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174B1 - 산기 장치 - Google Patents

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174B1
KR100949174B1 KR20090061650A KR20090061650A KR100949174B1 KR 100949174 B1 KR100949174 B1 KR 100949174B1 KR 20090061650 A KR20090061650 A KR 20090061650A KR 20090061650 A KR20090061650 A KR 20090061650A KR 100949174 B1 KR100949174 B1 KR 10094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hole
main body
fl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6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봉제
Original Assignee
(주)제왕터보텍
방봉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왕터보텍, 방봉제 filed Critical (주)제왕터보텍
Priority to KR2009006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폐수 정화조 내부에 삽입되어 오폐수를 정화하는 산기 장치에 있어서, 가장 자리가 라운드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하부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유체를 공급해 주는 연결관을 구비한 본체, 상기 지지판의 상부를 덮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늘어나는 탄성 재질의 배출부, 그리고 산소를 공급해 주는 배관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관에 산소를 공급해 주며, 상기 오폐수 정화 장치 하부면에 안착시켜 상기 본체를 지지해 주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통해 정화하고자 하는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산기 장치

Description

산기 장치{AIR DIFFUSER}
본 발명은 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기장치란, 축사나 하수 처리장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미생물의 정화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산소 공급장치를 말한다 이 장치는 산소를 공급하는 관을 통해 오폐수에 산소를 공급한다.
종래 산기 장치의 경우 보통 디스크 타입과 봉 타입을 사용하였다.
디스크 타입의 산기 장치의 경우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위 면적이 큰 원형 형상으로 인하여 산소가 분할되어서 오폐수 내부로 배출될 때, 산소는 특히 종수압을 강하게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분할된 산소들은 배출된 직후에는 휭수압에 의해 다시 재결합을 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재결합한 산소들은 분할된 산소들에 비해 크기가 커짐으로 제대로 오폐수에 녹아 들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에 따라 단위 면적당 정화 효율이 극히 낮아지며,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산기 장치를 가동해서 산소를 공급해야 함으로 전력 효율도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봉 타입의 산기 장치의 경우에는 말 그대로 봉 형상으로서, 봉 타입은 그크기에 의해 오폐수를 정화시키는데에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다수의 봉 타입의 산기 장치를 구매하여 설치해야 함으로 사용자 측에서는 설치 및 관리에 대한 비용 부담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체가 분할되어 공급될 때, 분할된 유체의 재결합을 최소화시켜 오폐수의 정화 효율을 최대화시켜 주는 산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는, 오폐수 정화조 내부에 삽입되어 오폐수를 정화하는 산기 장치에 있어서, 가장 자리가 라운드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하부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유체를 공급해 주는 연결관을 구비한 본체, 상기 지지판의 상부를 덮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늘어나는 탄성 재질의 배출부, 그리고 산소를 공급해 주는 배관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관에 산소를 공급해 주며, 상기 오폐수 정화 장치 하부면에 안착시켜 상기 본체를 지지해 주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관통공의 입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또 다른 한 면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판의 일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시켜 주는 결합부를 더 포함 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판의 가장 자리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의 가장 자리가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제1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부재는 제1 고정부와 결합하는 제2 고정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돌출부 및 삽입홈으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고정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받침부는, 산소를 공급해 주는 배관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관에 산소를 공급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의 외면에 접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이며, 상기 오폐수 정화 장치 하부면에 접할 경우 상기 본체를 안착시켜 지지해 주는 제4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 형상의 본체에 의해 오폐수 수압을 덜 받게 되어 종래의 산기 장치들에 비해 수압을 덜 받게 된다. 이에 배출되는 유체 역시 수압을 덜 받는 장점이 있다. 수압을 덜 받게 됨으로써, 분할된 유체가 오폐수 내로 배출될 때, 분할된 유체들의 재결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결국 배출된 유체의 재결합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오폐수와 융화시킬 수 있어 단위 면적당 정화 효율을 최대화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 형상의 본체에 의해 산소 등을 공급해 주는 관을 따라 다수 개를 배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원형 형상의 디스크 타입의 산기 장치에 비해 동일한 관에 보다 많이 수를 배열시킬 수 있어 오폐수를 정화하는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산기 장치(1)는 본체(10), 배출부(20), 결합부(30), 그리고 받침부(40)가 포함되어 있다.
본체(10)는 지지판(11) 및 연결관(12)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11)은 한 변이 길이가 다른 한 변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판(11)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때, 직사각형 형상의 가장 자리는 라운드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판(11)은 가장 자리가 라운드되어 있지 않고 직사각형 형상 그대로일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은 종래의 원 형상의 산기 장치에 비해 단위 면적이 작기 때문에 유체가 횡수압에 의해 다시 재결합하려는 성질이 낮다. 이에 따라 배출된 산소와 분할된 산소는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오폐수의 정화 효율이 종래의 원 형상의 산기 장치에 비해 높은 편이다.
지지판(11)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11)의 한 면에는 관통공(14)의 입구를 둘러싸고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5)가 포함되어 있다.
지지판(11)의 또 다른 한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바(13)가 연결되어 있다. 지지바(13)는 본체(10)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으로부터 본체(10)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관(12)은 지지판(11)의 또 다른 한 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관통공(14)과 연통되어 있다. 연결관(12)은 유체를 공급하는 관과 연결된다. 이때, 연결관(12)은 유체를 공급하는 관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관과 연결된 보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란 액체 또는 기체를 총칭하는 말로서, 공기 및 산소 등을 모두 포함된다.
배출부(20)는 합성 수지 재질로서, 지지판(11)의 한 면에 배치되어 지지판(11)을 덮는다. 이때, 관통공(14)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폐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2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배출부(20)는 고무 재질이다. 그러나 재질을 고무에 한정시키지 않고, 탄성 재질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합성 수지도 포함된다.
개폐부(22)는 정화하기 위한 유체의 수압 및 유체를 공급하는 관에서 공급되는 유체에 대한 수압에 의해 관통공(14)을 개폐시켜 준다. 개폐될 때 개폐부(22) 는 돌출부(15)에 접하게 된다.
또한, 개폐부(22)의 두께는 배출부(20)의 다른 부위에 비해 두꺼울 수 있다. 이는 지지판(11)과 마주 보는 개폐부(22) 부위가 관통공(14)을 개폐할 때 지지판(11)의 한 면에 돌출된 돌출부(15)와의 밀착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어 역류 방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결합부(30)는 지지판(11)의 일부와 배출부(20)를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20)에는 지지판(11)의 가장 자리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출부(20)의 가장 자리도 가이드 홈에 수용됨으로써 결합부(30)는 지지판(11)과 배출부(20)를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결합부(30)에 의해 지지판(11)과 배출부(20)의 각 가장 자리가 연결됨으로써 지지판(11)과 배출부(20) 사이에는 소정의 중공이 형성된다. 즉, 가장 자리를 제외한 부위에 유격 현상이 발생한다. 연결관(12)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지지판(11)과 배출부(20) 사이의 중공 부위를 거쳐 유체는 배출부(20)의 관통홀(21)에 의해 기포화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결합부(30)는 제1 부재(31) 및 제1 부재(31)와 연결되는 제2 부재(3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부재(30)에는 제1 고정부(33), 제2 부재(32)에는 제2 고정부(34)를 가진다. 제1 고정부(33)와 제2 고정부(34)는 돌출부와 삽입홈으로서, 돌출부가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서 제1 고정부(33)와 제2 고정부(34)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 고정된다. 이에 외부 환경에 의해 결합부(30)가 본체(10)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돌출부와 삽입홈을 이용하여 억지 끼움을 함으로써, 보다 쉽게 작업자가 결합시키거나 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부(3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출부(30)의 가장 자리가 지지판(10)의 가장 자리에 바로 연결된다. 그러나 배출부(30)는 지지판(10)의 가장 자리가 아닌 다른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되는 방식은 접착제 등을 이용한 직접 연결 방식이나 볼트 및 리벳 결합 등을 이용한 간접 결합 방식 등이 있다.
받침부(40)는 본체(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다. 받침부(40)는 본체(10) 및 배출부(20) 및 결합부(30)를 지지 및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40)는 제3 부재(41) 및 제3 부재(41)와 연결되어 있는 제4 부재(42)를 포함한다.
제3 부재(41)는 본체(10) 일측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3 부재(41)는 본체(10)의 연결관(12)과 연통되어 있으며, 이때 산소를 공급해 주는 배관과 연결됨에 따라 연결관에 산소를 공급해 준다. 제4 부재(42)의 일측은 지면 또는 오폐수 정화조 내측면에 접한다. 제4 부재(42)는 반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반원 형상을 가진 제4 부재(42)는 유체를 공급해 주는 관의 외측면을 감싸 덮을 수 있다. 이때, 관은 천공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구멍을 냄으로써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1)는 유체를 직접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유체가 흐르는 관과 연결된 보조관을 제3 부재(41)에 연결함으로써 간접적으로도 공급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1)를 정리하자면, 산기 장치(1)는 직사각형 형상의 본체(10), 배출부(20), 결합부(30), 받침부(40)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10)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른 산기 장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압을 적게 받게 된다. 본체(10)의 연결관(12)에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된 유체가 흐르는 관을 통해 본체(10)에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지지판(11)과 배출부(20) 사이에 형성된 중공 부위가 벌어지면서 유격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배출부(20)는 탄성 재질이라 보다 유연하게 벌어진다. 중공 부위가 벌어지면서 공급되는 유체는 배출부(20)의 관통홀(21)을 통해 미세하게 분할되어 배출부(20) 외부로 기포화되어 배출된다. 직사각형 형상의 본체(10)에서 배출되는 유체는 종래의 산기 장치들에 비해 수압을 많이 받지 않음으로 오폐수 내부에서 다시 재결합되는 성질을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오폐수 내부에서 미세하게 분할된 유체가 그대로 오폐수에 녹아 들어 오폐수의 정화 효율은 극대화된다.
이후에 유체 공급을 중단하게 되면, 배출부(20)와 지지판(11) 사이의 중공 부위는 다시 오므라 들며, 결국 배출부(20)는 지지판(11)의 한 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배출부(20)는 고무 재질이므로 지지판(11)의 한 면에 접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하게 된다. 또한, 배출부(20)의 개폐부(22)가 돌출부(15)에 접하게 됨으로써, 관통공(14)은 막히게 된다. 이로 인해, 오폐수가 관통공(14)으로 공급되지 않아 역류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본체(10)의 한 변 길이가 또 다른 한 변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이에 관에 연결시킬 때 관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를 배열시킬 수 있어 오폐수를 정화하는데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산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산기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산기 장치
10 : 본체 11 : 지지판
12 : 연결관 13 : 지지바
14 : 관통공 15 : 돌출부
20 : 배출부 21 : 관통홀
22 : 개폐부
30 : 결합부 31 : 제1 부재
32 : 제2 부재 33 : 제1 고정부
34 : 제2 고정부
40 : 받침부 41 : 제3 부재
42 : 제4 부재

Claims (10)

  1. 오폐수 정화조 내부에 삽입되어 오폐수를 정화하는 산기 장치에 있어서,
    가장 자리가 라운드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하부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유체를 공급해 주는 연결관을 구비한 본체,
    상기 지지판의 상부를 덮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늘어나는 탄성 재질의 배출부, 그리고
    산소를 공급해 주는 배관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관에 산소를 공급해 주며, 상기 오폐수 정화 장치 하부면에 안착시켜 상기 본체를 지지해 주는 받침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산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관통공의 입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산기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본체는, 또 다른 한 면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산기 장치.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지지판의 일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시켜 주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판의 가장 자리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의 가장 자리가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산기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결합부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제1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부재는 제1 고정부와 결합하는 제2 고정부를 가지는
    산기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돌출부 및 삽입홈으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고정되는 산기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서,
    산소를 공급해 주는 배관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관에 산소를 공급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의 외면에 접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이며, 상기 오폐수 정화 장치 하부면에 접할 경우 상기 본체를 안착시켜 지지해 주는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산기 장치.
KR20090061650A 2009-07-07 2009-07-07 산기 장치 KR10094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1650A KR100949174B1 (ko) 2009-07-07 2009-07-07 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1650A KR100949174B1 (ko) 2009-07-07 2009-07-07 산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174B1 true KR100949174B1 (ko) 2010-03-23

Family

ID=4218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61650A KR100949174B1 (ko) 2009-07-07 2009-07-07 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1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48A (ko) * 2019-02-22 2020-09-01 비앤비코포레이션 주식회사 산소공급용 산기장치
KR102239322B1 (ko) * 2020-05-13 2021-04-13 (주)에스.엠.엔지니어링 오, 폐수 처리용 판형 멤브레인 산기관
KR20230102827A (ko) * 2021-12-30 2023-07-07 (주)케이바이오 미생물 발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389B1 (ko) * 2006-12-18 2007-10-17 박준혁 산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389B1 (ko) * 2006-12-18 2007-10-17 박준혁 산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48A (ko) * 2019-02-22 2020-09-01 비앤비코포레이션 주식회사 산소공급용 산기장치
KR102171988B1 (ko) 2019-02-22 2020-10-30 비앤비코포레이션 주식회사 산소공급용 산기장치
KR102239322B1 (ko) * 2020-05-13 2021-04-13 (주)에스.엠.엔지니어링 오, 폐수 처리용 판형 멤브레인 산기관
KR20230102827A (ko) * 2021-12-30 2023-07-07 (주)케이바이오 미생물 발효장치
KR102664253B1 (ko) * 2021-12-30 2024-05-10 (주)케이바이오 미생물 발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174B1 (ko) 산기 장치
KR101060621B1 (ko)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ATE523638T1 (de) Sanitärer wasserauslauf mit verschwenkbarer strömungsführung
HK1139000A1 (en) Overflow device for water tank
PL2089581T3 (pl) Regulator strumienia
ATE317931T1 (de) Aufzieh- küchenarmatur
DE50310668D1 (de) Brausehalter
KR20090027799A (ko) 상하수처리장의 도류벽·정류벽 또는 간벽 구조
KR100561807B1 (ko) 하수관로의 가스 배출장치
WO2005072106A3 (en) Mounting assembly for a waste discharge line of a medical treatment apparatus
ATE556034T1 (de) Kompakte abwasserdesinfektionsanlage für krankenstation
KR200393337Y1 (ko) 매립형 하수구의 정화장치구조
KR10080974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장치
KR20110029745A (ko) 배수트랩
KR102171988B1 (ko) 산소공급용 산기장치
JP5041921B2 (ja) 排水ポンプ装置
KR200460806Y1 (ko) 양방향으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산기관
KR101399645B1 (ko)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KR200353645Y1 (ko) 오수처리용 제트폭기장치
WO2006125332A3 (de) Kompakte apparate-versorgungseinheit für den sanitärbereich
ATE227600T1 (de) Wasseraufbereitungsvorrichtung
KR100767389B1 (ko) 산기장치
CN216537059U (zh) 一种多功能的用于修复污染地下水及其流经污染土壤的装置
CN214116828U (zh) 一种便于安装的下水管
KR19990008868U (ko) 디퓨저 부착 자외선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