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322B1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9322B1 KR102499322B1 KR1020220112640A KR20220112640A KR102499322B1 KR 102499322 B1 KR102499322 B1 KR 102499322B1 KR 1020220112640 A KR1020220112640 A KR 1020220112640A KR 20220112640 A KR20220112640 A KR 20220112640A KR 102499322 B1 KR102499322 B1 KR 102499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compost
- weight
- mixture
- prepare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4000226021 Anacardium occidental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20226 cashew nu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92 calc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255 calcium 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00 im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444 Acid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ZBUYRJDOAKODT-UHFFFAOYSA-N Chlorine Chemical compound ClCl KZBUYRJDOAKOD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125 Firmicut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3040 Glycyrrhiza glab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ROHFNLRQFUQHCH-UHFFFAOYSA-N 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ROHFNLRQFUQH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24853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03593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58706 Pip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45768 Pluchea carol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82353 Pu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8 Ster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EHOTFFKMJEONL-UHFFFAOYSA-N Uric Acid Chemical compound N1C(=O)NC(=O)C2=C1NC(=O)N2 LEHOTFFKMJEO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VWHNULVHGKJHS-UHFFFAOYSA-N Uric acid Natural products N1C(=O)NC(=O)C2NC(=O)NC21 TVWHNULVHGKJ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50 acid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545 acid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25 apple cider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447 apple cider vinega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97 app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7 bulk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45 dietary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6 dissolved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9 dolom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514 dolo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0 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NDVDQJCIGZPNO-UHFFFAOYSA-N histid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N=CN1 HNDVDQJCIGZP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10 lig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77 liquo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30 malt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27 oxy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86 phosphor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6 sensory perception of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2 ster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32 st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79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269 u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6—Waste from 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diestillation, roasting, cooking
- C05F5/008—Waste from bio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fermentation, brewer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4—Biological compos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송화가루 및 맥주박의 발효물, 굴패각 분말, 바이오차, 미생물 담체 및 미생물 등을 혼합하여 발효시켜 제조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에 존재하는 염분, 중금속 및 악취 등을 제거하여 양질의 퇴비를 제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은 (a) 송화가루와 맥주박을 혼합한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누에치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뽕잎 부산물을 열처리하여 미생물 담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음식물 쓰레기 50~60 중량%, 굴패각 분말 1~5 중량%, 바이오차 5~15 중량%,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발효물 10~20 중량%, 상기 (b)단계의 제조한 미생물 담체 5~10 중량%, 미생물 1~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제조한 혼합물을 60~80℃에서 30~40일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1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뒤집어서 50~60℃에서 25~30일 동안 퇴적하여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2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40~50℃에서 7~15일 동안 후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은 (a) 송화가루와 맥주박을 혼합한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누에치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뽕잎 부산물을 열처리하여 미생물 담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음식물 쓰레기 50~60 중량%, 굴패각 분말 1~5 중량%, 바이오차 5~15 중량%,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발효물 10~20 중량%, 상기 (b)단계의 제조한 미생물 담체 5~10 중량%, 미생물 1~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제조한 혼합물을 60~80℃에서 30~40일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1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뒤집어서 50~60℃에서 25~30일 동안 퇴적하여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2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40~50℃에서 7~15일 동안 후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송화가루 및 맥주박의 발효물, 굴패각 분말, 바이오차, 미생물 담체 및 미생물 등을 혼합하여 발효시켜 제조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에 존재하는 염분, 중금속 및 악취 등을 제거하여 양질의 퇴비를 제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여러 가지 혼합물이 뒤섞여 있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기온이 높을 경우 쉽게 부패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땅속에 매립할 경우 심한 악취 및 가스와 함께 침출수가 발생하여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폐기물로 매립할 경우 자원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폐기처리에 따른 비용과 환경오염 즉,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로 인하여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초래하고,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와 가스 및 병해충으로 인하여 각종 피부질환 및 전염성 질병을 야기한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환경오염과 자원낭비를 줄이고자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 수거하여 가축의 사료나 농업용 퇴비로 생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수거 수집하여 오물질을 선별 후 미세하게 파분쇄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부족한 유기물 성분을 보충하고 수분으로 조절하도록 번데기 분말 및 들깨 분말을 포함하는 동식물성 유기물 분말을 투입하여 50-80℃에서 유기물을 분해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물의 발열 소화 반응을 일으켜 염소기체, 암모니아, 이산화탄소를 증발시키고, 염분을 감소시키도록 백운석, 석회석을 900℃ 이상에서 소성 가공한 생석회(CaO) 및 고토 (MgO)를 추가로 투입하여 90-130℃에서 삶는 단계; 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필수 미량 무기 성분을 보충하도록 황토 분말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퇴비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퇴비를 자연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질 퇴비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생석회를 혼합하여 퇴비를 제조하였기 때문에 석회질의 과다한 투여로 작물 성장에 필요한 질소, 인산 등의 일부를 소멸시키고, 퇴비의 부숙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음식물 쓰레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주간 폭기시킨 돼지의 분뇨 100~200 중량부; 쌀가루, 옥수수가루, 보리가루, 밀가루, 왕겨, 등겨, 목분 또는 톱밥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취합하여 혼합함으로써 만들어진 식물성 섬유재 50~100 중량부; 제오라이트 분말 5~15 중량부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교반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분뇨와 음식물 쓰레기를 톱밥이나 왕겨 등과 섞어 퇴비를 제조함으로써, 톱밥이나 왕겨가 충분히 발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닌이나 리그닌 등이 잔류하여 작물의 생장에 피해를 줄 수 있고, 분뇨나 음식물 쓰레기 등은 부패 과정에서 유기산이 생성되어 작물 뿌리에 손상을 유발할 수가 있으며, 특히 분뇨나 음식물 쓰레기 내의 염분, 중금속 등이 토양에 잔류되어 토양을 더욱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원료인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송화가루 및 맥주박의 발효물, 굴패각 분말, 바이오차, 미생물 담체, 미생물 등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시켜 작물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공급함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에 존재하는 염분, 중금속 및 악취 등을 제거하여 양질의 퇴비를 제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누에치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뽕잎 부산물을 열처리하여 제조한 미생물 담체에 의해 미세한 다공성과 통기성 및 넓은 표면적으로 미생물과 효소를 균일하게 분산 및 고정화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혼합물 제조 시 누에똥(잠분)과 캐슈넛피(펄프)를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유해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은 (a) 송화가루와 맥주박을 혼합한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누에치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뽕잎 부산물을 열처리하여 미생물 담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음식물 쓰레기 50~60 중량%, 굴패각 분말 1~5 중량%, 바이오차 5~15 중량%,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발효물 10~20 중량%, 상기 (b)단계의 제조한 미생물 담체 5~10 중량%, 미생물 1~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제조한 혼합물을 60~80℃에서 30~40일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1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뒤집어서 50~60℃에서 25~30일 동안 퇴적하여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2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40~50℃에서 7~15일 동안 후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 뽕잎 부산물은 열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정제수와 양조초를 1:0.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침지수에 침지하여 수세 처리하고, 상기 (c)단계에서 누에똥(잠분) 1~3 중량%, 캐슈넛피(펄프) 2~4 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송화가루와 맥주박을 0.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20~30℃에서 6~12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미생물 담체는 뽕잎 부산물을 100~150℃에서 열처리하여 입경 0.5~1㎜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c)단계에서 미생물은 바실러스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는 작물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공급함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에 존재하는 염분, 중금속 및 악취 등을 제거하여 양질의 퇴비를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생물 담체에 의해 미세한 다공성과 통기성 및 넓은 표면적으로 미생물과 효소를 균일하게 분산 및 고정화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혼합물 제조 시 누에똥(잠분)과 캐슈넛피(펄프)를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유해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의 유해성분 검사성적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의 유해성분 검사성적서.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는 음식물 쓰레기, 굴패각 분말, 바이오차, 발효물, 미생물 담체 및 미생물을 포함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다른 유기성 폐기물에 비하여 수분 함량이 80~90%로 높으며, 수분을 제외한 상태에서는 고형물에 유기물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음식물 쓰레기의 pH는 배출 후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산이 생성되고, 김치 등의 발효 음식물 자체의 pH 때문에 대부분 산성을 나타낸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함량은 50~6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효과가 미미하고, 60 중량%를 초과하면 전체 퇴비의 함수율 증가로 인하여 고품질의 퇴비 제조가 어려워진다.
굴패각 분말은 경상남도 통영 일대의 굴패각(굴껍질)을 건조한 후 분쇄한 것으로, 주성분이 탄산칼슘이다. 굴패각으로부터 얻은 탄산칼슘의 표면을 개질하여 표면적을 넓혀주는 동시에 다공질을 부여함으로써 토양 속에 다공성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고, 토양 속에 각종 미생물의 서식공간을 만들어 줌으로써 미생물의 활동도를 높여줄 수 있다.
상기 굴패각 분말의 함량은 1~5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굴패각 분말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중금속 등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염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바이오차(biochar)는 바이오매스를 열분해시켜 얻은 물질로서, 큰 비표면적과 다공성 구조에 의해 양이온의 흡착성이 높으며, 높은 pH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바이오차는 토양의 pH를 증가시켜 양이온성 중금속의 유효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구조에 의하여 토양 내 존재하는 중금속을 흡착시킬 수 있다. 바이오차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차의 함량은 5~15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이오차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토양 내 존재하는 중금속 흡착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토양 내 용존유기탄소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발효물은 송화가루와 맥주박을 0.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20~30℃에서 6~12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한다.
송화가루는 봄철에 소나무에서 나오는 꽃가루로서, 빛이 노랗고 달짝지근한 향을 지니고 있다.
송화가루는 단백질, 탄수화물, 미네랄, 비타민, 지방, 인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식용 및 약용으로서 가치가 높다. 송화가루는 영양뿐 아니라 좋은 향미를 낼 수 있어서 식품첨가물로 이용되기도 한다. 특히, 송화가루에 함유된 비타민C, E는 항산화 비타민으로서, 활성산소가 만든 산소화합물의 독성을 완화하고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주박은 맥주 제조의 주원료인 맥주보리를 발아시켜 당화시킨 후, 당화액을 분리한 후의 부산물로서, 보리낱알(barley grain)에 맥아를 첨가하여 맥아즙을 얻고, 이를 가공하여 맥주 생산을 하고 남은 잔여물로서 얻을 수 있다. 맥주박은 기본적으로 맥주보리의 껍질, 과피, 종피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네랄, 비타민 등이 풍부하고, 특히 식이섬유와 단백질 함량이 높다.
이러한 맥주박은 저렴한 가격에 비하여 많은 양의 식이섬유와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등의 영양적인 가치가 높아 식품뿐만 아니라 가축 사료로 이용가치가 높다.
상기 발효물의 함량은 10~2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효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염분 및 악취 제거 효과가 미미하고, 유용미생물의 번식 증대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입자간 공극 내에 산소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다.
미생물 담체는 누에치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뽕잎 부산물을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미세한 다공성과 통기성 및 넓은 표면적으로 미생물과 효소를 균일하게 분산 및 고정화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능을 향상시키고, 악취 발생을 억제하는 등 미생물이 정착 및 활동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 담체의 함량은 5~1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미생물 담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미생물의 생장 촉진능이 발휘되지 않아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능을 얻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미생물의 생장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미생물은 호기성 미생물로 건조 고온게 강하고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바실러스(bacillus)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실러스균은 악조건인 환경에서도 생존능력이 뛰어나고, 유기물 분해 및 탈질 능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 음식물 쓰레기의 pH는 다른 폐기물에 비해 매우 낮으며, 염분 농도 또한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보통의 미생물은 이러한 낮은 범위의 pH와 높은 염분 농도에서는 생존 능력과 활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하지만 바실러스균은 이러한 낮은 pH 범위와 높은 염분 농도 하에서도 별다른 지장없이 유기물 분해와 탈질반응 등의 활동이 황성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미생물의 함량은 1~5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미생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퇴비화 촉진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고, 5 중량%를 초과하면 퇴비 비용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는 누에똥(잠분), 캐슈넛피(펄프), 화산송이 분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수분조절제와 팽화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볏짚, 톱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누에똥(잠분)은 누에가 배설하는 것으로, 한방에서는 잠사라고도 한다. 누에똥(잠분)은 짧은 원기둥 모양의 알갱이로서, 길이는 2~5㎜, 지름이 1.5~3㎜이다. 표면은 회흑색이고 거칠다. 누에똥(잠분)은 약간 푸른 풀 냄새가 나며, 색깔이 검고 단단하다.
누에똥(잠분)의 성분으로는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무기물로는 칼륨과 아미노산(히스티딘, 로이신, 리신, 콜레스테롤 등의 스테롤류 외에 요산, 인산, 칼륨, 칼슘, 염록소 등)을 함유하고 있다.
누에똥(잠분)은 여러가지 영양소가 풍부하여 토양 물리성을 개선하는 한편 토양 내 미생물의 공급원이 된다.
상기 누에똥(잠분)의 함량은 1~3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누에똥(잠분)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유해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3 중량%를 초과하면 식물 성장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다.
캐슈넛피(펄프)는 캐슈넛 내피를 원료로 하는 해외 농업부산물로서, 분말 또는 펠릿 형태이다.
캐슈넛피(펄프)의 성분으로는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비타민, 무기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특수지방이 함유되어 있어 그람양성균과 일부 그람음성균에 살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캐슈넛피(펄프)의 함량은 2~4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캐슈넛피(펄프)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유해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4 중량%를 초과하면 식물 성장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화산송이는 화산에 의해 형성된 지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제주 화산송이는 그 주요 구성성분에 따라 색깔이 다양한데, 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화산송이는 암회색을 띠고, 산화알류미늄 함량이 높은 화산송이는 황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산화티타늄과 산화철 함량이 높은 화산송이는 적갈색을 띤다. 이러한 화산송이는 제주 화산석으로부터 채취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산송이 분말의 함량은 0.05~0.1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산송이 분말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유해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0.1 중량%를 초과하면 식물 성장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은 발효물 제조단계(S100), 미생물 담체 제조단계(S200), 혼합물 제조단계(S300), 1차 발효단계(S400), 2차 발효단계(S500) 및 후숙단계(S6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발효물 제조단계(S100)는 송화가루와 맥주박을 0.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20~30℃에서 6~12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송화가루와 맥주박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용미생물의 번식 증대 효과가 미미하고, 입자간 공극 내에 산소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혼합물의 발효 온도가 20℃ 미만이면 유용미생물의 활성화가 미흡하여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고, 30℃를 초과하면 급격한 발효에 의해 산폐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발효 기간이 6일 미만이면 발효 기간이 짧아 발효물이 불완전하게 안정화되고, 12일을 초과하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미생물 담체 제조단계(S200)는 누에치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뽕잎 부산물을 열처리하여 미생물 담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미생물 담체는 뽕잎 부산물을 100~150℃에서 열처리하여 입경 0.5~1㎜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한다. 상기 뽕잎 부산물의 열처리 온도가 100℃ 미만이면 원료 자체의 수분 함량 증발에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고, 150℃를 초과하면 탄화되기 때문에 미생물 담체로서의 구조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한 뽕잎 부산물을 입경 0.5~1㎜의 크기로 분쇄함으로써 표면적을 넓혀 미생물 담체로서의 효율을 높인다.
한편, 상기 뽕잎 부산물은 열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정제수와 양조초를 1:0.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침지수에 침지하여 수세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지수에서 침지 및 수세 처리한 뽕잎 부산물은 탈수한 후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항균물질인 양조초를 첨가한 침지수에 뽕잎 부산물을 침지하여 수세 처리함으로써 뽕잎 부산물의 항균 및 탈취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양조초는 쌀 등의 곡류와 과실을 효모나 초산균 발효를 통해 얻어진 것으로, 각종 세균의 생육을 억제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양조초는 쌀을 원료로 한 술덧을 다시 초산 발효시킨 쌀식초를 비롯하여 주박즙을 영양분으로 해서 주정을 발효시킨 주박식초, 사과즙을 알코올 발효한 후 다시 초산 발효시킨 사과식초, 맥아즙을 원료로 한 맥아식초 등이 있다.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S300)는 음식물 쓰레기 50~60 중량%, 굴패각 분말 1~5 중량%, 바이오차 5~15 중량%, 상기 발효물 제조단계(S100)의 제조한 발효물 10~20 중량%, 상기 미생물 담체 제조단계(S200)의 제조한 미생물 담체 5~10 중량%, 미생물 1~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S300)에서 누에똥(잠분) 1~3 중량%, 캐슈넛피(펄프) 2~4 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1차 발효단계(S400)는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S300)의 제조한 혼합물을 60~80℃에서 30~40일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혼합물을 발효장에 야적한 상태에서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30~40일 동안 자연 발효를 시킨다.
상기 2차 발효단계(S500)는 1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뒤집어서 50~60℃에서 25~30일 동안 퇴적하여 2차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즉, 1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송풍과 교반을 행할 수 있는 발효기에 투입하여 25~30일 동안 송풍과 교반을 반복하면서 발효시킨다.
상기 후숙단계(S600)는 2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40~50℃에서 7~15일 동안 후숙하는 단계이다. 즉, 2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40~50℃가 유지되는 후숙장으로 이동시켜 7~15일 동안 후숙하여 퇴비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송화가루와 맥주박을 0.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25℃에서 1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누에치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뽕잎 부산물을 100~150℃에서 열처리하여 입경 0.5~1㎜의 크기로 분쇄하여 미생물 담체를 제조하였다.
음식물 쓰레기 55 중량%, 굴패각 분말 5 중량%, 바이오차 10 중량%, 발효물 20 중량%, 미생물 담체 7 중량%, 미생물 3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0℃에서 30일 동안 1차 발효시키고, 1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뒤집어서 60℃에서 25일 동안 퇴적하여 2차 발효시킨 후, 2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45℃에서 10일 동안 후숙하여 퇴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발효물과 미생물 담체를 제조하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음식물 쓰레기 55 중량%, 굴패각 분말 5 중량%, 바이오차 10 중량%, 발효물 15 중량%, 미생물 담체 7 중량%, 미생물 3 중량%, 누에똥(잠분) 2 중량%, 캐슈넛피(펄프) 3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0℃에서 40일 동안 1차 발효시키고, 1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뒤집어서 60℃에서 30일 동안 퇴적하여 2차 발효시킨 후, 2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45℃에서 10일 동안 후숙하여 퇴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라남도 광양시 생활폐기물과'에서 제조하여 판매되고 있는 '음식물부산물 퇴비 2등급' 제품을 구매하여 준비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혼합물을 발효시켜 퇴비화시키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 5명에게 후각을 통해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는 5점 척도법(1점: 냄새가 전혀 없음, 2점: 냄새가 약간 남, 3점: 냄새가 확연히 남, 4점: 불쾌한 냄새가 남, 5점: 불쾌한 냄새가 매우 심함)으로 점수를 매겨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5일 | 10일 | 15일 | 20일 | 25일 | 30일 |
실시예 1 | 1.5 | 1.6 | 1.9 | 2.0 | 2.0 | 2.0 |
실시예 2 | 1.6 | 1.7 | 2.0 | 2.1 | 2.1 | 2.1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물 소멸능이 매우 우수하고, 악취유발 강도가 낮아 악취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퇴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퇴비와 비교예 1에서 준비한 퇴비를 이용하여 고추를 재배하였다. 각 퇴비는 동일한 양으로 시비하는 방식으로 취하였으며, 동일한 생육 조사를 비교하기 위하여 고추 모종을 정식하여 3회 반복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분 | 초장(㎝) | 착과(개) |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
0일 | 22 | 22 | 22 | 0 | 0 | 0 |
70일 | 68.2 | 68.4 | 58.6 | 18 | 20 | 13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퇴비는 비교예 1에서 준비한 퇴비에 비해 고추의 성장이 증가하였고, 착과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퇴비의 유해성분 검사를 제일분석센타에 의뢰하여 농촌진흥청 고시 '비료품질검사방법 및 시료채취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본 발명의 퇴비는 염분 및 기타 유해성분 등이 소량으로 검출됨에 따라 국토해양부 고시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모두 충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7)
- (a) 송화가루와 맥주박을 혼합한 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누에치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뽕잎 부산물을 열처리하여 미생물 담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음식물 쓰레기 50~60 중량%, 굴패각 분말 1~5 중량%, 바이오차 5~15 중량%, 상기 (a)단계의 제조한 발효물 10~20 중량%, 상기 (b)단계의 제조한 미생물 담체 5~10 중량%, 미생물 1~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제조한 혼합물을 60~80℃에서 30~40일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1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뒤집어서 50~60℃에서 25~30일 동안 퇴적하여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2차 발효시킨 발효물을 40~50℃에서 7~15일 동안 후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에서 뽕잎 부산물은 열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정제수와 양조초를 1:0.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침지수에 침지하여 수세 처리하고,
상기 (c)단계에서 누에똥(잠분) 1~3 중량%, 캐슈넛피(펄프) 2~4 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송화가루와 맥주박을 0.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20~30℃에서 6~12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미생물 담체는 뽕잎 부산물을 100~150℃에서 열처리하여 입경 0.5~1㎜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미생물은 바실러스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2640A KR102499322B1 (ko) | 2022-09-06 | 2022-09-06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2640A KR102499322B1 (ko) | 2022-09-06 | 2022-09-06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9322B1 true KR102499322B1 (ko) | 2023-02-13 |
Family
ID=8520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2640A KR102499322B1 (ko) | 2022-09-06 | 2022-09-06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9322B1 (ko) |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67198U (ja) * | 1983-10-12 | 1985-05-13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ポスト用熱交換型二重管散気装置 |
KR20050080811A (ko) * | 2004-02-11 | 2005-08-18 | 주식회사 넬바이오텍 | 축산분뇨 및 축산분뇨 액비 탱크의 악취를 저감하고부숙을 촉진하는 방법 |
KR100669920B1 (ko) | 2005-05-06 | 2007-01-16 | 김상훈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유기질 퇴비,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
KR100798812B1 (ko) | 2007-01-26 | 2008-01-28 | (주)더블유알이 | 유기물분해제 및 이를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 분뇨를 처리하는 방법 |
KR101060621B1 (ko) * | 2011-01-07 | 2011-08-31 | (주)동광기업 |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KR20140007640A (ko) * | 2012-07-10 | 2014-01-20 | 이병우 | 유기성 슬러지 분해능을 갖는 배양물의 배양방법 및 그 배양물 |
KR20150001552A (ko) * | 2013-06-27 | 2015-01-06 | 서희동 | 유기성 폐기물을 퇴비화하는 방법 |
KR101733979B1 (ko) * | 2016-08-30 | 2017-05-24 | (주)신명건설기술공사 | 물리화학적 수질 정화장치 |
KR101911321B1 (ko) * | 2017-05-18 | 2019-01-04 |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호기성 매립지의 수분 재순환 시스템 |
KR20190011161A (ko) * | 2017-07-24 | 2019-02-01 |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
KR101955553B1 (ko) * | 2018-06-22 | 2019-03-07 | 주식회사 한조 | 가스공급용 이중관 구조의 파이프라인 및 그의 제작방법 |
KR20190044193A (ko) * | 2017-10-20 | 2019-04-30 | 주식회사 해창 | 유기성 폐기물 발효 장치 |
KR102320412B1 (ko) * | 2020-08-05 | 2021-11-02 | 안병태 | 축산분뇨 발효장치 |
-
2022
- 2022-09-06 KR KR1020220112640A patent/KR1024993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67198U (ja) * | 1983-10-12 | 1985-05-13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ポスト用熱交換型二重管散気装置 |
KR20050080811A (ko) * | 2004-02-11 | 2005-08-18 | 주식회사 넬바이오텍 | 축산분뇨 및 축산분뇨 액비 탱크의 악취를 저감하고부숙을 촉진하는 방법 |
KR100669920B1 (ko) | 2005-05-06 | 2007-01-16 | 김상훈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유기질 퇴비,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
KR100798812B1 (ko) | 2007-01-26 | 2008-01-28 | (주)더블유알이 | 유기물분해제 및 이를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 분뇨를 처리하는 방법 |
KR101060621B1 (ko) * | 2011-01-07 | 2011-08-31 | (주)동광기업 |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KR20140007640A (ko) * | 2012-07-10 | 2014-01-20 | 이병우 | 유기성 슬러지 분해능을 갖는 배양물의 배양방법 및 그 배양물 |
KR20150001552A (ko) * | 2013-06-27 | 2015-01-06 | 서희동 | 유기성 폐기물을 퇴비화하는 방법 |
KR101733979B1 (ko) * | 2016-08-30 | 2017-05-24 | (주)신명건설기술공사 | 물리화학적 수질 정화장치 |
KR101911321B1 (ko) * | 2017-05-18 | 2019-01-04 |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호기성 매립지의 수분 재순환 시스템 |
KR20190011161A (ko) * | 2017-07-24 | 2019-02-01 |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
KR20190044193A (ko) * | 2017-10-20 | 2019-04-30 | 주식회사 해창 | 유기성 폐기물 발효 장치 |
KR101955553B1 (ko) * | 2018-06-22 | 2019-03-07 | 주식회사 한조 | 가스공급용 이중관 구조의 파이프라인 및 그의 제작방법 |
KR102320412B1 (ko) * | 2020-08-05 | 2021-11-02 | 안병태 | 축산분뇨 발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7161B1 (ko) | 커피박, 계분, 바이오차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퇴비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65728B1 (ko) | 친환경 유기 액체 비료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993631B1 (ko) | 축분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 |
CN104788144A (zh) | 一种活性益生菌有机肥制备方法 | |
KR102501124B1 (ko) | 토양개량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4586890A (zh) | 一种利用菌草制作复合菌群饲料的方法 | |
KR101553073B1 (ko) |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방법 | |
KR100945133B1 (ko) | 맥섬석 세라믹 담체 비료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00035545A (ko) | 어류를 이용한 액상비료 및 그 제조방법 | |
JPH02160684A (ja) | コンポストの製造方法 | |
WO2024039287A1 (en) | Treatment of organic waste | |
KR102183599B1 (ko) |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10010422A (ko) |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14237B1 (ko) | 낙엽을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 |
AU774236B2 (en) |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 | |
KR102356774B1 (ko) | 바이오차 및 미생물을 활용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99322B1 (ko)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 |
CN113860940A (zh) | 一种有机肥发酵配方及工艺 | |
KR960002865B1 (ko) | 질소 고정 미생물 비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2222555B1 (ko) | 원예용 친환경 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 |
KR102602023B1 (ko) | 복합 미생물이 포함된 축분 바이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2306158A (ja) | 複合培養体、複合培養体の製造方法、前培養体、前培養体の製造方法及び微生物製剤の製造方法 | |
KR102066474B1 (ko) | 복합미생물 배양체 제조방법 및 복합미생물 배양체를 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 |
KR20120031637A (ko) |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 |
KR20230127740A (ko) | 계분 소성 비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