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161A -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161A
KR20190011161A KR1020170093786A KR20170093786A KR20190011161A KR 20190011161 A KR20190011161 A KR 20190011161A KR 1020170093786 A KR1020170093786 A KR 1020170093786A KR 20170093786 A KR20170093786 A KR 20170093786A KR 20190011161 A KR20190011161 A KR 20190011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landfill
branch
ai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964B1 (ko
Inventor
이남훈
박진규
Original Assignee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코윌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코윌플러스 filed Critical 안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3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9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3/04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23/23113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bubbling elements in particular configurations, patterns 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3/04241
    • B01F2003/04148
    • B01F2003/0486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매립지 내부 넓은 범위에 공기를 확산 주입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는 매립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매립지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매립지 내부로 공급하는 메인 공기공급관과; 메인 공기공급관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며,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과;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 각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고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되며, 일단은 분기 공기공급관과 연통되고 타단은 개방된 복수의 공기 확산관을 포함하여, 매립지 외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매립층의 내부에 분산 공급한다.

Description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AIR SUPPLYING APPARATUS AT LANDFILL SITE}
본 발명은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매립지 내부 넓은 범위에 공기를 확산 주입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립을 이용한 폐기물의 처리 방법은 쓰레기 등의 폐기물을 소정 높이로 적층하고, 적층된 폐기물을 흙 등의 차폐물로 덮는 과정을 반복한다. 매립된 폐기물 중의 유기성 폐기물은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자연 분해되면서 메탄, 이산화탄소 등의 매립 가스를 발생한다. 발생된 매립 가스는 포집되어 연료로 사용되거나 소각된다.
매립지 내부에 공기 공급이 차단되면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가 지연되어, 매립지 안정화 기간이 길어져 사후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 매립지 내부의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매립 가스의 발생 속도를 조절하거나, 매립 가스 회수의 경제성이 없는 경우 매립지에 산소나 공기를 공급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호기성 반응을 이용하여 분해시켜 매립지를 조기에 안정화 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여기서 공기 공급방식에 따라 폐기물 매립지는 준호기성 매립지와 호기성 매립지로 구분된다.
준호기성 매립지는 매립지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매립지 내부로 유입이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준호기성 매립지는 침출수 집배수관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이 준호기성 매립지는 공기량 조절이 안되면 침출수 집배수관 주변은 공기 유입을 통해 호기성 조건을 유지하지만 침출수 집배수관에서 멀리 있는 곳은 공기 유입이 안되어 혐기성 상태를 유지한다. 즉 준호기성 매립지는 자연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된 구조로서 공기주입량 조절이 불가능하고, 매립지 설계시 준호기성 매립구조로 설치되어야 운영 가능하다.
호기성 매립지는 공기를 인공적으로 강제 주입하여, 혐기성에서 호기성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을 적용한 매립지로서, 매립지 운영 중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산소나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이 일본등록특허 제409151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방법은 공기를 물과 함께 공급하며, 침출수를 정화한 후 다시 투입하는 등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과정이 증가함에 따라 처리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등록특허 제4091511호(2008.05.2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공기가 매립지 내부의 넓은 범위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도록 된 구조의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기물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집수 및 배수하는 침출수 집배수관을 구비하는 폐기물 매립지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매립지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매립지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형성되는 메인 공기공급관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며, 상기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 각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고 상기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과 연통되고 타단은 개방된 복수의 공기 확산관을 포함하여, 매립지 외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상기 매립층의 내부에 분산 공급한다.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은 내부 공간이 분리판에 의하여 침출수가 이동하는 제1공간과, 공기가 이동하는 제2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은 상기 제1공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이 만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와; 상기 제2공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의 만관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에는 상기 매립지 내부로 직접 공기를 주입하는 복수의 공기 주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는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와 연통되는 제1분기 공기공급경로와, 상기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와 연통되는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가 침출수에 의하여 만관시 상기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시 상기 제1 및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에서 분기되며, 폐기물 매립지의 하부에 공기를 분배하는 복수의 제1분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폐기물의 적층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분기 공기공급관 각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제2분기 공기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분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폐기물 매립지의 폐기물 매립 높이에 따라 길이가 연장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확산관은 상기 제2분기 공기공급관의 각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확산관은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에 대해 신축이음으로 연결되어, 폐기물 매립지 환경 및 매립되는 폐기물의 높낮이 변화시, 상기 공기 확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는 매립층의 전역에 걸쳐 시공되는 공기 확산관을 통하여 공기가 매립지 내부의 넓은 범위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호기성 반응을 촉진하여 분해 효율을 높임으로써, 매립지를 조기에 안정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공기공급관을 침출수 집배수관과 일체 또는 그 내부에 삽관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매립지 조성 과정에서 추가 비용이나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분기 공기공급관과 공기 확산관 사이에 신축이음 결합함으로써, 매립지의 환경변화에 따라 매립층의 높이 가변시에도 공기 확산관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기 공기공급관을 다단 구조로 형성하여, 매립량에 따라 분기 공기공급관 확장 및 공기 확산관을 추가할 수 있다. 폐기물 매립 작업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매립층의 높이 방향 전역에 걸쳐 공기 확산관을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공급장치는 블로어를 통하여 공기를 강제 주입함으로써,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매립지 전역에 걸쳐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를 적용한 폐기물 매립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 및 도 4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의 메인 공기공급관과 분기 공기공급관의 배관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의 메인 공기공급관과 분기 공기공급관의 배관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6 및 도 7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공급장치의 분기 공기공급관과 공기 확산관 사이의 신축이음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를 적용한 폐기물 매립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는 폐기물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집수 및 배수하는 침출수 집배수관을 구비하는 폐기물 매립지(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는 메인 공기공급관(20)과,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30) 및 복수의 공기 확산관(40)을 포함하여, 매립지 외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매립지(10) 내부에 분산 공급한다. 메인 공기공급관(20)은 일단이 매립지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매립지 내부로 공급한다. 메인 공기공급관(20)은 상기 침출수 침배수관(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11)의 내부와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에 형성될 수 있다.
분기 공기공급관(30)은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20)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며,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된다. 이 분기 공기공급관(30)은 복수의 제1 및 제2분기 공기공급관(3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기 공기공급관(31)은 메인 공기공급관(20)에서 분기되며, 폐기물 매립지의 하부에 공기를 분배한다. 즉 제1분기 공기공급관(31 )은 메인 침출수 집배수관과 헤링본(Herring bone) 형상으로 연결되는 서브 침출수 집배수관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폐기물 매립지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은 폐기물의 적층 방향 즉 매립지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분기 공기공급관(31) 각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된다. 여기서,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은 폐기물 매립 높이에 따라 길이가 연장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공기 확산관(40)은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30) 각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된다. 예를 들어 공기 확산관(40)은 상기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의 각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기 확산관(40)의 일단은 분기 공기공급관(30)과 연통되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공기 확산관(40)을 통하여, 매립지 내부에 공기가 잘 통하지 않은 영역까지 공기를 확산 주입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의 메인 공기공급관과 분기 공기공급관의 배관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침출수 집배수관(11)은 내부 공간이 분리판(12)에 의하여 침출수가 이동하는 제1공간(11a)과, 공기가 이동하는 제2공간(11b)으로 분리된다. 제1공간(11a)은 침출수가 만관시에는 침출수(W)만 이동하는 경로로 사용되며, 연통된 일부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는 침출수(W)는 배출되고 공기는 주입되는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공기공급관(20)은 제1 및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21)(25)를 포함한다.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21)는 침출수 집배수관(11)의 제1공간(11a)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공간(11a)이 만관되지 않는 경우 분기 공기공급관(3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즉 침출수 배수량이 적어 제1공간(11a) 중 적어도 일부가 비어 있는 경우 이 빈 공간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21)에는 매립지 내부로 직접 공기를 주입하는 복수의 공기 주입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기 주입홀(21a)을 통하여 주입되는 공기는 매립지의 최하층 주변 폐기물의 호기성 분해를 촉진한다.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25)는 제2공간(11b)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공간(11a)의 만관여부와 관계없이 분기 공기공급관(3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폐기물 매립지는 준호기성 매립지로 설계될 수 있다. 즉, 공기 공급은 매립지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매립지 내부로 유입이 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20)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50)를 더 포함함으로써 호기성 매립지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로어(50)는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25)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30)은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21)와 연통되는 제1분기 공기공급경로와, 상기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25)와 연통되는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제1분기 공기공급관 개재없이 침출수 집배수관(11)에 대해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이 직결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이 제1분기 공기공급경로이며, 이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에 제3분기 공기공급관(37)이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가 된다. 한편 침출수 집배수관(11)과 제2분기 공기공급관(35) 사이에 제1분기 공기공급관이 설치된 경우, 제1분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제1 및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21)(25)와 실질상 동일한 구조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는 간접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21)(25)와 연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21)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시 상기 제1 및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 모두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21)가 침출수에 의하여 만관시 상기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 즉 제3분기 공기공급관(37)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제3분기 공기공급관(37)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공(37a)이 형성되어, 주입된 공기가 제1분기 공기공급경로 즉 제2분기 공기공급관(35) 내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합쳐진 상태로 상기 공기 확산관(40)으로 주입된다.
여기서 다수의 공기배출공(37a)은 소정 높이 예를 들어 분리판(12)으로부터 5m 이상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폐기물관리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법적 침출수 저류 수위는 5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기배출공(37a)을 형성함으로써, 공기배출공()을 통하여 침출수가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의 메인 공기공급관과 분기 공기공급관의 배관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공기공급관(20)은 침출수 집배수관(11)의 내부에 삽관 될 수 있다. 이 경우 분기 공기공급관(30)의 제1분기 공기공급경로를 구성하는 제2분기 공기공급관(25)은 침출수 집배수관(11)과 연통되고,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를 구성하는 제3분기 공기공급관(37)은 메인 공기공급관(20)에 직접 연결되거나 제1분기 공기공급관(31)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메인 공기공급관(20)이 침출수 집배수관(11)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 경우와 침출수 집배수관(11)에 삽관된 경우를 예를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공기공급관(20)은 침출수 집배수관(11)의 외부에 별도로 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분기 공기공급관의 다단 구조 및 분기 공기공급관과 공기 확산관 사이의 신축 이음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공급장치의 분기 공기공급관과 공기 확산관 사이의 신축이음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은 상호 체결 가능한 구조의 다단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매립지의 폐기물 매립량에 따라 분기 공기공급관(30)의 길이를 높일 수 있도록,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은 복수의 관(35a)(3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매립지 사용 중에는 폐기물이 일정 높이로 매립되면,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에 대해 연장하고, 연장된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에 대해 공기 확산관(40)을 결합할 수 있다.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을 다단 연결함에 있어서, 도 6에는 나사 체결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접 등의 다양한 결합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제2분기 공기공급관(35)의 개방된 최단부는 마개(39)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분기 공기공급관(30)을 통하여 주입되는 공기가 바로 유출되지 않고 공기 확산관(40)을 통하여 매립지 내부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확산관(40)은 분기 공기공급관(30)에 대해 신축이음(expansion joint)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신축이음은 공기 확산관(40)에 외력이 가해질 때, 공기 확산관(40)과 분기 공기공급관(30) 사이의 연결 구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신축이음의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확산관(40)의 연결부분을 주름구조(bellows; 41)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매립지 환경 변화 및 폐기물의 분해 과정에서 매립되는 폐기물의 높낮이 변화시, 공기 확산관(40)이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축이음의 다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확산관(40)이 분기 공기공급관(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확산관(40) 외력이 작용시 위치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확산관(40)의 파손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폐기물 매립지 11: 침출수 집배수관
11a: 제1공간 11b: 제2공간
12: 분리판 20: 메인 공기공급관
21: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 21a: 공기주입홀
25: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 30: 분기 공기공급관
31: 제1분기 공기공급관 35: 제2분기 공기공급관
37: 제3분기 공기공급관 37a: 공기배출공
39: 마개 40: 공기 확산관
50: 블로어

Claims (8)

  1. 폐기물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집수 및 배수하는 침출수 집배수관을 구비하는 폐기물 매립지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매립지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매립지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형성되는 메인 공기공급관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며, 상기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복수의 분기 공기공급관 각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고 상기 매립지의 매립층 내부에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과 연통되고 타단은 개방된 복수의 공기 확산관을 포함하여,
    매립지 외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상기 매립층의 내부에 분산 공급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은 내부 공간이 분리판에 의하여 침출수가 이동하는 제1공간과, 공기가 이동하는 제2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은
    상기 제1공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이 만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와;
    상기 제2공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의 만관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에는 상기 매립지 내부로 직접 공기를 주입하는 복수의 공기 주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는 상기 침출수 집배수관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와 연통되는 제1분기 공기공급경로와, 상기 제2메인 공기공급경로와 연통되는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를 포함하여,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가 침출수에 의하여 만관시 상기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1메인 공기공급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시 상기 제1 및 제2분기 공기공급경로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에서 분기되며, 폐기물 매립지의 하부에 공기를 분배하는 복수의 제1분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폐기물의 적층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분기 공기공급관 각각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제2분기 공기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폐기물 매립지의 폐기물 매립 높이에 따라 길이가 연장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확산관은 상기 제2분기 공기공급관의 각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확산관은 상기 분기 공기공급관에 대해 신축이음으로 연결되어,
    폐기물 매립지 환경 및 매립되는 폐기물의 높낮이 변화시, 상기 공기 확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를 상기 메인 공기공급관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KR1020170093786A 2017-07-24 2017-07-24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KR10202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786A KR102023964B1 (ko) 2017-07-24 2017-07-24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786A KR102023964B1 (ko) 2017-07-24 2017-07-24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161A true KR20190011161A (ko) 2019-02-01
KR102023964B1 KR102023964B1 (ko) 2019-09-23

Family

ID=6536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786A KR102023964B1 (ko) 2017-07-24 2017-07-24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96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020A (ko) * 2020-03-24 2021-10-05 고명석 발효저장조 산기장치
KR102440545B1 (ko) * 2022-02-17 2022-09-06 (주)이플러스텍 유기성 폐기물 고속 건조 발효장치
KR20220125061A (ko) * 2021-03-04 2022-09-14 한국기계연구원 액체비료 제조장치
KR20220162274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한화그린 퇴비 발효 장치
KR20220162278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한화그린 축분 퇴비 발효 시스템 및 방법
KR102499322B1 (ko) * 2022-09-06 2023-02-13 한려이엠에스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KR102503047B1 (ko) * 2022-08-31 2023-02-23 우광산업(주) 발효조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발효공기 간접 가열 및 퇴비 재이용이 가능한 고효율 퇴비발효기
KR102535246B1 (ko) * 2022-08-02 2023-05-26 이상현 분뇨 분해 촉진장치
KR102541704B1 (ko) * 2022-09-07 2023-06-13 (주)이플러스텍 유기성 폐기물 고속 건조 발효장치의 구동장치
KR102616264B1 (ko) * 2022-09-06 2023-12-20 한동욱 악취 저감 및 에너지 절약형 유기성 폐기물의 비료 제조장치
KR102616786B1 (ko) * 2022-11-14 2023-12-21 오재만 가축 분뇨 퇴비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563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엔바이로피아 유기성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엠비피 시스템
JP4091511B2 (ja) 2003-09-25 2008-05-28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埋立廃棄物の浄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563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엔바이로피아 유기성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엠비피 시스템
JP4091511B2 (ja) 2003-09-25 2008-05-28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埋立廃棄物の浄化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020A (ko) * 2020-03-24 2021-10-05 고명석 발효저장조 산기장치
KR20220125061A (ko) * 2021-03-04 2022-09-14 한국기계연구원 액체비료 제조장치
KR20220162274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한화그린 퇴비 발효 장치
KR20220162278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한화그린 축분 퇴비 발효 시스템 및 방법
KR102440545B1 (ko) * 2022-02-17 2022-09-06 (주)이플러스텍 유기성 폐기물 고속 건조 발효장치
KR102535246B1 (ko) * 2022-08-02 2023-05-26 이상현 분뇨 분해 촉진장치
KR102503047B1 (ko) * 2022-08-31 2023-02-23 우광산업(주) 발효조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한 발효공기 간접 가열 및 퇴비 재이용이 가능한 고효율 퇴비발효기
KR102499322B1 (ko) * 2022-09-06 2023-02-13 한려이엠에스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퇴비
KR102616264B1 (ko) * 2022-09-06 2023-12-20 한동욱 악취 저감 및 에너지 절약형 유기성 폐기물의 비료 제조장치
KR102541704B1 (ko) * 2022-09-07 2023-06-13 (주)이플러스텍 유기성 폐기물 고속 건조 발효장치의 구동장치
KR102616786B1 (ko) * 2022-11-14 2023-12-21 오재만 가축 분뇨 퇴비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964B1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1161A (ko) 폐기물 매립지의 공기 공급장치
KR20100044505A (ko) 발전소 배수로의 거품발생 방지용 수로구조
KR102000586B1 (ko) 폐기물 매립지에서의 하이브리드 메탄 산화 시스템
CN107162238A (zh) 重力流污水入廊系统
KR101891526B1 (ko) 폐기물 매립지의 가스배제관을 이용한 공기 공급장치
CN207211190U (zh) 一种综合管廊
CN204174586U (zh) 地下闸门室补气系统
CN206319337U (zh) 大型方管式城市地下综合通道
CN106245676A (zh) 一种管体及综合管廊
KR101941104B1 (ko) 냉각수 배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로
KR20150111495A (ko) 해양플랜트
KR20120017580A (ko) 지열 에너지 이용과 보강일체형의 에너지 이중관 장치 및 공법
CN203891185U (zh) 一种防渗接水地漏
CN203487584U (zh) 一种模块化集成泵站
CN215928729U (zh) 一种给水排水工程用管道连接装置
CN101801859A (zh) 收集填埋地中有机废弃物所产生的沼气的方法
BR102016017395A2 (pt) Reator uasb modificado, método de aproveitamento energético e uso
KR101842406B1 (ko) 소화가스 저장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화가스 저장조
KR101722416B1 (ko) 매립지의 황화수소 발생 억제제 주입장치
CN206902866U (zh) 座便器导气结构以及虹吸式马桶
KR100421963B1 (ko) 매립지 침하를 고려한 상하이동식 수직가스배제관을 갖는매립지 최종복토시스템
JP2011043228A (ja) 分岐弁
CN107029543A (zh) 一种用于回收废氨的垃圾焚烧炉非催化还原烟气脱硝系统
KR20190037523A (ko) 폐기물 매립지의 메탄가스 저감장치
KR20030010917A (ko) 매립구역내 유량조정조 설치를 이용한 매립장 조성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