수의 그룹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디바이스(100)가 인증 대상의 사용자들로부터 복수의 인증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복수의 인증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 또는 복호화는 복수의 인증 데이터에 1회 수행될 수 있다. 태스크에 관련된 사용자가 복수일 경우, 복수의 인증 데이터를 한번에 등록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사용자 디바이스(200)에서 인증 디바이스(300)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암호화로 인하여 보안성도 보장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무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방법의 적용 예시로서 네트워크 환경이 제한되는 군사 시설에서 특정 구역에 대한 근무를 위하여 사용자 인증 및 근무 일지 작성 태스크를 수행하는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이하 도 9에 개시된 시스템은 근무 지원 시스템이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무 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 환경이 구비되지 않은 군사 시설의 근무지에서 군인의 근무를 지원, 관리하고, 근무 일지를 기록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근무 지원 시스템은 서버(401)(예: 도 5의 서버(400)), 등록 디바이스(101)(예: 도 2의 등록 디바이스(100)), 사용자 디바이스(201)(예: 도 3의 사용자 디바이스(200)), 인증 디바이스(301)(예: 도 4의 인증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1)는 근무자 인력 편성표를 생성하고, 근무 일지를 기록, 관리할 수 있다. 근무자 인력 편성표는 근무자의 식별 정보와 해당 근무자의 근무 장소, 근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무 일지는 특정 근무 장소, 근무 시간에 대한 일지로 이해될 수 있다.
서버(401)와 등록 디바이스(101)는 컨트롤 센터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센터는 군사 시설 내의 안전 구역으로서, 군사 시설의 행정 업무가 집행되는 곳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1)는 군사 시설 내의 각각의 근무 지역들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근무 지역에서의 근무자의 근무 시작 여부, 진행 여부, 종료 여부를 기록하기 위한 인증 디바이스(301)를 통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근무자인 군인은 사용자 디바이스(201)를 휴대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에는 근무 지원 시스템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시킴으로써, 근무 지원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근무 스케줄이 정해지면, 근무 지원 시스템은 근무자로 지정된 사용자(이하, 근무자)의 지문데이터를 등록 디바이스(101)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만약, 이미 등록 디바이스(101)에 근무자의 지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지문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가 등록 디바이스(101)에 근거리 통신(NFC)을 통하여 태깅되면, 상기 근무자의 제1 지문 데이터는 등록 디바이스(101)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201)로 이동되어 사용자 디바이스(201)의 메모리(예: 도 3의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근무자는 자신의 지문 데이터가 저장된 사용자 디바이스(201)를 휴대하고 근무 구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 디바이스(201)가 근무지에 배치된 인증 디바이스(301)에 근거리 통신(NFC)을 통하여 태깅되면, 제1 지문 데이터는 사용자 디바이스(201)로부터 인증 디바이스(301)로 이동되어, 인증 디바이스(301)의 메모리(예: 도 가 4의 메모리(420))에 저장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1)는 지문 인식 모듈(예: 도 4의 인증 정보 획득 모듈(330))을 통해 근무자의 제2 지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1)는 제1 지문 데이터와 제2 지문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근무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 디바이스(301)는 사용자 디바이스(201)로 인증 성공 플래그 값을 전송할 수 있다. 근무 지원 시스템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태스크는 근무 일지 작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성공 플래그 값의 전송에 응답하여, 근무 일지 작성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따라 근무자는 근무 일지 데이터를 입력(근무 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근무 일지는 사용자 디바이스(201)를 통해 서버(401)에 업로드 될 수 있다. 서버(401)는 입력된 근무 일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에에 따른 근무 지원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근무 지원 서비스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 화면의 예시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각 동작 별로 표시되는 사용자 디바이스(201)의 화면의 예시도 함께 살펴본다.
서버(401)는 근무자 인력 편성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근무자인 제1 사용자에 대한 근무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1001). 서버(40)는 등록 디바이스(101)로 제1 사용자에 대한 근무 스케줄 정보 및 제1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근무 스케줄에 의하여 정해진 때에 사용자 디바이스(201)를 소지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화면(1100)이 사용자 디바이스(20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화면(110)은 컨트롤 센터에 구비된 등록 디바이스(101)와 사용자 디바이스(201) 사이의 태그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상기 태그 입력 전까지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제1 화면(1100)의 출력에 응답하여, 등록 디바이스(101)에 사용자 디바이스(201)를 태깅할 수 있다(1005).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태그 입력에 따라 표시된 제2 화면(1110)이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태그 입력(1007) 이후에는 모든 사용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체크리스트 정보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체크리스트 정보는 서버(401)에 저장된 근무 일지에 포함되는 항목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리스트 정보에는 각 근무지 별로 근무 시간 동안 확인해야할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등록 디바이스(101)에 지문을 입력할 수 있다. 등록 디바이스(101)는 지문 획득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1007).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 디바이스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1009).
도 11a의 제3 화면(1120)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 입력이 완료된 이후 사용자 디바이스(201)에 표시되는 화면이 도시되었다.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근무할 근무지에 대한 체크리스트 정보를 로딩하는 화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서버(401)로부터 수신된 근무 스케줄 정보와 상기 스케줄에 따라 입력해야 할 체크리스트 정보를 등록 디바이스(101)로부터 다운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서버로(401)부터 직접 근무 스케줄 정보와 체크리스트 정보를 다운받을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201)에 대해서 특정 사용자에 의하여 로그인이 완료되면 제4 화면(1130)이 사용자 디바이스(201)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근무 지원 서비스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근무 지원 서비스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201)를 소지하게 된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201)의 근무 지원 시스템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 상태가 될 수 있다.
제4 화면(1130)을 참조하면, 근무지 코드에 대해 체크할 목록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근무지 코드는 복수의 근무지 중 어느 한 근무지에 대한 식별 코드로 이해될 수 있다. 근무지 코드는 해당 근무지의 인증 디바이스(301)의 식별 정보로도 참조될 수 있다. 체크할 목록 개수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입력해야 할 항목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근무지에 도착해서 사용자 디바이스(201)를 이용하여 인증 디바이스(301)에 태깅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와 인증 디바이스(301) 사이에 태그 입력이 발생하면(1011), 사용자 디바이스(201)에 저장된 제1 지문 데이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디바이스(301)로 전송될 수 있다(1013).
도 11b의 제5 화면(1140)을 참조하면, 태그 입력에 응답한 동기화 대기 화면이 표시되었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제6 화면(1150)을 통해 인증 디바이스(301)에 지문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1)는 제1 사용자의 제2 지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1015).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상기 제5 화면(1140)의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입력된 지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문 데이터는 인증 디바이스(301)의 지문 인식 모듈(예: 도 4의 인증 정보 획득 모듈(330))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1)는 제1 지문 데이터와 제2 지문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제1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1017). 인증이 성공하면, 인증 디바이스(301)는 성공 플래그 값과 근무지 코드 값을 사용자 디바이스(201)에 전송할 수 있다(1019).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수신된 근무지 코드 값에 기초한 입력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1021). 입력 요청 이벤트란, 예를 들어 특정 근무지의 체크 리스트에 대한 입력 요청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상기 입력 요청 이벤트에 응답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023).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 디바이스(201)의 메모리(예: 도 3의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후에 사용자 디바이스(201)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팝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1c의 제7 화면(1160)을 참조하면 특정 근무지에 대한 체크 리스크가 표시된 화면이 예를 들어 도시 되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예를 들어, 각 항목에 대해 불량/양호/우수 중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과 특이 사항에 대한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근무 일지의 체크리스트 항목 체크는 컨트롤 센터의 관리자에 의하여 추가, 변경, 삭제될 수 있다. 변경 사항은 서버(401)에 반영되고, 서버(401)와 사용자 디바이스(2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201)에 반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동작 1021 및 2023는 팝업 이벤트로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1c의 제8 화면(1170)을 참조하면 인증 디바이스(301)와 사용자 디바이스(201)의 태그 입력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재 인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미리 지정된 시간일 수 있고, 랜덤으로 결정되는 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재 인증을 요구하는 메시지는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팝업될 수 있다.
반복적으로 인증을 요구함으로써, 제1 사용자가 계속하여 근무지에 위치하여 근무를 지속하고 있는지 여부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제1 사용자의 근무 위치, 근무시간, 인증 횟수를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상기 기록들은 서버(401)로 업로드될 수 있고, 서버(401)의 근무 일지에 반영될 수 있다. 상기 반복적 인증을 통하여 근무자의 근무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인증 디바이스(301)는 제1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 경과되거나, 추가적으로 인증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고 미리 정의된 상황의 경우 수신한 제1 지문 데이터 및 제2 지문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1025).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서버(401)로 전송할 수 있다(1027).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사용자의 근무가 종료된 후, 근무 시간 동안 입력된 데이터가 서버(401)로 자동으로 업로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컨트롤 센터에 사용자 디바이스(201)의 거치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01)가 거치 공간에 위치되면 상기 입력 데이터가 자동으로 업로드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서버(401)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근무 일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1031). 사용자 디바이스(201)는 상기 입력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제1 지문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1029).
도 11d의 제9 화면(1180)을 참조하면, 입력 데이터가 전송되고, 서버(401)의 근무 일지가 업데이트 되는 동안 대기 화면이 예를 들어 도시 되었다. 제10 화면(1190)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201)가 거치 공간에 배치될 때 근무일지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업데이트가 완료된 경우 거치 공간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01)를 제거해달라는 요청 메시지가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도 2의 등록 디바이스(100), 도 3의 사용자 디바이스(200), 도 4의 인증 디바이스(300), 도 4의 서버(4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도 2의 메모리(120), 도 3의 메모리(220), 도 4의 메모리(320), 도 5의 메모리(4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도 2의 등록 디바이스(100), 도 3의 사용자 디바이스(200), 도 4의 인증 디바이스(300), 도 4의 서버(400))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10), 도 2의 프로세서(210), 도 3의 프로세서(320), 도 4이 프로세서(4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5)
- 제1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 제3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제3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통신회로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상기 제3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통해 제1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획득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3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통해 제2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성공 플래그 값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특정 사용자와 연관된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태스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태스크와 연관된 암호화 정보로서 한 쌍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공개키를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개인키를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제1 인증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된 제1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고,
상기 암호화된 제1 인증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한 쌍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개인키와 공개키의 유효기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 제1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 및 제3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제3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통해 제1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획득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태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3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통해 제2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제2 디바이스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성공 플래그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성공 플래그 값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수신된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한 입력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 요청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및 상기 제2 인증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한 관리자 인증을 성공하면, 상기 제1 인증 데이터 획득 모듈을 통해 제1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증 방법. - 삭제
- 삭제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태그 입력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인증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의 태그 입력의 발생에 응답하여, 수신된 상기 제1 인증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데이터와 관련된 인증 성공의 플래그 값을 수신하고,
상기 플래그 값의 수신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되,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태스크의 맵핑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플래그 값과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맵핑된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의 태그 입력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디바이스에 제2 인증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삭제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 요청 이벤트에 응답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삭제
- 청구항 9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무선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태스크의 수행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태스크가 수행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4571A KR102408528B1 (ko) | 2020-11-30 | 2020-11-30 |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4571A KR102408528B1 (ko) | 2020-11-30 | 2020-11-30 |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5937A KR20220075937A (ko) | 2022-06-08 |
KR102408528B1 true KR102408528B1 (ko) | 2022-06-15 |
Family
ID=8198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4571A KR102408528B1 (ko) | 2020-11-30 | 2020-11-30 |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852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9599B1 (ko) * | 2014-06-02 | 2015-09-02 | 고권태 |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
KR102009863B1 (ko) * | 2018-12-05 | 2019-08-12 | 주식회사 후본 | 보안카드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출입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방법 |
JP2020144447A (ja) * | 2019-03-04 | 2020-09-1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ゲート開閉制御装置およびゲート開閉制御方法 |
-
2020
- 2020-11-30 KR KR1020200164571A patent/KR1024085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9599B1 (ko) * | 2014-06-02 | 2015-09-02 | 고권태 |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
KR102009863B1 (ko) * | 2018-12-05 | 2019-08-12 | 주식회사 후본 | 보안카드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출입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방법 |
JP2020144447A (ja) * | 2019-03-04 | 2020-09-10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ゲート開閉制御装置およびゲート開閉制御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5937A (ko) | 2022-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8846B1 (ko) | 복수의 장치로부터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시스템 | |
US9621562B2 (en) | Propagating authentication between terminals | |
CA2832754C (en) |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merchants to share tokens | |
JP2019061672A (ja) | 期限付セキュアアクセス | |
US10185816B2 (en) | Controlling user access to electronic resources without password | |
CN109074693B (zh) | 用于访问控制系统的虚拟面板 | |
EP3937040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login access | |
US10764049B2 (en) | Method for determining approval for access to gate through network, and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using the same | |
US1176496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access control of secure memory using a short-range transceiver | |
US8990887B2 (en) | Secure mechanisms to enable mobile device communication with a security panel | |
JP4812371B2 (ja) | 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認証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装置 | |
US11599872B2 (en) | System and network for access control to real property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 |
US20240022403A1 (en) | Delivering random number keys securely for one-time pad symmetric key encryption | |
KR102408528B1 (ko) |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 |
US20220278840A1 (en) |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utilization control device, user terminal, utiliz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 |
KR101603988B1 (ko) |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 |
JP2014158222A (ja) | 鍵配信システム | |
US11971973B2 (en) | Uilization control system, use permit issuance device, uiliz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 |
KR20240137177A (ko) | 배송기사의 신원 인증을 통한 배송 출입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인증 서버 | |
Bartock et al. | 18 This publication is available free of charge | |
GB2511769A (en) |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verification of financial transac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