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816Y1 -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16Y1
KR200285816Y1 KR2020020014833U KR20020014833U KR200285816Y1 KR 200285816 Y1 KR200285816 Y1 KR 200285816Y1 KR 2020020014833 U KR2020020014833 U KR 2020020014833U KR 20020014833 U KR20020014833 U KR 20020014833U KR 200285816 Y1 KR200285816 Y1 KR 200285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bottom plate
pair
hol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식
Original Assignee
정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식 filed Critical 정준식
Priority to KR2020020014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16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사, 퇴비사, 세차장, 산업현장 등의 바닥에 설치하여 고농도 유기성 폐수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 등을 여과하기 위한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용 부재로 부직포를 사용하고, 부직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서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조립식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은,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가요성의 판부재와, 상부면에 상기 판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판부재가 장착된 하부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기 관통구멍이 지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관통구멍의 외측에서 하부로 일정한 높이를 갖고 일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타측면까지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외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다리부가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된 한쌍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이 대칭인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한쌍의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판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그레이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ASSEMBLE TYPE BOTTOM PLATE FOR FILTRATION}
본 고안은 축사, 퇴비사, 세차장, 산업현장 등의 바닥에 설치하여 고농도 유기성 폐수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 등을 여과하기 위한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용 부재로 부직포를 사용하고, 부직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서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조립식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 퇴비사, 세차장, 그리고 산업현장 등에서는 가축분뇨, 퇴비, 또는 공장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바닥에 침출수 배출을 위한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로부터 발생하는 고농도 가축분뇨를 처리하기 위하여 축사 바닥에 수분조정제 즉, 톱밥 또는 왕겨를 깔아주는 톱밥발효 축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톱밥발효축사나 퇴비사에는 도4a 또는 도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면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침출수 배출관(400)을 설치하고, 배출관(400)과 바닥면의 침출수 배출을 위한 배관(420, 도4a)으로 연결하거나, 배출관(400)에 배수구멍(420, 도4b)을 형성하고, 배수구멍 상부에 자갈(500)과 같이 침출수를 배출할 수 있는 재료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400)의 중공부(410)로는 축사나 퇴비사의 수분 증발과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블로어로 공기를 공급하여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구조는 배관구멍(420, 도4a) 또는 배수구멍(420, 도4b)이 장시간 사용할 경우 이물질에 의하여 막혀서 침출수가 배출되지 않아서, 축사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없으며 톱밥이나 왕겨를 자주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퇴비사의 경우에는 발효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퇴비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침출수 배출구조는 관 내부가 막힐 경우 배관(400) 모두를 제거하고 새로 설치하여야 하는 구조이므로 교체에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출수 배출을 위한 배관이 막히지 않고,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구조의 침출수 배출을 위한 조립식 바닥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교체가능한 침출수 여과용 부재를 제공하여 침출수에 의하여 배출관이 막히는 것을 근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조립식 바닥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이 조립된 상태와 그레이팅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치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프레임의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축사 바닥에 여과용 관을 매설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치단면도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0 그레이팅 120 프레임
124, 125 다리부 126, 127 가이드부
112, 113 안착돌기 122, 123 요홈
128 받침부 130 가요 및 유체투과성 판부재
140 배출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은,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가요성의 판부재와, 상부면에 상기 판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판부재가 장착된 하부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기 관통구멍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관통구멍의 외측에서 하부로 일정한 높이를 갖고 일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타측면까지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외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다리부가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된 한쌍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이 대칭인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한쌍의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판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그레이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가이드부와 관통구멍 사이에 일정한 깊이의 홈이 대향하는 양측면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레이팅의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홈에 수용될 수 있는 돌기가 양측면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은, 상기 일측면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면에 대칭인 타측면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일측면의 일부가 제거된 부분과 정합될 수 있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은,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가요성의 판부재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이 조립된 상태와 그레이팅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치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은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가요성의 판부재(130)와, 상부면에 상기 판부재(130)가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프레임(120)과, 상기 판부재(130)를 가압하여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판부재(13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레이팅(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요성의 판부재(130)는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으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부재(130)는 설치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로는 침출수가 통과되고, 하부에서 상부로는 블로에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판부재(130)가 장착되고 상기 판부재(130)를 통과하여 여과된 침출수가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128a)이 형성된 받침부(128)와, 상기 받침부(128)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관통구멍(128a)의 외측에서 하부로 일정한 높이를 갖고 일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타측면까지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124, 125)와, 상기 판부재(130) 및 그레이팅(110)을 수용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부(126, 127)로 구성된다. 프레임(120)의 재질은 적당한 강도를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좋으나, 적당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의 실시예에서 프레임(120)은 H 빔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다리부(124, 125)의 폭이 한 쌍의 가이드부(126, 127)의 폭보다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0)의 받침부(128)는 일정한 두께로 되어 있으며,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128a)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부(128)의 상부면의 복수의 관통구멍(128a)과 가이드부(126, 127) 사이에는 한 쌍의 요홈(122, 1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122, 123)은 그레이팅(110)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쌍의 안착돌기(112, 113)와 결합된다. 따라서 도1의 원안의 상세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요성의 판부재(13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0)의 한쌍의 다리부(124, 125)와 가이드부(126, 127)의 양단면 각각에는 다른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과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121a, 121b)이 형성되어 있다. 일측의 단은 내부측이 일부 제거되어 있고(121a), 타측의 단은 외부측이 일부 제거되어 있어서(121b), 다른 조립식 바닥판과 연속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리부(124, 125)와 가이드부(126, 127) 모두에 단이 형성되어 있으나, 도3에 도시한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26, 127)의 양 단면에만 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설치시에 프레임(120)과 콘크리트(300)의 결합을 좋게 하기 위해서 다리부(124, 125)와 가이드부(126, 127)의 외측 면에는 복수의 홈(121c)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레이팅(110)에는 상기 받침부(128)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는 판부재로서, 침출수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관통구멍(1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받침부(128)의 한 쌍의 요홈(122, 123)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요홈(122, 123)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의 안착돌기(112, 113)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110)의 관통구멍(111)과 상기 받침부(128)의 관통구멍(128a)은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관통구멍(111)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충분한 통풍작용과 침출수 배출작용이 용이한 형상이나 배열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바닥판의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로서, 설치시 가이드부(126, 127)에 걸리는 하중을 콘크리트(300)에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26, 127)의 폭을 다리부(124, 125)의 폭보다 넓게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바닥판은 사용시에 가축사나, 퇴비사의 바닥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조립식 바닥판을 맞대서 연결한 후, 콘크리트(300)를 타설하여 설치한다. 이 때 다리부와 가이드부의 외측에 형성된 홈(121c)이 콘크리트와의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가요성과 유체투과성을 갖는 적어도 받침판(128)의 면적보다 큰 판부재(130), 즉 부직포를 받침판 위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그레이팅을 부직포 위에 설치한다. 이때, 그레이팅 하부의 안착돌기(112, 113)가 받침판(128)의 요홈(122, 123)과 결합하여 부직포가 침출수의 통과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레임의 하부와 바닥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출관(140)으로 침출수가 여과되어 떨어지면 경사진 배출관 바닥으로 침출수가 흘러내리게 되어, 축사나 퇴비사의 외부로 배출 된다. 즉, 축사 내에서 사육되는 가축들의 분뇨가 수분조정제로 충진된 톱밥(200)에 일부는 흡수되고, 여분의 분뇨가 상기 그레이팅(110)의 관통구멍(111)을 통과하여, 부직포(130)를 통과할 때 미세한 고형물은 걸러지고 액체만이 경사진 배출관(140)의 바닥을 흘러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140)으로 공기를 불어넣으면, 프레임의 관통구멍(128a)과 판부재(130) 및 그레이팅의 관통구멍(111)을 통하여 상부로 공기가 통과하여 퇴비나, 가축의 분뇨로 공기가 공급되어, 수분의 증발과 발효를 돕게 된다. 즉, 톱밥(200) 및 왕겨에 흡수되어 있는 침출수를 건조시켜 기생충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계절에 따라 통풍량을 조절하여 축사내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가축들의 사육공간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으로 부직포(130)가 막히게 되면, 그레이팅(110)을 분리하고, 부직포를 세척하여 사용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고 관리가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분리가능한 그레이팅과 가요성 및 유체 투과성을 가진 부칙포를 사용하여 침출수 등을 배출할 수 있는 조립식 바닥판을 제공하여, 축사나 퇴비사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관리하기가 편리한 바닥판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침출수 배출을 위한 관로가 막히지 않고, 막힌 경우에는 부직포만을 교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축사 또는 퇴비사용 조립식 바닥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바닥판은 양단부에 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복수의바닥판을 연결하기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초기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바닥판의 용도는 상기의 축사, 퇴비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장의 바닥, 세차장의 바닥 등, 유체를 여과하여 배출하여야 하는 작업장의 바닥에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가요성의 판부재와,
    상부면에 상기 판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판부재가 장착된 하부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기 관통구멍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관통구멍의 외측에서 하부로 일정한 높이를 갖고 일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타측면까지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와,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외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다리부가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된 한쌍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이 대칭인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한쌍의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판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그레이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가이드부와 관통구멍 사이에 일정한 깊이의 홈이 대향하는 양측면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레이팅의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홈에 수용될 수 있는 돌기가 양측면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면에 대칭인 타측면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일측면의 일부가 제거된 부분과 정합될 수 있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가요성의 판부재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KR2020020014833U 2002-05-15 2002-05-15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KR200285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833U KR200285816Y1 (ko) 2002-05-15 2002-05-15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833U KR200285816Y1 (ko) 2002-05-15 2002-05-15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703A Division KR100463497B1 (ko) 2002-05-15 2002-05-15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16Y1 true KR200285816Y1 (ko) 2002-08-14

Family

ID=7312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833U KR200285816Y1 (ko) 2002-05-15 2002-05-15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621B1 (ko) 산기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US8007201B2 (en) Septic system
KR100750905B1 (ko) 자체 급수가 가능한 조립식 화단
KR100463497B1 (ko)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KR102055272B1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KR100910738B1 (ko) 상하수처리장의 간막이 벽체 구조
US201201258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al and treatment of waste water, sewage and/or effluent
KR200285816Y1 (ko)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KR101345706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FI71807B (fi) Draeneringsroeranordning
US5972212A (e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water utilizing microorganisms
US8636444B2 (en) Fluid distribution system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100807987B1 (ko) 빗물받이 또는 수로용 여과장치 케이스 겸용 구조물
KR101552236B1 (ko) 대형 집수블록을 이용한 정수장 여과지 하부 구조
KR100530716B1 (ko) 무동력 부유식 이물질수거및 여과장치
KR200284862Y1 (ko) 배수용 그릴
JP5147031B2 (ja) 堆肥化設備
KR20180123226A (ko) 실내 바닥 배수용 조립식 트랜치
KR200276106Y1 (ko) 개량형 빗물받이 덮개
US6079903A (en) Drain channel system
KR20110033580A (ko) 자연생태정원용 수질 정화장치
KR100641608B1 (ko) 드레인보드 연결판
KR200349667Y1 (ko) 배수장치
KR200200818Y1 (ko) 바닥 배수용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