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679B1 - 탱크 보유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탱크 보유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679B1
KR102499679B1 KR1020210057048A KR20210057048A KR102499679B1 KR 102499679 B1 KR102499679 B1 KR 102499679B1 KR 1020210057048 A KR1020210057048 A KR 1020210057048A KR 20210057048 A KR20210057048 A KR 20210057048A KR 102499679 B1 KR102499679 B1 KR 102499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and
pressing element
reinforcing plat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3521A (ko
Inventor
마나부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3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involving reinforc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60K2015/03315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for 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3Orientation
    • F17C2201/035Orientation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mai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6Small (<1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1Reinforcing means
    • F17C2203/012Reinforcing means on or in the wall, e.g.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04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14Single wall
    • F17C2203/0619Single wall with two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58Synthe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58Synthetics
    • F17C2203/0663Synthetics in form of fibers or fila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07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26On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96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11Closur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uel Cell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필요로 되는 점유 공간(점유 스페이스)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탱크를 보유 지지하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이며, 탱크의 외주를 따라서 배치되는 띠상의 밴드를 갖고, 밴드에는, 돌출되어 탱크 표면을 압박하고, 탄성 변형하는 압박 요소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탱크 보유 지지 장치{TANK HOLDER}
본 개시는, 탱크를 차량 등의 설비에 고정하기 위한 보유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탱크를 차량 등의 설비에 고정하기 위해 탱크를 보유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탱크의 외주의 일방측에 입체 단면의 강성 프레임(지지 부재)을 두고, 이것에 탱크를 부착하고, 타방측에 대략 평판(저강성)의 금속 밴드를 배치하여 그 일단을 강성 프레임에 고정함과 함께, 타단을 코일 스프링으로 눌러, 장력을 부여하여 탱크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704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9-0741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70468호 공보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이 금속 밴드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탱크에 인접한 부위에 코일 스프링을 배치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점유 공간(점유 스페이스)을 요한다. 코일 스프링은 탱크마다 필요하기 때문에, 복수의 탱크를 나열하여 설비에 탑재할 때는 코일 스프링이 점유하는 부분을 확보하는 것을 상정하여 탱크 상호간 거리를 취할 필요가 있어, 탑재하는 탱크가 많으면 그를 위해 요하는 스페이스가 현저해진다.
또한, 탱크 직경의 개체차, 충전에 의한 팽창 등으로 탱크와 강성 프레임의 접점이 상승하고, 이 때문에 탱크 둘레 상단이 탱크 직경의 확대량을 상회하는 위치 상승이 되는 경우가 있어, 이것을 미리 감안하여 스페이스를 확보해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의 낭비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본 개시는, 이들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필요로 되는 공간(스페이스)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탱크를 보유 지지하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이며, 탱크의 외주를 따라서 배치되는 띠상의 밴드를 갖고, 밴드에는, 돌출되어 탱크 표면을 압박하고, 탄성 변형하는 압박 요소가 복수 마련되어 있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를 개시한다.
밴드가 2개 마련되어도 되고, 해당 2개의 밴드에 의해 탱크의 외주를 사이에 놓고, 2개의 밴드의 단부끼리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밴드의 단부에 보강판을 배치해도 되고, 보강판에는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을 마련할 수 있다.
압박 요소는 그 양단이 밴드에 연결되어 있는 판상이어도 된다.
압박 요소는 그 일단이 자유단이어도 된다.
압박부는 커버에 의해 피복되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적어도 종래와 같이 코일 스프링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점유 스페이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가 배치된 탱크(1)를 평면으로 본 도면.
도 2는 도 1의 A-A 화살 표시 단면도.
도 3은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가 배치된 탱크(1)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4는 도 1의 B-B 화살 표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C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3에 D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보강판(12) 및 보강판(22)의 부분에 주목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다른 예의 보강판(12) 및 보강판(22)의 부분에 주목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다른 예의 보강판(12) 및 보강판(22)의 부분에 주목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화살표 E의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
도 11은 도 1에 F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G-G선을 따른 절단면.
도 13은 밴드(13)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밴드(13)의 다른 형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밴드(13)의 다른 형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밴드(53)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H-H선을 따른 절단면.
도 18은 밴드(63)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의 I-I선을 따른 절단면.
도 20은 도 18의 J-J선을 따른 절단면.
도 21은 밴드(73)를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K-K선을 따른 절단면.
도 23은 도 21의 L-L선을 따른 절단면.
도 24는 커버(80)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가 배치된 탱크(1)가 설비에 고정된 장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도 25에 M으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도 27은 탱크의 직경의 차이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28은 탱크의 직경의 차이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29는 도 27에 N으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도 30은 도 28에 P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도 1 내지 도 4에는 하나의 예에 관한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에 탱크(1)가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1은 탱크(1) 및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의 평면도(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도 1의 A-A 화살 표시 단면도, 도 3은 탱크(1) 및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의 우측면도(도 1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는 도 1의 B-B 화살 표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2개의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에 의해 탱크(1)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단, 1개의 탱크에 사용하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그 수를 정할 수 있다.
1. 탱크의 구조
도 1 내지 도 4에는 보유 지지되는 하나의 예에 관한 탱크(1)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연료 전지차용의 연료인 수소를 저장하는 탱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탱크(1)는 그 내부가 고압으로 되기 때문에, 고압 탱크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본 예의 탱크(1)는 라이너(2), 마우스피스(3) 및 보강층(4)을 갖고 있다. 이하에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이너>
라이너(2)는, 탱크(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중공의 부재이다. 라이너(2)는, 통 형상 부재이며, 그 내부 공간에 수용된 것(본 예에서는 수소)을 누설하지 않고 보유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너(2)는 통의 축 방향 양단에서 직경이 좁혀져 있고, 그 개구에 마우스피스(3)가 끼워 넣어져 있다.
라이너(2)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것을 누설하지 않고 보유 지지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재료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예에서는 나일론 수지, 폴리에틸렌계의 합성 수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라이너(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량화의 관점에서 0.5㎜ 내지 3.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우스피스>
마우스피스(3)는, 라이너(2)의 개구단부에 배치된 금속제의 부재이며, 탱크(1)를 제조할 때의 척 부분으로 되거나, 탱크(1)로의 수용물의 충전 및 탱크(1)로부터의 수용물의 취출 시의 출입구를 형성하거나 한다. 이와 같은 마우스피스의 구조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층>
보강층(4)은, 섬유층 및 섬유층에 함침되어 경화된 수지를 갖고 있다. 섬유층은, 라이너(2)의 외표면에 섬유 다발이 소정의 두께로까지 몇 층에나 걸쳐 감겨져 구성되어 있다.
섬유층의 섬유 다발에는 탄소 섬유가 사용되고 있고, 섬유 다발은 탄소 섬유가 다발이 되어 소정의 단면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띠상이다.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단면 형상이, 폭 6㎜ 내지 9㎜, 두께가 0.1㎜ 내지 0.15㎜ 정도인 직사각형인 것을 들 수 있다. 섬유 다발에 포함되는 탄소 섬유의 양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36000개 정도의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소 섬유에 의한 섬유 다발이 라이너(2)의 외표면에 감김으로써 섬유층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층(4)에 있어서 섬유층에 함침되어 경화된 수지는, 처음에는 유동성이 있는 상태에서 섬유층에 침투하고, 그 후, 어떠한 방법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섬유층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에는 예를 들어 열에 의해 경화되는 열경화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아민계 또는 무수물계의 경화 촉진제, 및, 고무계의 강화제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있다. 그 밖에, 에폭시 수지를 주제로 하고, 이것에 경화제를 섞음으로써 경화되는 수지 조성물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주제와 경화제를 섞고 나서 경화될 때까지의 동안에 이 혼합물인 수지 조성물을 섬유층에 침투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경화된다.
<기타>
탱크에는, 상기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서 보호층을 마련해도 된다. 보호층은 보강층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고, 유리 섬유가 감기고, 여기에 수지가 함침되어 이루어지는 층이다. 함침되는 수지는 보강층과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압 탱크에 대하여 내충격성이 부여된다. 보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 내지 1.5㎜ 정도로 할 수 있다.
2. 탱크 보유 지지 장치
본 형태의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보유 지지 부재(11) 및 제2 보유 지지 부재(21)를 갖고, 제1 보유 지지 부재(11) 및 제2 보유 지지 부재(21)로 탱크(1)를 외주부에서 집고, 단부끼리가 연결 부재(3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탱크(1)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 보유 지지 부재(11)는 보강판(12) 및 밴드(13)를 갖고 구성되고, 제2 보유 지지 부재(21)는 보강판(22) 및 밴드(23)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2. 1. 보강판
보강판(12)은 띠상의 밴드(13)의 양단의 각각에 배치되고, 보강판(22)은 띠상의 밴드(23)의 양단의 각각에 배치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보강판(12)을 설명하는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5는 도 1에 C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단, 연결 부재(30) 및 탱크(1)는 제외하고 있다. 도 6은 도 3에 D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단 연결 부재(30)는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에는 보강판(12) 및 보강판(22)의 부분에 주목하여 확대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본 형태에서는 보강판(12)과 보강판(22)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보강판(12)에 대하여 설명하고, 보강판(22)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보강판(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에 있어서, 「길이 방향」은 띠상인 밴드(13), 밴드(23)의 긴 쪽 방향, 「폭 방향」은 띠상인 밴드(13), 밴드(23)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본 형태에서 보강판(12)은, 밴드(13)(보강판(22)에서는 밴드(23))의 단부의 한쪽의 면에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그 폭 방향의 크기는 당해 배치되는 부위에 있어서의 밴드(13)의 폭 방향 크기와 동일 정도이다.
보강판(12)의 길이 방향의 크기는, 탱크(1)를 보유 지지한 자세에서, 밴드(13)의 한쪽의 면과 밴드(23)의 한쪽의 면이 겹치는 범위를 포함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안정된 탱크(1)의 고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밴드(13)와 밴드(23)가 겹치는 부위를 초과하여 밴드(13)와 밴드(23)가 이격되는 위치로까지 연장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더욱 안정된 탱크(1)의 보유 지지가 가능해진다. 이때, 밴드(13)와 밴드(23)가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보강판(12)의 부분은, 두께 방향으로 만곡한 만곡부(12c)(보강판(22)에서는 만곡부(22c))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만곡부(12c)는, 도 6이나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판(12)의 테두리가 밴드(13)에 강하게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1)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보강판(12)의 만곡부(12c)의 테두리가 밴드(13)에 접촉하지 않도록 젖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강판(12)의 테두리로 밴드(13)를 손상시키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보강판(12)의 길이 방향 중 밴드(13)의 단부측을 향하는 단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12a)(보강판(22)에서는 구멍(22a))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12a)은 연결 부재(30)가 통과되어 제2 보유 지지 부재(21)의 보강판(22)과 고정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구멍(12a)은 보강판(1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부위에 구멍(12a)을 마련해도 된다. 도 8에 예를 도시하였다. 도 8의 예에서는 보강판(12)의 폭 방향의 일단측에 구멍(12a)을 마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멍(12a)이 보강판(1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으면 탱크(1)를 보유 지지하는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을 때, 도 1 내지 도 7과 같은 구멍(12a)(구멍(22a)) 대신에 도 8과 같은 구멍(12a)(구멍(22a))으로 해도 된다. 이 구멍(12a)도 연결 부재(30)가 통과되는 구멍이다.
또한, 보강판(12)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긴 구멍(12b)(보강판(22)에서는 긴 구멍(22b))을 갖고 있다. 이 긴 구멍(12b), 긴 구멍(22b)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기를 고정 부재(6)가 통과되고, 이에 의해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가 배치된 탱크(1)가 예를 들어 차량 등의 설비에 고정된다.
이 긴 구멍(12b), 긴 구멍(22b)을 통과한 고정 부재(6)로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가 배치된 탱크(1)가 설비에 고정됨으로써, 탱크(1)의 팽창, 수축에 수반되는 보강판(12), 보강판(22)의 긴 쪽 방향의 이동을 흡수할 수 있다. 탱크(1)의 팽창, 수축에 수반되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강판(12), 보강판(22)은 제1 보유 지지 부재(11)와 제2 보유 지지 부재(21)를 연결하고, 또한 고정 부재(6)에 의해 설비에 고정되는 부위이며,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는 것을 피하는 관점에서 얇아도 높은 강도를 갖는 재료인 것이 좋기 때문에,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두께 1㎜ 내지 3㎜ 정도의 스테인리스강을 들 수 있다.
또한, 보강판(12)과 밴드(13)는 접합해도 접합하지 않아도 되지만,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탱크 보유 지지 장치로 하는 관점에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접착제에 의한 접합이나 용접 등을 들 수 있다.
여기까지 설명한 보강판(12)과 보강판(22)은 동일한 형상이다. 이에 의해 부품의 종류를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단, 이에 한하지 않고, 보강판(12)과 보강판(22)이 다른 형상을 가져도 된다. 도 9, 도 10에는 보강판(12)과 보강판(22)의 형상이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도 9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9, 도 10의 예에서는 보강판(12)의 폭 방향의 테두리로부터 보강판(22)쪽을 향하여 기립하는 편부(12d)가 구비되어 있고, 보강판(22)의 폭 방향의 테두리로부터는 보강판(12)과는 반대측이 되는 방향으로 기립하는 편부(22d)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0으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보강판(12)의 2개의 편부(12d) 사이의 크기가, 보강판(22)의 폭 방향의 크기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보강판(12)과 보강판(22)을 겹쳐서 연결 부재(30)로 연결하였을 때 보강판(12)의 편부(12d) 사이에 보강판(22)을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편부(12d), 편부(22d)에 의해 보강판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음과 함께, 2개의 보강판을 콤팩트하게 겹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2. 밴드
<밴드의 형태 1>
밴드(13), 밴드(23)는 띠상의 부재이며,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에 의해 탱크(1)가 보유 지지된 자세에서 도 1 내지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밴드(13) 및 밴드(23)는, 밴드(13) 및 밴드(23)로 탱크(1)를 집도록 하여 탱크(1)의 외주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13), 밴드(23)는, 그 길이 방향과 폭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일방측의 면을 탱크(1)의 외주에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두께 방향이 탱크의 직경 방향이 된다.
본 개시에서는, 밴드(13), 밴드(23)가 그 두께 방향으로 압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탱크(1)의 직경 방향으로의 압박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탱크(1)의 외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1, 도 12에는 본 형태의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가 구비하는 밴드(13)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1은 도 1에 F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G-G선을 따른 절단면이다. 또한, 도 13에는 밴드(13)의 일부를 사시도로 나타냈다.
여기서, 본 형태에서는 밴드(13)와 밴드(23)는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밴드(13)에 대하여 설명하고, 밴드(23)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밴드(2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본 형태의 밴드(13)는, 기부(14), 및, 압박부(15)를 갖고 있다(밴드(23)에서는 기부(24) 및 압박부(25)).
기부(14)는 밴드(13)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며, 전체로서 띠상이다. 본 형태의 밴드(13)의 기부(14)는 보강판(12)에 겹치는 부분에서 폭 방향이 크고, 그것 이외의 대부분은 이것보다 폭 방향이 작게 되어 있다. 이 폭 방향의 크기가 작은 부분에 압박 요소(16)가 구비됨으로써 압박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14) 중, 보강판(12)에 겹치는 부분에는, 보강판(12)의 구멍(12a), 긴 구멍(12b)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 및 긴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보강판(12) 및 밴드(1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박부(15)는, 복수의 압박 요소(16)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본 형태에서는 기부(14)의 폭 방향의 크기가 작은 부위에 마련되어 있고, 기부(14)의 폭 방향의 양측의 각각에 압박 요소(16)가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형태에서는, 기부(14)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는 압박 요소(16)가 기부(14)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2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압박 요소(16)는, 기부(14)에 연결된 근본부(16a)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부(16b)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단,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박 요소(16)가 연장되는 방향은 폭 방향임과 함께 기부(14)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탱크(1)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선단부(16b)가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밴드(13)가 탱크(1)의 외주에 배치되었을 때는 압박 요소(16)의 선단부(16b)가 탱크(1)의 외주에 접하고, 기부(14)는 탱크(1)의 외주로부터 부상하는 양태가 된다. 그리고 압박 요소(16)가 탱크(1)로부터 압박력을 받아, 압박 요소(16)의 선단부(16b)가 도 12에 화살표 α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형되고, 압박 요소(16)는 이것에 저항하는 가압력이 발생하여 압박 요소(16)가 탱크(1)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밴드(13)가 탱크(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압박력은 탱크(1)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한 압박 요소(16)의 탄성 변형의 정도에 따라 변화되지만, 어느 경우에도 탄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탱크를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압박 부재(16)의 형상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형태에서 압박 요소(16)는, 도 11의 시점에서 근본부(16a)로부터 선단부(16b)를 향하여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이에 의해, 압박 요소(16)의 변위 시에 있어서 각 부에 발생하는 응력의 균등화를 높일 수 있다. 즉, 압박 요소에 대하여, 근본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변형 시의 응력 분포가 평준화되고, 선단부에 일정한 변위를 부여하였을 때의 최대 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압박 요소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재료 면적이 작은 설계를 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도 가능해진다.
한편, 근본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가늘게 하지 않고 일정한 경우에는, 근원부의 굽힘 응력이 커지는 경향이 있어, 탱크에 접촉하는 선단부의 전방의 응력이 작고, 그 차(배율)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압박 요소에 일정한 변위(탱크 직경의 변화에 수반되는 변위)를 부여할 때, 근원부에 집중된 응력이 판재의 항복 응력을 초과하지 않는 설계로 하기 위해, 압박 요소를 길게 해야만 하여, 사용하는 재료의 면적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단, 이와 같은 사항이 문제가 되지 않으면, 반드시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본부(16a)로부터 선단부(16b)를 향하여 가늘어지지 않는 형태여도 된다. 도 14는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형태에서 압박 요소(16)는 그 선단부(16b)에 있어서 경사 각도가 변화되는 굴곡된 부위인 클로부(16c)를 갖고 있다. 이 굴곡은 압박 요소가 탱크로부터 높은 압력을 받아 변위가 커졌을 때 탱크의 표면에 평행하게 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특히 압박 요소(16)가 탱크(1)로부터 높은 압력을 받았을 때 압박 요소(16)와 탱크(1)의 접촉 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압박 요소(16)의 테두리에 의한 탱크(1)의 표면에 대한 손상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클로부(16c)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압박 요소가 탱크로부터 힘을 받았을 때 그 선단부뿐만 아니라 선단부와 근본부 사이의 많은 부분 또는 전부에서 탱크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클로부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압박 요소를 변형되기 어려운 강성으로 한 경우에는 선단부에서만 탱크에 접촉하기 쉽기 때문에, 클로부의 효과가 현저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 압박 요소(16)는 기부(14)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14)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에서 동일 위치가 되지 않도록 길이 방향의 피치를 절반 어긋나게 하도록 배열해도 된다. 도 15는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 의하면, 압박 요소(16)가 탱크(1)를 압박하였을 때 압박 요소(16)의 근본부(16a)와 기부(14)의 접속부에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에 다른 것에 비해 큰 응력이 발생하지만, 도 15의 예에 의하면, 압박 요소(16)가 상기와 같이 반피치 어긋나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응력이 높아지는 위치가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높은 강도 확보의 관점에서 유용하다.
이와 같은 밴드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개시에서는 밴드가 압박 요소를 구비하여 판 스프링으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하는 관점에서, 강도 및 탄성 변형에 유리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을 들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탄성을 얻기 위해 재료, 두께 및 압박 요소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두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테인리스강의 경우에는 0.5㎜ 내지 2㎜ 정도의 것을 들 수 있다.
<밴드의 형태 2>
도 16, 도 17에는, 상기한 밴드(13)와는 다른 형태의 밴드(53)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16은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 H-H로 나타낸 선을 따른 절단면이다.
밴드(53)에서는 띠상의 기부(54)의 내측에 복수의 압박 요소(56)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압박부(55)가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압박 요소(56)는, 기부(54)의 폭 방향의 일단측을 근본부(56a)로 하여 기부(54)에 연결되어 있고, 기부(54)의 폭 방향의 타단측으로 연장되고, 선단부(56b)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단,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박 요소(56)가 연장되는 방향은, 폭 방향임과 함께 근본부(56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탱크(1)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고 선단부(56b)가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밴드(53)가 탱크(1)의 외주에 배치되었을 때는 압박 요소(56)의 선단부(56b)측이 탱크(1)의 외주에 접하고, 기부(54)는 탱크(1)의 외주로부터 부상하는 양태가 된다. 그리고 압박 요소(56)가 탱크(1)로부터 압박력을 받아, 압박 요소(56)의 선단부(56b)가 도 17에 화살표 α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형되고, 압박 요소(56)는 이것에 저항하는 가압력이 발생하여 압박 요소(56)가 탱크(1)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밴드(53)가 탱크(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압박력은 탱크(1)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한 압박 요소(56)의 탄성 변형의 정도에 따라 변화되지만, 어느 경우에도 탄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탱크를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압박 부재(56)의 형상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형태의 압박 요소(56)도, 그 선단부(56b)가 기부(54)측을 향하여 굴곡하는 클로부(56c)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탱크(1)에 대한 접촉에 의한 큰 압력 발생이나 탱크(1)에 대한 손상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밴드(53)를 상기 밴드(13), 밴드(23) 대신에 사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된다.
<밴드의 형태 3>
도 18 내지 도 20에는, 상기한 밴드와는 다른 형태의 밴드(63)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18은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에 I-I로 나타낸 선을 따른 절단면, 도 20은 도 18에 J-J로 나타낸 선을 따른 절단면이다.
밴드(63)에서는 띠상의 기부(64)의 내측에 2종류의 압박 요소인 제1 압박 요소(66) 및 제2 압박 요소(67)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됨으로써 압박부(65)가 구성되어 있다.
제1 압박 요소(66)는, 기부(64)의 폭 방향의 일단측을 근본부(66a), 기부(64)의 폭 방향의 타단측을 근본부(66b)로 하여 각각 기부(64)에 연결되어 있고, 이 2개의 근본부인 근본부(66a)와 근본부(66b)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가 두께 방향(탱크(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압박 요소(66)는, 근본부(66a), 근본부(66b)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임과 함께, 탱크(1)에도 가까워지도록 경사져서 연장된다. 그리고 두께 방향에서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평행해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이 제1 압박 요소(66) 중 폭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이 탱크(1)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2 압박 요소(67)는, 기부(64)의 폭 방향의 일단측을 근본부(67a), 기부(64)의 폭 방향의 타단측을 근본부(67b)로 하여 각각 기부(64)에 연결되어 있고, 이 2개의 근본부인 근본부(67a)와 근본부(67b)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가 두께 방향(탱크(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제1 압박 요소(66)와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압박 요소(67)는, 근본부(67a), 근본부(67b)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임과 함께, 탱크(1)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두께 방향에서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평행해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이 제2 압박 요소(67)가 탱크(1)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형태에서는 제1 압박 요소(66)가 탱크(1)의 외주에 접하고 기부(64)는 탱크(1)의 외주로부터 부상하는 양태가 된다. 제1 압박 요소(66)가 탱크(1)로부터 힘을 받으면 제1 압박 요소(66)는, 도 19에 α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시켜진다. 제1 압박 요소(66)는 폭 방향 양단이 기부(6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19에 직선 β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64)가 폭 방향으로 확대되는 변형을 수반한다. 이에 의해 제2 압박 요소(67)가 도 20의 화살표 γ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되고, 이것에 압박부(65)에서는 전체로서 이 변형에 저항하는 가압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가압력에 의해 탱크(1)를 압박하여 탱크(1)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본 형태에서는, 제1 압박 요소(66)와 제2 압박 요소(67)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나열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요구되는 탄성력을 얻기 위해 제1 압박 요소(66)와 제2 압박 요소(67)를 필요한 비율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63)를 상기 밴드(13), 밴드(23) 대신에 사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된다.
<밴드의 형태 4>
도 21 내지 도 23에는, 상기한 밴드와는 다른 형태의 밴드(73)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21은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에 K-K로 나타낸 선을 따른 절단면, 도 23은 도 21에 L-L로 나타낸 선을 따른 절단면이다.
밴드(73)에서는 띠상의 기부(74)의 내측에 2종류의 압박 요소인 제1 압박 요소(76), 및, 제2 압박 요소(77)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됨으로써 압박부(75)가 구성되어 있다.
제1 압박 요소(76)는, 기부(74)의 폭 방향의 일단측을 근본부(76a), 기부(74)의 폭 방향의 타단측을 근본부(76b)로 하여 각각 기부(74)에 연결되어 있고, 이 2개의 근본부인 근본부(76a)와 근본부(76b)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압박 요소(76)는, 근본부(76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탱크(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부위를 갖고,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곳에서 폭 방향으로 평행해지는 부위를 구비한다. 또한 근본부(76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탱크(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부위를 갖고,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곳에서 폭 방향으로 평행해지는 부위를 갖는다. 그리고 근본부(76b)를 향하여 탱크(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부위를 갖고 근본부(76b)에 이른다.
제2 압박 요소(77)는, 기부(74)의 폭 방향의 일단측을 근본부(77a), 기부(74)의 폭 방향의 타단측을 근본부(77b)로 하여 각각 기부(74)에 연결되어 있고, 이 2개의 근본부인 근본부(77a)와 근본부(77b)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압박 요소(77)는, 근본부(77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탱크(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부위를 갖고,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곳에서 폭 방향으로 평행해지는 부위를 구비한다. 또한 근본부(77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탱크(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부위를 갖고,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곳에서 폭 방향으로 평행해지는 부위를 갖는다. 그리고 근본부(77b)를 향하여 탱크(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부위를 갖고 근본부(77b)에 이른다.
본 형태에서는 제1 압박 요소(76) 및 제2 압박 요소(77)가, 폭 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각각 탱크(1)의 외주에 접하고, 기부(74)는 탱크(1)의 외주면으로부터 부상하는 양태가 된다. 제1 압박 요소(76) 및 제2 압박 요소(77)는, 탱크(1)에 접하는 부분에서 도 22, 도 23에 화살표 α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형된다. 제1 압박 요소(76) 및 제2 압박 요소(77)는 폭 방향 양단이 기부(7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압박 요소(76) 및 제2 압박 요소(77)가 도 22, 도 23에 화살표 β와 같이 기부(74)가 폭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제1 압박 요소(76) 및 제2 압박 요소(77) 중 탱크(1)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도 22, 도 23에 화살표 γ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것에 압박부(75)에서는 전체로서 이 변형에 저항하는 가압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가압력에 의해 탱크(1)를 압박하여 탱크(1)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밴드(73)를 상기 밴드(13), 밴드(23) 대신에 사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된다.
2. 3. 연결 부재
연결 부재(30)는 제1 보유 지지 부재(11)의 보강판(12)과 제2 보유 지지 부재(21)의 보강판(22)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 부재(3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트 및 너트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때 너트는 보강판에 미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개별의 부재여도 된다.
2. 4. 커버
각 형태에 구비된 밴드 중, 가압부를 커버에 의해 덮도록 해도 된다. 도 24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24는 밴드(13)에 커버(80)가 배치된 예에 있어서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밴드(13)의 적어도 탱크(1)에 접촉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커버(80)로 덮는다. 여기에서는 밴드(13)를 예로 나타냈지만 상기한 다른 형태에 대해서도 커버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커버는 수지나 고무로 구성할 수 있다. 수지나 고무에 의한 커버로 밴드를 피복함으로써,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밴드가 직접 탱크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탱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2. 5. 제1 보유 지지 부재와 제2 보유 지지 부재의 조합
이상 설명한 제1 보유 지지 부재(11), 및, 제2 보유 지지 부재(21)가 탱크(1)에 배치됨과 함께 양자가 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밴드(13) 및 밴드(23)를 갖는 예로 설명하지만, 상기한 다른 밴드를 갖는 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보유 지지 부재(11) 및 제2 보유 지지 부재(21)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의 외주를 따라서 배치한다. 이때, 밴드(13), 밴드(23)는, 그 면 중 압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면, 즉, 압박 요소(16), 압박 요소(26)(제2 보유 지지 부재(21)의 압박 요소)가 돌출되는 측을 탱크(1)의 표면에 접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10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강판(12), 밴드(13)의 단부, 밴드(23)의 단부, 및, 보강판(22)의 순으로 겹쳐진 부위에 있어서, 구멍(12a) 및 구멍(22a)을 통과한 연결 부재(30)에 의해 이들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가 탱크(1)의 외주부에 배치된다.
3. 탱크 보유 지지 부재가 배치된 탱크의 설비에 대한 고정
이상과 같이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가 배치된 탱크(1)가, 예를 들어 차량 등의 설비에 고정된다. 도 25, 도 26에 설명을 위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25는 탱크(1)가 설비에 고정된 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과 마찬가지의 시점에 의한 도면, 도 26은 도 25에 M으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가 배치된 탱크(1)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6)가 긴 구멍(12b) 및 긴 구멍(22b)(도 7 참조)을 통해 설비의 고정부(5)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탱크(1)가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를 통해 설비에 고정된다.
4. 효과·기타
본 개시의 탱크 보유 지지 장치(10)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27, 도 28에 설명을 위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27은 도 25와 동일한 시점에 의한 도면이고, 도 27은 탱크(1)의 직경이 작은 경우, 또는, 팽창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28은 탱크(1)의 직경이 큰 경우, 또는, 팽창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9는 도 27에 N으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0은 도 28에 P로 나타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보아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탱크(1)의 직경이 작은 경우나 탱크(1)의 팽창 전에 있어서는 보강판(12), 보강판(22)과 탱크(1) 사이의 영역 Q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밴드(13) 및 밴드(23)는, 압박부(15)의 압박 요소(16), 압박부(25)의 압박 요소(26)에 의해 압박력을 부여하면서 탱크(1)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한다. 한편, 탱크(1)의 직경이 큰 경우나 탱크(1)가 내용물의 충전 등에 의해 팽창한 경우에는, 보강판(12), 보강판(22)과 탱크(1) 사이의 영역 Q가 작아져, 밴드(13) 및 밴드(23)는 압박부(15)의 압박 요소(16), 압박부(25)의 압박 요소(26)의 변형이 커짐으로써 압박력이 커지면서 탱크(1)를 더욱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탱크 보유 지지 장치에 의하면, 탱크의 직경의 변화는 밴드에 마련된 압박 요소의 변형 및 밴드의 변형에 의한 영역 Q의 크기의 변화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설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그만큼, 공간(스페이스)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설치가 불필요한 것에 의한 공간의 유효 이용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제1 보유 지지 부재 및 제2 보유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제1 보유 지지 부재 및 제2 보유 지지 부재의 양쪽, 즉, 탱크의 일주에 걸쳐 압박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탱크의 팽창 및 수축에 수반되는 탱크의 직경의 변화가 있어도 탱크의 중심 위치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당해 팽창 및 수축에 의한 변화를 초과하는 크기의 탱크 외주부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관점에서도 공간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탱크의 밸브는 통상, 탱크 마우스피스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본 개시에 의해 탱크 직경의 확대 및 축소에 관계없이, 탱크 중심축 위치가 상하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마우스피스의 위치가 이동하기 어려워져, 밸브에 체결되어 있는 배관에 정적 변형을 부여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차량 주행에 의한 동적 변형이 부가됨으로써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배관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보유 지지 부재 및 제2 보유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사용함으로써 밴드 전체에서 탱크의 팽창 수축에 대한 변화를 흡수하기 때문에, 종래의 코일 스프링과 같이 일방측에 치우쳐 배치되는 수단에 의한 경우에 비해 밴드가 탱크를 보유 지지하는 힘을 균등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어, 탱크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 등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각 예에 있어서의 압박 요소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이 배치에 의하면, 탱크의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압박 요소가 연장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탱크가 팽창 수축할 때 축선 방향으로의 탱크 표면의 이동이 있어도 압박 요소와 탱크 표면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어, 탱크에 대한 압박 요소의 걸림이나 이상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보강판에 관해서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를 구비하는 탱크를 설비에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할 때 보강판의 긴 구멍을 통함으로써 탱크 직경의 변화, 및, 탱크 직경의 차이가 있어도 이 차이를 흡수하면서 탱크를 설비에 고정하고, 고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9와 도 30을 대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탱크의 직경이 작은 경우(도 29)에 보강판(12)의 굴곡부(12c)가 밴드(13), 보강판(22)의 굴곡부(22c)가 밴드(23)에 대하여 간극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탱크의 직경이 큰 경우(도 30)에 굴곡부(12c)에 밴드(13), 굴곡부(22c)에 밴드(23)가 접촉해도, 접촉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어, 보강판(12), 보강판(22)의 테두리에 의한 밴드(13), 밴드(23)에 대한 손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 고압 탱크
10: 탱크 보유 지지 장치
11: 제1 보유 지지 부재
12: 보강판
13: 밴드
16: 압박 요소
21: 제2 보유 지지 부재
22: 보강판
23: 밴드

Claims (6)

  1. 탱크를 보유 지지하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이며,
    탱크의 외주를 따라서 배치되는 띠상의 밴드를 2개 갖고,
    상기 밴드에는, 돌출되어 상기 탱크 표면을 압박하고, 탄성 변형하는 압박 요소가 복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밴드는, 상기 탱크의 외주를 사이에 놓고 상기 2개의 밴드의 단부끼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탱크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밴드의 단부에는 보강판이 배치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밴드의 한쪽 면에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강판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구멍에는 연결 부재가 통과되어 상기 2개의 밴드의 단부끼리를 고정하고,
    상기 2개의 밴드가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보강판의 부분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만곡한 만곡부가 마련되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요소는 그 양단이 상기 밴드에 연결되어 있는 판상인, 탱크 보유 지지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요소는 그 일단이 자유단인, 탱크 보유 지지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요소는 커버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탱크 보유 지지 장치.
KR1020210057048A 2020-06-10 2021-05-03 탱크 보유 지지 장치 KR102499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0727 2020-06-10
JP2020100727A JP7342800B2 (ja) 2020-06-10 2020-06-10 タンク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521A KR20210153521A (ko) 2021-12-17
KR102499679B1 true KR102499679B1 (ko) 2023-02-16

Family

ID=7871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048A KR102499679B1 (ko) 2020-06-10 2021-05-03 탱크 보유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88948A1 (ko)
JP (1) JP7342800B2 (ko)
KR (1) KR102499679B1 (ko)
CN (1) CN113775927B (ko)
DE (1) DE102021110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24866A1 (en) * 2016-05-21 2017-11-30 Worthington Indust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lternative fuel container support
EP4237738A1 (en) * 2020-10-29 2023-09-06 Noble Gas Systems, Inc. Bearing system for conformable tanks
JP2023005967A (ja) * 2021-06-30 2023-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保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9000A1 (en) * 2008-06-12 2009-12-17 Holger Guckes Flexible laminated suspension bracket for composite type 4 tanks
KR101745269B1 (ko) 2016-07-01 2017-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력용기 고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7144926A (ja) 2016-02-18 2017-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タンク搭載車両
US20180326842A1 (en) * 2017-05-11 2018-11-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KR101966455B1 (ko) 2013-08-20 2019-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소 탱크 팽창 흡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9828U (ko) * 1986-12-02 1988-06-10
CA2290259A1 (en) * 1999-11-22 2001-05-22 Rene Rutz Restraining strap for securing pressure vessels
US6840556B1 (en) * 2002-09-26 2005-01-11 Larry K. Catlett Device for lifting gas cylinders
JP2008024258A (ja) * 2006-07-25 2008-02-07 Toyota Motor Corp タンクの固定構造
JP5101212B2 (ja) * 2007-08-20 2012-12-19 株式会社Fts 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5530271B2 (ja) * 2010-06-29 2014-06-25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エアタンク搭載構造
DE102014201328A1 (de) * 2014-01-24 2015-07-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n Druckbehälter oder Gastank
DE202014101667U1 (de) * 2014-04-09 2014-05-02 Beijing Zhi KE Investment and Management Co.,Ltd. Umschlingungsband zur Befestigung eines Tanks und Fahrzeug mit einem solchen Umschlingungsband
JP6028778B2 (ja) * 2014-10-01 2016-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固定装置
JP6119711B2 (ja) 2014-10-01 2017-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固定装置
JP2017087875A (ja) * 2015-11-06 2017-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の搭載構造
JP6780623B2 (ja) * 2017-10-19 2020-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ンク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9000A1 (en) * 2008-06-12 2009-12-17 Holger Guckes Flexible laminated suspension bracket for composite type 4 tanks
KR101966455B1 (ko) 2013-08-20 2019-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소 탱크 팽창 흡수 구조
JP2017144926A (ja) 2016-02-18 2017-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タンク搭載車両
KR101745269B1 (ko) 2016-07-01 2017-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력용기 고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80326842A1 (en) * 2017-05-11 2018-11-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88948A1 (en) 2021-12-16
CN113775927B (zh) 2023-05-12
JP2021195964A (ja) 2021-12-27
DE102021110058A1 (de) 2021-12-16
JP7342800B2 (ja) 2023-09-12
KR20210153521A (ko) 2021-12-17
CN113775927A (zh)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679B1 (ko) 탱크 보유 지지 장치
US4601367A (en) Crash protection structural component
US7264280B2 (en) Flexible tube for an exhaust pipe of an automobile
US6460836B1 (en) Press together air spring
US5735083A (en) Braided airbeam structure
JP2005127388A (ja) 高圧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94728A1 (en) Vibration-damping coupling device
GB2054083A (en) A Tensile/Compressive Member
US20140246822A1 (en) Liquid-filled vibration isolating device
US11052754B2 (en) Fuel tank
US9534717B2 (en) Hose clamp
US20230003348A1 (en) Tank holding device
JP6559519B2 (ja) ロケット結合リング及び宇宙機
JP2019172264A (ja) ロケット結合リング及び宇宙機
US20230003342A1 (en) Tank holding device
JP4993743B2 (ja) 圧力容器の連結構造
WO2021234921A1 (ja) 燃料タンク
KR101966455B1 (ko) 수소 탱크 팽창 흡수 구조
US11486544B2 (en) High-pressure tank, vehicle including high-pressure t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pressure tank
JP2022037525A (ja) タンク保持装置
US20240068618A1 (en) High-pressure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igh-pressure tank
EP3383760B1 (en) Hose clamp
JP2015128962A (ja) 燃料タンク
JP6614020B2 (ja) タンク
JP2006342940A (ja) 空気ば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