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621B1 -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621B1
KR101060621B1 KR1020110001942A KR20110001942A KR101060621B1 KR 101060621 B1 KR101060621 B1 KR 101060621B1 KR 1020110001942 A KR1020110001942 A KR 1020110001942A KR 20110001942 A KR20110001942 A KR 20110001942A KR 101060621 B1 KR101060621 B1 KR 10106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fluid
housing
hole
hous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식
Original Assignee
(주)동광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기업 filed Critical (주)동광기업
Priority to KR102011000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는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배수로를 외부와 연결하는 유체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배수로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유체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 통로를 상기 유체 배수공과 연결하는 유체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산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air diffus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산기 장치 및 시공 방법에 과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 등에서 배출되는 축산분뇨(이하 퇴비)는 수거되어 퇴비사에서 발효된다. 이때, 퇴비사의 바닥면에는 미생물의 정화 작용을 활성화시키도록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퇴비가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침출수가 퇴비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공기는 퇴비사 안으로 들어오고 침출수는 퇴비사 밖으로 나가는 구조이므로 공기와 침출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또한, 퇴비에 의해 공기공급관이 막히면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퇴비의 발효시간이 길어지며 막힘 현상 발생시 공기공급관를 교환해야 했다.
이와 같은 공기공급관은 퇴비발효상 전체로 고르게 공기를 공급할 수 없으므로 발효상의 불균형 발효상태로 인하여 발효시간을 단축시킬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공기공급관의 막힘으로 퇴비의 발효상의 수분조절이 안되므로 발효가 원활하지 못하였고. 더욱이, 외부 공기를 퇴비발효상으로 고르게 공급하지 못하여 왕겨, 톱밥 등 가축분뇨의 발효가 원활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외부 공기(산소)를 퇴비에 고르게 공급하여 퇴비의 발효를 촉진시키는 산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수로와 퇴비를 연결하는 구멍들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산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는, 내부에는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배수로를 외부와 연결하는 산소 공급공 및 유체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배수로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유체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 통로를 상기 산소 공급공과 연결하는 유체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산기관을 포함한다.
상기 산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유입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은, 상기 산소 공급공이 형성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면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유체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 방지판의 내측면은 상기 제2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입 방지판의 내측면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유입 방지판의 내측면에 접촉된 유체는 상기 유체 배수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산기관의 외부 둘레면 중 상기 유체 분사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유체 분사구를 상기 산소 공급공과 연결하는 보조 유체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산기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 분사구와 마주하는 산기관의 타측에는 상기 유체 통로를 상기 배수로와 연결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산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배수로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산기관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배수로를 막는 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한 마개부 중 일측에 위치한 마개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는 상기 산기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 시공 방법은 배수로를 가지는 하우징부에 유체 통로가 형성된 산기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산기 장치를 바닥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을 덮개로 덮는 단계, 상기 배열된 산기 장치의 사이에 매립재를 타설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매립재의 양생 후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덮개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산기 장치 시공 방법은, 상기 산기 장치 배치 단계에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하우징부들 사이에 연결관을 배치하고 상기 연결관으로 폭 방향으로 이웃한 하우징부들의 배수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테두리로부터 유입 방지판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유입 방지판은 타설되는 매립재가 덮개가 덮고 있는 하우징부의 상면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타설되는 매립재는 상기 유입 방지판의 상단면 부분까지 타설될 수 있다.
상기 산기 장치 시공 방법은 상기 덮개가 분리된 후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발효물을 까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립재는 콘크리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 장치에 의해 산기관의 유체 통로로 공급된 유체는 산기관의 유체 분사구를 통해 배수로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유체 분사구가 산소 공급공을 향하고 있어 유체는 산소 공급공으로 분사된다. 산소 공급공으로 분사된 유체는 산소 공급공을 통하여 발효물, 퇴비단으로 공급된다. 발효물에 공급된 유체는 산소로서 이들의 발효를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소 공급공이 막혀 있으면 산기관의 유체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압력에 의하여 막힌 산소 공급공은 뚫린다. 따라서, 침출수의 배수와 유체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침출수는 유체 배수공을 통하여 배수로로 유입되어 한 곳에 집수 될 수 있으며, 외부 공기(산소)는 산기장치에 장착된 산기관를 통하여 산소 공급공을 통해 퇴비단에 공급되어 퇴비발효상으로 고르게 공급되면서 가축분뇨의 발효를 촉진 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를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산기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Ⅳ-Ⅳ선을 따라 산기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산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산기관을 분해한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시공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를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산기 장치(1)는 퇴비사, 축사 따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침출수 따위를 한 곳으로 모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산기 장치(1)는 하우징부(10) 및 산기관(20)을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측벽(111, 112)과 상판(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111, 112)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상판(13)이 떨어져 있는 한 쌍의 측벽(111, 112)을 연결한다. 그러나, 측벽(111, 11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3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판(13)이 연결 부재(133) 위에 놓일 수 있다. 연결 부재(133)와 상판(13)이 접하는 부분에는 단턱과 단턱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턱이 단턱 홈에 결합되어 상판(13)이 연결 부재(133) 위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놓여질 수 있다.
측벽(111, 112)과 상판(13)으로 이루어진 하우징부(10)의 내부에는 유체 따위가 흐를 수 있는 배수로(10a)가 형성된다. 배수로(10a)의 둘레면에는 측벽(111, 112)과 상판(13)을 연결하고, 보강하는 리브(116)들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111, 112) 중 일측 측벽(111)에는 배수로(10a)를 외부로 연결하는 측벽 관통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측벽 관통공(111a)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로(10a)의 둘레면에는 리브(116) 이외에도 간격을 두고 고정 부재(116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116a)는 측벽(111, 112)과 상판(13)에 연결되어 있다. 고정 부재(116a)에는 산기관(20)에 장착되는 결합 홀(116b)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홀(116b)은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상판(13)은 제1 면(131)과 제2 면(1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면(131)에는 산소 공급공(13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면(132)에는 유체 배수공(13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면(132)은 제1 면(131) 양측에 위치하며, 제1 면(131)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면(131)과 제2 면(132)은 계단 형태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산소 공급공(131a)과 유체 배수공(132a)은 배수로(10a)와 연결되어 있다. 산소 공급공(131a)을 통해 외부 공기(산소)가 상판(13) 위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배수공(132a)을 통하여 상판(13) 위에서 발생하는 침출수가 배수로(10a)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판(13) 위에는 왕겨, 톱밥 따위의 발효물(50, 도 8의 S60 단계 참조)이 깔릴 수 있다.
한편, 측판(111, 112)이 연결 부재(133)에 의해 연결된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33)에는 산소 공급공(131a)과 유체 배수공(132a)을 배수로(10a)와 연결하는 구멍(133a)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10)는 단위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퇴비사, 축사, 세차장, 산업 현장의 바닥면에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웃한 하우징부(10)사이에는 연결관(20a)이 배치된다. 연결관(20a)은 이웃하는 하우징부(10)의 배수로(10a)들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연결관(20a)은 측벽 관통공(111a)을 통하여 연결된다.
단위블록인 하우징부(10) 들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10)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면적이 축소된 결합부(114)가 돌출되어 있고, 타측에는 결합부(114)가 수용되는 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10)의 수용부(115)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부(10)의 결합부(114)를 결합하여 단위블록의 하우징부(10)들을 연결한다. 길이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하우징부(10)들을 연결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판(13)의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유입 방지판(119)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 방지판(119)의 내측면은 유체 배수공(132a)들이 형성된 제2 면(132)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 방지판(119)의 내측면에 접촉된 유체가 제2 면(13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 방지판(119)의 내측면은 경사져 있다.
아울러, 유입 방지판(119)의 외측면은 바닥면에 배열된 하우징부(10)의 사이에 타설되는 매립재(40, 도 8의 S40단계 참조)가 상판(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하우징부(10)가 연속 연결된 상태에서 배수로(10a)를 막는 마개(117, 118)가 하우징부(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마개(117)는 연속 연결된 하우징부(10) 중 일측에 위치한 하우징부(10)에 결합되고 다른 마개(118)은 타측에 위치한 하우징부(10)에 각각 장착된다. 이중 하나의 마개(117)에는 마개 관통공(117a)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개 관통공(117a)는 양측에 위치한 마개(117, 118)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개(117, 118)는 생략될 수 있다.
하우징부(10)는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산기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산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산기관을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산기관(20)은 배수로(10a)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116a)의 결합 홀(116b)에 장착될 수 있다. 결합 홀(116b)의 둘레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기관(20)의 둘레면을 감싼다.
결합 홀(116b)에 장착된 산기관(20)의 일측 또는 타측 끝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 관통공(117a)을 통하여 배수로(10a)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로(10a) 외부와 연결된 산기관(20) 부분에는 송풍 장치(도시하지 않음), 펌핑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같이 유체를 압송할 수 있는 장치들이 연결될 수 있다. 송풍 장치는 주기적으로 작동하여 산기관(20) 내부로 산소를 주기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산기관(20)의 내부에는 송풍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공급되는 유체 즉 산소가 통과하는 유체 통로(23)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산기관(20)의 상부 둘레면에는 유체 분사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유체 분사구(24)는 상판(13)의 산소 공급공(131a)과 마주한다. 이에 따라 유체 통로(23)를 통과하는 유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분사구(24)를 통하여 산소 공급공(131a)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산소 공급공(131a)을 향해 분사된 유체는 그 압력에 의하여 산소 공급공(131a)이 발효물에 의해 막힌 경우 뚫어주게 된다. 또한, 뚫린 산소 공급공(113a)을 통해 유체는 상판(13)에 깔린 발효물(50)로 공급될 수 있다. 발효물(50)로 유체가 공급되면 발효물(50)의 발효를 촉진시킨다.
한편, 상판(13) 위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유체 분사구(24)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산소 공급공(131a)을 통해 배수로(10a)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체 분사구(24)와 연결되지 않은 유체 배수공(132a)을 통하여 배수로(10a)로 유입된다. 그러나, 유체 분사구(24)에서 유체가 분사되지 않으면 산소 공급공(131a)을 통하여 배수로(10a)로 침출수가 유입될 수 있다.
침출수가 산소 공급공(131a)을 통하여 배수로(10a)로 유입될 때 침출수가 유체 분사구(24)를 통하여 유체 통로(2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 분사구(24)가 형성된 산기관(20)의 외부 둘레면에는 돔 형태의 돌출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41)에는 유체 분사구(24)를 연장하는 보조 유체 분사구(2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산소 공급공(131a)를 통해 배수로(10a)로 유입된 침출수가 산기관(20)의 외부둘레면을 따라 흐르더라도 돔 형태의 돌기부(241)에 의하여 유체 통로(23)로 유입되지 못한다.
또한, 유체 분사구(24)와 마주하는 산기관(20)의 하부 둘레면에는 유체 분사구(24)와 마주하는 배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 통로(23)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따위가 배출구(25)를 통해 배수로(10a)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통로(23)에 응축수 따위가 고이지 않는다. 한편, 배출구(25)가 형성된 부분에도 돌기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51)에도 배출구(25)를 연장하는 보조 배출구(25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산기관(20)은 하우징부(10)와 동일하게 단일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10)를 연속 연결할 때 산기관(20)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연결될 수 있다.
단위 블록인 산기관(20)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산기관(20)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직경이 확장된 끼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끼움부(26)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산기관(20)의 타측 부분을 끼워 산기관(20)들을 연속 연결한다. 이웃하는 산기관(20)들을 연결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산기관(20)은 유체 분사구(24)가 형성된 제1 부재(21), 배출구(25)가 형성된 제2 부재(22)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가 마주하는 테두리 부분에는 걸림 턱(211)과 걸림 홈(222)이 형성된다. 걸림 턱(211)이 걸림 홈(222)에 걸림으로써 제1 부재(21)과 제2 부재(22)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기관(20)이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로 이루어져 분리되면, 유체 통로(23)의 세척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그러나, 산기관(20)은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로 이루어지지 않고 단일 물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산기 장치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하우징부와 산기관의 결합 상태도 이고, 도 9는 산기관이 결합된 하우징이 바닥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먼저 도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의 시공 방법은, 하우징부에 산기관을 설치하는 단계(S10), 산기관이 설치된 하우징부를 배치하는 단계(S20), 덮개 장착 단계(S30), 매립재 타설 단계(S40), 그리고 덮개 분리 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 시공 방법은, 폭 방향으로 이웃한 산기관을 연결하는 단계(S21), 발효물을 까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에 산기관을 설치하는 단계(S10)는 배수로(10a), 산소 공급공(131a), 그리고 유체 배수공(132a)을 가지는 하우징부(10)에 유체 통로(23), 유체 분사구(24), 배출구(25)를 가지는 산기관(20)을 조립하는 단계이다. 산기관(20)을 배수로(10a)에 배치하여 유체 분사구(24)가 산소 공급공(131a)과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산기관(20)을 고정 부재(116a)의 결합 홀(116b)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면, 하우징부(10)에 산기관(20)이 장착되면 산기관이 설치된 하우징부를 설치하는 단계(S20)에서, 하우징부(10)와 산기관(20)을 포함하는 산기 장치(1, 1', 1")를 퇴비사, 축사, 세차장, 산업 현장 따위의 바닥면에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산기 장치(1, 1', 1")가 배치되는 바닥면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경사진 바닥면의 타측 방향에는 집수 공간(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산기 장치(1, 1', 1")는 바닥면의 면적에 따라 산기 장치(1, 1', 1")의 하우징부(10)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속 연결할 수 있다. 산기 장치(1, 1', 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연결되면 일측에 위치한 하우징부(10)와 타측에 위치한 하우징부(10)에 마개(117, 118 도 2 참조)를 각각 결합하여 배수로(10a)를 막을 수 있다. 이때 폭 방향으로 배치된 산기 장치(1, 1', 1")) 중 어느 하나의 산기관(20) 일측은 마개 관통공(117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된 부분에 송풍 장치, 펌핑 장치 따위를 연결하여 산기관(20)의 유체 통로(23)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타측 부분에 결합된 마개(118)는 배수로(10a)가 집수 공간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웃한 하우징부를 연결하는 단계(S21)에서, 이웃하는 산기 장치(1, 1', 1")의 하우징부(10)들 사이에 연결관(20a)을 배치하여 배수로(10a)들을 연결한다. 연결관(20a)은 측벽 관통공(111a)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배수로(10a)들을 전체적으로 연결하여 배수로(10a)로 유입된 침출수를 집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산기 장치(1, 1', 1")의 배치가 완료 되면 덮개 장착 단계(S30)에서, 이후 산기 장치(1, 1', 1") 들의 사이에 타설될 매설재가 하우징부(10)의 상판(13)으로 유입되어 산소 공급공(131a), 유체 배수공(132a)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부(10)의 상판(13)을 덮개(30)로 덮는다. 덮개(30)의 양측은 유입 방지판(119)에 의하여 지지된다.
다음으로, 매립재 타설 단계(S40), 간격을 두고 배치된 산기 장치(1, 1', 1") 들이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인 매립재(40)를 타설한다. 타설하는 매립재(40)는 유입 방지판(119)의 상단까지 채워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매립재(40)를 콘크리트로 한정하지 않는다.
타설된 매립재(40)가 양생되면, 덮개 분리 단계(S50)에서, 하우징부(10)의 상판(13)을 덮고 있는 덮개(30)를 분리하여 산소 공급공(131a), 유체 배수공(132a)이 형성된 상판(13)이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발효물을 까는 단계(S60)에서, 덮개(30)가 분리된 상판(13) 위에 왕겨, 톱밥 따위의 발효물(50)을 깔아 유입 방지판(119)의 상단면 부분까지 채운다. 이때 발효물(50)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종류가 달라지거나, 생략될 수 있다.
발효물(50)이 깔리면 그 위에 짚 따위로 이루어진 퇴비단(도시하지 않음)을 깔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산기 장치(1, 1', 1")가 시공되면, 퇴비단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유체 배수공(132a)를 통해 배수로(10a)로 유입될 수 있다. 배수로(10a)로 유입된 침출수는 배수로(10a)의 바닥면을 따라 흘러 집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 장치에 의해 산기관(20)의 유체 통로(23)로 공급된 유체(산소)는 유체 분사구(24)를 통해 배수로(10a)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유체 분사구(24)가 산소 공급공(131a)을 향하고 있어 유체는 산소 공급공(131a)으로 분사된다. 산소 공급공(131a)으로 분사된 유체는 산소 공급공(131a)를 통하여 발효물, 퇴비단으로 공급된다. 발효물에 공급된 유체는 산소로서 발효물, 퇴비단의 발효를 촉진시킨다.
아울러, 산소 공급공(131a)이 막혀 있으면 산기관(20)의 유체 분사구(24)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압력에 의하여 막힌 산소 공급공(131a)이 뚫린다. 따라서, 유체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송풍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산소 공급공(131a)에 발생하는 유체의 압력이 발생하지 않아 상판(13) 위에서 발생한 침출수는 산소 공급공(131a)을 통하여 배수로(10a)로 침출수가 유입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산기 장치 10: 하우징부
10a: 배수로 111, 112: 측벽
111a: 측벽 관통공 13: 상판
131: 제1 면 131a: 산소 공급공
132: 제2 면 132a: 유체 배수공
133: 연결 부재 133a: 구멍
114: 결합부
115: 수용부 116: 리브
116a: 고정 부재 116b: 결합 홀
117, 118: 마개 117a: 마개 관통공
119: 유입 방지판 20: 산기관
20a: 연결관 21: 제1 부재
211: 걸림 턱 22: 제2 부재
222: 걸림 홈 23: 유체 통로
24: 유체 분사구 241: 돌기부
241a: 보조 유체 분사구 25: 배출구
251: 돌기부 251a: 보조 배출구
26: 끼움부 30: 덮개
40: 매립재 50: 발효물

Claims (13)

  1. 내부에는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배수로를 외부와 연결하는 산소 공급공 및 유체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배수로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유체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 통로를 상기 산소 공급공과 연결하는 유체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산기관
    을 포함하는 산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유입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산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은,
    상기 산소 공급공이 형성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면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유체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면
    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 방지판의 내측면은 상기 제2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입 방지판의 내측면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유입 방지판의 내측면에 접촉된 유체는 상기 유체 배수공으로 유입되는
    산기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산기관의 외부 둘레면 중 상기 유체 분사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유체 분사구를 상기 산소 공급공과 연결하는 보조 유체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산기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산기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 분사구와 마주하는 산기관의 타측에는 상기 유체 통로를 상기 배수로와 연결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산기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배수로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산기관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산기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배수로를 막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는 산기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한 마개부 중 일측에 위치한 마개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는 상기 산기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산기 장치.
  9. 내부에는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배수로를 외부와 연결하는 산소 공급공 및 유체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배수로에, 유체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 통로를 상기 산소 공급공과 연결하는 유체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산기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산기관이 설치된 상기 하우징부를 바닥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을 덮개로 덮는 단계,
    배열된 상기 하우징부들의 사이에 매립재를 타설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매립재의 양생 후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덮개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산기 장치 시공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하우징부를 바닥면에 배치하는 단계에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하우징부들 사이에 연결관을 배치하고 상기 연결관으로 폭 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하우징부들의 배수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산기 장치 시공 방법.
  11. 제9항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테두리로부터 유입 방지판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유입 방지판은 타설되는 매립재가 덮개가 덮고 있는 하우징부의 상면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타설되는 매립재는 상기 유입 방지판의 상단면 부분까지 타설되는
    산기 장치 시공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덮개가 분리된 후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발효물을 까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산기 장치 시공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매립재는 콘크리트인 산기 장치 시공 방법.
KR1020110001942A 2011-01-07 2011-01-07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06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942A KR101060621B1 (ko) 2011-01-07 2011-01-07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942A KR101060621B1 (ko) 2011-01-07 2011-01-07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621B1 true KR101060621B1 (ko) 2011-08-31

Family

ID=4493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942A KR101060621B1 (ko) 2011-01-07 2011-01-07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62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020A (ko) * 2020-03-24 2021-10-05 고명석 발효저장조 산기장치
KR102440545B1 (ko) * 2022-02-17 2022-09-06 (주)이플러스텍 유기성 폐기물 고속 건조 발효장치
KR20220125061A (ko) * 2021-03-04 2022-09-14 한국기계연구원 액체비료 제조장치
KR20220162274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한화그린 퇴비 발효 장치
KR20220162278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한화그린 축분 퇴비 발효 시스템 및 방법
KR102499322B1 (ko) * 2022-09-06 2023-02-13 한려이엠에스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KR102503047B1 (ko) * 2022-08-31 2023-02-23 우광산업(주) 발효조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발효공기 간접 가열 및 퇴비 재이용이 가능한 고효율 퇴비발효기
KR102510084B1 (ko) * 2022-04-15 2023-03-14 임경열 고효율 확장형 발효산소 공급장치
KR102541704B1 (ko) * 2022-09-07 2023-06-13 (주)이플러스텍 유기성 폐기물 고속 건조 발효장치의 구동장치
KR102616264B1 (ko) * 2022-09-06 2023-12-20 한동욱 악취 저감 및 에너지 절약형 유기성 폐기물의 비료 제조장치
KR102616786B1 (ko) * 2022-11-14 2023-12-21 오재만 가축 분뇨 퇴비화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727B1 (ko) * 2020-03-24 2022-05-17 고명석 발효저장조 산기장치
KR20210119020A (ko) * 2020-03-24 2021-10-05 고명석 발효저장조 산기장치
KR20220125061A (ko) * 2021-03-04 2022-09-14 한국기계연구원 액체비료 제조장치
KR102601915B1 (ko) 2021-03-04 2023-11-14 한국기계연구원 액체비료 제조장치
KR102562660B1 (ko) 2021-06-01 2023-08-02 주식회사 이앤씨네트웍스 축분 퇴비 발효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2274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한화그린 퇴비 발효 장치
KR20220162278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한화그린 축분 퇴비 발효 시스템 및 방법
KR102562661B1 (ko) 2021-06-01 2023-08-02 주식회사 이앤씨네트웍스 퇴비 발효 장치
KR102440545B1 (ko) * 2022-02-17 2022-09-06 (주)이플러스텍 유기성 폐기물 고속 건조 발효장치
KR102510084B1 (ko) * 2022-04-15 2023-03-14 임경열 고효율 확장형 발효산소 공급장치
KR102503047B1 (ko) * 2022-08-31 2023-02-23 우광산업(주) 발효조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발효공기 간접 가열 및 퇴비 재이용이 가능한 고효율 퇴비발효기
KR102499322B1 (ko) * 2022-09-06 2023-02-13 한려이엠에스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KR102616264B1 (ko) * 2022-09-06 2023-12-20 한동욱 악취 저감 및 에너지 절약형 유기성 폐기물의 비료 제조장치
KR102541704B1 (ko) * 2022-09-07 2023-06-13 (주)이플러스텍 유기성 폐기물 고속 건조 발효장치의 구동장치
KR102616786B1 (ko) * 2022-11-14 2023-12-21 오재만 가축 분뇨 퇴비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621B1 (ko)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US8007201B2 (en) Septic system
EP2142716B1 (en) Shower drainage system having slimline waste conduit device
CN101111650A (zh) 自洁地板系统
JP4484287B2 (ja) 建築物の床
KR101221620B1 (ko) 수처리 시설용 판재 및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도심지형 인공습지
US8851317B2 (en) Effluent filtration tank
KR20200079410A (ko) 세척수 분사장치가 설치된 배수트렌치
KR100888066B1 (ko) 조립식 여과 바닥판
KR100463497B1 (ko)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US8636444B2 (en) Fluid distribution system
KR102366494B1 (ko) 습식 재활용 부직포 제조 시스템
KR100949174B1 (ko) 산기 장치
JP3791770B2 (ja) 合成樹脂製集合ます
KR101937611B1 (ko)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CN210263312U (zh) 一体式多功能地漏以及一体式排水系统
CN107932784B (zh) 汽车轮胎回收处理系统
KR200285816Y1 (ko)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KR200145751Y1 (ko) 퇴비발효실의 송풍장치
KR200309172Y1 (ko) 축산분뇨 발효조의 외기공급용 에어노즐
KR100885633B1 (ko) 유기성 폐기물처리용 발효조
KR200240502Y1 (ko) 정화조용 블로워 관리박스
KR200305382Y1 (ko)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호스연결구조
JP7116519B1 (ja) 緑化トレー
CN220457914U (zh) 一种智能水肥管理控制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